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0222B1 -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0222B1
KR101350222B1 KR1020120030907A KR20120030907A KR101350222B1 KR 101350222 B1 KR101350222 B1 KR 101350222B1 KR 1020120030907 A KR1020120030907 A KR 1020120030907A KR 20120030907 A KR20120030907 A KR 20120030907A KR 101350222 B1 KR101350222 B1 KR 10135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amellia
hangover
frui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304A (ko
Inventor
태경환
양은재
강연희
Original Assignee
태경환
(주)리코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환, (주)리코리스 filed Critical 태경환
Priority to KR102012003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2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6Argi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8Asparag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38Phenylala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30~80 중량%, 녹차 추출물 5~30 중량%, 귤껍질 추출물 5~30 중량%, 칡 추출물 1~20 중량% 및 감초 추출물 1~10 중량%가 함유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효과가 뛰어난 아스파라긴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육체피로에 도움을 주는 L-알기닌과 간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L-페닐알라닌 등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인체에 부작용이 없어, 음주 후 숙취해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n alcohol detoxification composition comprising fruit extract of Camellia japonica}
본 발명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음주는 인간관계에 있어 필수요소적인 가교역활을 하는 동시에 스트레스 해소의 역할을 해결해 주는 중요한 사회생활의 문화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적정선을 넘어서는 과도한 음주는 그 다음날까지도 머리가 아프거나, 속이 쓰리거나 구토를 하는 등의 숙취현상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의 대부분은 미처 분해되지 않고 간세포에 쌓여 있는 알코올이나 아세트알데히드의 독성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며, 이러한 물질들이 축적되면서 피로감이 지속되거나 복부 팽만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알코올의 대사과정을 살펴보면, 위와 소장을 통해 알코올이 흡수되면서, 상기 알코올 성분이 혈관을 타고 이동되어 간에 이르게 되는데, 간세포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를 이용하여 알코올을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알데히드는 다시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를 통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최종적으로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100% 산화되지 못한 아세트알데히드와 알코올로 인해 무력감이나 피로감 등의 숙취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서 다양한 숙취해소용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으며, 음료 또는 드링크류가 숙취해소용 제품으로 가장 많이 개발되어 있다.
최근 들어, 헛개나무, 인삼, 홍삼, 옥수수, 가시오갈피, 꿀, 비타민, 대두, 칡, 진피, 녹차, 콩나물, 한방 생약재의 복합 추출물 등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품, 식품, 음료 등이 숙취해소용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으나 상기 조성물들의 숙취해소 효과는 아주 높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식물원료들은 대부분 이미 숙취해소를 위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재료들이기에, 아직까지는 독특한 원료소재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는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소교목으로서, 동백나무 속 나무는 동남 아시아에 약 100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남부에 1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동백나무 꽃의 형태, 색깔, 잎 등을 변화시킨 원예품종이 관상수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높이는 3~7m까지 자라며 우리나라 제주도 및 남부지방의 산과 들에서 주로 자란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거나 황갈색이고 밋밋하고 매끄러우며 광택이 있고 가지는 연한 갈색으로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 있고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으로 두꺼운 가죽질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잔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광택이 있고 뒷면은 연녹색이다. 동백나무의 개화기는 12월에서 다음해 4월이며 결실기는 가을이다.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붉은색 꽃이 하나씩 피는데 꽃받침이 많고 서로 떨어져 있으며 꽃자루가 없다. 5~7개의 꽃잎은 비스듬히 퍼져있고 수술은 많으며 꽃잎에 붙어서 꽃잎이 떨어질 때 함께 떨어진다. 꽃밥은 노란색이며 암술대는 3개로 갈라진다. 둥그스름한 삭과 열매는 길이가 2~3cm이며, 가을에 붉은색으로 익으면 3갈래로 갈라지면서 속에 든 검은 갈색의 씨가 나온다. 동백나무의 종자는 타원형에 가깝고 배면(背面)에 모서리가 있으며 길이는 약 2cm, 지름은 1.5cm이다. 옛날에는 동백나무의 종자에서 짠 기름을 '동백기름'이라 하여 부인들의 머릿기름 등으로 사용하였다. 동백나무의 다른 이름은 산다(山茶, 산다화:山茶花: 본초강목), 홍다화(紅茶花: 분류초약성), 동백(冬柏), 해홍화(海紅花), 여심화(女心花), 동백목(冬柏木), 해석류, 동백기름나무 등으로 부른다. 꽃은 류코안토시아닌(leucoanthocyanin), 안토시아닌(anthocyan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열매에는 지방유, 카멜린(camellin), 타키사포닌(thachysaponin), 타키사포닌이 가수분해된 카멜리아게닌(camelliagenin) A, B, C가 포함되어 있으며, 잎에는 I-에피카테콜(I-epicatechol), D-카테콜(D-catechol)이 함유되어 있다.
