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3188B1 -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3188B1
KR101433188B1 KR1020130098759A KR20130098759A KR101433188B1 KR 101433188 B1 KR101433188 B1 KR 101433188B1 KR 1020130098759 A KR1020130098759 A KR 1020130098759A KR 20130098759 A KR20130098759 A KR 20130098759A KR 101433188 B1 KR101433188 B1 KR 10143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itamin
hangover
drin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교철
성현제
이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신약바이오
이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75111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331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신약바이오, 이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신약바이오
Priority to KR102013009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Abstract

본 발명은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간 손상의 지표인 혈중 GOT 활성 증가를 감소시키며, 음주 후의 신경장애, 피부홍조, 불안감, 피로감, 기력상실, 하복부 불쾌감, 창백함, 심장박동감 이상, 갈증 및 졸음 등의 정신적, 신체적 자각 증상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Description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For Relieving Alcohol-induced Hangover Comprising Starch, Amino Acids, Active Complex Vitamin And Oriental Herb Medicine material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국내의 알코올 섭취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더욱이 한국적인 음주문화로 인해 사회생활이 왕성한 현대인일수록 두통, 갈증, 전신 권태, 기억 상실, 복부 팽만감, 소화 불량,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 현상, 알코올성 간 손상, 간염바이러스 감염, 만성피로, 면역능력 저하 및 만성적 질환을 쉽게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알코올성 간질환 (간경변, 지방간, 간암 등)을 일으키거나, 락테이트 축적에 의한 피로 축적, 고혈당증(hyperglycemia), 알코올성 간염(alcoholic hepatitis), 기억력 감퇴, 집중력 감소, 감수성 저하 등의 여러 가지 병변 현상을 유발한다.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두통, 설사, 식욕부진, 오심, 구토, 오한, 식은땀을 뜻하며,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인식, 운동능력 저하, 혈액학적 변화 및 호르몬의 변화를 일컫는다. 숙취의 원인은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물(아세트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톤 등)의 독성, 흡수 장애에 의한 영양소 결핍(혈당, 비타민, 무기질 결핍)으로 알려져 있다. 음주 후 나타나는 숙취는 알코올 자체에 기인한 독성뿐만 아니라 알코올이 체내에서 대사 과정 중 인체에 해로운 물질로 전환되고 뇌와 간을 포함한 소화기관에 유해한 물질로 작용함으로 나타나는 증상이다. 숙취 정도는 유전에 따른 개인의 편차, 일반 상태(영양 상태, 운동 상태, 탈수 정도, 건강 상태)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매우 심하다.
음주 후 알코올은 식도 및 구강점막에서 소량 흡수되다가 약 10%는 위장에서 90%는 소장에서 흡수된다. 알코올은 3가지 경로를 통해 대사되는데, 에탄올의 농도가 낮을 때는 위장관 또는 간에 존재하는 알코올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와 아세트알데히드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 때는 소포체에 존재하는 마이크로좀 에탄올 산화체계(MEOS: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으로 대사되며, 이후 퍼옥시좀(peroxisome)에 존재하는 카탈라제(catalase)의 작용 등을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최종 분해된다. 적당량의 알코올이 유입되면 상기 기술한 대사 체계가 원활하게 작용하여 알코올 때문에 일어나는 제반 증상이 일어나지 않지만, 다량의 알코올 유입시 대사 체계의 균형이 파괴되어 생체 항상성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기관은 간인데, 장기적으로 지방간, 간경변증 등 여러 가지 간 기능 장애가 발생하고, 단기적으로는 두통 또는 두중감, 집중력 감퇴, 속 쓰림 및 소화 불량과 같은 숙취 증상이 초래된다.
숙취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는 대부분 동물 실험을 통해 이루어지고, 국외는 인체 시험 위주로 실질적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일본은 숙취 해소의 소재 개발을 중심으로, 미국과 유럽은 에탄올(메탄올)의 중독 증상, 독성 원인 물질 및 독성 기전 연구를 중심으로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특히, 에탄올의 체내 대사 결과 생성된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tetrahydroisoquinoline)이나 테트라하이드로-베타-카볼린(tetrahydro-β-carbolines)의 구조가 모르핀(morphine)과 유사하여 금단증상이 나타나므로 에탄올 의존증을 유도한다. 최근 들어서는 알코올(에탄올)에 소량 들어있는 메탄올의 대사 및 포름알데히드가 숙취의 원인으로 지적된 바 있으며, 알코올에 의한 숙취는 알코올대사체인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등에 의한다는 것이 다수 보고되면서 새로운 연구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Moser J, Bagchi D, Akubue PI, Stohs SJ.. Alcohol Alcohol. 28:287-295, 1993). 섭취한 알코올의 대부분은 산화되어 대사되므로, 대사되지 않고 배설되는 양은 섭취하는 양의 2%, 대량 섭취하는 경우라도 10% 미만에 불과하다. 따라서, 알코올에 의한 급성 독성은 에틸알코올,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톤 및 기타 알코올 대사 산물의 변형 생성 물질에 기인하므로,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것은 급성 중독 상태에 머무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실질적인 중요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숙취 제거와 관련하여, 천연 식품 또는 한약 재료로부터 추출한 성분을 함유한, 숙취해소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각종 제제 형태의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들이 개발되었다. 사용 원료로는 실크피브로인(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28740호), 오가피, 노근, 모과, 앵두, 저두강(등록특허 제0528388호), 약쑥, 구기자, 건강, 진피, 연근, 지구자, 상심자, 오미자(등록특허 제0512912호), 아스타잔틴, 아스파라긴산(등록특허 제0520985호), 감잎, 감(등록특허 제0504351호), 아스파라거스, 녹차, 양파, 매실(등록특허 제0496524호), 두릅(등록특허 제0462329호), 콩, 콩나물, 포도씨(등록특허 제455075호), 지구자 열매의 활성 성분 호베노둘리놀(등록특허 제0452128호), 무, 사철쑥, 칡, 감잎, 삼백초(등록특허 제0451013호), 데커시놀(등록특허 제 0448680호), 백모근, 오디, 토사자, 갈화, 창출, 복분자, 뱀딸기, 방가지풀, 길핵(등록특허 제0442771호), 솔잎(등록특허 제0412425호), 갈화, 큰엉겅퀴종자, 타우린, 울금(등록특허 제0392876호), 나린진, 나린게닌(등록특허 제0375047호) 등이 있다. 기타 출원된 특허에 사용된 원료로는 말굽버섯, 녹차카테킨, 오가피, 손바닥선인장(백련초), 천마, 노루궁댕이버섯, 초두구, 프로폴리스, 자화육각수, 매생이, 오수유 등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기 소재들을 사용하여 숙취해소용 음료, 식품, 껌 등이 개발되어 있긴 하지만 그 효과가 눈에 띄게 탁월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일부 생약제를 함유하는 드링크제는 전신 권태, 복부 팽만감, 구토 또는 복통 등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고, 고가의 생약제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정식 임상실험한 결과 그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거나, 일부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회복을 근원적으로 유도하지 못하는 등 문제점이 적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계속하던 중,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음주로 인한 숙취 증상 및 만성적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해서 매우 우수한 효능을 갖는,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의 해독을 도움으로써 숙취해소 효능이 극대화되고 간 기능 개선 효과 또한 향상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주로 인해 결핍된 인체의 영양성분을 보충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작용을 갖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기능 건강과 건강보양 기능을 지닌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아미노산(Amino acid), 활성종합비타민(Active Complex Vitamin) 및 한방생약재(Oriental Herb Medicine material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키토 올리고당(Chito oligosaccharide) 0.25 내지 1 중량%, 이소말토 올리고당(Isomalto oligosaccharide) 2 내지 16 중량% 및, 덱스트린(Dextrin) 2.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산은,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타우린(Taurine) 0.25 내지 2.5 중량%, L-아스파라긴(L-Asparagine) 0.5 내지 5 중량% 및, 글리신(Glycine) 0.1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활성종합비타민은,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C(Vitamin C) 1 내지 10 중량%, 비타민 B1(Vitamin B1)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B2(Vitamin B2) 0.01 내지 0.1 중량%, 비타민 B6(Vitamin B6)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B12(Vitamin B12)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E(Vitamin E) 0.005 내지 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0.1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방생약재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울금 0.5 내지 2 중량%, 칡 0.5 내지 2 중량%, 오리나무 0.5 내지 2 중량%, 갈화꽃 0.05 내지 0.5 중량%, 국화꽃 0.05 내지 0.2 중량%, 녹용 0.005 내지 0.04 중량%, 홍삼 0.005 내지 0.04 중량%, 대추 0.5 내지 2 중량%, 생강 0.5 내지 2 중량%, 진피 0.5 내지 2 중량%, 당귀 0.2 내지 0.8 중량%, 사인 0.2 내지 0.8 중량%, 복령 0.5 내지 2 중량% 및 감초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가물로,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사과농축액 1.5 내지 12.5 중량%, 벌꿀 0.3 내지 3 중량%, 합성허브향 0.5 내지 5 중량%, 함수구연산 0.5 내지 5 중량%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은, 울금, 칡, 오리나무, 녹용, 홍삼, 대추, 생강, 진피, 당귀, 복령, 감초 및 키토올리고당을 30 내지 50℃ 온수로 가열처리하는 단계(S10); 상기 가열처리된 원료를 85 내지 95℃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1차 추출단계(S20);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 및 숙성시키는 1차 여과단계(S30); 상기 1차 여과를 거친 1차 추출물에 2차로 국화꽃, 갈화꽃 및 사인을 추가한 뒤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형성하는 2차 추출단계(S40); 상기 2차 추출물을 여과 및 숙성시키는 2차 여과단계(S50); 상기 2차 여과된 원료에 정제수를 넣어 용해 및 교반하는 1차 교반단계(S60);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추출단계(S20)는, 상기 가열처리된 원료를 85 내지 95℃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여과단계(S50)는, 상기 2차 추출물을 30 내지 60℃에서 2차 여과 후, 상기 1차 여과 후 숙성된 원료와 혼합한 뒤, 30 내지 70℃에서 4 내지 8시간 숙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1차 교반단계(S60) 후에, 상기 1차 교반된 원료에 첨가물 원료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2차 교반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2차 교반단계(S70) 후에, 상기 2차 교반된 원료를 필터로 3차 여과 및 살균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제조물은, 상기 제조방법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음주 등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간 손상의 지표인 혈중 GOT 활성 증가를 감소시키며, 음주 후의 신경장애, 피부홍조, 불안감, 피로감, 기력상실, 하복부 불쾌감, 창백함, 심장박동감 이상, 갈증 및 졸음 등의 정신적, 신체적 자각 증상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숙취해소용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인,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아미노산(Amino acid), 활성종합비타민(Active Complex Vitamin) 및 한방생약재(Oriental Herb Medicine material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키토 올리고당(Chito oligosaccharide) 0.25 내지 1 중량%, 이소말토 올리고당(Isomalto oligosaccharide) 2 내지 16 중량% 및, 덱스트린(Dextrin) 2.5 내지 25 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숙취의 해소,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학적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일반 건강식품 또는 다이어트나 피로회복, 숙취해소용 등의 다목적 기능을 갖는 기능성 건강 식품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간 손상의 지표인 혈중 GOT 활성 증가를 감소시키며, 음주 후의 신경장애, 피부홍조, 불안감, 피로감, 기력상실, 하복부 불쾌감, 창백함, 심장박동감 이상, 갈증 및 졸음 등의 정신적, 신체적 자각 증상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는 건강차로써 이용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상기 키토 올리고당, 이소말토 올리고당 및 덱스트린을 필수 구성요소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토 올리고당은 면역증강, 항균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및 특히 알코올성 장애 예방개선 효과를 지니고 있고, 이소말토 올리고당은 면역증강 및 만성피로 회복에 효과가 크며, 또한, 덱스트린은 식이섬유질이 풍부하여 음주 후 소화기관에서의 섭취물 유동시 유용한 효과를 지니고 있는 바, 본원발명은 상기 세 요소를 필수 구성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혈중 GOT 활성 증가를 감소시켜 간의 손상을 방지하며, 음주 후 정신적, 신체적 자각 증상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킨다 (표 3 내지 5 참조).
