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768A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2768A KR20200142768A KR1020190070034A KR20190070034A KR20200142768A KR 20200142768 A KR20200142768 A KR 20200142768A KR 1020190070034 A KR1020190070034 A KR 1020190070034A KR 20190070034 A KR20190070034 A KR 20190070034A KR 20200142768 A KR20200142768 A KR 202001427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extract
- composition
- hangover
- concentrate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12676 herbal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41000132536 Cirs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40000000851 Vaccinium corymbos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03095 Vaccinium corymbos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17537 Vaccinium myrtillu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21014 blueberri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0207199 Citr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20971 citrus fruit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273928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4000223760 Cinnamomum zeylan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1453 Glycyrrhiza echin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6200 Glycyrrhiza glab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17382 Glycyrrhiza lepid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010454 licoric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4670 Glycyrrhiza echin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02508 ginger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20708 ginger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40069445 licorice extract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7049 Juglans reg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9496 Juglans regi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580937 Acer tegmentosum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4000037364 Cinnamomum aromatic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4489 Cinnamomum aromaticum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5000021511 Cinnamomum cassi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0000008917 Glycyrrhiza uralensis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0554 Glycyrrhiza uralensis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4000010000 Hovenia dulcis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8584 Hovenia dulcis Nutrition 0.000 abstract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1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1215 curcuma longa l. r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00060 Abdominal dis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1672694 Citrus ret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2168 La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FTSSQIKWUOOEGC-RULYVFMPSA-N fructooligosaccharide Chemical compound OC[C@H]1O[C@@](CO)(OC[C@@]2(OC[C@@]3(OC[C@@]4(OC[C@@]5(OC[C@@]6(OC[C@@]7(OC[C@@]8(OC[C@@]9(OC[C@@]%10(OC[C@@]%11(O[C@H]%12O[C@H](CO)[C@@H](O)[C@H](O)[C@H]%12O)O[C@H](CO)[C@@H](O)[C@@H]%11O)O[C@H](CO)[C@@H](O)[C@@H]%10O)O[C@H](CO)[C@@H](O)[C@@H]9O)O[C@H](CO)[C@@H](O)[C@@H]8O)O[C@H](CO)[C@@H](O)[C@@H]7O)O[C@H](CO)[C@@H](O)[C@@H]6O)O[C@H](CO)[C@@H](O)[C@@H]5O)O[C@H](CO)[C@@H](O)[C@@H]4O)O[C@H](CO)[C@@H](O)[C@@H]3O)O[C@H](CO)[C@@H](O)[C@@H]2O)[C@@H](O)[C@@H]1O FTSSQIKWUOOEGC-RULYVFMP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107187 fructooligosaccharide Drugs 0.000 description 3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40124595 oriental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XMGQYMWWDOXHJM-JTQLQIEISA-N (+)-α-limonene Chemical compound CC(=C)[C@@H]1CCC(C)=CC1 XMGQYMWWDOXHJM-JTQLQIEISA-N 0.000 description 2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YCCILVSKPBXVIP-UHFFFAOYSA-N 2-(4-hydroxyphenyl)ethanol Chemical compound OCCC1=CC=C(O)C=C1 YCCILVSKPBXV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6667 Aleurites moluc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838 Ast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EDRZPFGACZZDS-UHFFFAOYSA-N Chloroform Chemical compound ClC(Cl)Cl HEDRZPFGACZZD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729173 Cirsium japo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335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233 Headach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 Linalyacetate Chemical compound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841 Silybum marian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IKHGUXGNUITLKF-XPULMUKR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14CH]([14CH3])=O IKHGUXGNUITLKF-XPULMUKR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454 