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092B1 -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092B1
KR101476092B1 KR20140012310A KR20140012310A KR101476092B1 KR 101476092 B1 KR101476092 B1 KR 101476092B1 KR 20140012310 A KR20140012310 A KR 20140012310A KR 20140012310 A KR20140012310 A KR 20140012310A KR 101476092 B1 KR101476092 B1 KR 10147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over
ginger
leaves
weight
her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2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채
Original Assignee
박형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채 filed Critical 박형채
Priority to KR20140012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3/005
    • A23L3/01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으로서, 울금(Curcuma longa Linn.), 영지버섯(Ganoderna lucidum (Fr.) Karst.),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연근(Nelumbo nucitera Gaerth.), 박하 잎(Mentha arversis.), 바질 잎(Ocimum Sanctum Linn),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Azadirachta indica Juss. Var. Siamensis valeton)으로부터 추출된 허브 추출액과; 감초 추출물(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및 정제수(Water)를 포함한다.
그 구성은 본 발명은 천연생약성분인 허브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숙취 해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으로 제조되고, 각 성분의 특성을 고려한 배합 비율로 성분간의 충돌 및 부적합 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BEVERAGE FOR RELIEVING HANGOV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이고 울금, 영지버섯, 생강, 연근, 박하 잎, 바질 잎, 인도 멀구슬나무 잎 및 감초를 함유하는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숙취는 술을 마신 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인 불쾌감을 총칭하는 것으로 객관적인 증상으로는 인식·운동 능력저하, 메스꺼움, 구토, 졸음, 두통, 혈액학적 변화, 호르몬의 변화 등의 현상을 말한다.
일상 생활 속에서 현대인들은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문명의 이기가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이 받는 스트레스의 강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많은 현대인들이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 운동, 수면, 흡연, 여행 등 각기 다른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음주(알코올 섭취)를 통한 스트레스의 경감을 도모하는 것이 현대 사회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음주라는 행위가 현대인에 있어서는 단순히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일 뿐 아니라 접대를 통한 비즈니스 관계 형성, 동료나 지인과의 친목 도모, 가족 모임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일종의 문화로 자리 잡기 때문인 것이다.
특히 사회가 복잡해지고 조직화될수록 이런 음주에 대한 기회가 늘어나면서, 더불어 폭음, 과음 등도 증가하게 된다. 한국의 음주 문화 특성상 잦은 음주와 과음이 잦아 숙취로 다음날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지장을 받는 사람이 많고, 장기간의 나쁜 음주 습관으로 결국 건강까지 나빠지는 경우가 많다.
체내에 흡수된 에탄올은 주로 간에서 대사되어 아세트알데하이드 (Acetaldehyde)를 거쳐서 아세테이트로 산화되어 체외로 배출되게 된다. 에탄올로부터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는 과정에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Alcohol dehydroge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며, 알코올 산화로 생성된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산화 과정에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cetaldehyde dehydroge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은 섭취된 알코올이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관 내로 들어가서 간장으로 옮겨지게 되는데, 간세포에서는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의 작용으로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고, 다시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가 작용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아세테이트로 분해되어 체외로 탄산가스, 물로 분해되어 배출된다.
숙취의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는 않으나, 탈수, 알코올 및 알코올 대사물 (아세트알데하이드, 포름알데하이드, 아세톤 등)의 독성 작용이나, 영양소 들의 흡수 장애로 인한 영양소 결핍 등의 다수 학술논문이 있는데, 기존에는 알코올에 소량 함유되어 있는 메탄올의 대사 및 포름알데하이드가 숙취 원인으로 지적된 바가 있으나[Jones AW (1987). “Elimination half-life of methanol during hangover”. Pharmacol Toxicol. 60(3). 217-220], 근래에는 알코올에 의한 숙취는 알코올의 대사 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톤 등에 의한다는 것이 다소 보고 되어 있다[Tomita Y, Haseba T, Kurosu M, Watanabe T(1990). Arukoru Kenkyuto Yakubutsu Ison. “Effects of acute ethanol intoxication on aldehyde dehydrogenase in mouse liver”. 25(2). 116-128][Tsukamoto S, Muto T. Nagoya T, Shimamura M, Saito T, Tainaka H.(1989). “Determinations of ethanol, acetaldehyde and acetate in blood and urine during alcohol oxidation in man”. Alcohol and Alcoholism. 24(2).101~108].
