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554B1 -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554B1
KR102050554B1 KR1020180039389A KR20180039389A KR102050554B1 KR 102050554 B1 KR102050554 B1 KR 102050554B1 KR 1020180039389 A KR1020180039389 A KR 1020180039389A KR 20180039389 A KR20180039389 A KR 20180039389A KR 102050554 B1 KR102050554 B1 KR 102050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ngover
fruit
liquid tea
tea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6003A (ko
Inventor
이형동
Original Assignee
(주)퓨어마인드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퓨어마인드컴퍼니 filed Critical (주)퓨어마인드컴퍼니
Priority to KR1020180039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55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6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Abstract

본 발명의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혼합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빠르고 우수하며, 숙취해소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원재료의 이취가 적고 향미가 증진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HANGOVER TREAT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성 원료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기호성 식품으로는 대표적으로 침출차, 추출차, 과실차 등을 포함하는 다류를 예로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침출차는 식용이 가능한 식물의 잎, 꽃, 줄기, 열매 등을 원료로 가공한 것으로, 물에 식물 원료를 침출하여 고유의 맛과 향이 우러나도록 한다. 또한, 추출차는 식용이 가능한 식물을 착즙하거나 추출한 추출물을 분말, 과립, 시럽 등으로 가공하고, 이를 음식이나 음료 등에 첨가하여 고유의 맛과 향을 음식 또는 음료에 부여한다.
이러한 다류는 기호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널리 이용되나, 식품이 포함하고 있는 성분을 통해 신체의 육체적, 생리적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건강보조식품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액상차로는 숙취해소용 액상차를 예시할 수 있다.
숙취는 에탄올을 포함하는 음료의 섭취 시 신체 대사 작용에 의해 에탄올이 분해되어 생성된 아세트 알데히드에 의해 구토, 멀미, 두통, 식용부진, 전신 피로감 등이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현대인은 과도한 스트레스 또는 업무상의 이유로 불가피한 음주를 하게되는 경우가 잦으나, 바쁜 생활상으로 인해 신체를 충분히 휴식하거나 숙취가 자연해소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다.
또한, 종래의 숙취해소용 음료의 경우 유효 성분의 함량이 매우 낮아 단시간내에 효과가 발현되지 않거나, 약재에 의한 이취가 사용자의 제품 선호도를 낮추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첨가물을 다량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오히려 혈당 농도를 급격히 상승시키고 과량 복용 시 성인병 유발에 일조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품 첨가물을 함유하지 않으면서도, 음주에 의한 혈중 알코올 농도를 빠른 시간 내에 저감시키고 숙취를 해소하며, 체력을 회복시키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개발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빠르고 우수하며, 숙취해소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원재료의 이취가 적고 향미가 증진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재료의 이취를 저감하고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효성 보존의 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혼합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혼합물에 100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의 음용수를 첨가하고, 축출기에서 물과 함께 3 내지 5시간 동안 중탕하여 열수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20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10 내지 35 중량%, 갈근 10 내지 30 중량%, 육계 1 내지 10 중량%, 두충 1 내지 10 중량%, 감초 1 내지 10 중량% 및 오매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35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28 내지 33 중량%, 갈근 10 내지 14 중량%, 육계 3 내지 8 중량%, 두충 2 내지 7 중량%, 감초 3 내지 7 중량% 및 오매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 및 대추, 갈대뿌리줄기, 칡꽃봉오리, 구기자나무 열매, 생강, 국화 및 배초향잎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빠르고 우수하며, 숙취해소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원재료의 이취가 적고 향미가 증진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유효성 보존의 효과가 우수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군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대조군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피험자 1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피험자 2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피험자 3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피험자 4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피험자 6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피험자 6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혼합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빠르고 우수하며, 숙취해소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원재료의 이취가 적고 향미가 증진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 추출물이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들을 각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하게 우수한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 강하 효과가 있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감나무 열매는 감의 한 종류인 반시를 조각내어 건조시킨 곶감, 감말랭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곶감 또는 감말랭이를 사용하는 경우, 비건조 상태의 감나무 열매 보다 맛이 부드럽고 영양소의 손실률이 적어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자연스러운 단맛을 부여하면서도 숙취해소에 유용한 유효 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감나무 열매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 인체 내의 알코올을 체외로 단시간 내에 배출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비타민 C, 비타민 A 등을 포함하고 있어 항산화성을 높이고 및 생리 활성을 촉진 시키며, 탄닌 및 펙틴 등의 유효 성분 함량을 높여 장에서 알코올 흡수를 방해하며, 카탈라제 등의 효소를 통해 알코올의 산화를 향상시켜 알코올 농도를 더욱 빠르게 낮출 수 있다.