curcuma longa l. roo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869 headache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94 hepat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CDOSHBSSFJOMGT-UHFFFAOYSA-N linalool Chemical compound CC(C)=CCCC(C)(O)C=C CDOSHBSSFJOM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9423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219 (+)-catec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PFTAWBLQPZVEMU-DZGCQCFKSA-N (+)-catechin Chemical compound C1([C@H]2OC3=CC(O)=CC(O)=C3C[C@@H]2O)=CC=C(O)C(O)=C1 PFTAWBLQPZVEMU-DZGCQCFK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13915 (+)-catech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490 (3R)-3,7-dimethylocta-1,6-dien-3-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DOSHBSSFJOMGT-JTQLQIEISA-N (R)-linalool Natural products CC(C)=CCC[C@@](C)(O)C=C CDOSHBSSFJOMGT-JTQLQIEI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58015 1,3-butylene glyc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0087 Abdominal pain upp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140 Ac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43500 Ac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0 Aflatox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XWIYFDMXXLINPU-UHFFFAOYSA-N Aflatoxin G Chemical compound O=C1OCCC2=C1C(=O)OC1=C2C(OC)=CC2=C1C1C=COC1O2 XWIYFDMXXLINP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7698 Alcohol dehydroge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21809 Alcohol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848 Alcohol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CXYFEDJOCDNAF-UHFFFAOYSA-N Asparagine Chemical compound OC(=O)C(N)CC(N)=O DCXYFEDJOCDNA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31975 Cirsium nippon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6368 Cirsium olerace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356908 Cirsium setid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353 Crinum linear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79889 Cymbidium pendul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171 Dysmeno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943 Elettaria cardamo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474989 Furcifer rhinocera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UHFFFAOYSA-N Glutamic acid Natural products OC(=O)C(N)CCC(O)=O WHUUTDBJXJRK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303040 Glycyrrhiza glab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361 Hiccup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7303 Hymeno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DBLDQZASZZMNSL-QMMMGPOBSA-N L-tyrosinol Natural products OC[C@@H](N)CC1=CC=C(O)C=C1 DBLDQZASZZMNSL-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UPYKUZBSLRQECL-UKMVMLAPSA-N Lycop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C2(C)C UPYKUZBSLRQECL-UKMVMLAPSA-N 0.000 description 1
- JEVVKJMRZMXFBT-XWDZUXABSA-N Lycophyll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O)\C)\C)/C)\C)/C)\C)/C)/C JEVVKJMRZMXFBT-XWDZUXAB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093 Menstruation Disturbance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78 Mycotoxi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SEBFKMXJBCUCAI-UHFFFAOYSA-N NSC 227190 Natural products C1=C(O)C(OC)=CC(C2C(OC3=CC=C(C=C3O2)C2C(C(=O)C3=C(O)C=C(O)C=C3O2)O)CO)=C1 SEBFKMXJBCUCA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880 Polyu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189 Prunus angus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873 Prunus angus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706 Prunus prostr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ZVOLCUVKHLEPEV-UHFFFAOYSA-N Quercetaget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O)C(O)=C(O)C=C2O1 ZVOLCUVKHLE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00 Rhamn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422 Rhododendro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WTZYBCRDDUBJY-UHFFFAOYSA-N Rhynchos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C(O)=C(O)C=C2O1 HWTZYBCRDDUB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LRCGYURZSFMEG-UHFFFAOYSA-N Salidroside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C1=CC=C(O)C=C1 ILRCGYURZSFME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33 Sali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20380 Silyb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272459 Silybum marian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09201 Tabebuia chrysanth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52 Tilia americana var