특히, 본원발명은 상기 3가지 성분 중 수용성 키토올리고당 (키토산)을 함유함으로써 기능성 건강음료에 있어서 숙취해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은 물론, 건강보양에도 효능이 뛰어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숙취의 원인이 되는 아세트 알데히드의 분해효율을 높여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경로를 살펴보면 음주시 알코올은 작은 분자로 구성되어 있어 위에서 20%, 장에서 80%를 흡수, 정맥을 거쳐 간으로 보내진 뒤 혈액순환에 의해 전신으로 분산되어 아세트알데히드로 변환 탈수촉매로 아세트산으로 산화되고 아세트산은 TCA사이클(Tricarboxyic Acid cycle)의 대사경로에 의해 이산화 탄소와 물로 분해되어 에너지가 생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알코올이 탈수소 효소에 의해 조효소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의 도움으로 아세트알데히드가 되고, 둘째 MEOS로 불리우는 마이크로솜(Microsome ethanol oxidizing sistem)에 있는 에타놀 산화계에 의한 것과 셋째 카탈라아제(Catalase)계의 분해작용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가 되며 제2단계로 알데히드 탈수소 촉매로 아세트산으로 산화된다. 따라서 TCA싸이클(Tricarboxilic Acid cycle)의 주요역할은 산소 흡수를 수반하는 전자 전달계와 함께 작용하여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등을 물과 이산화탄소로 완전히 분해 생명작용의 필수적인 에너지 물질로서 중요한 ATP를 가장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TCA싸이클의 첫 반응은 지방과 탄수화물이 대사되면서 생성되는 아세틸 조효소A와 옥살아세트산이 축합되어 시트로산이 만들어지는 반응이기 때문에 알코올을 체내로 섭취하기 전 아세틸 조효소 A를 첨가시키면 옥살아세트산으로 1차 반응된 알코올을 섭취하게 되어 숙취나 알코올 중독증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예방할 수가 있으며 체내로 섭취한 알코올 시트로산은 α-케토클루타르 산을 거쳐 다시 옥살아세트 산을 만들고 단백질로 대사되어서 아미노산이 되고 최종적으로 아세틸 조효소A나 α-케토글루타르산이 되기 때문에 이 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탈탄산 반응이 발생 3분자의 이산화 탄소가 생성 체외로 배출되는 것이어서 이과정에서 산소의 부족에 의한 산소 결핍이 발생되는 경우 인체내의 모세관과 혈액속에 분해되지 못한 알코올 성분과 이산화 탄소의 함유량이 과다하여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해 숙취 및 알코올 중독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알코올 분해작용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의 아세틸 조효소A를 알코올 음료에 첨가하여 마시게 되면 알코올 분해작용이 촉진됨에 따라 분해시간이 1/2로 단축되고 담즙의 부족에 의한 과로를 방지할 수가 있게 되며 분해물질은 체외로 배출 및 배뇨가 촉진됨에 따라 숙취 및 알코올 중독과 독소를 감소 및 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활성종합비타민은 음주 후에 체내에 부족현상을 일으키는 비타민을 보충하기 위해 첨가된 것으로, 비타민 C, B1, B2, B6, E 및, 니코틴산아미드 등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음주 후 신체에 남아있는 알코올을 유의적으로 분해하는 비타민 C, 간에서 당분과 지방을 연소시킬 때 필요한 영양소인 비타민 B1, 간세포의 재생을 돕는 대표적인 비타민인 B2, B6 등으로, 이들이 결핍되면 간은 원활하게 대사활동을 하지 못하여 노폐물을 생산하고 간의 지방침착을 촉진하게 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방생약재는 이미 그 효능에 대해서 『본초강목』, 『동의보감』등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한방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있어서 널리 공지된 것으로, 특히 한의학에서 숙취해소에 탁월한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성분들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된 원료들의 특성과 효능을 적되 그 대표적인 성분의 효능만을 나열하겠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전체 100중량%로, 후술되는 각 조성물 구성 성분들의 중량% 총계의 잔부는 수분 또는 기타 첨가되는 과즙 등의 액상 첨가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브릭스(Brix)는 당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100g의 과즙, 물 등에 당이 몇 그램 들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포도주스에 있어서 1 브릭스는 포도주스 100g에 들어있는 1g의 당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키토 올리고당은 새우 등의 갑각류의 외각이나 곤충류의 표피, 오징어의 뼈, 버섯 등에 존재하는 천연 고분자 다당류인 키토산을 효소분해하여 생리활성과 용해성을 높인 물질로, 식품 중에 함유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독성 금속이온을 체외로 배출시키고 혈압 강하 작용을 가질 뿐 아니라, 면역증강, 항암작용, 항균작용 효과를 지니고 있고, 특히 음주 후 피로감을 줄이며 간장기능의 강화작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본원발명은 수용성 키토올리고당(키토산)을 함유함으로써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차의 유의적인 숙취해소 효과를 도출한다 (표 3 내지 5 참조).
상기 키토 올리고당의 함량 범위가 0.2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1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소말토 올리고당은, 이소말토오스(isomaltose), 파노오스(panose), 및 이소말토트리오스(isomaltotriose) 등의 분지 올리고당을 주성분으로 하며 5당류 이상의 고분자 성분은 거의 함유하지 않는 저점도의 당류를 총칭한다. 이소말토 올리고당은 설탕 감미의 50% 가량의 부드러운 감미를 보유하며, 보습성이 크고, 각종 식품에서 좋은 수분 효과를 내며, 전분질의 노화 방지에 효과가 크므로, 식품의 보습제, 광택제, 부형제 및 기능성 원료 등으로 식품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장내의 유산균 발효를 활성화시키거나 비피더스균을 증식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정장 작용, 충치 예방, 노화 방지 및 다이어트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유가공품, 발효유 및 음료 등의 가공식품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소말토 올리고당 추출물의 함량 범위가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16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덱스트린은 전분 또는 배소 덱스트린을 산 또는 아밀라제 등의 전분 분해 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전분 분해물, 배소 덱스트린 분해물 또는 그들의 유도체의 총칭이다. 덱스트린에는 배소 덱스트린, 소화성 덱스트린, 난소화성 덱스트린 및 그들의 수소화물이 포함된다. 소화성 덱스트린이란 전분을 산 또는 아밀라제 등의 전분 분해 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전분 분해물이고, 난소화성 덱스트린이란 배소 덱스트린을 산 또는 아밀라제 등의 전분 분해 효소로 분해하여 얻어지는 비소화성 덱스트린이다. 이들 중 특히 난소화성 덱스트린이 음주 후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들을 단독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상승 억제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건조품 고형분의 함량 범위가 2.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2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은,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타우린(Taurine) 0.25 내지 2.5 중량%, L-아스파라긴(L-Asparagine) 0.5 내지 5 중량% 및, 글리신(Glycine) 0.1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우린은 소의 담즙을 가수분해하고 정제하여 얻어지거나 어패류를 물로 추출하고 정제하여 얻어지는 물질로, 체내 알코올 대사 및 각종 해독기능을 강화시키고 혈압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 타우린의 함량 범위가 0.2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2.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L-아스파라긴은 백색 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로 냄새가 없고 약간 단맛이 있으며 화학식은 C4H8N2O3·H2O이다. 이는 물에 잘 녹지 않고 에탄올에 불용으로, 수용액에서 pH는 3.5∼5.5이고 비선광도 α(20, D)는 +33.0∼+36.5°이다. 식품에 직접 사용하는 것은 그 식물성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분리 정제한 것이고, 특히 뇌, 신경세포 대사기능 조절에 관여하고 있어 알코올 분해, 숙취 해소에 도움을 준다.
상기 L-아스파라긴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신은 CH2(NH2)COOH 구조의 비필수 아미노산이다. 글리신은 식품 첨가물로서도 인정되고 있는 아미노산으로, 많은 식품에 포함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음료에는 품질의 보존을 목적으로 첨가되어 있고, 어묵 등의 가공 제품에도 포함되어 있다. 또한, 동물성 단백질에도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생체내 대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핵산의 염기성분인 퓨린,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크레아틴을 비롯하여 혈색소·엽록소·비타민 B12의 포르피린 합성 등에도 관여한다. 특히, 생체 내에서 생긴 유독한 벤조산과 결합하여 마뇨산(히푸르산)을 만들어 해독작용에 효과적이다.
상기 글리신의 함량 범위가 0.1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1.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활성종합비타민은,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비타민 C(Vitamin C) 1 내지 10 중량%, 비타민 B1(Vitamin B1)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B2(Vitamin B2) 0.01 내지 0.1 중량%, 비타민 B6(Vitamin B6)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B12(Vitamin B12)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E(Vitamin E) 0.005 내지 0.05 중량% 및,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0.15 내지 1.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C는 Ascorbic Acid로 중추신경계, 간, 호르몬 활성조직의 반산화(Anti-Oxidant)시스템을 활성화시키며, 부신피질의 Anti-Stress 호르몬 생산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타민 C는 스트레스 해소 및 피부건강 유지에 좋은데, 특히 음주 후 숙취해소 시 스트레스성 피로감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비타민 C의 함량 범위가 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1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B1은 티아민이라고도 칭해지는 수용성 비타민이며, 생체 내에서는 티아민 2인산(TPP)으로 변환되고 피루브산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보조효소로서 당 대사에 관여하는 것이나, TCA 회로의
Figure 112013075632887-pat00001
-케토글루타르산 디하이드로게나아제의 보조 효소로서 기능한다. 또한, 비타민 B1은 성장촉진에 좋은데, 특히 음주 후 숙취해소 시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비타민 B1의 함량 범위가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0.0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B2는 구연산회로에 관여하는 수 많은 산화환원효소의 보결분자단으로 에너지대사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알코홀의 섭취는 비타민 B2의 흡수를 저해하고 배설을 촉진하므로 과다한 음주나 잦은 음주는 비타민 B2의 결핍을 유발할수 있다. 이외에도 비타민B6를 생리적 활성형태인 PLP로 전환시키는 효소는 비타민 B2 의존효소이므로 비타민 B2의 결핍은 간접적으로 비타민 B6 결핍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비타민 B6가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는 반드시 비타민 B2를 같이 섭취하여야 한다.
상기 비타민 B2의 함량 범위가 0.0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0.0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B6는 숙취 해소에 유용한 비타민으로 구체적인 음주 후 신체 반응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에탄올 분해로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하이드는 세포내 여러가지 단백질들과 쉬프스베이스(schiff's Base)를 형성하여 광범위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며 여러가지 효소를 불활성화시키기도 한다. 특히 단백질과 아미노산 대사를 촉매하는 효소들은 피리독살 포스페이트(pyridoxal phosphate: PLP 생리활성형 비타민B6)가 효소 단백질에 쉬프스베이스(schiff's Base)결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세포내에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가 높아지면 이들 효소의 PLP결합부위에 PLP대신에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우선적으로 결합하게 되므로 효소를 불활성화시킨다. 한편 효소에 결합하지 못한 PLP는 탈인산화과정을 거쳐 즉시 분해되므로 과다한 음주는 비타민B6의 결핍을 유발할수 있다. 비타민B6 결핍은 단백질생합성과 아미노산대사를 저해하고 가바(GABA), 세로토닌등 신경전달물질의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구연산회로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음주 전후에 비타민 B6를 섭취하게 되면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로 구연산회로 중간생성물질로부터 단백질, 아미노산, 핵산 및 조혈성분의 생합성이 활성화되고 이 과정에서 NADH가 소모되므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축적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B6의 함량 범위가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0.0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B12는 간에 함유되는 항 악성 빈혈인자로 단리된 B군 비타민의 하나로 코발트 원자를 함유하는 적색의 수용성비타민이다. 비타민 B12는 많은 동물의 정상 발육에 불가결하며 혈구의 생성, 장 상피세포의 성숙 등과 핵산이나 단백질의 합성을 비롯하여 지방질이나 탄수화물의 대사에도 관여하고 있다. 비타민 B12의 흡수장해, 수송 이상과 대사 이상에 따르는 결핍증상으로는 거적아구성 빈혈, 적색설, 운동장애, 혼수, 아시도시스, 발육장애, 구토 등이 있다.