체내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저농도이더라도 산화를 개시하는 2형과 고농도일 때 산화를 개시하는 1형이 있는데, 동양인은 일반적으로 2형의 유형으로 1형이 대부분인 서양인들보다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산화가 느린 편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숙취현상에 노출되어 있다.
한국의 음주 문화에 대한 사회적 배경으로 숙취 해소를 위한 제품에 대하여서는 소비자의 요구가 지속되고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음주로 인한 숙취 경감을 위해서 연구와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 다양한 제품들이 시중에 판매 또는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제품들이 생약 소재들을 비롯해서 효능에 좋다고 하는 조성물을 제품에 이용은 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그 사용량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며, 실제 만들어진 최종 제품의 효능에 대해서도 객관에 검증이 미흡하기 때문에 실제 숙취 해소 음료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들로부터 제품에 대한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높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숙취해소에 좋은 원료나 조성물들을 이용해서 객관적으로 숙취해소 효능의 검증을 통해서 실제 소비자들이 제품을 음용한 뒤에 효과를 봄으로써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을 뿐 아니라 실제 과다한 음주로 인한 사회적인 손실을 줄이고, 더불어 개인의 건강한 생활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숙취해소를 위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1759호의 “감식초와 한약재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혼합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음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1337호의 “황태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상기 분획물에서 분리한 활성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숙취 해소에 너무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숙취 해소에 현저한 효과를 찾아보기 힘들다. 그리고 숙취 해소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 실험 데이터도 없어서, 숙취 해소에 대한 효과를 믿을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숙취 해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상 실험을 통해 숙취 해소 효과가 탁월한 것을 입증 받은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의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는, 울금(Curcuma longa Linn.), 영지버섯(Ganoderna lucidum (Fr.) Karst.),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연근(Nelumbo nucitera Gaerth.), 박하 잎(Mentha arversis.), 바질 잎(Ocimum Sanctum Linn),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Azadirachta indica Juss. Var. Siamensis valeton)으로부터 추출된 허브 추출액과; 감초 추출물(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의 상기 허브 추출액, 감초 추출물, 및 정제수의 중량비는 10:1:89이고, 상기 허브 추출액은 물 99.84중량%, 울금 0.04중량%, 영지버섯 0.02중량%, 생강 0.02중량%, 연근 0.02중량%, 박하 잎 0.02중량%, 바질 잎 0.02중량%,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 0.02중량%인 것에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은, 울금, 영지버섯, 생강, 연근,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을 포함하는 허브를 수작업으로 손질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으로 제거되지 못한 미세 오염물을 제거 및 세척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세척된 허브를 건조하고, 멸균 소독하는 제3 과정과; 상기 허브를 그라인딩한 뒤, 세척하고, 멸균 소독하여 허브 추출액을 추출하는 제4 과정과; 상기 허브 추출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가열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5 과정의 혼합물에 감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의 상기 제3 과정은, 페트리 접시(petri dish) 안의 세균 배양액에 배양시켜, 세균 배양액에서 검출된 세균 수를 계산하여, 적정 수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제4 과정을 진행하고, 제6 과정은, 온도 변화에 따른 혼탁도를 확인하는 물리적 검사, 알칼리와 산도 및 당도를 분석하는 화학적 검사, 총 세균 수 및 효모, 곰팡이 균, 장내 세균 박테리아 성장을 관찰하는 미생물적 검사를 하는 제품 품질 확인 검사를 더 진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의 상기 제3 과정은, 180도의 폐쇄 건조기에서 15분간 건조한 뒤, 자연 건조를 진행하고, 85~100도의 고온 공기 오븐에서 6시간 멸균 소독을 진행하며, 상기 제4 과정은,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을 유수세척기에서 10분씩 2회 세척하고, 울금, 영지버섯, 생강, 및 연근을 통이 돌아가는 형태의 세척기로 10분씩 3회 세척하며, 120도의 온도와 1.2bar의 압력으로 고온가압 멸균 처리기(autoclave system)에서 멸균 소독을 진행하고, 상기 제5 과정은, 허브 추출액의 양에 비례한 고온가압 멸균처리기의 최대 용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1시간동안 가열을 진행하며, 상기 제6 과정은, 15분간 가열을 진행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천연생약성분인 허브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숙취 해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임상 실험을 통해 숙취 해소 효과가 탁월한 것을 입증 받았다.
