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9576B1 -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9576B1
KR102379576B1 KR1020190166938A KR20190166938A KR102379576B1 KR 102379576 B1 KR102379576 B1 KR 102379576B1 KR 1020190166938 A KR1020190166938 A KR 1020190166938A KR 20190166938 A KR20190166938 A KR 20190166938A KR 102379576 B1 KR102379576 B1 KR 102379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box
sprouted
sprouted radish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5627A (ko
Inventor
박춘근
이정훈
정진태
이윤지
장재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6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5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yc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과,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새싹율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재배방법은 온도, 습도 및 광 조절을 통해 새싹율무의 활성 성분 함량 및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수확시간 절감 및 곰팡이 독소가 경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 성분 함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재배방법은 대량생산 시설에서 동일한 방법을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상자 규격 역시 덮개, 배수구유지, 상자내부 스펀지 설치시 크기에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Box for production Job's tears sprout and cultivation method of Job's tears sprou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펀지를 포함하고, 바닥에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덮개를 구비하여 밀봉 가능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를 이용하여 온도, 습도 및 광 조절을 통해 새싹율무의 활성 성분 함량 및 발아율을 증가시키면서 곰팡이 독소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및 재배 시스템과,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새싹율무에 관한 것이다.
율무(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는 벼과의 옥수수와 가까운 식물로, 원산지는 인도이며 현재 온대 및 열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토심이 깊고 배수가 잘 되는 양토나 사양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랄 정도로 환경에 적응성이 높아 소득성 작물을 재배할 수 없는 경사진 곳이나 산간지대, 신개간지 등에서도 많이 재배된다. 기존 율무는 종실을 도정 하여 현미 상태로 식재료 및 한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율무는 항암, 항균, 골격근이완, 진정, 해열, 진통, 소염, 소갈(갈증이 나서 물을 많이 마시지만 갈증이 없어지지 않음), 폐옹(폐부에 생기는 옹양, 폐농양, 가슴이 답답하며 열이남), 폐위(폐병의 하나로 폐가 줄어들어 늘지 않음)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율무에서 발아하여 성장된 새싹율무의 경우, 염증질환, 폐질환, 암 등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대하여 연구된 바 있다.
한의학에서는 율무의 약명을 의이인(薏苡仁) 이라고 부르며 이뇨, 소염 및 진통 등의 효과가 있어 신장질환, 신경통, 당뇨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왔다. 또한 율무에는 coixenolide, coixol, lactams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항염증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분 중 coixol과 coixenolide는 진통 및 항암효과가 있어 최근 항암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영양학적, 약리학적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율무는 대부분 잡곡 또는 차로 이용되어왔으며 관련 연구 또한 율무첨가물 및 가공품의 특성과 같은 조리과학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상기의 다양한 효능과 영양에도 불구하고 율무는 조리를 위해 장시간 물속에서 불려야 하는 불편함과, 취사 후에도 단단한 조직감을 가지는 등 그 조리 또는 가공시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식물의 발아란 싹이 트게 하는 것으로, 발아 시에는 새싹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종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영양물질을 분해할 각종 효소가 증대되고, 전에 없던 새로운 영양분이 생성된다. 새싹은 일반적으로 발아한지 일주일 정도 된 어린 떡잎 상태를 말하며, 이 때 각종 아미노산, 효소, 비타민, 무기질을 비롯한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또한 발아과정 중 지방 및 칼로리가 낮아지며 외부 공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한다.