예로부터 동백나무는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는데 봄에 돋는 어린 잎은 소금물에 살짝 데친 후 나물로 무쳐 먹거나 전을 부쳐 먹었으며, 꽃은 튀김으로 만들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동백나무의 잎으로 동백떡을 만들어 먹었다고도 전해진다. 또한 동백꽃차는 생리통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 몸 안에 피가 뭉쳤을 때 이를 풀어주는 효과도 있으며, 선조들은 꽃이 피기 전에 꽃봉오리를 채취해 말려서 약으로도 사용했다. 이 외에도 동백나무의 꽃은 멍든 피를 풀거나 식히는 작용을 하기도 하고, 피를 토하거나 장염으로 인한 하혈, 월경 과다, 산후 출혈이 멎지 않을 때 물에 달이거나 가루로 빻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약리학적 효과로 동백나무 잎은 건선, 인후통증, 화상에 효능이 있고, 가지와 열매는 머리비듬, 보혈, 비출혈, 어혈, 연골증, 월경이상, 이뇨, 인후통증, 장출혈, 출혈, 타박상, 토혈 및 화상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동의보감).
동백나무에 대한 식품분야 연구로는 동백나무 잎을 이용한 메탄올 추출물이 살모넬라 아우레우스(Salmonella aureus)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보고된 바 있으며(한영숙, 한국식품과학회지, 37(1), 113~121, 2005), 일본에서는 꽃을 건조시켜 알코올 흡수억제 효과가 있는 카멜린 L-피페콜린산(camellin L-pipecolic acid) 및 유제놀(eugenol) 등의 화합물을 분리 및 확인한 바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동백나무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백나무의 열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편인데, 본 발명자들은 동백나무의 열매 추출물에서, 아스파라긴이 상당량(41.04%)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숙취해소에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는 아스파라긴(asparagine)은 식물성 단백질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아스파르트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아미노산이다. 아스파라긴의 이름에 대한 명명에는 여러 가지 학설이 있으며, 1806년 프랑스 과학자 보클랭과 로비케가 아스파라거스의 싹에서 새로운 결정을 분리하여 이것을 아스파라긴이라고 명명했다는 설과, 1932년 아스파라거스에서 처음 분리하여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 술을 먹은 다음날이나 감기에 걸렸을 경우에 많은 사람들이 콩나물 해장국을 먹는데, 콩나물에 들어 있는 아스파라긴이 알코올 대사 산화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분명하게 제시된 바 있다. 아스파라긴은 콩나물 전체에 존재하는데 특히 뿌리의 하단부로 갈수록 고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스파라긴은 간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를 생성시켜 독성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를 제거함으로써 알코올 성분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며, 아스파라긴을 이용한 많은 종류의 숙취해소용 음료들이 출시되어 있다.
