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612B1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8612B1 KR101768612B1 KR1020160135553A KR20160135553A KR101768612B1 KR 101768612 B1 KR101768612 B1 KR 101768612B1 KR 1020160135553 A KR1020160135553 A KR 1020160135553A KR 20160135553 A KR20160135553 A KR 20160135553A KR 101768612 B1 KR101768612 B1 KR 101768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dcp
- green tea
- reed
- liv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3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title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2285 corn 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5000005687 corn oi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DEWLEGDTCGBNGU-UHFFFAOYSA-N 1,3-dichloropropan-2-ol Chemical compound ClCC(O)CCl DEWLEGDTCGBNG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5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6010067125 Liver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1100000234 hepatic damage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18 liver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40051269 1,3-dichloro-2-propanol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569 green t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1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5
- 231100000304 hepatotoxicity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06010019851 Hepatotoxicit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7686 hepatotox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234435 Lili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5
- 102000019197 Superoxide Dismut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1
- 108010012715 Superoxide dismut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1
- 102000016938 Catal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9
- 108010053835 Catal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102100036475 Alanine aminotransfer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3
- 108010082126 Alanine transam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240000003829 Sorghum propinquum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1684 Sorghum sacchar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5228 liver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6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6
- 244000207740 Lemna minor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6439 Lemna min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01855 Portulaca oler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5979 Citrus li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4000131522 Citrus pyriformis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405 ser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786 weight ga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4000068485 Convallaria maj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HLXRWTJXGMHOFN-XJSNKYLASA-N Verbenalin Chemical compound O([C@@H]1OC=C([C@H]2C(=O)C[C@H](C)[C@H]21)C(=O)OC)[C@@H]1O[C@H](CO)[C@@H](O)[C@H](O)[C@H]1O HLXRWTJXGMHOFN-XJSNKYLASA-N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DDRJAANPRJIHGJ-UHFFFAOYSA-N creatinine Chemical compound CN1CC(=O)NC1=N DDRJAANPRJIHG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542 functional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046 Convallaria majal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1000759833 Cornus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06010057190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515 coenzy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584 weight gai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LRFVTYWOQMYALW-UHFFFAOYSA-N 9H-xanthine Chemical compound O=C1NC(=O)NC2=C1NC=N2 LRFVTYWOQMYA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0341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62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1648 Body Weight Chang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2203 Clupea hareng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784 Cymbopogon citr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897 Cymbopogon citrat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DHMQDGOQFOQNFH-UHFFFAOYSA-N Glycine Chemical compound NCC(O)=O DHMQDGOQFOQN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QEZLKZALYSWHR-UHFFFAOYSA-N Ketamine Chemical compound C=1C=CC=C(Cl)C=1C1(NC)CCCCC1=O YQEZLKZALYSWH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PVNIIMVLHYAWGP-UHFFFAOYSA-N Niacin Chemical compound OC(=O)C1=CC=CN=C1 PVNIIMVLHYAW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273256 Phragmites commu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HLXRWTJXGMHOFN-UHFFFAOYSA-N Verbenalin Natural products C12C(C)CC(=O)C2C(C(=O)OC)=COC1OC1OC(CO)C(O)C(O)C1O HLXRWTJXGMHO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76 biochemical tes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579 body weight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425 cirrhosis of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CVSVTCORWBXHQV-UHFFFAOYSA-N creatine Chemical compound NC(=[NH2+])N(C)CC([O-])=O CVSVTCORWBXHQ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109239 creatin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OKCTEFSRHRXRJ-UHFFFAOYSA-I dipotassium trisodium dihydrogen phosphate hydrogen phosphate dichloride Chemical compound P(=O)(O)(O)[O-].[K+].P(=O)(O)([O-])[O-].[Na+].[Na+].[Cl-].[K+].[Cl-].[Na+] LOKCTEFSRHRXRJ-UHFFFAOYSA-I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61 gastrointestin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14 herri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3299 ketam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3 phosphate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35 preserv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50 repro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LWIHDJKSTIGBAC-UHFFFAOYSA-K tripotass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K+].[K+].[K+].[O-]P([O-])([O-])=O LWIHDJKSTIGBA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WBYWAXJHAXSJNI-VOTSOKGWSA-M .beta-Phenylacrylic acid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VOTSOKGWSA-M 0.000 description 1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UHFFFAOYSA-N 13-cis retino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027 Album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8751 Album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DCSYEGIMSA-N Beta-La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DCSYEGIM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164374 Caly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BYWAXJHAXSJNI-SREVYHEPSA-N Cinn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C1=CC=CC=C1 WBYWAXJHAXSJNI-SREVYHEP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560 Citrus x paradis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1573881 Coro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35 Dysmeno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5089 Erythron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495 Erythronium japon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745 Erythronium japo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0891 General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1 Glyc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07 Guar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45744 Hirudi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923 Lam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47 Lens culinaris subsp culin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3158 Lens esculen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472 Leucaena leucocepha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43 Leucaena leucoceph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982 Malva neglec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60 Malva neglec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11 Momordica charan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2512 Momordica charan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SKPPEIDJGJGRGK-UHFFFAOYSA-N Panacen Natural products CCC1=CC=CC2=C1C1OC(C=C=CBr)CC1O2 SKPPEIDJGJGR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6790 Productive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52708 Recessive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05079 Recessive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047339 Salicornia brachystachy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54952 Salvia plebe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771 Salvia plebe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MHLLURERBWHNL-UHFFFAOYSA-M Sod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a+].CC([O-])=O VMHLLURERBWHNL-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BCKXLBQYZLBQEK-KVVVOXFISA-M Sodium ole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BCKXLBQYZLBQEK-KVVVOXFISA-M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205 Tinn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340 Transamin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922 Vigna ra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21 Vigna radiata var radi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469 Vigna radiata var sublob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3220 Xanthine oxid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3894 Xanthine oxid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9 a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HSFWRNGVRCDJHI-UHFFFAOYSA-N alpha-acetylene Natural products C#C HSFWRNGVRCDJH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4606 amino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888 autops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22 bacterio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16 benton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5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NAQSUUGMSOBHW-UHFFFAOYSA-H calcium citr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C(=O)CC(O)(CC([O-])=O)C([O-])=O.