이와 같은 식물발아의 다양한 변화로 인해 발아에 의한 식품의 영양적 가치를 증대시키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현미나 검은콩 등과 같은 곡물류에 대한 발아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곡물류와는 달리 율무는 발아과정중 부패될 확률이 매우 높아 발아시키기 가장 어려운 곡물로 알려져 있으며, 율무를 이용한 가공식품은 개발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율무의 효율적인 발아방법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율무 종자에서 발생한 새싹의 대량 생산 및 보급화를 목적으로 새싹율무의 발아조건, 간이 생산을 위한 상자 배수, 차광, 수확 시간을 절감하며 곰팡이 독소를 경감할 수 있는 부자재와 생산에 관한 종합기술을 개발한 결과, 상자재배기술을 이용한 새싹율무 재배방법에 있어서, 새싹율무의 생산조건 및 재배용기의 조건을 최적화하여 율무의 발아율 및 수확량을 향상시키면서도 곰팡이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160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재배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새싹율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상자를 이용하여 새싹율무를 재배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새싹율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펀지를 포함하고, 바닥에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덮개를 구비하여 밀봉 가능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에 율무 종자를 파종하여, 재배온도 22 내지 35℃, 습도는 90 내지 99.9%의 조건에서 3 내지 10일 동안 광을 조사하며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배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새싹율무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광투과가 가능한 투명 상자; 상기 상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자를 밀봉할 수 있는 덮개; 상기 상자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멍; 및 상기 상자 내 바닥 상부에 구비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자를 이용하여 새싹율무를 재배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새싹율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 재배방법을 이용할 경우, 수확시간 절감 및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곰팡이 독소가 경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활성 및 기능성 성분 함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재배방법은 대량생산 시설에서 동일한 방법을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상자 규격 역시 덮개, 배수구유지, 상자내부 스펀지 설치시 크기에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광조건 및 암조건에 따른 새싹율무의 생육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생육일수별 생육 변화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이용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상자내 바닥에 설치할 스펀지 및 스펀지가 설치된 상자에서 재배된 새싹율무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용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바닥에 설치된 배수구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이용한 바닥에 스펀지가 설치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로부터 새싹율무의 수확 과정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재배된 새싹율무의 생육일수에 따른 지상부 및 지하부의 건조중량 대비 추출물 수율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재배된 새싹율무의 생육일수에 따른 유리당에 대한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A) 표준물질(과당, 포도당, 자당 및 말토오스), B) 3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C) 5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7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및 E) 9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재배된 새싹율무의 생육일수에 따른 지상부 및 지하부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재배된 새싹율무의 생육일수에 따른 항산화 활성(DPPH 라디칼 저해 활성 및 ABTS 라디칼 저해 활성, IC50 mg/m)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재배된 새싹율무의 생육일수에 따른 코익솔에 대한 HPLC 크로마토그램이다: A) 표준물질(코익솔), B) 3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C) 5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7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및 E) 9일간 재배한 새싹율무.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본 발명은 스펀지를 포함하고, 바닥에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덮개를 구비하여 밀봉 가능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에 율무 종자를 파종하여, 재배온도 22 내지 35℃, 습도는 90 내지 99.9%의 조건에서 3 내지 10일 동안 광을 조사하며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0.5 내지 2 cm 두께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cm 두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펀지는 상자 내부의 습도 유지에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은 자연광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 조사는 주간(낮 시간)에는 광상태이고, 야간(밤 시간)에는 암상태로 자연적으로 광처리 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배온도는 23 내지 28℃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새싹율무의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율무 종자의 발아 온도는 23 내지 32℃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2℃인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온도범위에서 새싹율무의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도는 97 내지 99%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습도범위에서 새싹율무의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습도가 90% 미만일 경우에는 율무에서 발아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새싹율무의 재배기간은 파종 후 3 내지 9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은, 새싹율무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고, 율무 종자의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새싹율무의 곰팡이 독소 발생을 경감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곰팡이 독소는 허용기준치가 설정되어 있는 독소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푸모니신, 데옥시니발레놀 및 제랄레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은, 새싹율무의 최적 재배조건 및 재배상자의 부자재 구성이 모두 결합되어, 새싹율무에 포함되는 항산화물질의 함량 증가, 발아율, 수확시간 및 곰팡이 발생률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의 차별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한 점에 특징이 있다(실험예 1 내지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새싹율무의 재배방법은 대량생산 시설에서 동일한 방법을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상자 규격 역시 덮개, 배수구유지, 상자내부 스펀지 설치시 크기에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새싹율무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재배방법을 이용하여 생산된 새싹율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새싹율무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산화 활성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여 발휘되는 것일 수 있다.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나아가, 본 발명은 광투과가 가능한 투명 상자;
상기 상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자를 밀봉할 수 있는 덮개;
상기 상자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멍; 및
상기 상자 내 바닥 상부에 구비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0.5 내지 2 cm 두께인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cm 두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는 대량생산 시설에서 동일한 방법을 확대 적용이 가능하며, 상자 규격 역시 덮개, 배수구유지, 상자내부 스펀지 설치시 크기에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 상자는 투명 아크릴 상자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의 사전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과일 바구니, 수도용 육묘 상자 및 삽목용 바구니 대비 상기 투명 아크릴 상자가 새싹율무 재배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새싹율무를 재배하는 시스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자를 이용하여 새싹율무를 재배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새싹율무를 재배하는 시스템에는 온도, 습도 및 광 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새싹율무 재배를 위한 상기 상자 내부의 온도가 22 내지 35℃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23 내지 28℃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온도로 제어될 때 새싹율무의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율무 종자의 발아 온도는 23 내지 32℃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2℃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온도범위에서 새싹율무의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자 내부의 습도가 90 내지 99.9%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습도가 90% 미만일 경우에는 율무에서 발아가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97 내지 99%로 제어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습도범위에서 새싹율무의 발아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항산화용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새싹율무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항산화용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새싹율무는 바람직하게는, 파종 후 3 내지 9일 동안 재배된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일 동안 재배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생육기간보다 짧거나 길게 재배하여 수확된 새싹율무의 생산량, 유리당 함량, 항산화물질함량, 항산화활성 및 지표성분함량이 저하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일 동안 재배된 것일 수 있고, 상기 기간 동안 재배후 수확될 때 새싹율무의 생산량, 유리당 함량, 항산화물질함량, 항산화활성 및 지표성분함량이 가장 최적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항산화 활성은 상기 새싹율무에 함유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해 발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기호식품, 건강보조식품, 건강기능식품, 건강식품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천연식품, 가공식품, 환자식품, 일반적인 식자재 등에 본 발명의 새싹율무 또는 이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추출 대상 원료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적절한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액으로 수득하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용매 추출, 수증기 증류, 압착, 유지흡수,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 또는 수증기 증류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항산화제의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새싹율무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새싹율무 또는 이의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품보조첨가제"란 식품에 보조적으로 첨가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각 제형의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을 제조하는데 첨가되는 것으로서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품보조첨가제의 예로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충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이 포함되지만, 상기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식품보조첨가제의 종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새싹율무가 첨가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식품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새싹율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당업자의 선택에 따라 건강기능식품에 함유될 수 있는 적절한 기타 보조 성분과 공지의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새싹율무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한 즙, 차, 젤리 및 주스 등에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상자재배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
본 발명에서 율무 종자는 새싹율무 품질 균일화를 위하여 기존 개발된 품종명 “조현율무”(경기도농업기술원)를 사용하였다. 새싹율무 생산에 이용한 율무 종자의 종자길이는 7~14mm, 폭은 5~9mm이며 천립중은 100~120g이고 종자 생산량은 300~400kg/10a이다.