그리고 무방부제, 무색소, 무설탕으로 제조되고, 각 성분의 특성을 고려한 배합 비율로 성분간의 충돌 및 부적합 반응으로 인한 부작용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와 시중의 다른 숙취 해소 음료를 이용하여 숙취해소 효능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와 시중의 다른 숙취 해소 음료를 이용하여 숙취해소 효능 실험을 한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는 울금(Curcuma longa Linn.), 영지버섯(Ganoderna lucidum (Fr.) Karst.),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연근(Nelumbo nucitera Gaerth.), 박하 잎(Mentha arversis.), 바질 잎(Ocimum Sanctum Linn),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Azadirachta indica Juss. Var. Siamensis valeton)으로부터 추출된 허브 추출액과; 감초 추출물(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및 정제수를 포함한다.
울금은 생강과 식물인 강황의 뿌리 부분을 건조해 분말로 만든 노란색의 향신료이다. 울금은 오랫동안 약재, 향신료 및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토착성 식물로서, 아열대지역에서만 고품질의 재배가 가능하고, 세계적인 장수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노화방지와 항암 등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동남아지역에서 재배된 최고 품질의 울금이 사용된다.
울금은 커큐민(curcumin), 알파 커큐멘(α-Curcumene), 투메론(turmerone), 커큐몰(Curcumol), 미네올, 아줄렌(Azulene), 베타 에레멘(β-elemene), 캄파(kampfa), 파라-메치돌 이루카비놀(ρ-Methydol lrucabinole), 무기 영양소인 칼륨과 아연, 플라보노이드, 메치톨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커큐민은 항암 효과, 천연 폴리페놀 성분으로 비만 예방 효과, 고혈압과 뇌졸중 등 혈관질환 개선, 항산화 및 항균 기능으로 노화와 치매, 염증성 질환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알파 커큐멘은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의 예방 및 개선이 가능하고, 항 콜레스테롤 효과가 있다. 투메론은 담즙분비 촉진과 이담, 살균, 항균, 항염 작용을 한다. 커큐몰는 항 종양 작용, 자궁 경부암의 치료가 가능하다. 미네올 는 위액인 펩신 분비 촉진, 위 기능 강화, 살균 및 항균 작용을 한다. 아줄렌은 항염, 항 궤양, 항 종양 작용 및 건위 작용을 하고, 위와 십이지장 궤양을 개선한다. 베타 에레멘은 종양의 증식을 억제한다. 캄파는 강심, 건위작용 및 살균과 방부 작용을 한다. 파라 메치돌 이루카비놀는 담즙의 배출 촉진과 간 기능을 강화시킨다. 무기 영양소는 영양소 대사 촉진과 체내의 나트륨 배출과 혈압을 강하시킨다. 플라보노이드 는 모세혈관벽을 보고한다. 메치톨은 간 기능 향상과 담즙 분비를 촉진시킨다.
울금은 전술한 성분들로 인하여, 항암효과, 노화예방, 동맥경화 예방, 치질개선, 어혈 제거, 염증 완화, 소화기능 개선, 간 기능 강화, 피부미용, 여성질환 효과, 다이어트, 살균 및 항균 작용, 해열 작용에 효과가 있고, 특히, 주성분인 커큐민이 간 기능을 강화시켜 간의 해독작용을 돕고, 숙취의 원인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분해를 도와 숙취해소에 높은 효과가 있다.