상기 비타민 B12의 함량 범위가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0.0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타민 E는 지용성 비타민으로 세포막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항산화 물질로 활성산소를 무력화시킨다. 비타민 E는 세포막의 불포화지방산 사이에 존재하면서 불포화지방산의 과산화 작용이 진전되는 것을 막는 항산화제(antioxidant)로 작용한다. 또한, 비타민 E는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LDL 콜레스테롤의 막에 있는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산화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산화된 다가불포화지방산에 의한 연쇄적인 산화 반응으로 apo B 단백질이 산화되어 변성되는 속도를 지연시킨다.
상기 비타민 E의 함량 범위가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0.0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니코틴산아미드는 수용성 비타민으로써 비타민 B 복합체의 하나이고, 열, 공기, 빛, 알칼리 등에 안전한 항 펠라그라 인자이다. 조직 중에서는 나이아신은 니코틴 아미드아데닌 디누클레오티드, NADP(니코틴 아미드아데닌 디누클레오티드 인산)등의 형태로도 존재한다. 이는 간, 신장, 근육, 두류, 커피, 홍차, 맥아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천연색소 첨가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니코틴산아미드의 함량 범위가 0.1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천연색소 향미가 좋지 않고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1.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천연색소 향미가 지나쳐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한방생약재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울금 0.5 내지 2 중량%, 칡 0.5 내지 2 중량%, 오리나무 0.5 내지 2 중량%, 갈화꽃 0.05 내지 0.5 중량%, 국화꽃 0.05 내지 0.2 중량%, 녹용 0.005 내지 0.04 중량%, 홍삼 0.005 내지 0.04 중량%, 대추 0.5 내지 2 중량%, 생강 0.5 내지 2 중량%, 진피 0.5 내지 2 중량%, 당귀 0.2 내지 0.8 중량%, 사인 0.2 내지 0.8 중량%, 복령 0.5 내지 2 중량% 및 감초 0.5 내지 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울금(심황)은 생강과의 강황(Curcuma longa)의 덩이뿌리를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하고 쪄서 말린 것으로 일본에서는 강황의 뿌리줄기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생강과의 동속식물인 강황, 광서아출, 온욱금, 봉아출의 뿌리줄기를 말한다. 다른 이름으로 마술, 황울, 을금, 걸금, 옥금, 왕금, 심황 등이 있다. 울금은 중국 남부와 인도, 일본 오키나와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지역에서 자생, 재배되며 우리나라의 중남부지역에서도 재배된다. 술과 함께 섞으면 누렇게 금처럼 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고 씹으면 침을 누렇게 물들이며 자극성이 있다. 맛은 맵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울금은 기를 소통시키고 혈액순환을 도와 생리통, 생리불순, 옆구리통증을 치료하고 토혈, 코피, 피오줌을 치료하고, 정신을 맑게 하며 흉복부가 그득한 것을 없애주고 담즙분비 촉진과 담낭결석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담즙분비, 배설 촉진, 관상동맥안의 반괴형성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상기 울금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칡은 갈근(puerariae radix)이라고도 불리우며, 숙취제거, 피로회복, 갈증해소, 혈압강하, 설사방지, 위장보호 효과가 있다. 또한, 칡은 에스트로겐이 석류와 비교하여 626배나 많아 여성의 폐경기에 부족한 호르몬 보충에 아주 효과가 좋다.
상기 칡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리나무는 자작나무과에 딸린 낙엽큰키 나무의 일종으로, 맛이 쓰고 떫으며 성질은 서늘하다. 오리나무는 열을 내리고 독을 푸는 작용이 있으며 간염, 간경화, 지방간 등에 치료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술을 많이 마셔 간이 나빠진 데에는 오리나무 껍질을 달여서 먹으면 술독이 풀리고 그 효과가 크다.
상기 오리나무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갈화꽃(purataria lobata)은 숙취제거, 피로회복, 갈증해소, 혈압강하, 설사방지, 위장보호 효과가 있다.
상기 갈화꽃의 함량 범위가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0.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국화꽃은 초롱꽃목 국화과의 숙근초로 줄기는 목질이며 겨울에 시드는 것이 보통이고 잎은 얕게 또는 깊게 깃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 국화로는 산국, 감국, 산구절초, 갯국화 등이 있다. 국화의 꽃에는 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카르보시릭산, 아카세틴이 함유되어 있고, 잎과 줄기, 뿌리에는 아테닌, 쵸린스타치드린, 크리산테민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국화꽃은 두통, 고혈압, 저혈압, 풍열, 청열해독, 생선 비브리오균 억제, 노인이나 백내장 등의 노인병 예방, 및 간장과 눈을 보호해주고 피로회복과 소화를 도와주며 피부미용, 아토피성 피부염치료, 중금속 해독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국화꽃의 함량 범위가 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0.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녹용은 사슴의 각질화 되지 않은 어린 뿔로, 만져보면 조직이 연하고 털이 골고루 덮여있는 수컷의 뿔을 일컫는다. 사슴의 뿔은 흔히 녹용과 녹각으로 나누어 구분하는데 벨벳표피가 있는 연한 상태의 성장 중인 뿔을 녹용, 각질화되어 벨벳표피가 탈피된 상태의 것을 녹각이라고 한다. 또한 녹용은 위로부터 립, 분골, 상대, 중대, 하대로 나뉘는데 부위별로 아미노산, 당, 지질, 호르몬 등 유효성분의 함량에 많은 차이가 있다. 또한, 녹용에는 Lysophatidyl이 함유되어 혈압강하 작용이 있으며 임상적으로 강심 효과와 심장병에 동반되는 요통, 빈뇨증 및 갱년기의 만성순환장애의 치료에도 유용하다. 또한 빈혈시 골수증의 철의 형성을 증가시켜 조혈작용을 나타내며 헤모글로빈과 적혈구의 수를 증가시키고, 면역계 및 당 대사에 대한 작용, 노화개선, 항염 및 항암효과에도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녹용의 함량 범위가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0.04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다. 또한 조혈작용과 혈당치를 저하시키는 작용, 알코올 분해 및 간독성 제거작용, 항염 및 항종양 작용,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등이 있다.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기능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도 있다. 홍삼의 경우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 적응소)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 각 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상기 홍삼의 함량 범위가 0.0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0.04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추는 비타민류나 식이성 섬유, 플라보노이드, 미네랄 등 노화방지와 항암효과를 가지고 있다. 식이성 섬유를 많이 먹으면 장내 여분의 담즙산을 줄이므로 담즙산의 독성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난다. 담즙은 지방분을 많이 섭취하면 그 분비량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증가한 담즙산은 장내세균에 의해 발암물질로 변하므로 장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 암의 위험성이 커지는 것이다. 대추는 그러한 발암물질을 흡착배출하는 좋은 식이성 섬유를 가지고 있고, 뿐만 아니라 체내 유해 활성산소를 제독하는 베타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장수에 도움이 된다.
상기 대추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생강(갈근)은 생강과(Zingiberacae)에 속하며 한방에서는 생강의 날 것을 지칭한다.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부쪽에서 재배되고 있고, 매운 맛과 냄새가 특징으로 주로 향신료로 식품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한국, 중국, 일본 및 인도 등의 전통의학에서 소화기계, 중추신경계, 골관절계, 심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약초로 이용되어 왔으며 그 외에도 혈중 지질 및 당 수치를 낮추고 항산화, 항염증, 항균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상기 생강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진피(Cortex Fraxini)는 귤껍질로서 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나른한 증상을 없애주며 휘발성정유, 배당체(Hesperidin, C28H34O15), 구연산 등을 함유하였다. 이는 기가 뭉친 것을 풀어주고 비장의 기능을 강화하여 복부창만, 트림, 구토, 메스꺼움, 소화불량, 헛배가 부르고 나른한 증상, 대변이 묽은 증상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정유 성분이 소화기자극, 소화촉진, 거담, 항궤양, 항위액 분비, 강심, 혈압상승, 항알레르기, 담즙분비촉진, 자궁평활근억제, 항균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상기 진피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국내에서 재배되는 귀화 식물로 한국산 당귀를 참당귀라고 하며, 일본이 원산지인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60-90 ㎝이고, 꽃은 흰색으로 8-9월에 가지 끝에 달리며, 열매는 편평한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다. 뿌리를 당귀라고 하는데, 보혈의 효능이 있으므로 얼굴에 핏기가 없고 현기증이 자주 나며 눈과 입술에 윤기가 없는 사람에게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몸이 허약하여 오는 두통, 여성들의 월경 조절 효능이 뛰어나므로 산전이나 산후의 여러 질병에 자주 사용되며, 월경불순, 복통을 치료한다. 위장의 기능이 약해서 오는 변비 치료에 효과가 있다.
상기 당귀의 함량 범위가 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0.8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인(Amomum villosum LOUR)은 생강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인 축시의 씨를 말린 것으로 기를 잘돌게 하고 아픔을 멈추며, 비위를 보하고 소화를 도우며 태아를 안정시킨다. 그 약리작용으로는 위를 튼튼하게 하고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상기 사인의 함량 범위가 0.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0.8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령은 학명이 Poria cocos로 분류학적으로 진정담자균강, 동담자균아강(모균아강),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한다. 주로 소나무에서 사물기생을 하지만 살아있는 소나무의 뿌리와 연결되어 활물기생을 하기도 하는 갈색 부후균으로 담자균류에 속하는 균류의 일종이다. 복령의 주요 성분은 복령산(Parchymic acid, C33H52O5), 송령산(Pinicolic acid, C30H18O30), 송령신산(3β-Hyderoxy-lanosta-7.9(11), 24-Trien-21-Oic aicd와 Tumulosic acid(C31H50O) Ebricoic acid(C31H50O3)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양질의 복령에는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Pachyman 함량이 93%에 이르고 있다. 또한, 복령은 심신의 보양 및 안정, 이뇨 증진. 정신안정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건망증, 불면증, 만성위염, 신체 허약자 등에도 치료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복령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감초(Glycyrrhizae radix)는 동양 약물학에서 많은 복합 처방에 빈번히 응용되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한약제이다. 감초는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은 원주상인데 주근은 매우 길고 거칠고 크며, 외피는 적갈색에서 암갈색이다.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하며, 중국 동북부와 시베리아,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감초 추출물(Glycyrrhizae radix extract)은 리퀴리틴(liquiritin),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리퀴리틴 아피오시드(liquiritin apioside), 이소리퀴리틴(isoliquiritin), 이소리퀴리틴 아피오시드(isoliquiritin apioside)와 아글리콘(aglycones)을 포함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를 높은 용량으로 함유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리퀴리틴 아피오시드는 용량 의존적으로 기침을 억제하는 약리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동물모델에서 에스트라디올 E2-관련 자궁내막 발암성이 감초에 의해 억제되었다는 것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외에 감초는 특히 천연 항생제의 역할을 하여 땀띠나 여드름에도 효과가 좋으며 염증을 진정시키는 소염작용도 갖고 있다고 한다.
상기 감초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2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첨가물로, 숙취해소용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사과농축액 1.5 내지 12.5 중량%, 벌꿀 0.3 내지 3 중량%, 합성 허브향 0.5 내지 5 중량%, 함수구연산 0.5 내지 5 중량%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5 내지 5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과농축액은 혈액을 맑게하고 피부미용에 효과적인 첨가제 성분으로, 특히 음주 후 숙취 해소시 미감과 향미를 증대하고 영양 보충에 유용하다.
상기 사과농축액 추출물의 함량 범위가 1.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12.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벌꿀은 음주 후 체내에 부족해지기 쉬운 포도당을 보충해주어 숙취를 해소시키며 영양을 보충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벌꿀 추출물의 함량 범위가 0.3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3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허브향은 인공 향신료로써 음주 후 숙취해소시 향미를 증대하여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미감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기 합성허브향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향미 효과가 적어서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함수구연산은 많은 식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다. 구연이란 시트론 citron의 한자명이며, 시트론을 비롯하여 레몬이나 덜익은 광귤 등 감귤류의 과일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고, TCA 회로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 시트르산은 고등동물의 물질대사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또한 체내의 칼슘흡수를 촉진시키는 작용도 알려져 있다. 용도로는 과즙·청량음료에 첨가하거나, 의약품 및 이뇨성 음료에 신맛을 내는 외에 분석시약으로도 사용된다. 혈액응고에는 칼슘이온이 필요한데, 시트르산은 칼슘이온을 포착하므로 혈액응고저지제로 사용된다.