상기 주재료 혼합물 중 감나무 열매는 20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 35 내지 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 인체 내의 알코올을 체외로 단시간 내에 배출시키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헛개나무 열매는 헛개나무의 열매자루가 달린 열매 또는 씨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헛개나무 열매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단맛을 증진시키며, 숙취해소 및 간 기능 보호에 유용한 유효 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헛개나무 열매는 암페롭신(ampelopsin), 호베니틴(hovenitin), 사포닌, 글리코시드 등을 포함하고 있어 신진대사,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을 촉진하여 숙취 증상을 단시간 내에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 혼합물 중 헛개나무 열매는 10 내지 35 중량%, 구체적으로 28 내지 33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을 촉진하여 숙취 증상을 단시간 내에 해소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갈근은 칡 Pueraria lobata Ohwi (콩과 Leguminos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갈근은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효과, 인체 내의 알코올을 체외로 단시간 내에 배출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푸에라린 및 다이드진 등을 포함하고 있어 항산화성을 높이고 및 생리 활성을 촉진 시키며, 알코올성 간독성에 의한 간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고, 알코올의 산화를 향상시켜 체내 알코올 농도를 더욱 빠르게 낮출 수 있다.
상기 주재료 혼합물 중 갈근은 10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14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체내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저감하며,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을 촉진하여 숙취 증상을 단시간 내에 해소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육계는 Cinnamomum cassia Presl (녹나무과 Lauraceae)의 줄기껍질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약간 제거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육계는 방향성 향신료로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향미를 증진시키고, 다른 성분들로부터 유래되는 이취를 효과적으로 은폐하면서도 숙취를 해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육계는 다양한 종류의 신남산, 정유성분, 방향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숙취에 의해 분산된 집중력을 향상시키며, 갈증을 해소하고,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등의 숙취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주재료 혼합물 중 육계는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3 내지 8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체내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저감하며, 다른 성분들로부터 유래되는 이취를 효과적으로 은폐하면서도 향미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두충은 Eucommia ulmoides Oliver (두충과 Eucommiaceae)의 줄기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두충은 음주 후 체내의 이뇨 작용 및 신경 진정 작용을 높여 숙취를 해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두충은 피노레시놀디글루코시드 등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체내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향상시키고, 숙취 유발 물질의 배출 속도를 높이며,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등의 숙취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주재료 혼합물 중 두충은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2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체내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 및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더욱 빠른 속도로 저감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감초는 감초(Glycyrrhizae Radix et Rhizoma)의 뿌리 및 뿌리 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감초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단맛을 부여하고, 다량의 전분립을 포함하여 다른 성분들과의 맛의 조화를 향상시키며, 향미를 증진시키고, 숙취를 해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상기 감초는 글리시리진산, 리퀴리티게닌, 시스테인, 글리신 등을 다량으로 함유하여 알코올의 분해 속도를 높이고, 간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숙취 증상을 해소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혼합물 중 감초는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3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단맛을 부여하고, 다른 성분들과의 맛의 조화를 향상시키며, 향미를 증진시키고, 숙취를 해소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오매는 매실나무 Prunus mume Siebold et Zuccarini (장미과 Rosaceae)의 덜 익은 열매로 서 연기를 쪼인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오매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단맛을 증진시키며, 숙취해소 및 간 기능 보호에 유용한 유효 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매는 시트르산, 말레산 등의 유기산 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신진대사 향상, 항산화,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을 촉진하여 숙취 증상을 단시간 내에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주재료 혼합물 중 오매는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 3 내지 