hetero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73881 Tilia caroliniana subsp. hetero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511 Vaccini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36767 Vaccin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7965 Vaccinium lamarck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78534 Vaccinium myrt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094 Vit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70 Vitamin B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577 adipose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09 afla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930 alcohol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1577 aldehyde dehydrogenase (NAD(P)+)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WUOACPNHFRMFPN-UHFFFAOYSA-N alpha-terpineol Chemical compound CC1=CCC(C(C)(C)O)CC1 WUOACPNHFRMFP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08 anthocya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0 anthocya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7 anthocya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36 anthocya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66 anti-aller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41 bi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330 bloa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37 butane-1,3-di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300 cardamom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1883 cholelithia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38559 crop plant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SQIFACVGCPWBQZ-UHFFFAOYSA-N delta-terpineol Natural products CC(C)(O)C1CCC(=C)CC1 SQIFACVGCPW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19 diur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663 drug depend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780 epistax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600 folk medic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51 gastric jui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1 grap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4 irr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DLRVVLDZNNYCBX-RTPHMHGBSA-N isomal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H]1[C@@H](O)[C@H](O)[C@@H](O)C(O)O1 DLRVVLDZNNYCBX-RTPHMHGBSA-N 0.000 description 1
- MWDZOUNAPSSOEL-UHFFFAOYSA-N kaempferol Natural products OC1=C(C(=O)c2cc(O)cc(O)c2O1)c3ccc(O)cc3 MWDZOUNAPS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2839 leuk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7744 linalo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29 live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018 liver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61 lycop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AIJSZIZWZSQBC-GYZMGTAESA-N lycope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C OAIJSZIZWZSQBC-GYZMGTAE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51 lycop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99 lycop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21 medic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44 menstrual irregular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UZPPFZMUPKLLV-UHFFFAOYSA-N methane;hydrate Chemical compound C.O VUZPPFZMUPKL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19 mutagen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05 muta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36 myc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06 pear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IKGXIBQEEMLURG-NVPNHPEKSA-N rut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C@H]1OC[C@@H]1[C@@H](O)[C@H](O)[C@@H](O)[C@H](OC=2C(C3=C(O)C=C(O)C=C3OC=2C=2C=C(O)C(O)=CC=2)=O)O1 IKGXIBQEEMLURG-NVPNHPEKSA-N 0.000 description 1
- ILRCGYURZSFMEG-RQICVUQASA-N salidrosid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1OCCC1=CC=C(O)C=C1 ILRCGYURZSFMEG-RQICVUQASA-N 0.000 description 1
- SEBFKMXJBCUCAI-HKTJVKLFSA-N silibinin Chemical compound C1=C(O)C(OC)=CC([C@@H]2[C@H](OC3=CC=C(C=C3O2)[C@@H]2[C@H](C(=O)C3=C(O)C=C(O)C=C3O2)O)CO)=C1 SEBFKMXJBCUCAI-HKTJVKLF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245 silym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700 silym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13 small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997 soju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61 stroke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117 substance-relate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411 terpineol Drugs 0.000 description 1