먼저, 새싹율무 생산용 율무 종자는 상온에서 24시간 침종하였다. 그 후 새싹생산용 파종상자(규격: 34×25×17㎝, 재질: 투명 아크릴, 상자바닥: 배수구 형성, 상자내부 바닥: 1cm 두께의 공중 습도 유지용 흡습용 스펀지 설치)를 이용하여, 상자 바닥에 상기 율무 종자를 종자량 200~400g(율무 1,000립이 약 100g)으로 파종한 후 상자 상단부 덮개를 밀폐하였다. 파종후 1일 2회, 상자당 200ml로 2회 관수하였으며, 관수 시간 외에는 상자를 상단부 덮개로 밀폐하여, 상자 내부 상대습도가 98.5%가 유지되도록 하였고, 재배온도 25℃로 광조건 하에서 새싹율무를 재배하였다. 상기 광조건은 자연광(주간: 광상태, 야간: 암상태)으로서, 광도 80±10 μmol·m-2·s-1 조건으로 광처리한 것이다.
율무종자에서 발생한 뿌리는 파종상자 내에 설치한 흡습용 스폰지 속으로 뻗어 들어가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새싹율무 1회 재배기간은 파종 후 7~9일 경이다. 수확은 율무종자에서 본엽이 전개되는 시점에 하였고, 상자내에 설치한 스폰지를 상자 외부로 옮긴 후 새싹부위를 가위로 절단하는 방법으로 수확하였다.
채취한 새싹은 세척한 후 -80℃에서 24 시간 동결 건조하여 분쇄한 것을 4℃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환경조건에 따른 새싹율무의 생육 비교
새싹율무 상자재배를 실시하는데 있어, 환경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실시예 1의 재배방법으로 새싹율무를 파종 및 재배하되, 재배 조건가운데 광, 온도, 수분, 수확시기, 종자침종시간 조건을 각각 달리하여 새싹율무의 생육 및 활성성분 함량을 분석하여 최적 조건을 확인하였다.
1-1. 광 조건에 따른 생육비교
먼저, 차광 여부 조건에 따른 새싹율무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광조건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광처리하였고, 암조건은 인위적으로 재배 전 기간에 빛을 차단하여 암처리하여, 새싹율무를 재배하였다.