7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알코올 분해 작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을 촉진하여 숙취 증상을 단시간 내에 해소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20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10 내지 35 중량%, 갈근 10 내지 30 중량%, 육계 1 내지 10 중량%, 두충 1 내지 10 중량%, 감초 1 내지 10 중량% 및 오매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35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28 내지 33 중량%, 갈근 10 내지 14 중량%, 육계 3 내지 8 중량%, 두충 2 내지 7 중량%, 감초 3 내지 7 중량% 및 오매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음주 후 혈중 알콜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빠르고 우수하며, 아세트 알데히드의 체내 배출속도를 높일 수 있어, 숙취해소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원재료의 이취가 적고 향미가 증진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과 함께 대추, 갈대뿌리줄기, 칡꽃봉오리, 구기자나무 열매, 생강, 국화 및 배초향잎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용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첨가용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3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이취를 저감하고, 향미를 증진시키면서도, 숙취해소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대추는 대추 나무 열매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대추는 프룩토오스(D-Fructose), 글루코스(D-Glucose), 수크로스(Sucrose), 대추당(zizyphoside, Jujuboside B) 등을 함유하고 있어,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자연스러운 단맛을 부여하면서도 프롤린 및 유기산 등과 같이 숙취해소에 유용한 유효 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추는 사포닌계 성분(Zizyphussaponin I, II, III), 루틴(Rutin), 스코폴레틴(Scopoletin), 비타민 A, C, 티아민(thiamine), 리보플라빈(riboflavin), 나이아신(niacin) 등을 포함하고 있어 신진대사 및 이뇨작용을 활성화하고, 진정 효과를 부여하고, 혈압강하 등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체내 알코올 분해를 촉진하고, 숙취로 인한 신경 흥분, 두통, 고혈압 등의 증상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대추는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신진대사 및 이뇨작용을 활성화하고, 체내 알코올 분해를 촉진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갈대뿌리줄기는 갈대(Phragmites communis Trinius)의 뿌리줄기이다. 이러한 갈대 뿌리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시원한 단맛을 부여하면서도 이취를 저감하고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갈대뿌리줄기는 아스파라긴산, 파라규마틴산 등을 포함하고 있어 갈증을 해소시키고, 이뇨 작용을 촉진하며, 식욕 부진, 구토감 등과 같은 숙취 증상을 빠른 시간 내에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갈대뿌리줄기는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숙취해소의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이취를 저감하고 향미를 증진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칡꽃봉오리는 칡(Pueraria lobata Ohwi)의 꽃봉오리 또는 막 피기 시작한 꽃이다. 이러한 칡꽃봉오리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향미를 부여하고, 단맛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칡꽃봉오리는 생약으로서 소화기관를 튼튼하게 해주고, 갈증을 해소하며, 소화불량, 식욕부진을 개선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트림,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등의 숙취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칡꽃봉오리는 10 내지 30 중량부, 예를 들면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음주로 인한 갈증과 숙취를 해소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구기자나무열매는 구기자 나무의 열매이다. 이러한 구기자나무열매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단맛과 신맛을 부여하여 향미를 증진시키면서도 숙취해소에 유용한 유효 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기자나무열매는 단백질, 칼슘, 철분, 루틴, 비타민 등을 다향으로 포함하고 있어 간 기능을 보호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약리작용으로 비특이성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등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기자나무열매는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향미를 증진시키면서도 숙취해소를 높이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생강은 생강과(Zingiberaceae) 식물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뿌리줄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생강은 파르네솔(Farnesol), 시네올(Cineole), 진지베렌(Zingiberene), 진지베롤(Zingiberol), 진저론(Gingerone), 쇼가올(Shogaol) 등의 유효 성분을 공급하여 항염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강은 신진대사 및 이뇨작용을 활성화하고(방향성건위), 위장 내 유해한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하고, 상기 유효 성분들에 의한 숙취해소 효과 및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구현하면서도, 생강 특유의 청량한 향미를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생강은 1 내지 1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숙취해소 효과 및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국화는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uelle)의 전초 또는 꽃이다. 이러한 국화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단맛을 부여하고, 향미를 증진시키고, 숙취를 해소한다.
