KR101071095B1 -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095B1
KR101071095B1 KR1020080067774A KR20080067774A KR101071095B1 KR 101071095 B1 KR101071095 B1 KR 101071095B1 KR 1020080067774 A KR1020080067774 A KR 1020080067774A KR 20080067774 A KR20080067774 A KR 20080067774A KR 101071095 B1 KR101071095 B1 KR 101071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unit
frame
guide wheel
spre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235A (ko
Inventor
이준서
Original Assignee
이준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서 filed Critical 이준서
Priority to KR102008006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0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9Regulating or control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03Atomisers or mist blowers
    • A01M7/0014Field atomisers, e.g. orchard atomisers,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A01M7/0032Pressure sprayers
    • A01M7/0042Field sprayers, e.g. self-propelled, drawn or tractor-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82Undercarriages, frames, mountings, couplings,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 Y10S43/90Liquid insecticide spray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 및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게 노즐이 구비되는 살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살포유닛이 장착될 수 있는 적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동력으로 구동되는 차륜,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며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궤도를 따라 구를 수 있게 형성되는 안내 바퀴를 포함하는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AGRICULTURAL SPRAY MACHINE AND SPRAY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작지에서 농약 등을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는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수원, 농장, 하우스 등의 경작지에서는 농작물에 농약 등의 살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농약 등의 살포에는 살포기 등이 사용된다.
농약 등을 일반적인 살포기로 살포할 때는 많은 물로 묽게 희석된 농약이 많이 살포되어야 하며, 따라서 이러한 살포기의 사용은 노동력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의 양을 적게 하여 진한 약액을 미립자로 살포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소량을 살포하는 방법이므로 약액이 경작지에 골고루 살포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살포기는 주로 인력에 의하여 운반되며, 이에는 작업자의 노동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황에 따라 넓은 지역에 농약 등이 살포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인력에 의한 살포 작업은 한번에 살포할 수 있는 살포 대상 지역의 넓이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살포기의 자동화가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과수원, 농장, 하우스 등과 같은 작업 현장은 필요에 따라 살포기 또는 살포 설비가 자주 바뀌어야 하므로 자동화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과수원, 농장,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현장은 농경지의 특성상 평탄하지 않은 토사로 된 지표면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살포기를 운송기에 싣고 이동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는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한 살포 시스템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궤도상에서 자동으로 주행하면서 농약 등을 살포하는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농약 등을 경작지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살포시키는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경작지용 살포기는 대차와 대차에 설치되는 살포유닛을 포함한다. 살포유닛에는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게 노즐이 구비된다. 대차는 적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동력으로 구동되는 차륜 및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안내 바퀴를 포함한다. 적재부에는 살포유닛이 장착될 수 있고, 차륜은 동력으로 구동된다. 안내 바퀴는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궤도를 따라 구를 수 있게 형성된다. 경작지용 살포 시스템은 경작지용 살포기가 궤도를 따라 동력으로 이동되면서 경작지에 농약 등을 살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단일 선로의 궤도를 포함하고, 궤도상에는 경작지용 살포기가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살포유닛과 연결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을 왕복 회전으로 변환시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농약 등을 살포시키는 운동변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변환유닛은 감속기어와 링크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감속기어는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감속시킨다. 링크 연결부는 복수의 링크를 구비하고, 일단은 감속기어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은 살포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노즐은 농약 등을 안개 형태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안개 노즐일 수 있다. 살포유닛에는 송풍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송풍기는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노즐을 위치시키도록 배치되어, 노즐에 의하여 분사된 농약 등을 원거리로 살포시킨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송풍기는 날개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유출하고, 송풍기 모터는 공기가 유입되는 면의 반대 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살포유닛은 지지관과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 및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관의 내주면에는 송풍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고, 체결요소는 지지관을 관통하여 송풍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된다. 높이 조절부는 지지관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살포유닛의 적재부로부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프레임과 결합되어, 안내 바퀴를 상기 궤도를 향해 가압시키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궤도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궤도에 접하는 안내 바퀴의 단면은 궤도를 수용하도록 홈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바퀴는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될 수 있고, 차륜은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은 살포유닛과 궤도상을 구동하는 대차를 구비하여 경작지에서 농약 등을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다.