상기 함수구연산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향미 효과가 적어서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효소처리 스테비아는 남미 파라과이를 원산지로 하는 국화과 다년생 식물이며, 학명을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Stevia Rebaudiana Bertoni)라고 한다. 스테비아는 설탕의 300배 이상의 감미를 갖는 감미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 감미 성분을 추출하여 천연 감미료로서 사용하기 위해 재배되고 있다. 상기 스테비아 속에 함유된 스테비오사이드 (stevioside)라는 성분이 천연감미료소재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 그 당도는 사탕수수에서 추출한 설탕의 300배에 달하면서도 칼로리는 1/90수준에 불과하여 저칼로리의 감미료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상기 효소처리 스테비아의 함량 범위가 0.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향미 효과가 적어서 음주 후 숙취 개선 효과 및 간기능 개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으며, 5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섭취 후 음용 미감이 떨어지고 뒷맛이 개운하지 못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용 후 과량 사용으로 인해 극히 일부에서 전신 반응으로 말초순환 장해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전술한 상기 원료들 이외에 헛개나무 열매, 천궁, 전자피 및 비타민나무 등의 생약성분을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원료 정제 및 가열처리단계(S10), 1차 추출단계(S20), 1차 여과단계(S30), 2차 추출단계(S40), 2차 여과단계(S50), 1차 교반단계(S60), 2차 교반단계(S70) 및 3차 여과 및 살균단계(S80)를 거쳐 제조된다.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관점인,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울금, 칡, 오리나무, 녹용, 홍삼, 대추, 생강, 진피, 당귀, 복령, 감초 및 키토올리고당을 30 내지 50℃ 온수로 가열처리하는 단계(S10); 상기 가열처리된 원료를 85 내지 95℃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1차 추출단계(S20);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 및 숙성시키는 1차 여과단계(S30); 상기 1차 여과를 거친 1차 추출물에 2차로 국화꽃, 갈화꽃 및 사인을 추가한 뒤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형성하는 2차 추출단계(S40); 상기 2차 추출물을 여과 및 숙성시키는 2차 여과단계(S50); 상기 2차 여과된 원료에 정제수를 넣어 용해 및 교반하는 1차 교반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료 가열처리단계(S10)는, 산지 재배업자나 농협 또는 전문취급점에서 품질양호한 원료를 엄선하여 구입하는 단계; 정선된 원료를 40 내지 50℃의 온수로 2회 이상 청결히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원료 가열처리단계(S10)에서, 상기 가열처리는 30 내지 50℃ 이내의 온수로 2 내지 4시간 가열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여과단계(S30) 및 2차 여과단계(S50)에서의 숙성은 자숙 및 침전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단계(S20)는, 상기 효소 분해처리된 원료를 85 내지 95℃에서 6 내지 10시간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2차 여과단계(S50)는, 상기 2차 추출물을 30 내지 60℃에서 2차 여과 후, 상기 1차 여과 후 숙성된 원료와 혼합한 뒤, 30 내지 70℃에서 4 내지 8시간 숙성 및 자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1차 교반단계(S60)는, 상기 천연한방생약재의 내용물과 수용성 키토 올리고당의 섬미(떫은 맛)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1차 교반단계(S60) 후에, 상기 1차 교반된 원료에 첨가물 원료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2차 교반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2차 교반단계(S70)는 기타 첨가물 원료를 허가품목 제조보고서 신고 내용에 따라 칭량한 후 저장탱크로 옮겨 교반증자를 실시하며, 상기 교반증자된 원료 내용물의 맛, 농도, 색상, 당도 및 pH 등 기본 품질규격검사를 실시한 후 품질의 적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2차 교반단계(S70)에서, 상기 교반증자된 원료의 품질 검사 후 규격합격 내용물의 경우, 그 향미 정제를 위해 90 내지 105℃에서 2 내지 3시간 추가 교반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차 교반단계(S70) 후에, 상기 2차 교반된 원료를 필터로 3차 여과 및 살균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의 첨가물 원료인 사과 농축액과 타우린, L-아스파라긴, 효소처리 스테비아, 비타민C, 비타민 B1, B2, B6, B12, BE와 덱스트린, 글리신, 니코틴산 아미드, 함수구연산 등을 정량 칭량한 후, 혼합탱크에 넣고, 원료 1kg당 정제수 5리터의 비율로 혼합 교반한 후, 상기 3차 여과단계의 배합탱크로 이송하여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3차 여과단계 이후에, 상기 3차 여과된 혼합 내용물을 제품 정밀 규격검사(맛, 농도, 당도, Ph 등)하여 최종 적격여부를 결정하여 최종 내용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살균단계(S80)는, 고압순간살균 방식으로 상기 최종 규격검사가 종료된 완제품 내용물을 HTST 열교환기에서 고열순간살균 과정을 거쳐 주액보조탱크로 이송한 뒤, 캔, 병 또는 치어팩 용기에 정량을 주액한 후 밀봉(시밍)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밀봉된 완제품을 날인하고 워머 (파스테리이저)를 통과 세척 및 냉각시키되, 한편, 상기 고열순간 살균단계(S80) 이후에 멸균상태가 불안전할 경우 테토로트 살균솥에서 120 내지 130℃로 10분 내지 20분 가량 고압살균(멸균)처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세척 및 냉각이 끝난 완제품에 한하여 외관 또는 육안검사 후 소정량을 로트별로 임의 발췌하여 정밀규격 검사 후 규격적합 제품을 최저 7일 내지 15일 보관 후 출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간 손상의 지표인 혈중 GOT 활성 증가를 감소시키며, 음주 후의 신경장애, 피부홍조, 불안감, 피로감, 기력상실, 하복부 불쾌감, 창백함, 심장박동감 이상, 갈증 및 졸음 등 정신적, 신체적 자각 증상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는 건강차로써 이용될 수 있다 (표 3 내지 5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은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숙취의 해소,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학적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일반 건강식품 또는 다이어트나 피로회복, 숙취해소용 등의 다목적 기능을 갖는 기능성 건강 식품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약 및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액상 또는 음료 형태를 포함하는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또는 식품 조성물의 섭취량은 그 제제 형태, 투여 방법, 사용 목적 및 이것에 적용되는 개체의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되고, 일정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제 중에 함유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성인 1일당, 예컨대 25mg∼5,000㎎/㎏이다. 물론 복용량은, 각종 조건에 의해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섭취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는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제학적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탄수화물류 화합물(예: 락토오스, 아밀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셀룰로오스 등),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물, 시럽, 염 용액, 알코올, 아라비아 고무, 식물성 기름(예: 옥수수 기름, 목화 종자유, 두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셀룰로오스, 메틸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 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건강기능식품 및 일반 식품인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식품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감미료를 포함한 식품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실시의 준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천연한방생약재 및 기타 첨가물 등 각 원료를 하기와 같이 준비하였다.
(1) 기타 원료
1) 키토 올리고당: 건풍바이오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2) 이소말토 올리고당: CJ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3) 덱스트린: 대상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2) 아미노산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타우린: 홈팜社(중국)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2) L-아스파라긴: 대경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3) 글리신: 가조우후와앙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3) 활성종합비타민
1) 비타민 C: 허베이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2) 비타민 B1: BAST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3) 비타민 B2: BAST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4) 비타민 B6: BAST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5) 비타민 B12: BAST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6) 비타민 E: BAST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7) 니코틴산아미드: 파르마社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4) 한방생약재
1) 울금(심황):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2) 칡(갈근):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3) 오리나무: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4) 갈화꽃: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5) 국화꽃: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6) 녹용: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7) 홍삼: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8) 대추: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9) 생강(건강):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10) 진피: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11) 당귀: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12) 사인: 베트남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13) 복령: 유진약농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14) 감초: 베트남에서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5) 첨가물
1) 사과 농축액: 보령푸드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2) 벌꿀: 지리산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3) 합성허브향: 삼정향로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4) 함수구연산: 중국에서 구입한 RZBC를 사용하였다.
5) 효소처리 스테비아: 태평社에서 구입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삭제
(1) 기타 원료, (2) 아미노산, (3) 활성종합비타민, (4) 한방생약재 및 (5) 첨가물 등 관련 원재료들을 산지 재배업자나 농협 또는 전문 취급점에서 하기 표 1의 함량 비율만큼 준비하였다.
그 다음으로, 원료변질이나 이취 발생부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며 정선작업을 수행하였고, 정선된 원료를 40℃~50℃의 온수로 2회 이상 청결하게 세척하였다. 이후에 세척된 정선원료를 약 5㎝~20㎝의 크기로 절단, 칭량한 후 울금, 칡, 오리나무, 녹용, 홍삼, 대추, 생강, 진피, 당귀, 복령, 감초 및 키토올리고당을 1차 30℃~50℃이내 온수로 3시간 가열처리하였다. 그 뒤에 상기 원료 1㎏에 10ℓ의 정수를 칭량하여 85℃~95℃의 온도로 8시간 추출작업을 수행하였다.
이후에 상기 1차 추출된 내용물을 20℃~60℃ 온도로 1차 여과작업에 임한 다음, 1차 30℃~70℃의 온도로 숙성(4시간~8시간)작업을 수행하였다. 상기 1차 추출물에 2차로 국화꽃, 갈의꽃, 사인을 추가하여 원료 1㎏당 10ℓ의 정제수를 넣고 80℃~95℃ 온도로 4시간 2차 추출작업을 수행하였다. 2차 추출된 원재료 내용물을 30℃~60℃의 온도로 2차 여과작업을 수행하였고, 이후 2차 여과작업 완료된 추출내용물과 1차 여과작업후 숙성시킨 내용물을 혼합한 뒤 2차 30℃~70℃의 온도로 숙성(4시간~8시간)작업과 동시에 자숙(침전)작업을 수행하였다.
상기 2차 여과작업후 숙성, 자숙시킨 원재료 중 한방생약재 성분 내용물과 수용성 키토올리고당의 섬미(떫은 맛)을 완화하기 위해 키토올리고당 1㎏당 정제수 10ℓ를 넣어 30℃~60℃의 온도로 용해시킨 다음 30분간 교반작업을 수행하였다. 이후에 상기 1차 배합된 내용물의 원료를 내용물 저장탱크로 옮기고, 기타 나머지 첨가물 원료를 허가품목 제조보고서 신고내용에 따라 칭량한 후 저장탱크로 이송 후 혼합하고 교반작업을 60℃~90℃에서 교반증자를 실시하였다.
이때, 상기 교반증자된 본 제품의 내용물의 맛, 농도, 색상, 당도, PH 등 기본 품질규격검사를 실시한후 품질의 적격여부를 판단하였고, 규격합격 내용물에 한하여 최종 맛과 품질의 보전과 천연한방생약재 내용물 특유의 개성적 독특하고 강한 향기를 정제하고 유아시키기 위하여 90℃~105℃로 2시간~3시간 교반하였다.
이후에 상기 교반된 완제품 내용물의 품질 고급화(침전물, 농도, 청량감)를 기하기 위하여 1마이크론 필터로 최종 3차 여과작업을 실시하였다. 3차 여과된 내용물을 제품정밀 규격검사(맛, 농도, 당도, PH)하여 최종 적격여부를 결정한 후 최종내용물을 얻었다.
그 다음에 최종 규격검사가 끝난 완제품 내용물을 HTST 열교환기에서 105℃~121℃로 고열순간살균 (멸균제품)과정을 거쳐 주액보조탱크로 이송한 다음 캔, 병 또는 치어팩용기에 정량을 주액한후 밀봉(시밍)작업을 실시하였다. 이후 밀봉(시밍)된 완제품을 날인하고 워머(파스테리이저)를 통과 세척냉각시켰다. 상기 고열순간살균 HTST에서 멸균상태가 불안전할 경우 테토로트 살균솥에서 121℃로 10분이상 고압살균(멸균)처리할 수도 있다.
실시예 2-3
(1) 기타 원료, (2) 아미노산, (3) 활성종합비타민, (4) 한방생약재 및 (5) 첨가물을,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하기 표 1의 함량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원료 성분명 (중량%) (중량%) (중량%)
기타
원료
키토올리고당 0.30 0.70 0.40
이소말토올리고당 5.00 10.0 6.00
덱스트린 3.00 15.0 7.00
아미
노산
타우린 0.80 1.00 0.90
L-아스파라긴 2.70 3.50 3.00
글리신 0.40 1.00 0.60