또한, 상기 국화는 비타민 A, 비타민 B군, 콜린, 스타키드린, 아데닌 등의 성분을 다량으로 포함하여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을 증진시키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대사 속도를 높여 숙취 해소 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국화는 0.1 내지 1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을 증진시키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숙취 해소 효과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배초향잎은 배초향(Agastache rugosa (Fischer et Meyer) O. Kuntze)의 지상부 잎사귀이다. 이러한 배초향잎은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특유한 향기를 부여하여 향미를 증진시키고, 시원하고 담담한 맛을 부여하여 메스꺼움을 해소하고 숙취 증상을 개선한다.
또한, 상기 배초향 잎은 아가스타코사이드 (agastachoside) 및 아카세틴(acacetin), 티리아닌(tirianin), 노테르펜(monoterpene),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등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어, 숙취 증상의 해소, 인체 내 알코올 농도의 감소, 아세트 알데히드의 배출 속도 증진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배초향잎은 0.1 내지 1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액상차 조성물에 특유한 향기를 부여하여 향미를 증진시키고, 시원하고 담담한 맛을 부여하여 메스꺼움을 해소하고 숙취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혼합물에 100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의 음용수를 첨가하고, 축출기에서 물과 함께 3 내지 5시간 동안 중탕하여 열수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원재료의 이취를 저감하고 향미를 증진시킬 수 있으면서도 유효성 보존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구현한다.
상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제조에 앞서 상기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각각의 원료를 선별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원료의 선별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한 부분을 제거하고, 추출물 제조에 사용하지 않는 부위를 제거하여 계량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원료는 수분을 포함하는 생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수분을 제거한 건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각각의 원료로 생물을 사용하는 경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유효 성분 및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높이는 효과가 우수하고, 상기 각각의 원료로 건조물을 사용하는 경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의 유효 성분 균일성을 제어하기에 더욱 유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20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10 내지 35 중량%, 갈근 10 내지 30 중량%, 육계 1 내지 10 중량%, 두충 1 내지 10 중량%, 감초 1 내지 10 중량% 및 오매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35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28 내지 33 중량%, 갈근 10 내지 14 중량%, 육계 3 내지 8 중량%, 두충 2 내지 7 중량%, 감초 3 내지 7 중량% 및 오매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38.3 중량%, 헛개나무 열매 30.7 중량%, 갈근 11.5 중량%, 육계 5.7 중량%, 두충 4.6 중량%, 감초 4.6 중량% 및 오매 4.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주재료 혼합물에 10배 중량의 식용수를 투입한 후 4시간 동안 중탕 및 열수 추출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음주자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 및 대추, 갈대뿌리줄기, 칡꽃봉오리, 구기자나무 열매, 생강, 국화 및 배초향잎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용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각각의 주재료 원료 및 첨가용 추출물 원료들의 구체적인 함량 및 효과는 전술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제조 방법에서 상기 열수 추출 시 물(음용수)은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로 투입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과도한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해 불필요한 공정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 방법 상의 이점이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을 수행하는 시간은 3 내지 5 시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 내에서, 불필요한 공정 에너지의 소모를 방지하면서도 유효 성분의 추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 방법 상의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중탕에 의해 열수 추출되어 제조된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유효 성분의 함량이 균일해지도록 여과 및 농축되어 용기 내에 충진된 후 최종 제품으로 출고될 수 있다.