또한, 운동변환유닛을 구비하는 경우에 의하면 농약 등이 경작지에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자동으로 살포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를 형성하여 안내 바퀴가 궤도와 이탈되는 것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궤도는 파이프 등을 연결하여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용 살포기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이다.
경작지의 바닥에는 단일 선로 형태로 궤도(150)가 설치된다. 궤도(150)상에는 궤도(15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경작지용 살포기(10)가 배치된다. 경작지용 살포기는 궤도(150)를 따라 동력으로 이동되면서 경작지에 농약 등을 살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궤도(150)와 경작지용 살포기(10)는 살포 시스템(10')을 이룬다.
경작지용 살포기(10)는 경작지를 자동으로 주행함과 동시에 농약 등의 살포방향이 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경작지용 살포기(10)는 농약 등을 일정 범위내에서 살포방향을 왕복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살포한다.
도 2는 도 1의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이다.
경작지용 살포기(10)는 경작지 바닥에 위치하는 대차(100)와 대차에 설치되는 살포유닛(21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살포유닛(210)에는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게 노즐(211, 도 5 참조)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살포유닛(21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살포장치(200)가 대차(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만 농약 등은 농약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액체 비료 또는 액체와 분말 비료의 혼합물 등과 같이 액체를 포함하고, 살포 가능한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대차(100)는 기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에 의해 형성된다. 프레임(110)은,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 형성되거나 철(Fe)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110)에는 살포유닛(210)이 장착되는 적재부(111)가 형성된다. 적재부(111)는, 예를 들어 프레임(110)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111a) 또는 프레임(110)과 결합되는 지지판(111b)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지지판(111b)에 살포장치(2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적재부(111)는 수확된 과일, 채소 또는 각종 장비와 같은 운반 대상물을 내부에 적재할 수도 있다. 적재부(111)에는 운반 대상물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난간 또는 측벽이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적재부(111)에는 저장탱크(220)가 탑재되어, 살포장치(200)에 공급되는 농약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탱크(220)는 내부에 액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다만, 살포장치(200)에 농약 등이 공급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작지에 구비된 농약 등의 저장소로부터 호스 등을 통하여 살포장치(200)에 농약이 공급되는 방식 등도 가능하다.
프레임(110)에는 경작지의 바닥을 구를 수 있게 차륜(120)이 장착된다. 차륜(120)은,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저렴하게 구비할 수 있다.
차륜(120)은 동력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를 위하여 차륜(1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 도 7 참조)와 연결된다. 차륜(120)이 회전 구동되면 경작지 바닥과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를 통하여 대차(100)가 이동된다.
경작지 바닥에는 대차(100)의 진행경로가 되는 궤도(150)가 깔려 있으며,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궤도(150)를 따라 구를 수 있게 구성되는 안내 바퀴(140)가 장착된다.
궤도(150)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151, Pip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궤도(150)는 단일 선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151)를 연결함으로써 구부러질 수 있는 궤도(110)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일단은 제1 파이프(151a)와 타단은 제2 파이프(151b)와 결합하는 파이프 연결구(152) 등을 이용하여 파이프들을 연결함으로써 궤도(150)의 단면의 크기의 변 화가 없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궤도의 단면은 원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사각 단면 또는 홈이 있는 형태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안내 바퀴(140)의 외주면(141, 이하 도 7 참조)은 궤도(150)를 수용하는 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내 바퀴(140)는 궤도(150)를 수용한 채로 궤도(150)를 따라 구름으로써 대차(100)의 진행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대차(100)의 차륜(120)은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 바퀴(140)는 프레임(110)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차륜(1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대차(100)가 곡선으로 굽어지는 궤도(150)를 향하여 진행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동부(130)에 의하여 차륜(120)이 구동되고, 궤도(150)와 안내 바퀴(140)에 의하여 대차(100)의 진행이 안내되고, 살포유닛(210)에 의하여 농약 등이 살포됨으로써, 경작지에서 농약 등을 자동으로 살포할 수 있는 살포 시스템(10')이 구성될 수 있다.