광조건 및 암조건에 따른 새싹율무의 발아율 등 생육특성을 비교하여,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광 및 암 조건에 따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은 Folin and Denis (1912)의 방법을 변형시켜 실시하였다. 각 시료용액 0.2 ㎖에 증류수 0.8 ㎖와 Folin-Ciocalteau's phenol reagent 0.1 ㎖를 가하여 실온에서 3분간 반응시켰다. 여기에 포화 Na2CO3 용액 0.2 ㎖과 증류수 1.8 ㎖를 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1 시간 반응시킨 후 725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인 catechin을 이용하여 농도별 표준 곡선을 작성한 후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avis (1947)의 방법을 변형시켜 실시하였다. 에탄올 추출물 0.2 ㎖에 1N NaOH 0.2 ㎖와 diethylene glycol 2 ㎖를 첨가하여 37℃ 항온수조에서 1 시간 반응시킨 후 42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는 naringin을 이용하였으며 표준곡선을 작성한 후 각 시료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구분 발아율
(%)
생육 7일차 생육 9일차 새싹수량
(g/상자)
외형특성
(새싹 색깔)
초장
(㎝)

(g/상자)
뿌리
(g/상자)
초장
(㎝)

(g/상자)
뿌리
(g/상자)
광 조건 86.5 8.9 192.0 132.5 11.4 4.5 4.5 196.5 녹색
암 조건 84.0 10.2 248.0 8.0 - - - 248.0 황색
Antioxidant component (%)
광 조건 암 조건
총 폴리페놀 함량
(Total Polyphenol)
18.54 15.59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Total Flavonoid)
2.54 1.87
그 결과, 광 조건에서는 파종후 수확시기 설정시점인 7일에서 9일 까지 생육이 불균일하였고, 암 조건에서 파종후 7일경 본엽 전개 시점에 도달하고 수량은 많았으나, 암 조건에서 상자재배한 경우보다 광 조건에서 재배한 경우에 새싹율무의 발아율이 우수하였고, 외관이 녹색을 유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총 함량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2. 온도 조건에 따른 생육 비교
새싹율무 발아 온도를 15 내지 35℃로 다르게 처리하였을 경우에 발아온도별 새싹율무 발아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발아온도
15℃ 20℃ 25℃ 30℃ 35℃
발아율(%) 1.5 28.3 81.0 86.3 73.0
발아소요일수 4 4 4 4 4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율무 종자의 최적발아온도는 30℃인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 때의 발아율은 86.3%로 나타났다.
1-3. 수분조건에 따른 생육 비교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생육상자)의 덮개 설치 유무에 의한 생육상자 내 수분조건에 따른 새싹율무의 생육을 비교하기 위하여, 광조건 및 25℃의 재배온도 범위에서 생육상자내 상대습도별 생육을 비교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대 습도 발아율
(%)
싹 길이
(cm)
싹 무게
(g/상자)
뿌리무게
(g/상자)
생육환경
온도 습도
유지
(상자덮개 밀봉)
86.5 13.7 198 243 25℃ 98.5%
관행
(상자덮개 개방)
0 0 0 0 25℃ 46.8%
그 결과, 상자 덮개를 개방(관행)하여 상대습도가 46.8%로 유지된 경우, 율무종자가 발아되지 않았고, 상자 덮개를 밀봉(유지)하여 98.5%의 상대습도를 유지한 경우에 86.5%의 우수한 발아율을 나타냄에 따라, 상자덮개를 밀봉(유지)하여 발아시키는 것이 새싹율무 생육에 적합한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1-4.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 비교
새싹율무(율무순)의 적정 수확시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육일수 3, 5, 7 및 9일에 따른 새싹율무의 길이(mm/개) 및 생체중(mg/개)을 확인하여 하기 표 5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새싹율무의 생육특성은 재배 후 3 일에서 9 일까지 2 일 간격으로 시행되었으며 새싹의 총 길이 및 생체중, 엽초와 엽신의 길이를 3 개체씩 3 반복으로 측정하였다.
생육일수 길이(㎜/개) 생체중(mg/개)
3일 21.62±1.6 224.5±40.38
5일 70.48±4.5 412.04±48.43
7일 122.21±7.8 460.23±58.70
9일 165.46±9.0 498.01±64.73
총 10개체(반복)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3 내지 9일차의 생육을 비교한 결과 파종 후 1 - 2일차에 새싹이 출아되었으며 5일차 까지는 길이 생장과 부피생장이 비교적 빠르게 진행이되었고, 길이 생장의 속도는 5일을 기점으로, 부피 생장의 속도는 7일을 기점으로 완만해졌다. 또한, 7일차를 기점을 본엽이 전개되기 시작하였다.
1-5. 종자 침종시간별 생육 비교
율무 종자를 파종하기 전 침종하는 시간에 따른 발아율 및 생육 특성을 확인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흡수율
(%)
발아율
(%)
초장
(cm)

(g/상자)
뿌리
(g/상자)
비고
24시간 136 85.8 12.7 324.9 359.5 스폰지 설치
48시간 138 83.7 12.6 256.0 352.0 스폰지 설치
72시간 138 86.0 13.2 292.6 310.0 스폰지 설치
무침종 0 87.0 6.5 121.5 277.5 스폰지 설치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침종시간에 따른 발아율은 무침종한 경우 대비 및 침종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싹과 뿌리의 생육은 무침종 대비 24~72시간 침종한 경우 더 우수하였고, 특히, 24시간 침종한 경우에 새싹율무 생육이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상자규격 및 부자재 조건에 따른 새싹율무의 생육 비교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의 규격 및 스펀지, 배수구 등 부자재 설치 여부에 따른 새싹 율무의 생육을 비교하였다. 이때, 환경조건은 실험예 1에서 확인된 최적 재배조건을 이용하여,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재배하였다.