[O-]C(=O)CC(O)(CC([O-])=O)C([O-])=O FNAQSUUGMSOBHW-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54 calc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69 central nervous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3 chem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911 cinnamic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85 cinn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82 cirrh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8 compress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08 connectiv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62 cook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624 creat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46 creat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7 crude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249 digestiv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879 dioscor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PXEDJBXQKAGXNJ-QTNFYWBSSA-L disodium L-glutamate Chemical compound [Na+].[Na+].[O-]C(=O)[C@@H](N)CCC([O-])=O PXEDJBXQKAGXNJ-QTNFYWBSSA-L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069 ear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28 e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50 endocri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743 erythr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64 exci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4 fractio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727 gluc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65 guar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17 guar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54 guar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2 hard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217 heart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132 hemopoi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0 hep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4 hepat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3 hepato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65 knee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22 lemona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45 licorice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93 liqu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56 liver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65 lobst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308 mariju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WBYWAXJHAXSJNI-UHFFFAOYSA-N methyl p-hydroxycinnamate Natural products OC(=O)C=CC1=CC=CC=C1 WBYWAXJHAXSJN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62 natural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JPXMTWWFLBLUCD-UHFFFAOYSA-N nitro blue tetrazolium(2+) Chemical compound COC1=CC(C=2C=C(OC)C(=CC=2)[N+]=2N(N=C(N=2)C=2C=CC=CC=2)C=2C=CC(=CC=2)[N+]([O-])=O)=CC=C1[N+]1=NC(C=2C=CC=CC=2)=NN1C1=CC=C([N+]([O-])=O)C=C1 JPXMTWWFLBLUC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464 nitrogen compou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30 nitrogen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957 no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43 one-way ANOV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2 pH adjus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27779 persimmon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2 photodegra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19 plan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7 polyacet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04 poly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60 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09 potass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575 rompu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32 sed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4 se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329 sexual behaviou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299 sexual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8 silica gel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09 skin prote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32 sod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281 sod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XMKPNITSTVMEF-UHFFFAOYSA-M sodium benzoate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 WXMKPNITSTVMEF-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4 sodium benzo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99 sodium benzo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YKJJJTJZKILX-UHFFFAOYSA-M sodium octadecano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CCCCCC([O-])=O RYYKJJJTJZKILX-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794 sputu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02 sput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19 statis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56 steam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85 system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9 thin layer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86 tinnitu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4898 transaminase activity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7 tricalc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22 unsaturated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0 unsaturated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 ursohn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92 vacuum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7 vacuum freeze-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30 xanthan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5 xanthan gu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93 xanthan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2509 xanthan 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5420 xanth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BPICBUSOMSTKRF-UHFFFAOYSA-N xylazi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1NC1=NCCCS1 BPICBUSOMSTKR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600 xylaz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QYEFBJRXKKSABU-UHFFFAOYSA-N xylazine 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1=CC=CC(C)=C1NC1=NCCCS1 QYEFBJRXKKSAB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4 β-la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2—Adding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건강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을 이용하여 제조한 건강차는 간독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간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성 식품용 조성물 및 건강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각종 스트레스, 운동부족 및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한 심장 기능, 간기능 및 위장 기능이 약화되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며 허약한 체질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현실로 인해서 현대인들의 강장 효과, 피로회복 또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각종 건강 보조 식품이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한편, 간은 인체 내 소화기계와 전신순환계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들어온 생체외 물질로부터 전신을 방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일단 생체내로 들어온 생체외 물질이 간을 통과하는 까닭에 간은 영양소 이외에도 많은 독성물질에 노출될 위험이 다른 장기보다 많아 그 만큼 손상될 확률도 다른 장기에 비해 높다. 간은 재생능력이 우수한 장기로 약간의 손상의 경우에는 충분히 정상을 회복된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손상될 경우 간 조직의 일부가 완전히 파괴되면서 파괴된 부분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결합조직이 과다 축적되면서 간 조직에 흉터가 형성되고 간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간 손상이 만성이 되면 그 원인에 상관없이 결국에 간 섬유화 및 간경변 등과 같은 간질환이 초래된다.