한편, 녹차(green tea)는 항산화작용을 하는 성분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고, 특히 레몬의 5배가 넘는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어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막고, 탄력을 주며, 보습성을 유지하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은 암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탁월하며, 콜레스테롤 저해작용이 뛰어나고 혈당 상승을 억제함은 물론 해독효과가 뛰어나 피로회복 및 숙취제거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귤껍질(진피, Citrus peel)은 비타민 B, 헤스페리딘 등이 함유되어 있어 식욕부진, 소화불량, 가래를 삭이는데도 효과가 있으며, 기침이 심하거나 호흡이 곤란할 때에도 사용하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귤껍질에 풍부한 비타민 C가 면역력을 높여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수시로 끓여 마시면 감기가 예방되며, 평소 소화불량 증상이 있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고, 숙취해소 효과나 멀미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칡(kuzu vine, Pueraria thunbergiana Benth.)의 뿌리는 갈근이라고도 하며, 녹말, 당, 칼슘, 인, 섬유질, 단백질, 회분, 철분 등이 다량 함유된 식품으로,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과가 탁월할 뿐만 아니라 위장과 간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고, 땀을 흘리게 하거나 열을 내리는 작용을 함으로써 숙취해소를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의 뿌리는 인체의 인터페론 유리를 촉진시켜서 항염작용을 함으로써 위에서 위산 분비를 억제시키고 위 점막을 보호하는 항궤양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초에 포함된 글리시리진(glycyrrhizin) 성분은 다양한 해독작용을 나타내 간에서의 해독작용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이 함유된 조성물이 알코올성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는 것과,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에,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이 함유될 때, 그 기능이 증강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편, 녹차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개시된 선행문헌(한국공개특허 제2006-0023093호)이나, 귤껍질·칡·감초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선행문헌(한국공개특허 제2011-0112925호)이 공지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는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과는 전혀 다른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23093호 (오리나무 추출물과 녹차엽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건강음료의 제조방법, 2006.03.13.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1-0112925호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2011.10.14. 공개)
한영숙, 한국식품과학회지, 37(1), 113~121, 2005
본 발명의 목적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30~80 중량%, 녹차 추출물 5~30 중량%, 귤껍질 추출물 5~30 중량%, 칡 추출물 1~20 중량% 및 감초 추출물 1~10 중량%가 함유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에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이 포함될 수는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4종의 추출물이 모두 포함될 때가 숙취해소 효과가 더 좋다.
또한,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은 동백나무 열매 전체의 추출물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인 어린 열매, 또는, 성숙한 열매에서 종자와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태좌(placentation)를 제거한 나머지 부위의 과육을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태좌-동백나무의 어린 열매의 단면을 나타낸 사진인 도 1 참조-성숙한 열매는 종자가 단단하여 단면 절단이 용이하지 않음). 동백나무의 어린 열매는 평균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시기, 즉 어린 배유의 상태로 존재하는 시기의 열매를 이용한다. 상기와 같은 어린 열매의 시기가 지나면 배유가 성숙하여 단단한 종자가 되는데, 종자 형성에 필요한 필수 아미노산이 종자가 완전히 성숙하기 전에 많이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자가 형성된 후에는 그 양이 감소한다. 따라서, 화장품 또는 식품 등의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어린 열매를 사용해야 다량의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으며, 열매의 크기가 직경 2cm 이하일 때 수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컨대, 침지(냉침, 온침), 열수 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은 통상적인 형태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추출용매로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추출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허용 가능한 생약재를 추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은,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동백나무 열매에, 동백나무 열매 중량의 1∼30배(바람직하게는 1~10배)의 추출용매를 가한 뒤, 5~100℃의 온도에서 1~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액을 바로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여과액을 건조 및 분말화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의 건조는 감압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통상적인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은 다량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도록 가급적 저온상태에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추출온도는 5~100℃가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5~60℃이고, 상온에서도 추출할 수 있다.