2-1. 상자내 바닥 스펀지 설치에 따른 생육 비교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내에 스펀지(두께 1cm)를 설치한 경우, 설치하지 않은 경우 및 스펀지 대신 동일 두께의 모래복토를 설치한 경우에 따른 새싹율무의 발아율, 수확량 및 수확 특이사항을 분석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발아율
(%)
초장
(cm)

(g/상자)
특이점
상자 19.5 12.5 71.5 발아율 낮음
상자 + 부직포 8.9 13.5 28.0 발아율 낮음
상자 + 모래 복토 86.1 14.3 198.5 수확 어려움
상자 + 스펀지 89.2 11.9 240.5 수확 용이(네트형성)
그 결과, 상자내부 바닥에 1cm 두께의 스펀지 설치가 수확물 수량 및 발아율이 가장 높았고, 율무순 수확시간이 양호하였으며, 네트를 형성하여 수확이 용이함을 확인하였다. 스펀지 설치를 생략하거나, 부직포 또는 모래 복토를 대신 설치한 경우에는 발아율이 낮거나 수확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스펀지를 설치하는 것이 새싹율무 재배에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자 내 수분 유지용 스펀지 첨가시 수확노력시간은 하기 표 8과 같으며, 실시예 1에 기재된 수확 과정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수확방법 수확시간(상자)
네트에서 새싹절단 수확 2분 12초
네트에서 새싹분리 후 개체별 수확 41분 38초
2-2. 상자바닥 배수구 설치 유무에 따른 생육 및 곰팡이 발생 정도 비교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바닥에 배수구 설치 유무에 따른 새싹율무 수확물 수량(g) 및 곰팡이 발생여부를 비교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배수구는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닥에 배수구멍을 뚫어 설치하였다.
배수구 발아율
(%)
초장
(cm)

(g/상자)
뿌리
(g/상자)
곰팡이
발생
87.4 9.7 185.5 259.5 기준치 이하
59.1 8.5 184.5 263.3 기준치 초과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수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곰팡이가 기준치 초과 수준으로 발생한 반면, 배수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기준치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아율 역시 배수구를 설치한 경우에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2-3. 곰팡이 독소 검정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내부에 스펀지 및 바닥에 배수구를 설치하고, 율무종자를 200g/상자의 파종량으로 파종하여, 새싹율무를 재배한 후, 수확된 율무의 새싹 및 종자에 대하여 곰팡이 독소를 검정하였다. 독소검정은 식품 중 허용기준치가 설정되어 있는 독소(푸모니신, 데옥시니발레놀, 제랄레논)를 대상으로 ELIZA로 독소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독소명 200g/상자
총 푸모니신 (Total Fumonisins) ○ 새싹 : 불검출
○ 종자: 1.29ppm
제랄레논 (Zearalenone) ○ 새싹 : 40.07ppb
○ 종자: 29.62ppb
데옥시니발레놀 (Deoxynivalenol) ○ 새싹 : 0.49ppm
○ 종자: 1.13ppm
파종량 : 200g/상자
Figure 112019129180768-pat00001
Figure 112019129180768-pat00002
Figure 112019129180768-pat00003
그 결과, 제랄레논의 경우, 율무의 새싹과 종자에서 모두 검출되었으나, 허용 기준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고, 푸모니신의 경우 새싹율무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반면, 종자에서는 검출되었다. 데옥시니발레놀의 경우, 종자에서 허용기준치 초과되는 양이 검출된 반면, 새싹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생산된 새싹율무는 곰팡이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새싹율무의 생육일수에 따른 기능성 평가
상기 실험예 1 및 2를 통해 최적화된 재배방법(실시예 1)을 이용하여 새싹율무를 재배하였고, 생육일수 기간에 따른 생리활성과 지표성분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파종후 3일, 5일, 7일, 9일 발아된 새싹율무을 채취하여 하기와 같이 특성을 비교하였다.
3-1. 새싹율무 생육일수별 건조중량 대비 추출물 수율
식품원료 소재로 이용 시 수율은 생산단가와 밀접한 영향이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새싹율무의 건조중량 대비 추출물 수율(yield)을 비교한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상부의 경우 생육 전 기간 (3일차-9일차) 동안 약 50%로 정적인 수율을 보였고, 지하부는 7일차 이후 20% 정도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3-2. 새싹율무 일반성분 함량 분석
새싹율무 건조중량 대비 일반성분 함량(%, dry matter basis)을 분석하여, 새싹보리와 비교하였다.