최근 한국인의 건강수준에서 간 질환 중, 간암에 의한 사망률은 10만 명당 23.4명으로 세계 1위이고 만성 간질환의 경우도 28.8명으로 3번째로 조사된 바 있고, 최근 통계청에서 우리나라 40대의 경우 인구 10만 명당 56.1명이 간질환으로 가장 높은 사망원인으로 발표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간 손상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 경우 정신적 휴식을 가져야 손상된 간세포가 복구되지만 급박한 현대사회에서 정신적 휴식의 여유를 찾을 수 없어 정신적 스트레스, 과음, 흡연으로 간 손상을 가중시켜 인체가 방어 해독 작용을 하지 못해 면역 체계에 이상을 가져와 다른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간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원인을 해소하기 위해 개인의 건강관리가 중요시 되고 있는 사회 현상 함께 주위에서 손쉽게 간을 보호할 수 있는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새로운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까지 개발된 간보호용 기능성 식품의 경우 실제적인 간 보호 효과가 미비하며 합성화합물과 같은 인체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는 것들이 다수 있어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간 보호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천연 소재를 원료로 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필요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간 보호 효과, 즉 간독성을 감소시키고 간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천연물 소재를 연구하던 중, 얼레지, 함초, 갈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홍삼이 이러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소재를 사용하여 기능성 건강차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얼레지, 함초, 갈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건강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레지, 함초, 갈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부탄올(but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차류,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3-디클로로-2-프로판올에 의한 간손상을 억제 또는 감소하는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및 산수유를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얇게 절단하는 단계; (b) 100~130℃의 온도에서 15~30분간 찌는 단계; (c) 30~35℃의 온도에서 36~4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건조된 재료들을 분쇄시킨 후, 홍삼절편을 첨가하고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건강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건강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을 이용하여 제조한 건강차는 간독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우수하고, 간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간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건강차의 제조방법에 대한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얼레지, 함초, 갈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식품용 조성물의 소재로서, 상기 함초(Salicornia herbacea)는 쌍떡잎식물로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자라며 줄기는 마디가 많고 두드러지며 1-2번 갈라지고 마디위에 움푹 들어간 구멍 속에 2-3 송이의 작은 꽃이 숨어 있다. 화피는 역 원추형 다육질로 퉁퉁하며 꼬치 핀 후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한국, 일본, 중국, 인도 및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의 경우 서해안, 갯벌 해안에서 바닷물을 흡수하고 자라는 1년생 초본으로, 육초이면서도 해수 속의 모든 성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함초는 변비, 아토피, 혈액순화 조절, 숙변제거, 성기능 개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갈대(Phragmites communis)는 벼목 볏과의 외떡잎식물로서, 높이 3m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줄기는 거칠고 크며 길게 가로 뻗고 마디에서 많은 수염뿌리가 나고 황백색이다. 줄기는 길고 크며 원기둥형이고 단단하며 모여나고 곧게 선다.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좁고 길이 50㎝, 나비 4㎝ 내외이며 끝이 점점 뾰족하고 가장 자리가 거칠거칠하며 녹색이다. 엽초는 털이 없으며 설편(舌片)은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꽃은 원추꽃차례로서 대형이며 길이 15~50㎝이고 줄기 끝에 나며 많은 가지가 갈라지고, 다수의 작은 이삭이 약간 밀착하며 처음에 자색이고 후에 자갈색이 된다. 작은 이삭은 꽃이 5개이고 가늘고 길며 끝이 날카롭다. 습지나 갯가,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군락을 이루고 자라며 한국 및 북반구의 온대난대 및 아한대에 분포한다.
얼레지(Erythronium japonicum)는 현화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 여러해살이풀로서, 차전엽산자고(車前葉山慈姑), 가재무릇, 얼러지, 에레지, 얼레기, 비단나물이라고도 불리며 학명은 Erythronium japonicum (Balrer) Decne이다. 고산지대의 볕이 잘 드는 숲속에서 무리지어 자라며, 씨에서 싹이 터 꽃이 피기까지 7년 이상 걸리고 3~5월에 꽃이 피는데, 17~20℃가 되면 꽃잎이 달리고 25℃이상이 되면 꽃잎이 완전히 뒤로 젖혀진다. 비늘줄기는 흰색에 다육질로, 여러 개가 이어져서 땅속에서 옆으로 뻗어가며, 꽃줄기는 비늘줄기 끝에서 곧추 일어서고잎이 1~2장 달린다. 전 세계에 24종 정도가 분포하고 드물게 흰색 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열성 유전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얼레지는 봄에 나온 잎을 뜯어서 삶은 후 그늘에 말려 나물로 먹고 비늘줄기는 약용한다. 위장기능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어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하며, 두통이나 현기증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쌍떡잎식물 박목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서, 아시아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이 1-3m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건을 감아서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자루가 길며,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꽃은 1가화이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라며 황색이다. 꽃받침은 종모양인데, 화관은 깊게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3개이며, 암술대도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박과이며 긴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혹 같은 돌기가 있고 황적색으로 익으며 불규칙하게 갈라져 홍색 육질로 싸인 종자가 나온다. 이러한 여주는 주로 관산용으로 심는다.