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유효 아미노산의 추출 함유량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에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혼합할 경우에는,
동백나무 열매, 녹차, 귤껍질 및 칡 각각의 생약에, 동백나무 열매, 녹차, 귤껍질 및 칡 각각의 생약 중량의 1~30배의 추출용매를 가하고, 5~100℃의 온도에서 1~24시간 동안 추출하고 여과하는 단계를 통해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생약 추출물을,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30~80 중량%, 녹차 추출물 5~30 중량%, 귤껍질 추출물 5~30 중량%, 칡 추출물 1~20 중량% 및 감초 추출물 1~1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약 추출물은 건조하여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용매는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의 건조는 감압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통상적인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은 n-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및 n-부탄올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분획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추출물에 추가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한 분획물의 제조온도는 20~5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추출시간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분~1일 이내에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용 기기로는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추출물은 열풍건조, 감압건조 또는 동결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감압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숙취해소를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상기 추출물을 건조물로 제조하였을 때, 전체 식품 중량의 0.01~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를 기준으로 0.02~10g, 바람직하게는 0.3~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맛의 보편성인 기호와 관능적인 면을 갖기 위해 꿀, 올리고당, 비타민 B, C, E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30~80 중량%, 녹차 추출물 5~30 중량%, 귤껍질 추출물 5~30 중량%, 칡 추출물 1~20 중량% 및 감초 추출물 1~10 중량%가 함유된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효과가 뛰어난 아스파라긴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육체피로에 도움을 주는 L-알기닌과 간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L-페닐알라닌 등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고, 인체에 부작용이 없어, 음주 후 숙취해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동백나무 열매의 어린 열매의 단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의 제조>
1-1. 동백나무의 어린 열매의 추출물
동백나무 열매를 종자가 형성되기 전 어린 시기인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일 때의 열매만을 모아 잘게 절단하여 그늘에서 건조시킨 후, 건조된 어린 열매를 파쇄하고, 상기 건조된 어린 열매 50g을 500g의 물과 함께 저온진공추출기(Cosmos-660)에 부어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상기 추출물을 여과기를 이용해 여과한 후 찌꺼기를 버리고 여과액만을 회수하여 동백나무의 어린 열매 추출물을 얻었다.
1-2. 동백나무의 성숙한 열매 과육의 추출물 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동백나무의 어린 열매 대신, 동백나무의 성숙한 열매에서, 종자와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태좌(placentation)를 제거한 과육을 1~2cm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고 이를 건조 후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1-3. 동백나무의 성숙한 열매 과육의 추출물 ②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되, 동백나무의 어린 열매 대신, 동백나무의 성숙한 열매 전체를 건조 후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 실시예 2.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의 제조>
2-1. 녹차 추출물의 제조
녹차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조건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2. 귤껍질 추출물의 제조