구분 수분
(Moisture)
조단백질
(Crude Protein)
조지방
(Crude Fat)
조회분
(Crude Ash)
탄수화물
(Carbohydrate1))
율무순(건) 7.78±0.17 28.17±0.26 17.16±0.20 5.78±0.33 40.51±0.22
보리순(건) 4.40 26.60 4.80 5.70 58.50
1)100 - (Moisture + Crude protein + Crude fat + Crude ash). 보리 : 농촌진흥청 식품성분표 DB (2017)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새싹율무(율무순)이 새싹보리(보리순) 대비 일반성분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보리순 보다 Crude Fat 함량 3.5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3-3. 새싹율무 생육일수별 추출물의 당 함량 분석
새싹율무의 생육일수에 따른 유리당 함량 측정은 건조시료 0.5 g에 증류수 25 ㎖를 가하고 30 분간 초음파 추출한 다음 3,000 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하여 50 ㎖을 획득하였다. 이 후 50 ㎖의 추출물을 0.45㎛ syringe filter (Millipore, Bedford, MA, USA)로 여과시킨 시료를 HPLC systems (Alliance 2695 , Waters, Milford, MA, USA)으로 분석하였다. 컬럼은 Shodex NH2P-50 (4.6 ㎜ × 150 ㎜, Showa Denko, Tokyo, Japan), 검출기는 ELSD (Waters 2420 ELSD, Waters, Milford, MA, USA)를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75% acetonitrile, 유속은 1.5 ㎖/min, 시료주입량은 10 ㎕이었다. 표준물질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 및 maltose (Sigma, St Louis, MO, USA)를 사용하였다.
생육기간에 따른 새싹율무의 유리당 함량(Free sugar contents, %) 변화는 표 12 및 도 7과 같다.
생육일수
(days)
유리당(Free sugar contents, %)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 Total
3 1.78±0.03b 0.18±0.01b 0.03±0.01a 0.03±0.01b 2.02b
5 2.72±0.04a 0.24±0.00b 0.02±0.00b 0.04±0.01a 3.02a
7 2.33±0.01ab 0.39±0.01a 0.03±0.00a 0.04±0.01a 2.79a
9 2.11±0.03ab 0.26±0.00b 0.03±0.00a 0.04±0.01a 2.44ab
새싹율무의 총 유리당 함량은 2.02 - 3.02%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5일차 새싹이 3.02%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발아 후 5일차까지 총 유리당 함량이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Glucose와 fructose의 함량은 각각 5일차 (2.72 ± 0.04%)와 7일차(0.39 ± 0.01%) 에서 가장 높았으며 sucrose, maltose의 함량은 발아일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유리당은 식품의 향기와 감미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식품소재 개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또한 새싹은 짧은 생육기간 동안 종자에서 출현하는 어린 잎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확물의 생산량이 고려되어야 한다(실험예 1-4).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새싹율무의 최적 재배 기간은 5 일 전후로 판단되었다.
3-3. 새싹율무 생육일수별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상기 실험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새싹율무 지상부 및 지하부 각각에 대해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지상부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생육일수
(days)
총 폴리페놀
(㎎/g, dry weight)
총 플라보노이드
(㎎/g, dry weight)
3 2.71±0.02a 0.55±0.02ab
5 2.29±0.03b 0.47±0.01b
7 1.94±0.03c 0.60±0.02a
9 1.95±0.02bc 0.48±0.02b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의 경우 지상부가 지하부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8). 새싹율무(지상부)는 발아 후 3 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았고 7일차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전반적으로 생육기시별 항산화 물질의 함량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보다 4 배에서 5 배 정도 높았다. 특히 발아 후 3일차에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2.71 ± 0.02 ㎎/g 으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 후 7일차에서 0.60 ± 0.02 ㎎/g 으로 가장 높았다. 새싹 율무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아 후 3일차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7일차까지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따라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기능성 성분의 함량 변이를 고려한다면 새싹율무의 최적 재배일수는 3 - 5일이 적당하다고 판단되었다.
3-4. 새싹율무 생육일수별 항산화 활성 비교
추출물의 2,2-Diphenyl-1-picryl hydrazyl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은 Jothy 등(201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0.2 mM DPPH 용액 40 ㎕에 시료 160 ㎕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30분 방치하여 517 ㎚에서 흡광도 감소치를 측정하였다. 시료 추출물의 농도를 3구간으로 희석하여 흡광도를 측정한 후 EDA 값을 50% 감소시키는 IC50(Inhibition concentration)을 각 시료의 농도로 표현하였다. 모든 실험은 3 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EDA % = {(ODcontrol - ODsample)/ODcontrol} × 100
* ODsample : 추출물을 넣었을 때의 흡광도 값
* ODcontrol : 추출물대신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했을 때의 흡광도 값
또한,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ate)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Re 등 (1999)의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7 mM ABTS 용액과 2.45 mM potassium persulpate을 1 : 1로 혼합하여 30℃인 암실에서 12시간 이상 방치한 후 5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4)를 이용하여 734 ㎚에서 흡광도 값이 0.7∼0.8이 되도록 희석하였다. 희석된 용액 180 ㎕에 시료 20 ㎕을 가하여 5분 방치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시험군과 대조군의 간의 흡광도비 (%)로 나타내었다. 대조구는 ascorbic acid를 사용하였고 DPPH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동일한 식을 이용하여 ABTS 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과 IC50 을 산출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DPPH 라디컬 소거능 (IC50 값 기준)은 3일차 새싹에서 453.93 ㎍/㎖ 으로 가장 강했으며 9일차는 680.07 ㎍/㎖ 으로 가장 약했다. 3일차를 기준으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활성이 점점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TS 라디컬 소거능(IC50 값 기준) 또한 3일차에서 129.00 ㎍/㎖으로 가장 강했으며 9일차는 339.10 ㎍/㎖ 으로 가장 약하게 확인되어 DPPH 라디컬 소거능과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3-5. 새싹율무 생육일수별 추출물의 코익솔(coixol) 함량 분석
코익솔(coixol)은 율무의 지표성분으로 항염작용, 생성된 과산화물을 제거하는 항산화작용, 배란유발작용, 항알러지 작용, 항히스타민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율무의 지표성분인 coixol의 함량 측정은 Zhang 등 (2010)의 방법을 변형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율무의 coixol은 주로 뿌리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지상부와 지하부를 따로 분리하여 상대 비교하였다.