경작지에는 대차(100)의 정지를 유도하는 정지유도체(150')가 위치할 수 있다. 정지유도체(150')는, 예를 들어 농작물 포장 박스, 사다리, 사람 등 경작지 내의 모든 물체로써 대차(100)와 충돌 가능한 것을 뜻한다.
대차(100)에는 정지유도체(150')와 접촉가능하게 프레임(110)의 일단에 돌출 장착되어, 차륜(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160)는 프레임이 정지유도체(150')와 접촉하기 전에 정지 유도체(150')와 먼저 접촉하여 눌러지도록 형성되어, 대차(100)를 정지시키는 안전장치가 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2의 살포장치를 여러 위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운동변환유닛에 의한 살포유닛의 왕복 회전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살포장치(200)에는 농약 등의 살포를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모터(23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구동모터(230)는 대차(100)에 장착된 배터리(131, 도 7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살포장치(200)에는 경작지에 살포될 농약 등을 저장탱크(220, 도 2 참조)로부터 압송하여 노즐(211)에서 분사하기 위한 압축기(241)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230) 및 압축기(241)의 회전축에는 각각 벨트(231)가 연결된다. 이를 통하여 구동모터(230)의 회전력은 압축기(241)에 전달된다. 압축기(241)는 저장탱크(220)와 연결된 공급호스(242)를 통하여 농약 등을 압송하여, 압력탱크(243)로 유입시킨다. 압력탱크(243)는 농약 등의 임시 저장소로서 농약 등의 배출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압력탱크(243)에는 살포호스(244)가 연결될 수 있다. 살포호스(244)는 원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는 살포관(245)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살포관(245)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농약 등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배출구에는 노즐(211)이 장착될 수 있다. 노즐(211)은 농약 등을 안개 형태로 분사하도록 형성되는 미스트(mist) 노즐일 수 있다. 미스트 노즐은 안개 형태의 미립화된 입자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노즐이다. 살포관(245)과 노즐(211)은 관 형태로 형성되는 노즐 케이스(247)에 의하여 감싸질 수 있다.
압력탱크(243)에는 회수호스(246)가 연결될 수 있다. 회수호스(246)는 저장탱크(220)와 연결되며, 압력탱크(243)에 임시로 저장된 농약 등의 일정량을 다시 저장탱크(220)로 회수시킨다. 이를 통하여, 살포호스(244)로 공급되는 농약 등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압력탱크(243)에는 압력탱크(243)에 부가되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247)가 부착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살포장치(200)는 살포유닛(210)과 연결되고 구동모터(230)의 회전을 왕복 회전으로 변환시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농약 등을 살포시키는 운동변환유닛(2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동변환유닛(250)은 감속기어(251) 및 링크 연결부(252)를 포함한다.
감속기어(251)는 구동모터(230)와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감속시킨다. 이를 위하여 구동모터(230)와 벨트(231, 도 3 참조)로 연결되는 압축기(241)의 회전축이 연장되어 감속기어(251)와 연결될 수 있다. 감속기어(251)는 회전속도를 감속시킨다. 또한 벨트(231)에 의하여 전달되는 회전력을 압축기(241)의 회전축과 수직인 회전 중심을 갖는 회전축(251a)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킨다.