비타민 C 5.00 7.00 6.00
비타민 B1 0.02 0.03 0.04
비타민 B2 0.05 0.06 0.08
비타민 B6 0.03 0.02 0.01
비타민 B12 0.02 0.03 0.01
비타민 E 0.01 0.02 0.15
니코틴산아미드 0.35 1.00 0.65




울금(심황) 1.00 1.50 1.20
칡(갈근) 1.00 1.50 1.20
오리나무 1.00 1.50 1.20
갈화꽃 0.09 0.20 0.15
국화꽃 0.15 0.10 0.13
녹용 0.01 0.02 0.03
홍삼 0.01 0.02 0.03
대추 0.70 1.50 1.00
생강(건강) 0.80 1.50 0.80
진피 0.70 1.50 1.00
당귀 0.50 0.60 0.55
사인 0.50 0.60 0.55
복령 0.80 1.50 1.00
감초 0.80 1.50 1.00


사과농축액 5.50 10.0 8.00
벌꿀 2.00 1.50 1.80
합성 허브향 3.50 2.50 3.00
함수구연산 1.50 3.00 2.00
효소처리 스테비아 3.50 2.50 3.00
비교예 1-3
(1) 기타 원료, (2) 아미노산, (3) 활성종합비타민, (4) 한방생약재 또는 (5) 첨가물을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와 같이, 아미노산 또는 한방생약재 중 일부 성분을 누락시키는 등 본원발명의 구성성분과는 다른 함량 비율로 배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게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원료 성분명 (중량%) (중량%) (중량%)
기타
원료
키토올리고당 - 0.70 0.40
이소말토올리고당 - 10.0 6.00
덱스트린 - 15.0 7.00
아미
노산
타우린 0.80 - 0.90
L-아스파라긴 2.70 - 3.00
글리신 0.40 - 0.60






비타민 C 5.00 7.00 6.00
비타민 B1 0.02 0.03 0.04
비타민 B2 0.05 0.06 0.08
비타민 B6 0.03 0.02 0.01
비타민 B12 0.02 0.03 0.01
비타민 E 0.01 0.02 0.15
니코틴산아미드 0.35 1.00 0.65




울금(심황) 1.00 1.50 1.20
칡(갈근) 1.00 1.50 1.20
오리나무 1.00 1.50 -
갈화꽃 0.09 0.20 -
국화꽃 0.15 0.10 -
녹용 0.01 0.02 0.03
홍삼 0.01 0.02 0.03
대추 0.70 1.50 1.00
생강(건강) 0.80 1.50 0.80
진피 0.70 1.50 1.00
당귀 0.50 0.60 0.55
사인 0.50 0.60 0.55
복령 0.80 1.50 1.00
감초 0.80 1.50 1.00