귤껍질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조건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3. 칡 추출물의 제조
칡(뿌리)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조건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4. 감초 추출물의 제조
감초(뿌리)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1의 조건과 동일하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각각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중량 (㎎)
실시예 1-1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실시예 1-2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실시예 1-3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실시예 2-1의 녹차
추출물
실시예 2-2의 귤껍질 추출물 실시예 2-3의 칡
추출물
실시예 2-4의 감초
추출물
실시예 3-1 100 - - - - - -
실시예 3-2 - 100 - - - - -
실시예 3-3 60 - - 12 15 7 6
실시예 3-4 60 - - 10 15 9 6
실시예 3-5 60 - - 10 10 10 10
실시예 3-6 60 - - 10 18 5 7
실시예 3-7 60 - - 12 15 7 6
실시예 3-8 30 - - 30 30 1 9
실시예 3-9 80 - - 5 5 5 5
실시예 3-10 69 - - 5 5 20 1
실시예 3-11 - 60 - 12 15 7 6
실시예 3-12 - 60 - 10 15 9 6
실시예 3-13 - 60 - 10 10 10 10
실시예 3-14 - 60 - 10 18 5 7
실시예 3-15 - 60 - 12 15 7 6
실시예 3-16 - 30 - 30 30 1 9
실시예 3-17 - 80 - 5 5 5 5
실시예 3-18 - 69 - 5 5 20 1
실시예 3-19 - - 100 - - - -
< 비교예 1. 비교대상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건으로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중량 (g)
실시예 2-1의
녹차 추출물
실시예 2-2의
귤껍질 추출물
실시예 2-3의
칡 추출물
실시예 2-4의
감초 추출물
비교예 1-1 25 25 25 25
비교예 1-2 50 50 - -
비교예 1-3 50 - 50 -
비교예 1-4 50 - - 50
비교예 1-5 - 50 - 50
비교예 1-6 - - 50 50
비교예 1-7 - 35 35 40
비교예 1-8 35 - 35 40
비교예 1-9 35 35 - 40
비교예 1-10 35 35 40 -
비교예 1-11 100 - - -
비교예 1-12 - 100 - -
비교예 1-13 - - 100 -
비교예 1-14 - - - 100
< 실험예 1.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의 아미노산 함량분석 결과>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의 성분을 웨이브비씨엠 분석센터에 의뢰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의 아미노산의 종류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1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50㎕를 이용하여 유리 아미노산(free amino acids)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1-1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뒤, 상기 건조물을 PITC(phenyl isothincyanate)로 유도체화 한 후 200㎕의 A 용매(1.4㎖ NaHAc, 0.1%TEA, 6% CH3ON, pH 6.1)에 녹였다. 이 후, 이를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떠서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의 autosampler에 안치하여 아미노산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아미노산을 100%로 보았을 때 아스파라긴(Asparagine)이 41.07%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L-알기닌(L-Arginine)이 24.40%, L-페닐알라닌(L-Phenylalanine)이 9.32%, L-티로신(L-Tyrosine)이 6.79%, GABA(Gamma-aminobutyric acid)가 6.22%, L-글루타민산(L-Glutamic acid)이 3.53%, 글리신(Glycine)이 3.19% 순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2의 동백나무의 숙성된 열매의 과육 추출물도 이와 유사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C는 하기 분석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장비모델 : Hewlett Packard 1100 Series,
Column : Waters Nova-Pak C15 4(3.9×300mm)
HPLC pump : HP 1100 series, Binary Pump
HPLC injector : HP 1100 series, Autosampler
Variable wavelength detector : HP 1100 series, 254nm,
Elution : Linear gradient of solvent B(60% CH3CN) (0~100%),
Injection volume : 4~30㎕
Flow rate : 1.0㎕/min
Run time : 30분
Injection vol. : standard 10㎕, sample 50㎕
아미노산 성분명 함량 (mol%) 기 능
L-Aspartic acid 0.50 알코올해독, 숙취해소
L-Glutamic acid 3.53 영양강화, 향미증진
Asparagine 41.07 알코올분해, 숙취해소
Glycine 3.19 간기능강화, 알코올 대사촉진
L-Arginine 24.40 육체피로해소
L-Threonine 1.34 -
Gamma-aminobutyric acid
(GABA)
6.22 당뇨예방 및 개선,
콜레스테롤 제거, 기억력 증강
L-Tyrosine 6.79 체지방 감소, 갑상선 기능유지
L-Valin 1.03 -
Isoleucine 0.85 -
L-Phenylalanine 9.32 간기능 개선
Tryptophan 1.76 -
Total 100.00 -
< 실험예 2. 동백 열매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숙취해소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그룹당 건강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임상실험 대상자의 구체적인 특징은 표 4에 기재하였다.