곰보배추(Salvia plebeia)는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여지초, 청와초, 마마초, 과동청, 수양이, 설견초, 복지홍근자라고로 불리며 봄동과 비슷하게 생겼 다. 들판이나 논둑, 밭, 강변 등에서 자라며 대도시의 아파트 화단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겨울 내내 살아 있다고 해서 동생초(冬生草), 눈을 보고 자란다 고 해서 설견초(雪見草)라고도 부른다. 곰보배추라는 재미난 이름은 뿌리가 배추뿌리처럼 생긴데다 잎 표면이 올록볼록해서 붙여졌다. 이러한 곰보배추는 정유성분과 사포닌, 불포화지방산, 플라보노이드 등을 함유하고 특유의 비린향이 있다. 씨앗엔 많은 양의 기름이 들어 있으며, 이 기름은 샐러드에 드레싱으로 활용해도 좋고 식용유처럼 불을 쓰는 요리에 써도 좋다. 곰보배추는 기침, 가래, 비염 및 오래된 천식에 효과가 있다. 냉증과 생리통자궁질환 등 부인병에도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으로 학명은 Cornus officinalis S. et Z.이다. 높이는 7m로 연한 갈색인데 수피가 벗겨지며, 잎은 난형타원형 또는 난상피침형으로 마주 난다. 길이 4~12㎝, 너비 2.5~6㎝로 표면은 녹색이며 복모(伏毛)가 약간 있다. 뒷면은 연한 녹색이거나 흰빛이 돈다. 꽃은 황색으로 3~4월에 잎보다 먼저 피는데, 그 모양이 아름다워서 관상수로 많이 재배된다. 열매는 긴 타원형으로 8월에 익는다. 열매에는 코르닌, 베르베날린, 타닌, 우르손, 비타민A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약리작용이 있다. 이러한 산수유는 생식기능의 감퇴로 소변을 자주 보거나, 야뇨두훈(頭暈), 이명과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은근히 통증을 느낄 때 복용하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홍삼(紅蔘)은 수삼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으로, 그 제조과정은 수삼을 물로 깨끗하게 씻고, 일정한 용기에 넣어 가열된 수증기를 이용하여, 크기에 따라 일정시간 찐다(蒸蔘). 증삼된 것은 1차 열풍건조 후부터는 태양열을 이용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수분이 12.5~13.5% 정도 될 때까지 건조하며 잔뿌리(홍미삼)를 따내고 모양을 가다듬어(胴體), 등급별로 선별하여 같은 등급은 개체의 크기와 중량별로 선별하며 템프레타관(罐)에 진공포장한다. 홍삼의 중요 성분으로는 백삼과 같이 배당체(glycosides) 인삼향성분(panacen)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 함질소성분 플라보노이드 비타민(B군) 미량원소 효소 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性行動)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식물 추출물들이 간독성을 억제할 수 있고 간 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들 식물 추출물 단독과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건강차를 대상으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시키는 물질인 1,3-디클로로-2-프로판올로 동물모델에 투여 후, 손상된 간을 회복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간 독성으로 인한 체중변화가 정상이 되도록 회복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혈액을 대상으로 간수치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인 AST 및 ALT와 혈중 요소질소인 BUN, 혈중 크레아틴(Creatinine)을 측정한 결과, 간 독성 유발로 인한 이들 지표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표는 간 손상 시 정상 상태에 비해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들 지표의 수치분석을 통해 간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이들 수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의 경우 간손상을 개선,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물질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활성산소저해효소(SOD) 및 카탈라아제(catalase)의 수치를 측정하였는데, 여기서 활성산소저해효소(SOD)는 항산화 작용을 가진 효소로서 노화방지나 암과 같은 유전자 변이에 의한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지며, 간 손상에 의한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작용을 한다.
또한, 카탈라아제 역시 항산화 작용을 가지며 우리 몸속의 간뿐만 아니라 적혈구 신장에 존재하며, 세균을 소독하는 작용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기 식물들은 활성산소저해효소(SOD) 및 카탈라아제(catalase)의 활성을 촉진 및 활성화 시킬 수 있어 간 기능 개선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의 잎, 꽃, 줄기,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상기한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조성물에 10 내지 100000ppm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는데, 이러한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통상의 식품 조성물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향미제는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성분 이외에 추가로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거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식품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정제, 캡슐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또는 점적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 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제화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차류,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 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화학약품과 같은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간 기능 개선, 간 독성 억제 효과를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간기능 개선 또는 간독성 억제 또는 간질환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슘,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 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 캅셀제는 상기 추출물을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 혼합한 혼합물을 젤라틴과 같은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 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제피제로 제피할 수 있으며, 또는 전분, 탈크와 같은 물질로 표면을 코팅할 수도 있다.