건조 새싹율무 20 ㎎에 MeOH 1 ㎖을 가하여 1 시간 동안 ultrasonicator (Kodo Technical Research Co., Ltd., Hwaseong, Korea)에서 추출한 후 다시 30 초 동안 vortexing 하였다. 이 후 60℃에서 1 시간 동안 추출한 후 12,000 rpm에서 15 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모았다. 위의 방법을 2 회 반복하여 얻어진 추출물 1 ㎖ 을 0.2 ㎛ syringe filter (Nalgene, Rochester, NY, USA)로 여과하여 분석시료로 사용하였다. 정량분석을 위하여 coixol 표준품 (Sigma Aldrich, Steinheim, Germany)을 13, 25, 50, 100, 200, 400 ppm의 농도로 분석하여 y = 20.638x - 26.714 (R² = 0.99)의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Coixol의 정량분석은 Agilent 1100 Series HPLC (Agilent Technologies, Palo Alto, CA, USA)를 이용하였으며 분석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실험에 사용된 컬럼은 YMC ODS-AM (4.6 ㎚× 250 ㎚, 5 ㎛, YMC Co. Ltd., Kyoto, Japan)이며 측정온도는 25℃, 유속은 1.0 ㎖/min, UV 검출기는 290 ㎚ 파장으로 설정하였다. 이동상으로는 acetonitrile과 0.1% phosphoric acid (25 : 75, v/v)를 사용하였고 기울기 용리조건 (gradient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생육일수에 따른 새싹율무의 코익솔(coixol) 함량 결과는 도 10 및 표 14와 같다.
생육일수
(days)
코익솔 (㎎/g, dry weight)
지상부(Aerial parts) 지하부(Underground parts)
3 59.70±0.01a 0.78±0.01b
5 27.29±0.08bc 1.67±0.04a
7 34.00±0.01b 1.87±0.01a
9 17.76±0.05c 1.25±0.01ab
생육이 진전 될수록 지상부의 coixol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고 가장 높은 3일차 (59.70 ± 0.01 ㎎/g)와 가장 낮은 9일차 (17.76 ± 0.05 ㎎/g) 간 함량은 약 3 배 이상 차이가 났다. 지하부에 존재하는 coixol의 함량은 지상부와는 달리 생육이 진전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9일차에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coixol은 주로 율무의 뿌리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결과 3일차 새싹 (59.70 ± 0.01 ㎎/g)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뿌리의 경우 7일차(1.87 ± 0.01 ㎎/g) 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3일차 새싹의 1/30 수준으로 존재하였다(표 14). 새싹율무의 3일차 지상부의 Coixol 함량은 5.96mg/g으로 기존에 보고된 Scoparia dulcis(질경이과)의 0.26mg/g 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새싹율무의 생산량, 유리당 함량, 항산화물질함량, 항산화활성 및 지표성분함량 등을 고려할 때 최적 재배일수는 3 내지 5일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0.5 내지 2 cm 두께의 스펀지를 포함하고, 바닥에 배수 구멍이 형성되고, 덮개를 구비하여 밀봉 가능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에 율무 종자를 파종하여, 재배온도 23 내지 28℃, 습도는 97 내지 99%의 조건에서 3 내지 5일 동안 광을 조사하며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율무 종자는 파종하기 이전에 24시간 동안 침종하는 것이고,
    새싹율무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 새싹율무 지상부의 코익솔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 율무 종자의 발아율을 증가시키는 것; 및 푸모니신, 데옥시니발레놀 및 제랄레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곰팡이 독소 발생을 경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은 자연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싹율무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2 내지 2.8 mg/g 및 0.4 내지 0.5mg/g이고, 새싹율무 지상부의 코익솔 함량은 27 내지 60 mg/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광투과가 가능한 투명 상자;
    상기 상자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자를 밀봉할 수 있는 덮개;
    상기 상자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멍; 및
    상기 상자 내 바닥 상부에 구비되는 스펀지;를 포함하는,
    제1항의 재배방법을 이용하여 새싹율무를 재배하기 위한,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는 0.5 내지 2 cm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166938A 2019-12-13 2019-12-13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KR10237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38A KR102379576B1 (ko) 2019-12-13 2019-12-13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938A KR102379576B1 (ko) 2019-12-13 2019-12-13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27A KR20210075627A (ko) 2021-06-23
KR102379576B1 true KR102379576B1 (ko) 2022-03-29

Family

ID=76599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938A KR102379576B1 (ko) 2019-12-13 2019-12-13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69859A (zh) * 2021-07-26 2023-02-03 北京新活明想科技有限公司 一种薏米芽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1513A1 (en) 2000-03-24 2003-03-06 Masumi Okada Method of producing plant seeds