사과농축액 5.50 10.0 8.00
벌꿀 2.00 1.50 1.80
합성 허브향 3.50 2.50 3.00
함수구연산 1.50 3.00 2.00
효소처리 스테비아 3.50 2.50 3.00
임상효능 측정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지닌 임상효능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준 및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 음주를 섭취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신체 건강한 20대 초중반부터 50대 초반 정도 나이대의 전국 거주 성인 남녀 약 100여명을 무작위로 추출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둘째, 임의 추출된 100여 명의 실험표본 대상자에게 본 발명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를 각각 모두 복용하게 하되, 복용의 순서는 무작위하게 선정하였다.
셋째, 상기 음용시 먼저 복용한 제재의 잔류 효과(carry over effect)를 제거하기 위해 약 10일 내지 15일의 이월(washout) 기간을 두었고, 특히 복용 전인 실험 전날에는 저녁식사 이후 금식하도록 하였다.
넷째, 숙취해소용 조성물 복용시, 모든 실험자들에게 정맥체혈한 후 무작위로 뽑힌 50명에게는 실시예 1-3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를, 나머지 50명에게는 비교예 1-3에 의해 제조된 동일한 부피의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를 그 생리적 효과가 탁월한 제품이라고 주지시키며 복용시켰다.
다섯째, 복용 후 20분 후에 소주 한병과 마른 안주를 30분간 시간을 주고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섭취가 끝난 후에 다시 각각 30분 및 2시간 후에 정맥 체혈을 수행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 및 간기능 수치(GOT, GPT 및 GCT)를 측정하였다.
여섯째, 또한 별도로 자각증상을 평가하기 위해서 알코올 섭취 후 30분, 2시간, 5시간 및 8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신경장애, 피부홍조, 불안감, 피로감, 기력상실, 하복부 불쾌감, 창백함, 심장박동, 갈증 및 졸음 등의 항목에 대하여 민감도(Sensitivity)를 측정하였다.
일곱째, 모든 검사 결과는 평균(mean)±표준편차(SD)로 표시하였으며, 일부 비정규 분포를 띠는 검사치에 대하여는 중위수(최소값, 최대값)의 표시법을 병용하였다. 실시예1 및 비교예1의 검사치 비교는 정규분포를 띤다고 알려진 GOT, GPT 및 GGT에 대하여는 Paired t-test가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data에 대하여는 비모수 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가 사용되었다. 통계적 유의성은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로 하였다.
(1)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의 대조군 복용 실험을 통하여 알코올 섭취에 따른 혈중 알코올 농도의 변화 정도를 30분 및 120분(2시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2) 간 기능 수치에 미치는 영향
음주 후 간 기능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의 대조군 복용 실험을 통하여 혈중 GOT 수치를 알코올 섭취 후 30분 및 120분(2시간)에 걸쳐 측정하였다.
이들 수치는 무작위 추출된 실험 표본 대상자들의 개별 상태에 따라 조금씩 변동가능하므로 실험 직전 공복상태에서 체혈한 혈액에서 얻어진 값을 기본값으로 하여 음주 후 변동량을 비교하였다.
(3) 음주 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음주 후 자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음주 후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친 설문조사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설문지는 신경장애, 피부홍조, 불안감, 피로감, 기력상실, 하복부 불쾌감, 창백함, 심장박동, 갈증 및 졸음 등 10개 항목으로 이루어졌고, 1, 2, 3, 4의 4단계로 증세의 민감도(Sensitivity)를 표시하였다.
또한, 본 실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용 전날부터 대략 15시간 이상의 긴 공복기간 동안 아무런 자각 증상없는 상태에 대한 자각 증세의 변동량을 중심으로 유의미하게 관찰하였다.
신경장애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신경장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부홍조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피부홍조(얼굴 붉어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불안감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로감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기력상실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기력상실(무기력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복부 불쾌감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하복부 불쾌감(설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창백함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창백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심장박동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심장박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갈증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갈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졸음 민감도 측정
알코올 섭취 후에 느끼는 자각증상 중 졸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30분, 120분(2시간), 300분(5시간) 및 480분(8시간)에 걸쳐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대조군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임상효능 실험결과
(1) 혈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알코올 섭취 30분 후의 혈중 알코올 농도는, 실시예1-3의 복용군에서 비교예1-3의 복용군에 비하여 대략 40 내지 45% 낮게 관찰되었고, 또한, 120분(2시간) 후에는 대략 20 내지 25% 낮게 관찰되었다. 이는 Wilcoxon signed rank test 결과에 의해서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로 판정되었다. 본원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알코올 섭취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낮춤에 있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2) 간 기능 수치에 미치는 영향
실험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GOT 변동량에 있어서는 음주 30분 후에 비교예 1-3 복용군의 GOT 수치가 평균 0.5 내지 1.0 상승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3 복용군에서는 오히려 평균 0.5 내지 1.0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음주 120분 이후에는 비교예 1-3 복용군과 실시예 1-3 복용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원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알코올 섭취 후 간 기능 수치를 적절히 유지함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3) 음주 후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신경장애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120분(2시간) 후 신경장애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피부홍조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120분(2시간) 및 300분(5시간) 후 피부홍조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불안감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120분(2시간) 및 300분(5시간) 후 불안감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피로감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30분(2시간) 및 120분(2시간) 후 피로감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력상실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30분(2시간) 및 300분(5시간) 후 피로감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복부 불쾌감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30분(2시간) 및 120분(2시간) 후 하복부 불쾌감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창백함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120분(2시간) 후 창백함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심장박동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30분 및 120분(2시간) 후 심장박동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갈증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120분(2시간) 후 갈증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졸음 민감도 측정
실험 결과, 하기 표 5와 같이, 실시예 1-3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음료 복용군이 비교예 1-3의 복용군에 비하여, 알코올 섭취 120분(2시간) 및 300분(5시간) 후 졸음 자각증상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실시예 비교예 P값

시간
(min)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30 0.039±0.012a
0.040(0.006,
0.007)b
0.041±0.010a
0.047(0.005,
0.062)b
0.035±0.310a
0.038(0.006,
0.075)b
0.077±0.012a
0.075(0.042,
0.085)b
0.069±0.237a
0.052(0.036,
0.021)b
0.072±0.257a
0.061(0.046,
0.076)b
0.018c
120 0.033±0.021a
0.032(0.003,
0.047)b
0.023±0.034a
0.029(0.008,
0.051)b
0.038±0.015a
0.038(0.005,
0.042)b
0.042±0.011a
0.041(0.015,
0.062)b
0.039±0.078a
0.035(0.021,
0.057)b
0.049±0.015a
0.039(0.073,
0.069)b
0.047c




30 -0.55±1.20a -0.45±1.15a -0.49±1.08a 0.82±1.42a 0.79±1.08a 0.75±1.51a 0.005b
120 0.15±1.26a 0.13±1.15a 0.17±0.85a 2.17±3.09a 2.05±2.08a 2.10±1.59a 0.082b







30 0.55±1.02a
0.0(0.0, 2.0)b
0.51±1.07a
0.0(0.0, 2.0)b
0.49±0.92a
0.0(0.0, 3.0)b
2.01±1.20a
2.0(0.0, 5.0)b
2.57±1.22a
3.0(0.0, 4.0)b
2.33±1.07a
2.0(0.0, 5.0)b
0.071c
120 0.28±0.37a
0.0(0.0, 3.0)b
0.31±0.17a
0.0(0.0, 2.0)b
0.27±0.09a
0.0(0.0, 3.0)b
1.75±1.38b
1.0(0.0, 4.0)b
1.52±1.61b
2.0(0.0, 4.0)b
1.65±1.23b
1.0(0.0, 5.0)b
0.035c
300 0.15±0.36a
0.0(0.0, 2.0)b
0.20±0.16a
0.0(0.0, 3.0)b
0.19±0.08a
1.0(0.0, 3.0)b
0.82±1.07a
1.0(0.0, 4.0)b
0.74±0.27a
1.0(0.0, 3.0)b
0.90±0.15a
2.0(0.0, 4.0)b
0.072c
480 0.17±0.31a
0.0(0.0, 1.0)b
0.11±0.40a
0.0(0.0, 0.0)b
0.15±0.51a
0.0(0.0, 1.0)b
0.71±1.25a
1.0(0.0, 3.0)b
0.64±1.03a
1.0(0.0, 2.0)b
0.79±1.24a
1.0(0.0, 2.0)b
0.184c
피부홍조



30 1.65±1.2a
1.0(0.0, 2.0)b
1.57±1.5a
1.0(0.0, 3.0)b
1.60±0.9a
1.0(0.0, 2.0)b
2.45±1.30a
3.0(0.0, 5.0)b
2.03±1.08a
2.0(0.0, 4.0)b
2.38±1.16a
3.0(0.0, 5.0)b
0.217c
120 0.41±0.77a
0.0(0.0, 2.0)b
0.38±0.27a
0.0(0.0, 2.0)b
0.45±0.92a
1.0(0.0, 2.0)b
2.35±1.18b
3.0(0.0, 3.0)b
2.71±1.55b
2.0(0.0, 3.0)b
2.45±1.37b
3.0(0.0, 3.0)b
0.015c
300 0.13±0.41a
0.0(0.0, 1.0)b
0.21±0.39a
0.0(0.0, 2.0)b
0.35±0.01a
0.0(0.0, 1.0)b
1.22±1.09a
2.0(0.0, 3.0)b
0.98±1.29a
2.0(0.0, 2.0)b
1.18±1.13a
2.0(0.0, 3.0)b
0.042c
480 0.15±0.29a
0.0(0.0, 1.0)b
0.09±0.89a
0.0(0.0, 1.0)b
0.12±0.59a
0.0(0.0, 1.0)b
0.75±1.27a
0.0(0.0, 4.0)b
0.57±1.35a
1.0(0.0, 3.0)b
0.63±0.98a
0.0(0.0, 4.0)b
0.189c
불안감