이때, 여과 및 농축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형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체 또는 필터를 통해 여과한 후 액상 추출물만을 분리하여 감압 농축 후 적정량을 용기에 충진하거나, 또는 분리된 액상 추출물을 완전 건조 시킨 후 이를 다시 유효 성분의 함량에 맞추어 음용수에 용해 시킨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을 용기에 충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의 원료 건조물 각각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선별한 후, 세척하였다.
상기와 같이 선별 및 세척된 원료를 감나무 열매 38.3 중량%, 헛개나무 열매 30.7 중량%, 갈근 11.5 중량%, 육계 5.7 중량%, 두충 4.6 중량%, 감초 4.6 중량%, 오매 4.6 중량%의 함량으로 계량하여 준비한 혼합물을 축출기에 투입하고, 상기 혼합물 중량의 10배의 식용수를 투입한 후 4시간 동안 중탕하여 열수 추출하는 방법으로 액상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조성비를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감나무 열매 38.3 30.7 11.5 11.5
헛개나무 열매 30.7 11.5 38.3 5.7
갈근 11.5 38.3 30.7 38.3
육계 5.7 5.7 5.7 4.6
두충 4.6 4.6 4.6 30.7
감초 4.6 4.6 4.6 4.6
오매 4.6 4.6 4.6 4.6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액상차 조성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효능 평가 방법
건강한 20대에서 50대로 연령대가 다양한 성인남녀 6명을 피험자로 알코올 분해 효능 평가 시험을 하였다. 피험자는 사전 문진표를 통해 하기 피험자 선정 기준에 따라 시험전 5일 이내에 과도한 음주를 하지 않고, 다른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사람으로 선정하였다. 동일인의 인체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료를 변경하여 동일 피험자에게 수행하는 경우, 각 시험은 한달 이상의 간격을 두고 수행하였다.
* 피험자 선정 기준 :
- 만 20 ~ 만 50세
- 내과적인 진찰결과 병적 증상과 선천성, 만성질환이 없고 또는 소견이 없는 자
-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자
- 활력징후가 기준범위 안에 속하는 자
- 동의서에 자의로 서명한 자
* 피험자 제외 기준 :
- 시험시작 일주일 이내에 시험 결과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만큼의 과음를 한 사람
- 최근 6개월 이내에 위궤양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거나, 위궤양 치료약을 복용중인 사람
- 과거에 췌장염, 통풍, 위장관 수술 등을 한 적이 있는 사람
- B형, C형 간염환자 또는 보균자
- 기타 알코올대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사람 등 피험자로 부적절하다고 주치의가 판단한 사람
- 복출혈의 위험이 있는 아스피린 등의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
- 음주 후 심장질환증상이나 부작용을 심하게 경험한 사람 중 피험자로 부적절하다고 주치의가 판단한 사람
- 시험시작 한달 이내에 바르비탈류 약물 등의 약물대사효소 유도 억제약물의 복용을 한 사람
시험에 참여한 피험자의 정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연령 몸무게 신장 성별 특이병력
피험자 1 43 65 167 없음
피험자 2 41 66 165 없음
피험자 3 36 72 173 없음
피험자 4 38 72 173 없음
피험자 5 47 52 168 없음
피험자 6 49 82 175 없음
1)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 실험군 :
시험 시작에서 종료까지 물 및 기타 음료를 섭취하지 않았다. 시험 시작 전에 피험자에게 동일한 식사를 제공한 후, 30분 후에 시험을 개시하였다. 각 피험자는 시험 개시 후 60분 동안에 대상 시료(실시예 1)를 110ml 섭취하고, 금복주 360㎖(알콜도수 16.9도, 제품명: 참소주) 1병과 안주 30g(제품명: 새우깡)을 섭취하였다. 이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피험자로부터 채혈을 수행하고,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방식(gas chromatography)으로 측정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삼광에 의뢰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 대조군 :
상기 실험군 시험이 완료된 36일 경과 후, 대상 시료(실시예 1) 대신 동량의 정제수를 섭취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험군 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조군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는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를 위해 각각의 채혈 시 활력 징후를 함께 분석하였으며, 활력 징후 분석 결과를 통해 각 피험자별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험 수행 시 인체의 활력 수준이 큰 차이 없이 유사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2) 호기중 알코올 농도 측정