구 분 범위
연령 (나이) 27.23±3.51
성별 (남 : 여) 2 : 1
체중 (Kg) 68.5±20.2
실험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소주 한잔 당 삼겹살 한 점을 먹도록 하여 300㎖의 소주를 20분에 걸쳐 마시도록 하였고, 음주 직후, 실시예 3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섭취하게 하였다. 이 때 대조군으로는 생수 100g, 시중에 판매되는 모닝케어 100g을 각각 복용하도록 했으며, 음주 90분 후에 알코올 농도를 음주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복용한 경우가 혈중 알코올 감소율이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단일로 복용한 경우(실시예 3-1, 3-2 및 3-19)보다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복용한 경우(실시예 3-3 내지 3-18)가 숙취제거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건 음주 90분 후의 혈중 알코올 농도
실시예 3-1 0.074
실시예 3-2 0.075
실시예 3-3 0.032
실시예 3-4 0.044
실시예 3-5 0.033
실시예 3-6 0.022
실시예 3-7 0.044
실시예 3-8 0.053
실시예 3-9 0.026
실시예 3-10 0.022
실시예 3-11 0.031
실시예 3-12 0.022
실시예 3-13 0.044
실시예 3-14 0.013
실시예 3-15 0.022
실시예 3-16 0.014
실시예 3-17 0.023
실시예 3-18 0.032
실시예 3-19 0.102
비교예 1-1 0.155
비교예 1-2 0.173
비교예 1-3 0.165
비교예 1-4 0.164
비교예 1-5 0.173
비교예 1-6 0.156
비교예 1-7 0.155
비교예 1-8 0.154
비교예 1-9 0.153
비교예 1-10 0.186
비교예 1-11 0.175
비교예 1-12 0.153
비교예 1-13 0.152
생수 0.231
모닝케어 0.124
또한 음주 다음날 자각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표 5의 실험을 수행한 사람들에게 숙취제거효과, 소화효과, 두통정도에 대한 항목을, ‘효과 없음’을 1로 하고 ‘효과가 가장 높음’을 5로 하여, 5단계(1~5)의 범위 내로 작성하여,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조성물을 복용한 경우가 가장 높은 숙취해소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동백나무 열매추출물을 단일로 복용한 경우(실시예 3-1, 3-2 및 3-19)보다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복용한 경우(실시예 3-3 내지 3-18)가 더 우수한 숙취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건 숙취제거효과 소화정도 두통감소
정도
실시예 3-1 3.7 3.9 3.6
실시예 3-2 3.3 3.5 3.7
실시예 3-3 4.5 4.3 4.4
실시예 3-4 4.4 4.5 4.3
실시예 3-5 3.9 4.3 4.4
실시예 3-6 4.4 3.9 4.5
실시예 3-7 3.8 4.4 4.6
실시예 3-8 3.8 3.8 3.7
실시예 3-9 3.9 4.3 3.9
실시예 3-10 4.4 4.4 4.3
실시예 3-11 4.6 4.5 3.8
실시예 3-12 3.8 3.8 4.5
실시예 3-13 4.4 4.3 3.9
실시예 3-14 3.9 4.4 4.4
실시예 3-15 4.5 3.9 3.8
실시예 3-16 4.4 4.6 4.2
실시예 3-17 4.6 4.4 4.3
실시예 3-18 4.4 4.6 4.4
실시예 3-19 3.5 3.2 3.4
비교예 1-1 2.7 2.7 2.8
비교예 1-2 2.7 2.8 2.7
비교예 1-3 2.2 2.9 2.8
비교예 1-4 2.4 2.7 2.9
비교예 1-5 2.8 2.8 2.8
비교예 1-6 2.7 2.5 2.5
비교예 1-7 2.1 2.7 2.1
비교예 1-8 2.7 2.8 2.1
비교예 1-9 2.8 2.7 2.7
비교예 1-10 2.8 2.8 2.8
비교예 1-11 3.0 2.8 2.7
비교예 1-12 3.0 2.5 2.1
비교예 1-13 3.0 2.4 2.8
비교예 1-14 2.1 2.8 2.8
생수 1.00 1.00 1.00
모닝케어 2.10 2.22 2.50
< 실험예 3. 경구투여 독성실험>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독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3-3의 추출물을 동결건조 한 후, 이를 다시 물에 녹여 1g/㎖, 0.5g/㎖, 0.25g/㎖ 및 0.12g/㎖의 4가지 농도로 조제하였다. 실험 전 하루 동안(24시간) 금식시킨 4주령 웅성마우스(체중 20~23g) 20마리를 5개조(4개조는 실험군, 1개조는 대조군[무처리군])로 나눈 후 마우스 체중 20g당 각 농도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1㎖을 10일 동안 경구투여 한 결과를 표 7에 기재하였다.