생강은 대표적인 건강식품으로서, 강장, 강정, 살균, 항균, 항산화, 항암 효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주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이다. 몸을 덥혀줄 뿐만 아니라 각 종 혈관, 염증 질환에 뛰어난 효과를 보인다.
생강은 진저롤(Gingerol), 쇼가올(Shogael), 정유, 진지베린(Gingiberene), 디아스타아제(diastase), 쿠르쿠민(Curcumine), 아연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진저롤은 항암과 항산화 기능, 살균 및 항균 기능으로 장티푸스와 콜레라균 및 기생충 등의 억제, 소화흡수 촉진 및 염증 억제, 담즙 분비 촉진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 저하에 효과가 있다. 쇼가올은 진저롤을 가열하면 만들어지는 성분으로, 강한 살균 및 항균 작용, 항산화 작용으로 활성산소로 인한 유전자 손상 차단 및 항암 효과, 혈액순환 촉진 및 구역질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정유는 껍질 아래에 있는 휘발성 기름 성분으로, 진기베롤, 진기베렌, 커큐민 등의 방향 성분 400여 가지를 포함하고 있고, 수분대사를 돕고, 항산화 및 살균 작용, 위장의 소화흡수 능력 향상, 위 궤양 예방, 독소 배출, 생식기능 개선의 효과가 있다. 진지베린은 단백질 분해 효소이다. 디아스타아제는 단백질 분해 효소로 어류, 육류의 소화를 돕는다. 쿠르쿠민은 항산화 작용으로 유전자 손상 전아 활성산소를 제거한다. 아연은 갑상선에 작용해 호르몬을 생성하여 신진대사와 혈액 순환을 촉진한다.
생강은 전술한 성분들로 인하여, 고혈압과 고지혈증 개선, 콜레스테롤 감소, 심장 강화 작용, 혈당 저하, 해독효과, 항암 효과, 발열 기능, 감기 예방, 항산화 작용, 담 결석 예방, 건위 작용, 다이어트, 독소 배출, 생식기능 개선, 보온 효과, 면역력 증강, 발한 촉진, 기침 억제, 해열 작용, 진통 및 소염 작용, 혈액응고 억제, 위궤양 예방, 항균 및 살균 작용, 여성질환 개선, 이뇨효과, 멀미 및 두통 진정 효과가 있고, 특히,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동시에 발한이나 배뇨, 배변을 촉진하여 체내의 독소를 배출시켜 간 기능을 강화시키는 숙취해소에 높은 효과도 있다.
박하 잎은 온난한 곳에서 잘 자라며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이다. 상쾌하고 매운 향을 가진 식물로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중추 신경에 유익한 자극을 주어 체내의 열을 식혀주는 효능이 있다.
박하 잎은 멘톨(Menthol), 멘톤(Menthone), 알파피넨(α-Pinene), 리모넨(Limonene), 칼륨, 타닌(Tannin)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멘톨은 각종 암 치료, 해열, 진통 항염 및 진정 작용, 혈관의 이완 작용 및 신경 안정의 기능이 있다. 멘톤은 진통, 진경 작용 대뇌피질과 연수신경 흥분, 항균 작용, 및 혈액 순환 촉진 효과가 있다. 알파피넨은 해열, 거담, 진정 작용을 한다. 리모넨은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칼륨은 혈압을 낮추고, 맥박수를 조절한다. 타닌은 가려움증을 진정시키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박하 잎은 전술한 성분들로 인해, 소염 작용 및 호흡기의 점액분비 촉진, 신경통 및 관절염 개선, 과민성 대장증후군 치료, 소화 촉진, 피부건강, 여성 성기능 향상, 해열 작용, 피로회복, 순환계 흐름 촉진, 항균 및 방부 작용, 감기증상 완화, 면역 강화, 구취제거, 진통 방지, 멀미 및 어지럼증 억제에 효과가 있고, 특히,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고, 박하의 시원한 향이 멀미와 어지럼증을 억제하여 숙취 해소에 높은 효과가 있다.