시험 시작에서 종료까지 물 및 기타 음료를 섭취하지 않았다. 시험 시작 전에 피험자에게 동일한 식사를 제공한 후, 30분 후에 시험을 개시하였다. 각 피험자는 시험 개시 후 60분 동안에 각각 정제수(대조군), 대상 시료(실시예 1 내지 4 중 어느 하나)를 110ml 섭취하고, 금복주 360㎖(알콜도수 16.9도, 제품명: 참소주) 1병과 안주 30g(제품명: 새우깡)을 섭취하였다. 이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피험자로부터 채혈을 수행하고, 이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호기중 알코올 농도는 시중에 판매하는 휴대용 음주측정기(카시오, CA2000)를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5 내지 표 10에 나타내었다. 또한, 표 5 내지 10의 시험 결과를 각각 그래프로 변환하여 도 3 내지 8에 나타내었다.
평가 결과
1) 혈중 알코올 농도 평가 결과
실험군
(mg/dL)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피험자 1 0.7 94.4 80.7 59.9 42.8 30.2
피험자 2 0.3 66.8 49.8 33.7 16.9 6.0
피험자 3 0.2 72.3 62.9 48.0 33.5 19.9
피험자 4 0.1 45.0 35.3 16.2 2.0 0.1
피험자 5 0.1 114.9 89.4 65.6 44.6 24.2
피험자 6 0.1 47.1 40.6 32.4 14.1 2.5
대조군
(mg/dL)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피험자 1 0.1 126.3 112.6 98.8 81.5 71.1
피험자 2 0.1 56.3 48.2 39.4 26.8 15.6
피험자 3 0.1 84.7 74.1 57.0 44.1 34.5
피험자 4 0.1 42.2 52.2 43.3 30.1 19.1
피험자 5 0.1 134.4 109.1 89.7 72.0 61.4
피험자 6 0.1 45.9 34.4 22.9 6.0 3.5
상기 표 3 및 4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 실시예 1의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을 음주 시 섭취하는 경우에서 섭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피험자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호기중 알코올 농도 평가 결과
피험자 1  (단위: %)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대조군 0.000 0.100 0.096 0.072 0.059 0.048
실시예 1 0.000 0.091 0.079 0.051 0.039 0.028
실시예 2 0.000 0.098 0.092 0.066 0.052 0.033
실시예 3 0.000 0.095 0.085 0.061 0.055 0.037
실시예 4 0.000 0.094 0.081 0.055 0.047 0.041
피험자 2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대조군 0.000 0.091 0.077 0.059 0.052 0.046
실시예 1 0.000 0.078 0.052 0.031 0.023 0.014
실시예 2 0.000 0.088 0.070 0.040 0.039 0.031
실시예 3 0.000 0.089 0.075 0.062 0.031 0.020
실시예 4 0.000 0.090 0.074 0.052 0.044 0.030
피험자 3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대조군 0.000 0.086 0.074 0.060 0.052 0.036
실시예 1 0.000 0.070 0.063 0.041 0.030 0.019
실시예 2 0.000 0.077 0.070 0.055 0.043 0.027
실시예 3 0.000 0.080 0.066 0.049 0.039 0.029
실시예 4 0.000 0.075 0.067 0.054 0.041 0.038
피험자 4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대조군 0.000 0.056 0.051 0.042 0.030 0.018
실시예 1 0.000 0.044 0.032 0.018 0.012 0.002
실시예 2 0.000 0.051 0.039 0.030 0.021 0.011
실시예 3 0.000 0.047 0.037 0.032 0.028 0.019
실시예 4 0.000 0.049 0.041 0.033 0.021 0.009
피험자 5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대조군 0.000 0.124 0.099 0.084 0.075 0.066
실시예 1 0.000 0.110 0.080 0.058 0.043 0.028
실시예 2 0.000 0.123 0.091 0.080 0.072 0.061
실시예 3 0.000 0.119 0.097 0.075 0.061 0.052
실시예 4 0.000 0.121 0.085 0.069 0.056 0.032
피험자 6   음주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대조군 0.000 0.060 0.043 0.031 0.025 0.015
실시예 1 0.000 0.048 0.038 0.028 0.018 0.008
실시예 2 0.000 0.054 0.044 0.030 0.021 0.016
실시예 3 0.000 0.057 0.040 0.029 0.020 0.013
실시예 4 0.000 0.058 0.042 0.031 0.022 0.010