30 0.35±0.82a
0.0(0.0, 3.0)b
0.29±0.12a
0.0(0.0, 4.0)b
0.32±0.97a
0.0(0.0, 3.0)b
1.45±1.30a
2.0(0.0, 5.0)b
1.77±2.30a
3.0(0.0, 4.0)b
1.65±1.89a
2.0(0.0, 5.0)b
0.075c
120 0.21±0.27a
0.0(0.0, 1.0)b
0.18±0.21a
0.0(0.0, 2.0)b
0.25±0.01a
0.0(0.0, 1.0)b
1.45±1.28b
1.0(0.0, 4.0)b
1.29±1.41b
2.0(0.0, 3.0)b
1.53±1.29b
1.0(0.0, 4.0)b
0.029c
300 0.05±0.11a
0.0(0.0, 1.0)b
0.08±0.09a
0.0(0.0, 2.0)b
0.07±0.25a
1.0(0.0, 1.0)b
1.20±1.19a
1.0(0.0, 3.0)b
1.68±1.04a
1.0(0.0, 2.0)b
1.40±1.59a
1.0(0.0, 5.0)b
0.052c
480 0.01±0.02a
0.0(0.0, 0.0)b
0.02±0.08a
0.0(0.0, 0.0)b
0.05±0.45a
0.0(0.0, 0.0)b
0.65±1.07a
0.0(0.0, 3.0)b
0.73±0.62a
0.0(0.0, 2.0)b
0.68±0.52a
0.0(0.0, 3.0)b
0.109c
a : 평균 ± 표준편차 (Mean ± SD)
b :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Median (min, max))
c : Wilcoxon signed rank test 결과에 의할 때 값
실시예 비교예 P값

시간
(min)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피로감



30 0.65±0.98a
1.0(0.0, 3.0)b
0.71±0.75a
1.0(0.0, 2.0)b
0.61±0.25a
1.0(0.0, 3.0)b
1.65±1.27a
1.0(0.0, 4.0)b
1.53±1.12a
2.0(0.0, 4.0)b
1.69±1.07a
1.0(0.0, 3.0)b
0.025c
120 0.79±0.87a
0.0(0.0, 2.0)b
0.65±0.12a
0.0(0.0, 3.0)b
0.75±0.52a
0.0(0.0, 2.0)b
1.77±0.91b
2.0(1.0, 3.0)b
1.32±1.20b
3.0(1.0, 2.0)b
1.59±1.10b
2.0(1.0, 3.0)b
0.049c
300 0.65±0.81a
1.0(0.0, 2.0)b
0.52±0.42a
1.0(0.0, 2.0)b
0.58±0.19a
1.0(0.0, 1.0)b
1.41±1.38a
1.0(0.0, 4.0)b
1.19±1.20a
2.0(0.0, 2.0)b
1.05±1.17a
1.0(0.0, 3.0)b
0.252c
480 0.31±0.42a
0.0(0.0, 1.0)b
0.28±0.18a
0.0(0.0, 1.0)b
0.27±0.93a
0.0(0.0, 0.0)b
1.25±1.37a
1.0(0.0, 3.0)b
1.88±1.06a
2.0(0.0, 2.0)b
1.75±1.15a
1.0(0.0, 3.0)b
0.049c
기력상실



30 0.45±0.78a
0.0(0.0, 3.0)b
0.34±0.15a
0.0(0.0, 2.0)b
0.41±0.05a
1.0(0.0, 3.0)b
1.45±1.25a
1.0(0.0, 4.0)b
1.73±1.62a
2.0(0.0, 5.0)b
1.55±1.37a
1.0(0.0, 5.0)b
0.048c
120 0.49±0.27a
0.0(0.0, 2.0)b
0.51±0.82a
0.0(0.0, 3.0)b
0.45±0.08a
0.0(0.0, 2.0)b
1.91±1.58b
1.0(0.0, 3.0)b
2.38±1.02b
2.0(0.0, 4.0)b
2.05±1.77b
2.0(0.0, 4.0)b
0.037c
300 0.35±0.61a
0.0(0.0, 1.0)b
0.45±0.51a
0.0(0.0, 2.0)b
0.38±0.54a
0.0(0.0, 1.0)b
1.41±1.58a
1.0(0.0, 3.0)b
2.53±1.29a
1.0(0.0, 2.0)b
1.96±1.15a
2.0(0.0, 2.0)b
0.061c
480 0.21±0.12a
0.0(0.0, 0.0)b
0.19±0.82a
0.0(0.0, 1.0)b
0.25±0.71a
0.0(0.0, 0.0)b
1.05±1.47a
0.0(0.0, 4.0)b
1.78±1.05a
1.0(0.0, 3.0)b
1.55±1.05a
1.0(0.0, 3.0)b
0.124c
하복부불쾌감



30 0.25±0.71a
0.0(0.0, 2.0)b
0.31±0.65a
0.0(0.0, 3.0)b
0.28±0.81a
0.0(0.0, 2.0)b
0.82±1.05a
1.0(0.0, 3.0)b
0.74±1.32a
1.0(0.0, 2.0)b
0.92±1.15a
1.0(0.0, 3.0)b
0.031c
120 0.19±0.57a
0.0(0.0, 2.0)b
0.28±0.24a
0.0(0.0, 2.0)b
0.25±0.19a
0.0(0.0, 1.0)b
0.71±0.68b
1.0(0.0, 3.0)b
0.61±0.53b
2.0(0.0, 3.0)b
0.83±0.47b
2.0(0.0, 4.0)b
0.043c
300 0.35±0.49a
0.0(0.0, 1.0)b
0.29±0.38a
0.0(0.0, 2.0)b
0.30±0.75a
0.0(0.0, 1.0)b
0.59±1.02a
1.0(0.0, 2.0)b
0.57±0.99a
1.0(0.0, 2.0)b
0.65±0.81a
1.0(0.0, 2.0)b
0.241c
480 0.17±0.42a
0.0(0.0, 1.0)b
0.24±0.39a
0.0(0.0, 2.0)b
0.12±0.05a
0.0(0.0, 1.0)b
0.25±0.51a
0.0(0.0, 1.0)b
0.42±0.78a
0.0(0.0, 2.0)b
0.38±0.25a
0.0(0.0, 1.0)b
0.319c
창백함


감도
30 0.15±0.31a
0.0(0.0, 1.0)b
0.20±0.28a
0.0(0.0, 2.0)b
0.19±0.41a
0.0(0.0, 1.0)b
0.87±1.02a
1.0(0.0, 2.0)b
0.79±1.22a
2.0(0.0, 3.0)b
0.82±1.01a
1.0(0.0, 2.0)b
0.038c
120 0.14±0.47a
0.0(0.0, 2.0)b
0.25±0.38a
0.0(0.0, 3.0)b
0.19±0.72a
0.0(0.0, 2.0)b
0.59±0.78b
0.0(0.0, 3.0)b
0.98±0.26b
1.0(0.0, 3.0)b
0.72±0.16b
1.0(0.0, 2.0)b
0.124c
300 0.25±0.59a
0.0(0.0, 1.0)b
0.30±0.41a
0.0(0.0, 2.0)b
0.29±0.32a
0.0(0.0, 1.0)b
0.65±0.91a
0.0(0.0, 2.0)b
0.74±0.58a
1.0(0.0, 2.0)b
0.62±0.52a
1.0(0.0, 1.0)b
0.185c
480 0.32±0.82a
0.0(0.0, 2.0)b
0.41±0.28a
0.0(0.0, 2.0)b
0.37±0.41a
0.0(0.0, 1.0)b
0.21±0.45a
0.0(0.0, 1.0)b
0.52±0.71a
0.0(0.0, 1.0)b
0.43±0.62a
0.0(0.0, 1.0)b
0.958c
a : 평균 ± 표준편차 (Mean ± SD)
b :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Median (min, max))
c : Wilcoxon signed rank test 결과에 의할 때 값
실시예 비교예 P값

시간
(min)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심장박동


감도
30 0.25±0.62a
0.0(0.0, 1.0)b
0.32±0.08a
0.0(0.0, 2.0)b
0.29±0.51a
0.0(0.0, 1.0)b
0.81±1.05a
1.0(0.0, 3.0)b
1.21±1.42a
2.0(0.0, 4.0)b
1.08±1.35a
1.0(0.0, 4.0)b
0.041c
120 0.24±0.57a
0.0(0.0, 2.0)b
0.35±0.62a
0.0(0.0, 2.0)b
0.29±0.27a
0.0(0.0, 1.0)b
0.67±0.91b
1.0(0.0, 2.0)b
1.04±0.53b
1.0(0.0, 3.0)b
0.95±0.47b
1.0(0.0, 3.0)b
0.061c
300 0.1±0.20a
0.0(0.0, 1.0)b
0.5±0.24a
0.0(0.0, 2.0)b
0.3±0.82a
0.0(0.0, 1.0)b
0.71±1.00a
0.0(0.0, 3.0)b
0.92±0.29a
0.0(0.0, 2.0)b
0.84±0.16a
0.0(0.0, 3.0)b
0.075c
480 0.0±0.00a
0.0(0.0, 0.0)b
0.0±0.00a
0.0(0.0, 0.0)b
0.0±0.00a
0.0(0.0, 0.0)b
0.20±0.59a
0.0(0.0, 2.0)b
0.64±0.17a
0.0(0.0, 1.0)b
0.54±0.28a
0.0(0.0, 2.0)b
0.428c
갈증


감도
30 1.25±0.84a
1.0(0.0, 3.0)b
1.52±0.54a
1.0(0.0, 4.0)b
1.38±0.71a
1.0(0.0, 3.0)b
2.31±1.05a
2.0(1.0, 5.0)b
2.19±0.83a
2.0(1.0, 4.0)b
2.25±0.47a
2.0(1.0, 4.0)b
0.068c
120 1.64±1.00a
1.0(0.0, 2.0)b
1.28±1.90a
1.0(0.0, 3.0)b
1.39±0.50a
1.0(0.0, 3.0)b
2.91±0.51b
3.0(1.0, 4.0)b
3.21±0.48b
4.0(1.0, 5.0)b
2.85±0.28b
4.0(1.0, 4.0)b
0.042c
300 0.91±0.85a
1.0(0.0, 3.0)b
0.75±0.26a
1.0(0.0, 2.0)b
0.69±0.41a
1.0(0.0, 3.0)b
1.65±1.25a
1.0(0.0, 3.0)b
2.35±1.17a
3.0(0.0, 4.0)b
2.07±1.06a
2.0(0.0, 3.0)b
0.195c
480 0.51±0.82a
0.0(0.0, 2.0)b
0.46±0.28a
0.0(0.0, 1.0)b
0.59±0.42a
0.0(0.0, 1.0)b
1.40±1.39a
1.0(0.0, 2.0)b
2.10±1.28a
2.0(0.0, 2.0)b
1.80±1.28a
2.0(0.0, 2.0)b
0.092c
졸음