과립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홍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기존에 공지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을 이용한 간기능 개선효과를 갖는 건강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차의 제조방법은, (a)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및 산수유를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얇게 절단하는 단계; (b) 100~130℃의 온도에서 15~30분간 찌는 단계; (c) 30~35℃의 온도에서 36~4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건조된 재료들을 분쇄시킨 후, 홍삼추출액 분말을 첨가하고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간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건강차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을 이용하여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건강차를 제조하였는데, 각 재료의 배합비 및 제조공정은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성분 | 배합비 (중량%) |
함초 | 23 |
갈대 | 23 |
얼레지 | 23 |
여주 | 10 |
곰보배추 | 9 |
산수유 | 9 |
홍삼절편 | 3 |
계 | 100.0 |
상기 표 1은 본 발명의 건강차 제조를 위한 각 재료의 배합비를 나타낸 것으로, 혼합 덖음차 제조는 함초, 갈대, 얼레지와 기능성강화 소재인 곰보배추, 산수유, 여주를 사용하였다. 이들 재료는 일반 시중에서 구입한 후, 동결건조하고, 각 원료를 특성별로 잘게 절단하고 무게를 달아 상기 비율과 같이 혼합한 다음, 하기의 덖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때 하기 제조공정에서 첨가한 홍삼절편은 진안홍삼연구소에서 제공받은 것을 사용하였으며, 홍삼을 원료로 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된 절편을 사용하였다.
건강차 제조공정
본 발명에 따른 건강차의 제조공정은 도 1에 모식도로 나타내었는데,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 함초, 갈대, 얼레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를 세척한 후, 수분을 제거하고 얇게 절단하는 단계; (2) 증자기에 넣어 121℃의 온도에서 20분간 찌는 단계; (c) 통풍이 잘 되는 실내에서 35~40℃ 정도로 식힌 다음 건조기에 넣어 30~35℃의 온도에서 36~4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 및 (d) 건조된 각 재료들을 입자가 다소 거칠게 되도록 분쇄시킨 후, 홍삼절편을 첨가하고 차덖음기를 이용하여 130~100℃에서 10~15분 동안 덖음 처리하고 식힌 다음 용기에 담아 포장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간독성 개선 효능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에서 간 기능 개선을 위한 기능성 차 제조를 위해 사용한 각각의 약초 제조한 건강차에 대해 간독성 개선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1>
실험 동물
및 사육 조건
본 시험의 실험동물은 평균체중 269.5±16.54 g, 7주령의 Sprague-Dowley계 수컷 흰쥐를 구입한 뒤 1주일의 순화 기간을 거쳐 건강한 개체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사육환경은 온도 23±2 ℃, 습도 55±10%, 조도 200~300 Lux 및 조명시간 12시간(점등: 06:00, 소등: 18:00)으로 실험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사료와 물은 자유롭게 섭취 가능하도록 충분한 양을 제한 없이 공급하였다.
<1-2> 시험물질 투여
실험동물은 간에 독성을 유발시키는 물질인 1,3-Dichloro-2-propanol (1,3-DCP Sigma-Aldrich Co., MO, USA)을 단독투여한 군 및 상기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대해 함초, 얼레지 및 갈대 추출물과 실시예에서 제조한 기능성 차 추출물을 각각 식이의 2%와 5%로 투여(함초2%, 함초5%, 얼레지2%, 얼레지5%, 갈대2%, 갈대5%, 차 시제품2%, 차 시제품5%)한 후 각 실험군에 대해 하기 실험 방법을 적용하여 각 약초 및 제조한 건강차의 간 독성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때 각 시료 추출물은 실험동물의 식이 2%와 5%의 용량을 계산하여, 개체 별 체중을 기준으로 계산된 투여액량(10 ml/kg)에 따라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1-3> 시험물질 투여에 따른 일반 증상 관찰 및 체중 측정
시험 기간 중 1일 1회 일정한 시간에 모든 동물에 대해 외관상의 이상 및 임상증상, 사망의 유무를 관찰하였다. 체중은 시험물질의 투여가 종료된 7일째에 측정하였으며 부검 직전 다시 한 번 측정하여 그 차이로 1,3-DCP 투여로 인한 급성간독성 유발 전후의 증체량을 계산하였다.
<1-4> 혈청생화학적 검사
1,3-DCP의 피하투여가 종료된 24시간 후에 ketamine (Ketamine HCl; Yuhan Co., Korea, 40 mg/kg)과 xylazine (Rompun; Bayer Korea, Korea, 10 mg/kg)을 합제하여 복강투여로 대상 동물을 마취시킨 후 개복하여 후대정맥에서 채혈하였다. 채혈된 혈액은 혈청분리관에 넣은 후 30분간 상온에 방치한 뒤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였다. 혈청생화학검사는 아스파라진산 아미노전이효소(aspara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BUN 및 creatinine의 농도를 생화학 자동분석장치(Drichem 4000i; Fujifilm C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5> 장기중량 측정
채혈이 끝난 각각의 실험동물은 복대동맥과 후대정맥을 절단하여 방혈치사 시킨 뒤 간 및 좌우 신장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상대중량을 계산하였다.