링크 연결부(252)는 복수의 링크들(252a 내지 252c)을 구비하고, 일단은 감속기어의 회전축(251a)과 연결되고, 타단은 살포유닛(210)과 연결된다. 회전축(251a)의 회전에 의하여 제1 링크(252a)는 회전 운동하게 되고, 따라서 제1 링크(252a)와 연결된 제2 링크(252b)의 일단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제2 링크(252b)의 타단은 제3 링크(252c)에 연결되어, 일정 범위 내에서 왕복적인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3 링크(252c)와 연결된 살포유닛(210)은 왕복 회 전을 하게 되며,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농약 등을 살포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살포유닛(210)은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노즐(211)을 위치시키도록 배치되는 송풍기(2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살포관(245)과 노즐(211)을 감싸는 노즐 케이스(247)는 송풍기(261)의 공기 토출면(265)에 대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송풍기(260)에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하여 노즐(211)에서 분사된 농약 등이 원거리로 살포된다.
송풍기(261)는 원심형 송풍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형 송풍기는 날개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유출하고, 송풍기 모터(262)는 공기의 유입되는 면의 반대 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살포유닛(210)은 지지관(263) 및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관(263)은 송풍기 모터(262)의 적어도 일부가 내주면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요소(264)는, 예를 들어 볼트를 이용하여 지지관(263)을 관통하여 송풍기 모터(262)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관(263) 내주면을 따라 송풍기 모터(262)가 회전되면 송풍기(261)의 공기 토출면(265)이 지향하는 방향은 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송풍기 모터(262)의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송풍기(261)의 공기 토출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지지관(263)의 외주면에는 높이 조절부(270)가 연결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270)는 지지봉(271) 및 조절 실린더(272)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봉(271)의 일단은 지지관(263)과 연결되며, 지지관(263)의 외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절 실린더(272)에는 지지봉(271)의 타단이 내장되고, 지지 봉(271)은, 예를 들어 유압 등에 의하여 조절 실린더(272)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살포유닛(210)의 적재부(111, 도 2 참조)로부터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대차를 나타내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대차를 나타내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차륜(120)과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차륜(120)을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구를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30)는, 예를 들어 배터리(131)와 모터(132)를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터리(131)는, 예를 들어 차량용 배터리 등과 같이 수명이 비교적 길고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131)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가정용 전원과 같은 교류를 전원으로 사용할 경우 교류를 직류로 바꾸어 주는 컨버터(converter)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주로 12V 정도의 저전압을 제공하며, 이러한 저전압에서 작동하는 소형 직류모터와 함께 보다 소형화의 구동부(130)를 이루게 된다.
모터(132)의 회전을 차륜에 전달하기 위하여 동력전달 장치가 구비된다. 동력전달 장치는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133, chain)과 스프라켓(134, sprocke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벨트(belt)와 풀리(pulley) 또는 기어(gear)의 조합 등 원거리에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내 바퀴(140)는 프레임(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 씩 배치된다. 차륜(12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르는 것과 관계없이 항상 안내 바퀴(140)가 차륜(120)보다 선행되도록 한다.
정지유도체(150, 도 2 참조)와 접촉하여 차륜(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160)는 프레임(110)의 전후 양단에 에 돌출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륜(120)이 구르는 방향과 관계없이 항상 스위치(160)가 안전장치로 작동하도록 한다.
프레임(110)에는 구동부(130)에 의하여 차륜(120)이 회전하도록 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스위치(160')는, 예를 들어 한 번 누르면 차륜(120)이 회전하도록 하고, 다시 누르면 차륜(120)이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안내 바퀴(140)의 외주면은 궤도(150, 도 2 참조)를 수용하는 홈(141)이 구비되는 단면으로 형성된다. 홈(141)은, 예를 들어 'U' 또는 'V'자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안내 바퀴(140)가 궤도(150)상에서 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내 바퀴(140)는 궤도(150)의 방향에 따라 정렬되도록 프레임(110)에 대해 방향 전환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는 곡선으로 굽어지는 궤도(150)를 따라 대차(100)가 원할하게 진행하도록 한다.