- ZCIHMQAPACOQHT-ZGMPDRQDSA-N trans-isorenierat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c1C)C=CC=C(/C)C=Cc2c(C)ccc(C)c2C ZCIHMQAPACOQHT-ZGMPDRQD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93 triterpene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30 tyros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37 ultrasound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6 vitamin B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20 vitamin B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25—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 추출물, 청포도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배 농축액 및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한방 추출물은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열매, 감귤껍질, 울금덩이뿌리, 큰엉겅퀴순, 감초, 계피가지 및 생강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타 첨가제로 정제염수, 합성향료 및 비타민C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한방 추출물에 포함된 한방 성분을 통하여, 인체의 부작용을 적게 일으키며 간 해독 기능을 회복시켜 숙취 현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한방 추출물은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열매, 감귤껍질, 울금덩이뿌리, 큰엉겅퀴순, 감초, 계피가지 및 생강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타 첨가제로 정제염수, 합성향료 및 비타민C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한방 추출물에 포함된 한방 성분을 통하여, 인체의 부작용을 적게 일으키며 간 해독 기능을 회복시켜 숙취 현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여, 숙취에 따른 두통, 복통이나 더부룩함 등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복용이 용이한,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숙취현상은 간세포에 축적된 에틸알콜 및/또는 아세트알데히드 독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에틸알콜 및/또는 아세트아데히드의 독작용이 장시간 계속되고 결국 신진 대사 등에 장애를 일으켜 전신권태, 피로감, 복부팽만감, 구토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정상적인 에틸알콜 대사과정은 에틸알콜이 채내로 유입되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 중에 들어가 간장으로 옮겨진다. 간세포에는 알콜탈수소효소가 있어 알콜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시키고, 상기 아세트알데히드는 간세포에 있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소효소에 의해 초산으로 분해되어 전신의 근육이나 지방조직으로 옮겨지고, 최종적으로는 탄산가스와 물로 분해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아세트알데히드효소에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저 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II형과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로 되지 않으면 작용을 하지 않는 I형이 있으나,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II형 아세트알데히드 효소가 결핍 또는 부족하기 때문에 아세트알데히드의 산화가 느리고 따라서 산화되지 아니한 아세트알데히드 및/또는 에틸알콜의 독작용에 의하여 정상적인 신진대사에 방해를 받아 여러 숙취현상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주 후의 숙취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생약제제 또는 인공 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제조한 드링크류가 다수 개발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학 성분 대신 천연 성분 특히, 간 해독에 효능이 있는 한방 성분을 기반으로 하여 간 해독 기능을 회복 및 촉진시키는 숙취 해소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다만, 종래의 숙취 해소용 드링크들은 숙취 해소 능력이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생약제를 사용함으로써 고가로 판매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 성분 특히, 숙취 해소에 효능이 있는 한방 성분을 기반으로 하여 인체에 부작용을 적게 일으키면서도 숙취를 해소할 수 있는 숙취 해소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는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열매, 감귤껍질, 울금덩이뿌리, 큰엉겅퀴순, 감초, 계피가지 및 생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방 추출물, 청포도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배 농축액 및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한방 추출물은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열매, 감귤껍질, 울금덩이뿌리, 큰엉겅퀴순, 감초, 계피가지 및 생강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정제염수, 합성향료 및 비타민C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40 중량%의 한방 추출물, 1 내지 10중량%의 청포도 농축액, 1 내지 10중량%의 블루베리 농축액, 10 내지 50중량%의 배 농축액 및 10 내지 50중량%의 올리고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한방 추출물은 추출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50중량%의 산겨릅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의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10 내지 25중량%의 감귤껍질 추출물, 5 내지 20중량%의 울금덩이뿌리 추출물, 5 내지 20중량%의 큰엉겅퀴순 추출물, 0.1 내지 5중량%의 감초 추출물, 0.1 내지 5중량%의 계피가지 추출물 및 0.1 내지 5중량%의 생강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물에 희석시켜 복용할 수 있는 액상 제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음주에 의하여 발생하는 숙취에 따른 두통, 복통이나 더부룩함 등을 완화한다. 특히, 한방 추출물에 포함된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의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있어, 간해독을 도와, 숙취 현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구체예는 하기의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한방 추출물, 청포도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배 농축액 및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이 포함하는 각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한방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중량%의 한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10중량% 미만의 한방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 한방 추출물의 효능을 통한 숙취 현상 완화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40중량%를 초과하는 한방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 비용적 측면에서 비 경제적이다.