바질 잎은 해가 잘 들고, 바람이 많은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식물로, 향이 강하고 주로 줄기와 잎을 이용한다. 많은 효능이 있으나, 그 중 특히 두뇌 관련 효과가 뛰어나다.
바질 잎은 리나롤(Linalool), 메틸차비콜(Methyl Charvicol), 유게놀(Eugenol), 베타카로틴, 아르기닌(Arginine), 피토케미칼(Phytochemical), 오시멘 (ocimene), 시네올(Cineol), 트립토판(Tryptophane), 칼슘과 비타민K, 알파피넨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리나롤은 진해와 강장 작용을 한다. 메탈차비콜은 건위작용, 소화불량 개선 및 해열작용을 한다. 유게놀은 항균, 항염 효과와 항암 효과가 있다. 베타카로틴은 항산화 기능이 있다. 아르기닌은 혈관 확장, 장 운동 조절, 혈소판 응고 기능이 있다. 피토케미칼은 신진대사를 활성화한다. 오시멘은 항염, 항균작용 및 내장기관의 이상 발효를 억제한다. 시네올은 소화촉진 및 살균작용을 한다. 트립토판은 두뇌의 송과선에서 세로토닌(Serotonin)을 생성하는 단백질 필수 아미노산과 뇌와 신체의 건강을 유지해주는 멜라토닌(Melatonin)을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성분이다. 칼슘과 비타민K는 뼈 형성 및 강화 효과가 있다. 알파피넨은 해열작용, 해독작용, 설사 및 변비를 완화한다.
바질 잎의 전술한 성분들로 인해, 혈압 강하, 협심증 예방, 뇌기능 향상, 신진대사 촉진, 뼈 형성 및 강화, 해열작용, 피부미용, 긴장 완화, 소염작용, 건위완화, 소염작용, 건위 효과, 근육통 완화, 신경 강장, 두통 완화, 호흡기 질환 완화, 생식기 건강 증진의 효과가 있고, 특히, 혈액 순한 완화, 혈관의 확장 도움, 두통 완화 등으로 인하여 숙취 해소에 높은 효과가 있다.
인도 멀구슬나무 잎은 님(neem)이라 불리고, 원산지는 아열대 지방이다. 인도에서는 마을약국이라 불릴 만큼 피부질환 개선, 면역력 증강, 장 건강 강화 등 100여 가지의 질병의 치료약으로 쓰이고, 특히 추출한 오일은 각종 염증성 질환에 효능이 있다. 또한, 강력한 방충 효과가 있어 천연 방충제로서도 사용된다.
인도 멀구슬나무 잎은 메탄올, 클로로포름, 핵산, 아라비노갈락탄(Arabinogalactan)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메탄올과 클로로포름은 해열, 진통작용을 완화시킨다. 핵산은 항균 및 항 바이러스 작용을 한다. 아라비노갈락탄은 염증을 완화시킨다.
인도 멀구슬나무 잎의 전술한 성분들로 인해, 부종과 소양증 치료, 피부 건강, 두피 건강, 자양강장, 해독효과, 항균 작용, 항염 작용, 당뇨병 완화, 방충 작용의 효과가 있고, 특히, 체내의 독소를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어 숙취 해소에 높은 효과가 있다.