<1-6> 간의 산화관련 효소활성도 측정
각 실험군으로부터 간 조직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였고, 간 조직의 일부는 superoxide dismutase (SOD) 및 catalase의 활성 측정을 위해 phosphate buffered saline(PBS)로 세척한 뒤, 영하 80℃의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효소활성도 측정을 위하여 보관해둔 간 조직 1 g 당 4배량의 0.25 M sucrose buffer (pH 7.5)를 첨가하여 빙냉하에서 Homogenizer (10,000*g, 2분)로 균질화하였다. 이 균질액을 4℃, 6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핵과 미균질액 부분을 제거한 뒤 상층액을 다시 4℃, 15,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조효소원을 분리하였다. SOD 활성은 Beauchamp and Fridovin (1971)의 방법에 따라50 mM carbonic buffer (pH 10.2), 0.1 mM EDTA, 0.1 mM Xanthine, 0.025 mM nitroblue tetrazolium 및 조효소원이 포함된 용액을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xanthine oxidase (3.3 · 10~6 mM)를 첨가하여 550 nm에서 NBT의 광환원 정도를 측정하였다. Catalase 활성은 Aebi (1984)의 방법에 따라 50 mM potassium phosphate (pH 7.0)에 10 mM H2O2와 조효소원을 가한 후 240 nm에서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 때 1분간 1uM의 H2O2를 분해하는 효소의 양을 1 unit으로 하였다.
<1-7> 조직병리학적 검사
간 조직의 남은 부분은 10% 중성완충포르말린용액에 고정한 후, 통상적 조직절편 제작 및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하였다. 염색 후 광학현미경 하에서 조직학적 이상 유무를 관찰하였다.
<1-8> 통계분석
상기 각 실험을 통해 수득한 결과는 GraphPad InStat v. 3.0 (GraphPad Software, Inc., Ca, USA)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각 군 사이의 평균치의 통계적 유의성은 one-way ANOVA를 실시한 후 5% 및 1% 에서 Dunnett 다중비교법에 의해 검정하였다.
<결과 1>
기능성 건강차 제조를 위해 사용한 각 약초에 대한 분석 결과
상기 실험예에서 실험 동물군을 대상으로 함초, 얼레지 및 갈대 추출물에 대해 상기 실험을 수행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 체중변화 측정
먼저 각 시험군 동물의 체중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1,3-DCP 투여 전 후의 체중을 비교하였을 때 1,3-DCP 단독투여군 및 각각의 시료 추출물을 투여한 군 모두에서 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1,3-DCP 투여 전 후의 체중 변화량을 비교해보면 1,3-DCP 단독투여군, 함초2%군, 얼레지2%군, 얼레지5%군, 갈대2%군, 갈대5%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체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함초5%군의 증체량은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1,3-DCP 단독 투여군에 비해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히어리2%군의 증체량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서도 다소 유의성 있게(p<0.05) 증가하였다. 히어리 5%군에서는 증체량이 대조군과 비교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서는 통계학적으로 상당히 유의성 있게(p<0.01) 증가하였다.
1,3-DCP 투여전 | 1,3-DCP 투여후 | Weight gain | |
대조군 | 296.3±12.45 | 303.5±16.41 | 8.6±2.48 |
1,3-DCP 단독투여 | 310.0±14.18 | 297.5±12.01 | -12.6±4.87** |
1,3-DCP+함초2% | 309.3±10.32 | 301.1±9.56 | -6.7±4.92** |
1,3-DCP+함초5% | 303.5±299.7 | 299.7±19.47 | -3.8±5.30**,†† |
1,3-DCP+얼레지2% | 302.3±26.79 | 296.2±29.55 | -6.1±7.64** |
1,3-DCP+얼레지5% | 311.1±7.71 | 304.5±13.35 | -6.6±8.89** |
1,3-DCP+히어리2% | 313.9±13.90 | 308.5±10.25 | -5.3±5.52**,† |
1,3-DCP+히어리5% | 311.7±17.19 | 308.9±18.01 | -2.8±5.83**,†† |
1,3-DCP+갈대2% | 305.3±7.73 | 300.0±11.18 | -5.2±5.51** |
1,3-DCP+갈대5% | 306.1±15.25 | 298.6±11.19 | -8.2±8.27**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SD (g) of 7 rats.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1-2> 혈청학적 분석결과
혈청학적 분석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1,3-DCP 단독 투여군에서 AST와 ALT 및 BUN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함초2%와 5%를 투여한 군에서는 AST와 ALT 수치가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BUN 수치도 유의성 있게(p<0.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얼레지2%, 얼레지5%, 히어리2%, 히어리5% 군에선 AST, ALT 및 BUN 수치가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갈대2% 군에서도 AST와 ALT 수치가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BUN 수치도 유의성 있게(p<0.05) 감소하였다. 또한, 갈대 5%군에서도 AST, ALT 및 BUN 수치가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ST | ALT | BUN | Creatine | |
대조군 | 165.6±27.87 | 65.3±34.89 | 21.1±2.77 | 0.4±0.08 |
1,3-DCP 단독투여 | 16326.7±2815.80** | 11853.3±7052.20** | 36.3±14.52** | 0.6±0.41 |
1,3-DCP+함초2% | 650.0±521.66†† | 1080.0±1036.40†† | 23.3±6.19† | 0.3±0.13 |
1,3-DCP+함초5% | 300.0±116.62†† | 355.0±198.91†† | 22.6±5.58† | 0.3±0.12 |
1,3-DCP+얼레지2% | 1816.0±2793.30†† | 1516.0±1805.60†† | 18.4±1.21†† | 0.3±0.08 |
1,3-DCP+얼레지5% | 2524.0±2308.00†† | 1720.0±2188.01†† | 20.0±2.92†† | 0.3±0.06 |
1,3-DCP+히어리2% | 828.0±520.88†† | 972.0±695.93†† | 19.6±3.04†† | 0.3±0.08 |
1,3-DCP+히어리5% | 360.0±247.79†† | 404.0±228.65†† | 15.9±2.47†† | 0.3±0.08 |
1,3-DCP+갈대2% | 384.0±194.11†† | 488.0±327.90†† | 23.4±2.46† | 0.3±0.06 |