상기 한방 추출물은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열매, 감귤껍질, 울금덩이뿌리, 큰엉겅퀴순, 감초, 계피가지 및 생강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천연물로부터 분리된 활성성분을 의미하며, 물,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는 추출과정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추출액, 이의 건조 분말 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형화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추출한 액은 바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유효 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재의 유효성분의 추출 정도와 손실 정도가 차이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겨릅나무(또는 산청목)(Acer tegmentosum Maxim.)는 단풍나무과(AceraceaeJuss.) 단풍나무속(Acer L.)에 속하는 식물로서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한다. 다른 이름으로는 벌나무, 산청목, 청해척이라고도 하며, 나무주변으로 벌이 많이 모여든다 하여 봉목이라 부르기도 한다. 예로부터 산겨릅나무는 여러 가지 임상 사례 등에서 간질환 치료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간질환 및 백혈병 등에 대한 전통 처방으로도 사용될 만큼 효능에 대한 부분은 많이 알려져 왔으며, 최근 들어 항산화 효과, 간 기능 보호, 암세포 성장 억제, 간염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병원성 미생물 저해, 이뇨작용, 파골세포분화억제, 항염증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산화 및 항염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살리드로사이드(salidroside), 타이로졸(tyrosol), 케르세틴(quercetin), (+)-카테신(Catechin) 등이 산겨릅나무에서 분리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에 10 내지 50중량%의 산겨릅나무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간 해독 기능이 약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5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효과 상승이 많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열매는 갈매나무과(Rhamnaceae)의 헛개나무(HoveniadulisThunb.)의 과병을 가진 열매 또는 씨,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또는 그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한다. 중국이나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에 수재되지 않았다. 이 약은 냄새가 조금 있고 맛은 쓰면서 떫다. 한방에서 헛개나무열매(지구자)는 열병으로 인한 번열, 구갈, 딸꾹질, 구토 등에 쓰며 이뇨를 돕고, 알코올중독으로 상한 간장을 치료한다. 헛개나무의 줄기 껍질을 지구목피라 하여 사용하는데 혈액순환을 돕고 근육을 풀어준다고 한다. 약리작용으로 간 보호작용이 보고되었다. 상기 한방 추출물에 10 내지 40중량%의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간 해독 기능이 약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열매 추출물의 함량이 4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효과 상승이 많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감귤껍질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귤은 중국의 온주에서 유래, 온주귤을 가리키며 노란 껍질색과 단맛과 신맛을 특징으로 감귤껍질에는 영양적으로 감귤 정유성분으로 d-limonene, Linalool, Linalyacetate, Terpineol이 들어있어 혈압강화, 항산화효과, 변이원 억제 작용, 항 알러지 작용, 암발생 억제작용이 있다. 비타민C가 항산화작용을 하며, 철분의 흡수를 돕고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시킨다. 비타민B가 피로회복을 도우며, 면역력을 증진시킨다. 비타민P가 모세혈관을 강화시킨다. 감귤에서는 상기의 성분들이 과육보다는 감귤껍질에 더욱 많이 들어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에 10 내지 25중량%의 감귤껍질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귤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간 해독 기능이 약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귤껍질 추출물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효과 상승이 많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울금덩이뿌리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울금 (鬱金, Curcuma longa) 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생김새는 원뿌리줄기와 곁뿌리줄기로 나눌 수 있는데 원뿌리줄기는 난형이고 곁뿌리줄기는 양끝이 둔한 원주형으로 약간 구부러지고 측아를 가진 것도 있으며 테가 있다. 울금은 기를 소통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불순, 옆구리통증을 치료하고 토혈, 코피, 피오줌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흉복부가 그득한 것을 없애주고 담즙분비 촉진과 담낭결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울금은 바람직하게는 울금의 덩이뿌리인 울금덩이뿌리일 수 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에 5 내지 20중량%의 울금덩이뿌리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울금덩이뿌리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간 해독 기능이 약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울금덩이뿌리 추출물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효과 상승이 많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큰엉겅퀴순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엉겅퀴(Cirsiumjaponicum var. ussuriense)는 국화과 (composit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한방에서는 지상부 또는 지하부(뿌리)를 대계라하여 약용으로 활용해왔다. 