영지 버섯은 30도 이상의 고온 다습 조건의 환경의 활엽수 그루터기에서 서식하는 약초이다. 강장, 진해, 소종 등의 효능이 있어 신경쇠약, 심장병, 고혈압, 각종 앞에 사용된다. 버섯대가 단단한 각피로 싸여있고, 광택이 있어 만년버섯, 영지라고 하여 귀하게 사용되는 재료이다. 궁합 음식으로는 감초가 있고, 저칼로리에 식이섬유소가 풍부하여 변비를 개선하고 비만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칼륨, 칼슘, 인 등이 풍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아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영지 버섯은 베타글루칸(β-Glucan), 트리테르펜(Triterpene), 가노데란(Ganoraderan), 테르페노이드(Terpenoid), 칼륨, 칼슘, 인, 단백질 LZ-8, 알칼로이드(Alkaloid), 아데노신(Adenosine), 핵산, 지방산, 아미노산과 비타민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베타글루칸은 간 기능 강화, 인슐린 분비 촉진, 면역력 강화, 암세포 생장 억제의 기능이 있다. 트리테르펜은 항염증 작용, 알레르기 발생 억제,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한다. 가노데란은 항암 효과, 혈당 강하 기능을 한다. 테르페노이드는 항암, 간 보호 작용, 콜레스테롤 감소, 혈당 저하 작용, 혈압 저하 작용을 한다. 칼륨, 칼슘, 인은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단백질 LZ-8은 면역 조절 기능을 한다. 알칼로이드는 강심 작용을 한다. 아데노신은 진통 효과, 혈소판 응집 저해 작용을 한다. 핵산은 혈액 응고 방지, 항암 작용을 한다. 지방산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인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한다. 아미노산과 비타민은 생체 필수 영양소를 공급한다.
영지 버섯의 전술한 성분들로 인해, 동백경화와 고혈압 예방, 정혈 작용, 간 기능 강화, 강심 작용, 암세포 억제, 건위 작용, 심신 안정, 변비 예방, 남성 성기능 강화, 면역력 증강, 어혈 완화, 비만 개선, 호흡기 질환 개선, 신진대사 촉진의 효과가 있고, 특히 술이나 담배로부터 간을 보호하고 독소 해독 기능을 향상시켜 숙취 해소에 높은 효과가 있다.
연근은 뿌리 채소로는 드물게 비타민C가 풍부하고, 식이섬유도 풍부하다. 스트레스 해소의 도움은 물론, 녹말로 보호되어 쉽게 파괴되지 않고, 타닌에 의한 수렴성 때문에 상처를 낫게 하고 지혈작용, 설사, 구토 등을 다스린다.
연근은 타닌, 뮤신, 비타민C, 무기질, 철분, 아세틸콜린(Acethylcholine), 셀룰로오스, 불수용성 식이섬유, 칼륨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타닌은 피부 수렴작용, 지혈작용, 지방대사 촉진, 성인병 예방, 무신과의 상승효과, 단백질 응고 작용을 한다. 뮤신은 연근을 잘랐을 때 보이는 끈끈한 실 같은 부분으로서, 당분과 결합된 복합 단백질이고, 콜레스테롤 저하, 위벽보호, 니코틴 제거, 소화 촉진, 강장 작용을 한다. 비타민C와 무기질은 빈혈 예방, 간 기능 강화, 피부 건강 증진, 배설 촉진, 노화 방지, 항 산화, 항 바이러스, 항암, 항 스트레스 기능이 있다. 철분은 빈혈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다. 아세틸콜린은 신경전달물질로서, 뇌기능 강화에 도움을 준다. 셀룰로오스는 장 기능 강화, 변비 예방 기능이 있다. 불 수용성 식이섬유는 나트륨 배출 작용을 한다. 칼륨은 혈압 조절, 피부 미용 효과가 있다.
연근은 전술한 성분들로 인해, 스트레스 완화, 혈압 정상화 작용, 정력 증강, 혈액순환 강화, 어혈 치료, 빈혈 완화, 치매예방 효과, 해독 작용, 염증 완화, 출혈 억제, 피부 미용, 신경 안정, 변비 예방의 효과가 있고, 특히 독성 물질, 특히 알코올과 담배의 니코틴을 해독시키는 기능이 있어, 숙취 해소에 높은 효과가 있다.