구 분 대조군 1g/㎖ 0.5g/㎖ 0.25g/㎖ 0.12g/㎖
이상증상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사망수 / 실험수 0 / 4 0 / 4 0 / 4 0 / 4 0 / 4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투여 후 사망한 마우스는 관찰되지 않았고, 육안으로 관찰시에 실험기간 동안 마우스의 건강상태는 모두가 양호하였다. 10일 후 각 마우스를 해부한 상태에서 내부 조직과 기관들을 관찰한 결과 이상 소견은 보이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인체에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3-3의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30㎎
유당 100㎎
탈크 10㎎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3-3의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제조예 3. 액제의 제조>
실시예 3-3의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300㎎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 제조예 4. 건강식품의 제조>
실시예 3-3의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1000㎎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 제제예 5.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3-3의 추출물의 동결건조물 1000㎎
구연산 100㎎
올리고당 100g
매실농축액 2g
타우린 1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다. 이 후, 상기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7)

  1.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인 종자가 형성되기 전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동백나무 열매에서 종자와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태좌(placentation)를 제거한 나머지 부위의 과육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 조성물은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인 종자가 형성되기 전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동백나무 열매에서 종자와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태좌(placentation)를 제거한 나머지 부위의 과육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인 종자가 형성되기 전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동백나무 열매에서 종자와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태좌(placentation)를 제거한 나머지 부위의 과육의 추출물 30~80 중량%, 녹차 추출물 5~30 중량%, 귤껍질 추출물 5~30 중량%, 칡 추출물 1~20 중량% 및 감초 추출물 1~10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인 종자가 형성되기 전의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 또는, 동백나무 열매에서 종자와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태좌(placentation)를 제거한 나머지 부위의 과육의 추출물은, 열매 직경이 2cm 이하인 종자가 형성되기 전의 동백나무 열매, 또는, 동백나무 열매에서 종자와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태좌(placentation)를 제거한 나머지 부위의 과육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추출물, 귤껍질 추출물,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은, 녹차, 귤껍질, 칡 및 감초 각각의 생약을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20030907A 2012-03-27 2012-03-27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35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07A KR101350222B1 (ko) 2012-03-27 2012-03-27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907A KR101350222B1 (ko) 2012-03-27 2012-03-27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04A KR20130109304A (ko) 2013-10-08
KR101350222B1 true KR101350222B1 (ko) 2014-01-14

Family

ID=49631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907A KR101350222B1 (ko) 2012-03-27 2012-03-27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2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509A1 (ko) * 2016-11-22 2018-05-31 카멜리아푸드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34162B1 (ko) * 2017-11-30 2020-07-15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초콜릿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092A (ja) 2001-06-19 2002-12-26 Kano Shiyoujiyuan:Kk 新規化合物、それを含有する椿花抽出物及びそれらの用途
KR20060023093A (ko) * 2004-09-08 2006-03-13 조기진 오리나무 추출물과 녹차엽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110112925A (ko) * 2010-04-08 2011-10-14 추교인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1092A (ja) 2001-06-19 2002-12-26 Kano Shiyoujiyuan:Kk 新規化合物、それを含有する椿花抽出物及びそれらの用途
KR20060023093A (ko) * 2004-09-08 2006-03-13 조기진 오리나무 추출물과 녹차엽 추출물을 이용한 숙취해소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20110112925A (ko) * 2010-04-08 2011-10-14 추교인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Yoshikawa, M., et al., Chemical & Pharmaceutical Bulletin (1996) vol.44, no.10, pp.1899-19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304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6388B1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30048917A (ko) 천년초 선인장을 이용한 식품용 분말의 제조방법
KR100626398B1 (ko) 흡연자 및 흡연경력자를 위한 항산화영양소 보충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222B1 (ko) 동백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115622B1 (ko)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090047638A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쌈두부 또는 전두부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093730B1 (ko) 발계(Smilax chin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50063905A (ko) 해당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05795053A (zh) 一种火棘养生茶及其制备方法
KR20110128676A (ko) 다이어트용 기능성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0642801B1 (ko) 한약재와 배 추출물을 배합한 항당뇨 식품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