1,3-DCP+갈대5% | 2330.0±1579.90†† | 1570.0±704.56†† | 19.5±2.63†† | 0.3±0.08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SD of 7 rats.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1-3> 간과 신장 무게 분석결과
간과 신장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함초 2%군에서는 간의 상대중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p<0.05)하였다. 히어리 2%군에서는 간의 상대중량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히어리5%군에서는 간의 상대중량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Absolute weight | Relative weight | |||
간 | 신장 | 간 | 신장 | |
대조군 | 13.3±0.84 | 2.2±0.14 | 4.4±0.24 | 0.7±0.05 |
1,3-DCP 단독투여 | 12.2±0.61 | 2.2±0.08 | 4.1±0.10 | 0.7±0.04 |
1,3-DCP+함초2% | 11.7±0.45 | 2.3±0.15 | 3.9±0.10* | 0.8±0.06 |
1,3-DCP+함초5% | 13.4±2.18 | 2.4±0.35 | 4.4±0.64 | 0.8±0.09 |
1,3-DCP+얼레지2% | 12.7±2.36 | 2.3±0.28 | 4.2±0.59 | 0.8±0.08 |
1,3-DCP+얼레지5% | 13.1±1.58 | 2.4±0.22 | 4.3±0.67 | 0.8±0.08 |
1,3-DCP+히어리2% | 12.0±1.04 | 2.2±0.19 | 3.9±0.36 | 0.7±0.0 |
1,3-DCP+히어리5% | 12.1±0.93 | 2.4±0.22 | 4.0±0.12* | 0.8±0.09 |
1,3-DCP+갈대2% | 12.1±0.98 | 2.3±0.17 | 4.0±0.20 | 0.8±0.05 |
1,3-DCP+갈대5% | 12.7±1.33 | 2.4±0.31 | 4.3±0.52 | 0.8±0.11 |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SD (g) of 7 mice.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1-4> SOD와
catalase
활성도 측정
각각의 실험군에 대한 간조직에서의 SOD와 catalase의 활성도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1,3-DCP 단독투여군, 함초2%, 함초5%, 얼레지2%군에서는 catalase와 SOD 모두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고, 얼레지5%군에서 catalase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3-DCP군에 비해서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SOD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히어리2%군의 catalase, SOD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히어리5%군은 catalase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3-DCP군에 비해서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SOD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갈대2%군에서 catalase와 SOD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갈대5%군에서는 catalase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3-DCP군에 비해서는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고, SOD 활성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Catalase (units/mg protein) |
Superoxide dismutase (units/mg protein) |
실험동물수(rat) | |
대조군 | 11.49±1.415a | 174.6±33.88 | 7 |
1,3-DCP 단독투여 | 2.40±0.626** | 83.3±14.01** | 7 |
1,3-DCP+함초2% | 1.65±0.317** | 81.5±14.41** | 7 |
1,3-DCP+함초5% | 3.08±0.722** | 96.8±18.01** | 7 |
1,3-DCP+얼레지2% | 2.92±0.638** | 93.1±16.17** | 7 |
1,3-DCP+얼레지5% | 4.59±0.712**,†† | 104.4±16.64** | 7 |
1,3-DCP+히어리2% | 2.77±0.339** | 77.1±18.64** | 7 |
1,3-DCP+히어리5% | 5.65±0.775**,†† | 108.4±28.77** | 7 |
1,3-DCP+갈대2% | 0.82±0.206** | 76.5±23.14** | 7 |
1,3-DCP+갈대5% | 4.35±0.597**,†† | 100.4±20.21** | 7 |
aValues are presented as means±SD.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결과 2>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차에 대한 분석 결과
상기 실험예에서 각 약초 대신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차를 투여한 동물군을 대상으로 한 각각의 실험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2-1> 체중변화 측정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차 2% 및 5%로 각 시험군 동물에게 투여한 후의 체중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분석결과, 차제품 2%군 및 차제품 5%군 모두 1,3-DCP 투여로 인한 체중변화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SD (g) of 7 rats.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2-2> 혈청학적 분석결과
혈청학적 분석은 상기 실험예에서 각 약초 추출물을 투여한 것 대신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차를 2% 및 5%의 양으로 각각 투여한 군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고, 상기에서 분석한 혈청학적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하기 표 7 나타낸 바와 같이, 1,3-DCP 단독투여군에서는 AST와 ALT 및 BUN 수치가 정상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차시제품을 2%로 투여한 군은 AST 수치가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고, ALT 및 BUN 수치 역시 1,3-DCP 단독투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시제품을 투여한 군 중에서 2%에 비해 5%로 투여한 군은 AST, ALT 및 BUN 수치가 더 정상대조군에 가깝도록 감소하였다.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SD of 7 rats.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2-3> 간과 신장 무게 분석결과
간과 신장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분석 결과, 차시제품 2%군과 5%군에서 간의 상대중량이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p<0.05)하였으나, 유의성 있는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SD (g) of 7 mice.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1 level when compared with the 1,3-DCP group.