상기 표 5 내지 10의 결과를 통해, 본 발명 실시예 1 내지 4의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을 음주 시 섭취하는 경우에서 섭취하지 않는 경우(대조군)에 비해 피험자의 호기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포함 성분의 함량이 적정 범위 내인 실시예 1의 경우, 실시예 2 내지 4에 비해 더욱 우수한 호기중 알코올 농도 저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혼합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고,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35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28 내지 33 중량%, 갈근 10 내지 14 중량%, 육계 3 내지 8 중량%, 두충 2 내지 7 중량%, 감초 3 내지 7 중량% 및 오매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은 상기 복합 추출물; 및
    대추, 갈대뿌리줄기, 칡꽃봉오리, 구기자나무 열매, 생강, 국화 및 배초향잎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첨가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인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5. 감나무 열매, 헛개나무 열매, 갈근, 육계, 두충, 감초 및 오매를 포함하는 주재료 혼합물에, 상기 주재료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0 중량부 내지 1,000 중량부의 음용수를 첨가하고, 축출기에서 물과 함께 3 내지 5시간 동안 중탕하여 열수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주재료 혼합물은 감나무 열매 35 내지 40 중량%, 헛개나무 열매 28 내지 33 중량%, 갈근 10 내지 14 중량%, 육계 3 내지 8 중량%, 두충 2 내지 7 중량%, 감초 3 내지 7 중량% 및 오매 3 내지 7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9389A 2018-04-04 2018-04-04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50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89A KR102050554B1 (ko) 2018-04-04 2018-04-04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389A KR102050554B1 (ko) 2018-04-04 2018-04-04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03A KR20190116003A (ko) 2019-10-14
KR102050554B1 true KR102050554B1 (ko) 2019-12-03

Family

ID=6817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389A KR102050554B1 (ko) 2018-04-04 2018-04-04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1480A (zh) * 2022-06-22 2022-10-21 嘉应学院 一种复配茶固体饮料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652A (ko) * 2002-08-13 2004-02-19 배명근 력계탕용 액기스 제조방법
KR100670155B1 (ko) * 2004-02-19 2007-01-16 전라남도 복방차료제를 함유하는 숙취완화용 드링크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
KR101001213B1 (ko) * 2008-04-15 2010-12-15 김부곤 숙취 제거용 음료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003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0372561B1 (ko) 천연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274254B1 (ko) 황토지장수를 이용한 삼계탕용 육수 및 삼계탕의 제조방법
KR101856297B1 (ko) 애완동물용 한방약초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689652B1 (ko) 저장안정성이 우수한 음료 제조방법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JP2006296324A (ja) 黒酢入りハーブエキス健康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1122586B1 (ko) 전복 동결건조 육을 함유한 숙취해소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7618A (ko) 한방 홍시 젤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70507B1 (ko) 흑삼 삼계탕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 삼계탕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0883307B1 (ko)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337472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엑기스를 함유한 건강식품음료조성물
KR102238009B1 (ko) 노니가 함유된 홍삼 가공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200101169A (ko) 잣송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제조 방법
CN105380267B (zh) 一种功能食品及其制备方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