감도
30 0.61±0.74a
1.0(0.0, 2.0)b
0.52±0.29a
1.0(0.0, 3.0)b
0.57±0.16a
1.0(0.0, 2.0)b
2.01±1.12a
2.0(0.0, 5.0)b
2.57±1.41a
3.0(0.0, 4.0)b
2.32±1.18a
2.0(0.0, 5.0)b
0.031c
120 0.81±0.72a
1.0(0.0, 2.0)b
0.68±0.12a
1.0(0.0, 3.0)b
0.75±0.64a
1.0(0.0, 2.0)b
2.62±0.89b
3.0(1.0, 4.0)b
3.20±0.74b
2.0(1.0, 4.0)b
2.90±0.53b
3.0(1.0, 3.0)b
0.025c
300 1.02±0.92a
1.0(0.0, 3.0)b
0.82±0.67a
1.0(0.0, 2.0)b
0.92±0.85a
1.0(0.0, 3.0)b
1.55±1.25a
1.0(0.0, 3.0)b
2.08±0.25a
1.0(0.0, 3.0)b
1.98±0.04a
1.0(0.0, 2.0)b
0.325c
480 0.13±0.42a
0.0(0.0, 1.0)b
0.10±0.32a
0.0(0.0, 1.0)b
0.20±0.15a
0.0(0.0, 1.0)b
1.08±1.39a
1.0(0.0, 3.0)b
1.37±0.25a
1.0(0.0, 2.0)b
1.55±0.37a
1.0(0.0, 2.0)b
0.081c
a : 평균 ± 표준편차 (Mean ± SD)
b : 중위수 (최소값, 최대값) (Median (min, max))
c : Wilcoxon signed rank test 결과에 의할 때 값
이상과 같은 임상효능 실험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활용하여 제조한 건강차는, 통상의 숙취해소용 음료 등에 비하여,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간 손상의 지표인 혈중 GOT 활성 증가를 감소시키며 음주 후의 신경장애, 피부홍조, 불안감, 피로감, 기력상실, 하복부 불쾌감, 창백함, 심장박동감 이상, 갈증 및 졸음 등과 같은 정신적, 신체적 자각 증상을 유의성있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3 내지 5 참조).

Claims (11)

  1. 키토올리고당(Chito oligosaccharide) 0.25 내지 1 중량%, 이소말토 올리고당(Isomalto oligosaccharide) 4.5 내지 16 중량%, 덱스트린(Dextrin) 13.5 내지 25 중량%, 타우린(Taurine) 0.25 내지 2.5 중량%, L-아스파라긴(L-Asparagine) 0.5 내지 5 중량%, 글리신(Glycine) 0.15 내지 1.5 중량%, 비타민 C(Vitamin C) 1 내지 10 중량%, 비타민 B1(Vitamin B1)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B2(Vitamin B2) 0.01 내지 0.1 중량%, 비타민 B6(Vitamin B6)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B12(Vitamin B12) 0.005 내지 0.05 중량%, 비타민 E(Vitamin E) 0.005 내지 0.05 중량%, 니코틴산아미드(Nicotinic acid amide) 0.15 내지 1.5 중량%, 울금 0.5 내지 2 중량%, 칡 0.5 내지 2 중량%, 오리나무 0.5 내지 2 중량%, 갈화꽃 0.05 내지 0.5 중량%, 국화꽃 0.05 내지 0.2 중량%, 녹용 0.005 내지 0.04 중량%, 홍삼 0.005 내지 0.04 중량%, 대추 0.5 내지 2 중량%, 생강 0.5 내지 2 중량%, 진피 0.5 내지 2 중량%, 당귀 0.2 내지 0.8 중량%, 사인 0.2 내지 0.8 중량%, 복령 0.5 내지 2 중량%, 감초 0.5 내지 2 중량%, 사과농축액 1.5 내지 12.5 중량%, 벌꿀 0.3 내지 3 중량%, 합성 허브향 0.5 내지 5 중량%, 함수구연산 0.5 내지 5 중량%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 0.5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a) 울금, 칡, 오리나무, 녹용, 홍삼, 대추, 생강, 진피, 당귀, 복령, 감초 및 키토 올리고당을 30 내지 50℃ 온수로 가열처리하는 단계(S10);
    b) 상기 가열처리된 원료를 85 내지 95℃에서 6 내지 10시간 동안 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1차 추출단계(S20);
    c)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 및 숙성시키는 1차 여과단계(S30);
    d) 상기 1차 여과를 거친 1차 추출물에 2차로 국화꽃, 갈화꽃 및 사인을 추가한 뒤 추출하여 2차 추출물을 형성하는 2차 추출단계(S40);
    e) 상기 2차 추출물을 30 내지 60℃에서 2차 여과 후, 상기 1차 여과 후 숙성된 원료와 혼합한 뒤, 30 내지 70℃에서 4 내지 8시간 숙성시키는 2차 여과단계(S50);
    f) 상기 2차 여과된 원료에 정제수를 넣어 용해 및 교반하는 1차 교반단계(S60);
    g) 상기 1차 교반된 원료에 이소말토올리고당, 덱스트린, 타우린, L-아스파라긴, 글리신, 비타민C,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비타민 B12, 비타민 E, 니코틴산아미드, 사과농축액, 벌꿀, 합성허브향, 함수구연산 및 효소처리 스테비아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2차 교반단계(S70); 및
    h) 상기 2차 교반된 원료를 필터로 3차 여과 및 살균하는 단계(S80);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130098759A 2013-08-20 2013-08-20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3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59A KR101433188B1 (ko) 2013-08-20 2013-08-20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759A KR101433188B1 (ko) 2013-08-20 2013-08-20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188B1 true KR101433188B1 (ko) 2014-08-26

Family

ID=5175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759A KR101433188B1 (ko) 2013-08-20 2013-08-20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18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59B1 (ko) * 2015-09-03 2016-08-31 이상재 천연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또는 뇌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2014B1 (ko) * 2016-07-22 2017-02-13 목기호 숙취해소식품 첨가제 제조방법
KR101741595B1 (ko) 2016-07-22 2017-05-30 목기호 아스파라긴산 추출방법
CN108652000A (zh) * 2018-03-07 2018-10-16 姜学林 一种复方刺龙芽护肝解酒固体制品及其制备方法
CN109303789A (zh) * 2017-07-28 2019-02-0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具有脯氨酰内切酶抑制活性的鹿茸活性组分及制备和应用
CN110771897A (zh) * 2019-11-29 2020-02-11 江南大学 一种干预慢性饮酒诱导的小肠损伤的功能性食品及应用
KR20200105119A (ko) 2019-02-28 2020-09-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여성 질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건강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63660A (ko) * 2019-11-25 2021-06-02 인바이오 주식회사 벌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3657A (ko) * 2019-11-25 2021-06-02 인바이오 주식회사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268088B1 (ko) * 2020-07-09 2021-06-23 주식회사 지바이오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레시피의 제공방법
CN113049711A (zh) * 2021-03-23 2021-06-29 宁夏医科大学 一种同时测定八珍益智合剂中多种有效成分的方法
KR20230131503A (ko) 2022-03-03 2023-09-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물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차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67A (ko) * 1999-08-30 2001-03-15 송병식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261B1 (ko) 2000-06-08 2003-01-10 주식회사 조선내츄럴 숙취해소용 건강차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767A (ko) * 1999-08-30 2001-03-15 송병식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261B1 (ko) 2000-06-08 2003-01-10 주식회사 조선내츄럴 숙취해소용 건강차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959B1 (ko) * 2015-09-03 2016-08-31 이상재 천연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또는 뇌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2014B1 (ko) * 2016-07-22 2017-02-13 목기호 숙취해소식품 첨가제 제조방법
KR101741595B1 (ko) 2016-07-22 2017-05-30 목기호 아스파라긴산 추출방법
CN109303789A (zh) * 2017-07-28 2019-02-0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具有脯氨酰内切酶抑制活性的鹿茸活性组分及制备和应用
CN109303789B (zh) * 2017-07-28 2021-10-1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具有脯氨酰内切酶抑制活性的鹿茸活性组分及制备和应用
CN108652000A (zh) * 2018-03-07 2018-10-16 姜学林 一种复方刺龙芽护肝解酒固体制品及其制备方法
KR20200105119A (ko) 2019-02-28 2020-09-0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여성 질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건강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63657A (ko) * 2019-11-25 2021-06-02 인바이오 주식회사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3660A (ko) * 2019-11-25 2021-06-02 인바이오 주식회사 벌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41885B1 (ko) * 2019-11-25 2021-12-21 고광용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41886B1 (ko) * 2019-11-25 2021-12-21 고광용 벌나무 추출물 및 오리나무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CN110771897A (zh) * 2019-11-29 2020-02-11 江南大学 一种干预慢性饮酒诱导的小肠损伤的功能性食品及应用
KR102268088B1 (ko) * 2020-07-09 2021-06-23 주식회사 지바이오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레시피의 제공방법
CN113049711A (zh) * 2021-03-23 2021-06-29 宁夏医科大学 一种同时测定八珍益智合剂中多种有效成分的方法
CN113049711B (zh) * 2021-03-23 2022-09-23 宁夏医科大学 一种同时测定八珍益智合剂中多种有效成分的方法
KR20230131503A (ko) 2022-03-03 2023-09-14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곡물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차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TWI500391B (zh) 解酒與預防宿醉的組合物及包含組合物的飲料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4997091B (zh) 蛹虫草速溶固体饮料
KR101312491B1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음료의 제조방법
KR101670649B1 (ko)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858215A (zh) 一种百香果复合饮料
CN106070626A (zh) 酸马奶水果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315204B1 (ko) 건강기능성 양파 음료 및 그 제조방법
CN104664507A (zh) 一种纯天然石榴饮的制备
CN106235318A (zh) 以金银花、姜黄为主要原料制备酵素的方法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20210063657A (ko) 헛개나무 추출물 및 백년초 분말을 함유한 숙취해소용 천연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0874A (ko) 미세먼지 및 중금속과 항생물질 분해 배출에 도움을 주는 영양식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RU2533040C2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фитоджема (варианты)
CN101715958A (zh) 一种蜂蜜橄榄膏的制备方法
KR100337472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엑기스를 함유한 건강식품음료조성물
CN108925807A (zh) 一种降糖降压的固体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476092B1 (ko)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50554B1 (ko) 숙취해소용 액상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56863B1 (ko) 운지버섯 및 콜라겐을 함유하는 티백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CN105124076A (zh) 一种滋咽润喉的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20160141624A (ko) 2차 발효 홍삼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07

Effective date: 201509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003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107

Effective date: 2015092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6732;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200006732;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1020

Effective date: 2016081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300002034;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23

Effective date: 201611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3000014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1118

Effective date: 201703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