안내 바퀴(140)는 중심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안내 바퀴 받침대(142)에 장착된다. 안내 바퀴 받침대(142)는 판재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은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예를 들어 안내 바퀴 받침대(142)의 일면 및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에 서로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 사이가 헐거운 리벳 이음(142', 도 2 참조)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내 바퀴(140)와 궤도(150)의 이탈을 완화 또는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110)에는 안내 바퀴(140)를 궤도(150)를 향해 가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가압부(170)가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170)는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와 스프링(171) 등이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의 일단부(144)는 절곡될 수 있으며, 절곡되는 부분에 힌지 결합부(172)가 형성될 수 있다. 타단부(145)에는 안내 바퀴 받침대(142)가 장착된다. 안내 바퀴 지지부재의 일단부(144)는 스프링(171)과 연결된다.
스프링(171)은 스프링 지지봉(174)에 연결되어 인장 탄성 변형을 한 채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171)이 가지는 탄성력은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의 일단부(144)을 당겨주며, 마치 시소(seesaw)와 같이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의 타단부(145)는 힌지 결합부(172)를 중심으로 프레임(1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내 바퀴(140)는 궤도(150)를 향해 가압하게 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170)는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의 일단부(144)가 타단부(145)보다 가압부(170)가 장착되지 않은 안내 바퀴(140')와 더 가깝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내 바퀴(140)가 궤도(150)를 가압하는 힘에 대하여 반력이 안내 바퀴(140) 에 발생한다. 이러한 반력은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를 안내 바퀴를 중심으로 안내 바퀴 지지부재(143)의 일단부(144)를 궤도(150)와 가까워지려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력에 의하여 가압부(170)가 장착되지 않은 안내 바퀴(140')에도 궤도(150)를 가압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가압부(170)를 통하여 궤도(150)가 단일 선로(도 2 참조)로 형성되어도 안내 바퀴(140)의 이탈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압부(170)는 스프링(171)을 이용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석 등을 설치하여 자기력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대차(100)에는 곡선에서의 주행이 원할하도록 좌우 양 차륜(120)과 각각 연결되는 차동기어(differential gear)가 장착될 수 있다. 곡선을 주행할 때 주행이 원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의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파이프 연결구(352)의 양단은 제1 및 제2 파이프(351a, 351b)와 각각 연결된다. 파이프 연결구(352)의 몸체에는 돌출부(352a)가 형성된다. 돌출부(352a)는 경작지 바닥 등에 삽입되어, 궤도를 경작지에 고정시킨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돌출부(352a)는 경작지 바닥에 삽입되기 쉽도록 일단을 향해 가늘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돌출부(352a)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경작지 바닥에 삽입되는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경작지용 살포기는 위에서 설명된 경작지용 살포기에 관련한 실 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농사용 또는 산업용 살포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작지용 살포기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의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살포장치를 일 위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살포장치를 다른 위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운동변환유닛에 의한 살포유닛의 왕복 회전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6은 도 1의 대차를 나타내기 위한 전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대차를 나타내기 위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궤도의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8)

  1. 대차; 및 상기 대차에 설치되어 농약 등을 살포할 수 있게 노즐이 구비되는 살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대차는,
    상기 살포유닛이 장착될 수 있는 적재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며, 동력으로 구동되는 차륜;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며, 경작지 바닥에 설치되는 궤도를 따라 구를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궤도를 따라 정렬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방향 전환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 바퀴;
    상기 살포유닛과 연결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을 왕복 회전으로 변환시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농약 등을 살포시키는 운동변환유닛; 및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안내 바퀴를 상기 궤도를 향해 가압시키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경작지용 살포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유닛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
    복수의 링크를 구비하고, 일단은 상기 감속기어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살포유닛과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를 포함하는 경작지용 살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유닛은,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에 상기 노즐을 위치시키도록 배치되어, 상기 노즐에 의하여 분사된 상기 농약 등을 원거리로 살포시키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경작지용 살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날개의 회전축 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회전축과 직각방향으로 유출하고, 송풍기 모터는 상기 공기의 유입되는 면의 반대 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살포유닛은,
    상기 송풍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가 내주면에 삽입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을 관통하여 상기 송풍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요소; 및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상기 살포유닛의 상기 적재부로부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경작지용 살포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형태에 접하는 상기 안내 바퀴의 단면은 상기 궤도를 수용하도록 홈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차륜은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 바퀴는 상기 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하나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살포기.