현재 한국산 엉겅퀴들 중에서 Cirsium 속에 속하는 것들로는 Cirsium japonicum(엉겅퀴)을 비롯하여 C.pendulum(큰엉겅퀴), C. setidens(고려엉겅퀴), C. rhinoceros(바늘엉겅퀴), C.schantarense(도깨비엉겅퀴), C. lineare(버들잎엉겅퀴), C. vlassovianum(흰잎엉겅퀴), C. nipponicum(물엉겅퀴)의 8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큰엉겅퀴(milk thistle, Silybum marianum)의 추출물이 여러 가지 약리 활성을 가진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큰 엉겅퀴에서 실리마린(silymarin)이라는 물질이 발견이 되었는데, 이 물질이 항암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항산화 활성 및 당뇨증상 완화, 방사선 및 자외선에 의한 손상까지도 완화시켜 주는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에 5 내지 20중량%의 큰엉겅퀴순 추출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큰엉겅퀴순 추출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간 해독 기능이 약해 숙취해소 효과가 약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큰엉겅퀴순 추출물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추가적인 포함에 따른 효과 상승이 많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감초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감초(甘草, Glycyrrhizae Radix)는 이미 한약재료로서 익히 알려져 널리 사용되는 유용한 식물로서, 트리터펜(triterpene)계 사포닌, 글리시리진(glycyrrhizin), 리퀴리틴(Liquirition), 아스파라긴(Asparagin), 굴루타민산(Glutamic acid), 포도당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산의 2-글루큐론(glucuron)산 배당체로 감초의 감미 성분인 글리시리진은 약물중독, 식물중독, 체내 대사물의 중독뿐만 아니라 세균 소독 등에 대한 다양한 해독 작용이 있어 간에서의 해독작용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은 추출물 전체 중량대비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중량%의 감초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계피가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계피가지의 대표적인 약효는 항균효과이다. 계피에 든 향기 성분이 마치 항생제처럼 해로운 세균을 죽인다. 곰팡이를 없애는 효과도 알려져 있다. 가장 위험한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간암 유발)이 계피나 건포도가 든 빵엔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위산 과다로 속이 쓰리거나 흥분한 마음을 가라앉힐 때도 계피. 생강차를 마시는 것이 좋다. 손발이나 속이 차서 소화가 안 되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된다. 상기 한방 추출물은 추출물 전체 중량대비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중량%의 계피가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한방 추출물은 생강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뿌리채소로써, 고온에서도 잘 자라는 특징을 지닌다. 특히 한방에서 뿌리줄기 말린 것을 약재로 사용되는데, 위액분비를 촉진하고 소화력을 증진시키는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나 복만에 효과가 있다. 상기 한방 추출물은 추출물 전체 중량대비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중량%의 생강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청포도 농축액을 포함한다. 청포도는 구연산과 유기산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에 효과적이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중량%의 청포도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블루베리 농축액을 포함한다. 블루베리는 진달래과 산앵두나무(Vaccinium)속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활엽 또는 상록성 과수로서 대부분 키가 낮게 자라는 관목형이나 일부 품종은 성목으로 성장시 수고가 5m에 달하기도 한다. 이 속에 속하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나무로는 들쭉나무, 산앵두나무, 월귤, 정금나무 등이 있다. 현재 재배되고 있는 블루베리는 1900년대 초반 미국 농무성에서 북미에 자생하고 있는 야생종을 개량하여 우량품종을 육성한 것으로 푸른 열매가 아름답고 맛이 좋아서 '블루베리'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20세기 초 미국에서는 국가적 사업으로 블루베리의 품종개량과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관련 가공산업이 발전한 큰 계기가 되었다. 블루베리는 뉴욕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 푸드 중 하나로,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블루베리 종은 주로 하이부시 블루베리(V. corymbosum), 로우부시(V. angustifolium), 레빗아이 블루베리(V. ashei)이다. 블루베리가 함유하고 있는 안토시안, 플라보노이드, 라이코펜은 항산화능, 시력강화, 면역시스템증진 및 뇌졸중 방지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중량%의 블루베리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배 농축액을 포함한다. 상기 배는 전국 각지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배나무는 높이가 6~7m쯤 자라는데, 잎은 뾰족하게 빛나며 잔 톱니가 있는 난형이다. 열매는 조금 시나 맛이 달고 수분이 많으며, 색깔은 엷은 황갈색, 엷은 노란색, 엷은 녹색 등이 있다. 민간의약에서 배는 기침약으로 주로 쓰이고, 배에는 고기 요리의 자극을 완화하고 소화를 돕는 효소가 있어, 예로부터 고기 요리를 많이 먹는 나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소갈(消渴)에는 배즙을 꿀에 달여 병에 넣어 두고 수시로 뜨거운 물이나 냉수에 타서 마시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의 배 농축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올리고당을 포함한다. 상기 올리고당은 숙취 해소용 조성물에 감미료로 포함되는 것으로, 업계에서 사용하는 올리고당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소말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대두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 프락토올리고당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5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의 올리고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정제염수, 합성향료 및 비타민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0.1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타 첨가제는 첨가제 전체 중량대비 40중량%의 정제염수, 40중량%의 합성향료(베리향) 및 20중량%의 비타민C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물에 희석시켜 복용할 수 있는 액상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 제형의 숙취 해소용 조성물 100mg을 물 200ml와 혼합한 후 복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수 200ml에 혼합한 후 액상 차 형태로 복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기호에 따라 복용 방법은 변경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보관 및 복용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직사광선을 피하고 0 내지 4℃의 저온에서 보관한 후, 온수에 희석시켜 복용하는 것이 조성물의 변질을 막고 소화 촉진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지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의 제조