<2-4> SOD와
catalase
활성도 측정
각각의 실험군에 대한 간조직에서의 SOD와 catalase의 활성도 측정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분석 결과, 간조직에서 SOD와 catalase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더니, 차시제품 2%군에서 catalase 활성도는 1,3-DCP의 처리로 인해 감소된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SOD 활성도 역시 1,3-DCP 처리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차의 간 조직에서의 SOD와 catalase 활성 증가 정도는 함유량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차시제품 2%군에 비해 차시제품 5%군에서 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의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본 발명자들은 함초, 얼레지, 히어리, 갈대 및 이들을 이용하여 제조한 기능성 건강차가 간독성을 개선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간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어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 얼레지, 함초, 갈대, 여주, 곰보배추, 산수유 및 홍삼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을 위한 건강식품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및 부탄올(butan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9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차류,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및 건강보조식품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1,3-디클로로-2-프로판올에 의한 간손상을 억제 또는 감소하는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5553A KR101768612B1 (ko) | 2016-10-19 | 2016-10-19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5553A KR101768612B1 (ko) | 2016-10-19 | 2016-10-19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0269A Division KR20160030726A (ko) | 2014-09-11 | 2014-09-11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7328A KR20160127328A (ko) | 2016-11-03 |
KR101768612B1 true KR101768612B1 (ko) | 2017-08-17 |
Family
ID=5757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5553A KR101768612B1 (ko) | 2016-10-19 | 2016-10-19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861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042B1 (ko) | 2017-05-11 | 2019-01-21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곰보배추 및 홍삼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102510297B1 (ko) * | 2020-11-03 | 2023-03-15 | 한국식품연구원 | 얼레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우울 증상 또는 스트레스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228B1 (ko) | 2008-07-09 | 2010-11-30 | 최미경 | 숙취 해소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65793B1 (ko) | 2006-12-22 | 2014-02-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기 영동 표시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2016
- 2016-10-19 KR KR1020160135553A patent/KR1017686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7228B1 (ko) | 2008-07-09 | 2010-11-30 | 최미경 | 숙취 해소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7328A (ko) | 2016-11-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dkar et al. | Pandanus odoratissimus (Kewda):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nutritional aspects | |
KR102136052B1 (ko)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
KR101817055B1 (ko) |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 |
CN105962310A (zh) | 一种不上火辣椒酱 | |
KR101658618B1 (ko) | 연잎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17431B1 (ko) | 항비만 활성을 갖는 건강식품조성물 | |
Hussain et al. | Fig (Ficus Carica)—Morphology, taxonomy, composition and health benefits | |
Renna et al. | Ethnobotany, nutritional traits, and healthy properties of some halophytes used as greens in the Mediterranean basin | |
Sishu et al. | Indian Jujube a potential fruit trees to improve the livelihood | |
KR101768612B1 (ko)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
Ravindran et al. | Under-utilized herbs and spices | |
KR102254420B1 (ko) |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 |
CN107416919A (zh) | 高效去除水体中多氯联苯的组合物 | |
Hassani Moghaddam et al. | Medicinal properties of pomegranate | |
KR20170115873A (ko) |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 |
KR101028073B1 (ko) |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
Ashok et al. |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 |
Moghadam et al. | Medicinal properties of pomegranate | |
Jain et al. | Natural sources of anti-inflammation | |
KR102262551B1 (ko) |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의 제조방법 및 닭가슴살을 이용한 죽 조성물 | |
KR101872937B1 (ko) | 비타민 조성물의 제조방법 | |
WO2013133217A1 (ja) | 糖取り込み促進剤 | |
KR20190035139A (ko) | 곤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방법 | |
KR20160030726A (ko)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
KR101350222B1 (ko) |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