KR101004333B1 (ko) 2010-07-06 2010-12-28 마소영 멀티 재배장치
KR200482741Y1 (ko) * 2014-10-14 2017-02-28 김정현 새싹 재배용 키트
CN107466652A (zh) 2017-09-08 2017-12-15 辽宁药食同源农业发展有限公司 薏苡的栽培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4353A (ko) * 2010-04-13 2011-10-1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폴리페놀 함량이 증진된 연녹색 쓴메밀 새싹의 생산방법
KR101174495B1 (ko) * 2010-04-13 2012-08-22 대한민국 안토시아닌과 비타민 c 함량이 증진된 쓴메밀 새싹의 생산방법
KR20150068625A (ko) * 2013-12-12 2015-06-22 김귀호 밀폐형 자동화 벼 발아 육묘 설비 시스템
KR20160055748A (ko) * 2016-04-29 2016-05-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항산화 또는 혈당 강하 활성 성분 함량이 증가된 새싹보리 차
KR101826269B1 (ko) * 2016-05-25 2018-02-06 주식회사 리본인터내셔널 새싹 재배기
KR101931609B1 (ko) 2017-06-05 2018-12-21 대한민국 율무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3272B1 (ko) * 2018-02-07 2019-09-19 진병진 새싹팩과 이를 이용한 새싹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1513A1 (en) 2000-03-24 2003-03-06 Masumi Okada Method of producing plant seeds
KR101004333B1 (ko) 2010-07-06 2010-12-28 마소영 멀티 재배장치
KR200482741Y1 (ko) * 2014-10-14 2017-02-28 김정현 새싹 재배용 키트
CN107466652A (zh) 2017-09-08 2017-12-15 辽宁药食同源农业发展有限公司 薏苡的栽培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최종보고서 2018.02*
김양선 등, "곰팡이 독소 오염 경감을 위한 옥수수 재배법", 식물병연구 23(3):256-261
장유섭 등, "냉.온수에 의한 온도조절 및 가습식 발아장치 개발",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pp.217-221(20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627A (ko)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ubert et al. South African herbal teas: Aspalathus linearis, Cyclopia spp. and Athrixia phylicoides—A review
González-Molina et al. Genotype and harvest time influence the phytochemical quality of Fino lemon juice (Citrus limon (L.) Burm. F.) for industrial use
KR101174497B1 (ko) 새싹보리 유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28987B1 (ko) 차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fifi et al. Prosopis cineraria as an unconventional legumes, nutrition and health benefits
KR101817055B1 (ko)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KR20080090806A (ko) 천연 산물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개선 효과를 가지는화장료 조성물
Aasim et al. Aquatic plants as human food
KR102379576B1 (ko) 새싹율무 생산용 상자 및 이를 이용한 새싹율무의 재배방법
Paudel et al. Ziziphus spp.(Ziziphus jujuba Mill., Ziziphus mauritiana Lam.)
KR101598395B1 (ko) 어성초, 삼백초 및 여주가 함유된 산야초 김치의 제조방법
García-Cruz et al. Cultivation, quality attributes, postharvest behavior, bioactive compounds, and uses of Stenocereus: A review
Hussain et al. Fig (Ficus Carica)—Morphology, Taxonomy, Composition and Health Benefits
KR101335939B1 (ko) 고들빼기 장아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들빼기 장아찌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Ramphinwa et al. Eco-physiological response of secondary metabolites of teas: Review of quality attributes of herbal tea
Hassani Moghaddam et al. Medicinal properties of pomegranate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umar et al. Stevia Cultivation: Scope of remunerative venture to farmers
Nikolic et al. Assaying the variation in secondary metabolites of St. John’s wort for its better use as an antibiotic
Salikutty et al. Curry leaf
KR102385130B1 (ko) 펙토리나린 함량이 증대되어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곤드레의 제조방법, 이에 따른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곤드레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593227B1 (ko) 메밀 새싹을 이용한 항비만용 다이어트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Saqib et al. Domestication of non-conventional crops to combat human health diseases: a review on crop stevia Rebaudianain view of Pakistan as an example
Dwivedi Vegetal Taste Modifi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