  8. 경작지 바닥에 단일 선로 형태로 설치되는 궤도; 및
    상기 궤도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제1항, 제3항 내지 5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경작지용 살포기를 포함하여,
    상기 경작지용 살포기가 궤도를 따라 동력으로 이동되면서 경작지에 농약 등을 살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작지용 살포 시스템.
KR1020080067774A 2008-07-11 2008-07-11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KR101071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774A KR101071095B1 (ko) 2008-07-11 2008-07-11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774A KR101071095B1 (ko) 2008-07-11 2008-07-11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35A KR20100007235A (ko) 2010-01-22
KR101071095B1 true KR101071095B1 (ko) 2011-10-10

Family

ID=4181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774A KR101071095B1 (ko) 2008-07-11 2008-07-11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0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033B1 (ko) * 2013-01-11 2013-07-17 (주)대흥산업방역공사 약품발사대
KR101368090B1 (ko) * 2013-09-05 2014-03-12 정휘정 농약 살포용 대차 운용방법
CN110583601A (zh) * 2019-09-09 2019-12-20 江苏九迪农业生态科技有限公司 适用于农业生态的立体种植的农药给药设备
CN111436416A (zh) * 2020-05-06 2020-07-24 中国农业科学院棉花研究所 一种棉花试验田农药喷洒装置
KR102285544B1 (ko) * 2020-07-29 2021-08-04 (주)아이에이치피엠 충전식 자동운반 분무대차
CN116686436B (zh) * 2023-07-13 2024-01-19 中国热带农业科学院热带作物品种资源研究所 一种小型农用耕地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331Y1 (ko) 2000-05-17 2000-11-15 이유기 비닐하우스용 농약 무인 자동살포기
JP2008125514A (ja) 2006-11-16 2008-06-05 Kyoshu Cho 肥料・農薬散布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331Y1 (ko) 2000-05-17 2000-11-15 이유기 비닐하우스용 농약 무인 자동살포기
JP2008125514A (ja) 2006-11-16 2008-06-05 Kyoshu Cho 肥料・農薬散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35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095B1 (ko) 경작지용 살포기 및 그를 구비하는 살포 시스템
KR101635683B1 (ko) 승용 관리기 장착형 분무기
KR20200088200A (ko) 농약 살포 장치
KR101460991B1 (ko) 다목적 무인 방제용 차량
CN109221069B (zh) 一种智能超声气力喷雾施药机器人
KR101371076B1 (ko) 원거리 농약살포기
KR101762929B1 (ko) 무인 방제기
JP4790683B2 (ja) 肥料・農薬散布器
JP6165770B2 (ja) リキャプチャ用噴霧器シェル
KR20110008530U (ko) 개량된 분무부를 갖는 주행형 전동 분무장치
KR100871087B1 (ko)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그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20110098431A (ko) 개량된 대차를 갖는 주행형 전동 분무장치
US20120187210A1 (en) Multi-headed Mobile Fogging System and Method
KR20170111343A (ko) 자동 주행으로 농작물에 농약을 살포하는 농약 살포장치 및 살포방법
KR102365358B1 (ko) 자주형 농업용 분무기
JPH0837960A (ja) 散布装置
KR20100132143A (ko) 분무호스릴모듈
JPH11197567A (ja) 自走式煙霧機及び噴霧方法
GB2597749A (en) Improvements in portable garden water sprinklers
CN214708747U (zh) 应用于立体植物农场的喷灌机器人
JP2019182290A (ja) レール走行車運搬台車
JPS6363034B2 (ko)
KR101386705B1 (ko) 틸팅되는 안내바퀴를 구비한 경작지용 운반기계 및 이를 구비한 운반 시스템
KR20230038940A (ko) 다목적 농업용 원격주행차량
KR200214097Y1 (ko) 방제차의 분무 에어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