먼저, 상기 표 1의 조성비를 가지도록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열매, 감귤껍질, 울금덩이뿌리, 큰엉겅퀴순, 감초, 계피가지, 생강을 혼합하여 혼합 후, 고압의 추출기를 이용하여 한방 추출물 25mg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제조된 한방 추출물 25mg을 하기 표 2의 조성과 같이 한방추출물, 청포도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배 농축액, 프락토올리고당과 혼합하여 숙취 해소용 조성물 100mg(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또한,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고, 청포도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배 농축액, 프락토올리고당과 혼합하여 숙취 해소용 조성물 75mg(비교예 1)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소화기능 개선 효과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의 조성물을 물 200ml와 혼합하여, 액상차 형태의 숙취 해소제를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상기 액상의 조성물을 물 150ml와 혼합하여, 액상차 형태의 숙취 해소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숙취 해소제를 사용하여, 숙취로 불편함을 겪는 20~50대 20명을 대상으로 숙취제거 개선 효과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 표본 집단인 상기 20명은 음주(시판되는 소주 1병 섭취) 후 12시간 후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상기 액상차 형태의 숙취 해소제를 1회 복용하였으며 복용 후 3시간 뒤, 숙취 증상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는 5점을 기준으로 매우 나빠짐(1점), 조금 나빠짐(2점), 보통(3점), 조금 좋아짐(4점), 매우 좋아짐(5점)으로 점수를 매기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을 복용한 표본 집단의 85% 이상에서 숙취의 불편함이 개선된 것에 반하여,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숙취 해소제를 섭취한 표본 집단의 25%만이 숙취의 불편함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6)
- 한방 추출물, 청포도 농축액, 블루베리 농축액, 배 농축액 및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추출물은 산겨릅나무, 헛개나무열매, 감귤껍질, 울금덩이뿌리, 큰엉겅퀴순, 감초, 계피가지 및 생강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정제염수, 합성향료 및 비타민C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40중량%의 한방 추출물,
1 내지 10중량%의 청포도 농축액,
1 내지 10중량%의 블루베리 농축액,
10 내지 50중량%의 배 농축액 및
10 내지 50중량%의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 추출물은 추출물 전체 중량대비
10 내지 50중량%의 산겨릅나무 추출물,
10 내지 40중량%의 헛개나무열매 추출물,
10 내지 25중량%의 감귤껍질 추출물,
5 내지 20중량%의 울금덩이뿌리 추출물,
5 내지 20중량%의 큰엉겅퀴순 추출물,
0.1 내지 5중량%의 감초 추출물,
0.1 내지 5중량%의 계피가지 추출물 및
0.1 내지 5중량%의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 해소용 조성물은 물에 희석시켜 복용할 수 있는 액상 제형인, 숙취 해소용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034A KR20200142768A (ko) | 2019-06-13 | 2019-06-13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0034A KR20200142768A (ko) | 2019-06-13 | 2019-06-13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2768A true KR20200142768A (ko) | 2020-12-23 |
Family
ID=7408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0034A KR20200142768A (ko) | 2019-06-13 | 2019-06-13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4276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7742A (ko) | 2021-02-17 | 2022-08-24 | 주식회사 피코엔텍 |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1168B1 (ko) | 1996-11-07 | 1999-02-01 | 남종현 |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
-
2019
- 2019-06-13 KR KR1020190070034A patent/KR20200142768A/ko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81168B1 (ko) | 1996-11-07 | 1999-02-01 | 남종현 |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7742A (ko) | 2021-02-17 | 2022-08-24 | 주식회사 피코엔텍 | 글루타치온과 알데히드탈수소효소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00344B1 (ko) |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차의 제조방법 | |
KR102136052B1 (ko)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
Sandeep et al. | Moringa for nutritional security (Moringa oleifera Lam.) | |
US8637098B2 (en) | Natural plant extract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recovery of hyperlipidemia and stroke, natural tea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natural tea | |
KR101817055B1 (ko) | 항산화 및 면역기능 증진 활성을 갖는 덖음차 조성물 | |
KR101312491B1 (ko) |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음료의 제조방법 | |
KR100552398B1 (ko) |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 |
KR20220059078A (ko) | 식품첨가제 | |
KR20090098024A (ko) | 약주의 제조방법 | |
Rehman et al. | Commercial importance, medicinal value and therapeutic potentials of chaff flower (Achyranthes aspera)–a review | |
KR101961356B1 (ko) |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68612B1 (ko) |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 |
CN114631632B (zh) |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 |
KR20200142768A (ko)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
KR102309486B1 (ko) | 여주 및 뽕잎을 포함하는 당뇨병, 고혈압 예방 및 개선 작용 기능성 차의 제조방법 | |
Roy et al. |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 |
Ashok et al. | Underutilized leafy vegetables of India and their pharmaceutical value to provoke human immune system | |
KR102136053B1 (ko)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
KR101375347B1 (ko) |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 |
KR102050554B1 (ko) |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450640B1 (ko) | 기능성 원료를 첨가한 비트 주스의 제조 방법 | |
Singh et al. | VALUE ADDITION TO FOREST PRODUCE FOR NUTRITION AND LIVELIHOOD. | |
KR20150104406A (ko) | 기능성분 함량 증진 효과가 있는 가시오가피 줄기 추출 방법 및 조성물 | |
KR100665696B1 (ko) | 제주조릿대 잎추출액을 이용한 혼합음료 | |
KR20030079289A (ko) |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