감초는 가장 대중적이고, 가장 오래된 의약용 허브이다. 쓴 약을 달게 하여 먹기 좋게 할 뿐 아니라, 모든 약의 독성을 풀어주고, 기침과 담을 삭이며, 모든 약을 중화하는 것이 특징이다. 감초는 설탕의 150~300 배의 단맛을 가지고 있으나, 칼로리가 낮고, 지방을 분해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감초는 글리시리진(Glycyrrhizin), 플라보노이드, 리쿠라시드, 칼콘(Chalcone), 베타카로틴, 이소리퀴리틴(Isoliquiritin)의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글리시리진은 강한 단맛을 내는 성분으로, 만성 간염 개선, 지방 분해 작용, 항암 효과, 유사 에스트로겐 활성화, 항 염증 작용, 항 알레르기 작용, 항 바이러스 기능을 한다. 플라보노이드는 항암 작용에 효과적이다. 리쿠라시드는 진경작용, 항염작용, 항궤양작용에 효과적이다. 칼콘은 항암 작용을 한다. 베타카로틴은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눈 건강 강화의 효과가 있다. 이소리퀴리틴은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시킨다.
감초의 전술한 성분들로 인해, 항암작용, 성인병 예방, 노화 예방, 긴장 완화, 건위 작용, 피부병 완화, 소염 작용, 해독 작용, 숙취해소 및 간질환 예방, 체질 정상화, 항생 작용, 항산화 작용의 효과가 있고, 특히 체내의 중금속 배출을 도와 숙취 해소에 높은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는 전술한 울금, 영지버섯, 생강, 연근,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을 이용하여 추출된 허브 추출액과 감초, 및 정제수로 이루어진다. 울금, 영지버섯, 생강, 연근,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은 아열대 지방 특히, 태국에서 재배된 고품질의 재료들이 사용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는 허브 추출액 10중량%, 감초 1중량%, 정제수 89중량%의 함량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10중량%의 허브 추출 액에는 물 99.84중량%, 울금 0.04중량%, 영지버섯 0.02중량%, 생강 0.02중량%, 연근 0.02중량%, 박하 잎 0.02중량%, 바질 잎 0.02중량%,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 0.02중량% 함량으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허브를 수작업으로 손질한다(S1). 여기서, 허브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울금, 영지버섯, 생강, 연근,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이다. 작업자가 솔을 이용하여 정교하게 손질하게 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S1 과정으로 제거되지 못한 미세 오염 물을 제거 및 세척한다(S2). 허브액 추출에 이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부분인 흠집이 있는 부분이나 최상의 상태가 아닌 부분을 제거하여 다듬고, 깨끗이 씻어 그늘에 말린 후, 곤충이나 오염물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폐쇄기에서 다시 세척한다.
이어서, 세척된 허브를 건조하고, 멸균 소독한다(S3). 180도의 폐쇄 건조기에서 15분간 건조한 뒤, 자연 건조를 진행한다. 이 때, 열을 흡수하는 검은 망을 덮어 야외에서 자연 건조를 진행한다. 그리고 85~100도의 고온 공기 오븐에서 6시간 멸균 소독을 진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폐쇄 건조기에서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허브를 다시 한 번 고온의 공기 오븐에서 건조한다.
여기서, 세균수를 계산하여 적정 수준 이하인 경우 하기되는 S4 과정을 진행한다. 박테리아의 성장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 과정을 세균수 계산 공정을 진행한다. 페트리 접시(petri dish) 안의 세균 배양액에 배양시켜, 세균 배양액에서 검출된 세균 수를 계산한다.
다음으로, 허브를 그라인딩한 뒤, 세척 및 멸균 소독하여 허브 추출액을 추출한다(S4). 잎 종류의 원재료인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을 유수세척기에서 10분씩 2회 세척하고, 뿌리 종류의 원재료인 울금, 영지버섯, 생강, 및 연근을 통이 돌아가는 형태의 세척기로 10분씩 3회 세척한다. 그리고 120도의 온도와 1.2bar의 압력으로 고온가압 멸균 처리기(autoclave system)에서 멸균 소독을 진행한다.
이어서, 상기 허브 추출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가열한다(S5). 허브 추출액의 양에 비례한 고온가압 멸균처리기의 최대 용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1시간동안 가열을 진행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허브 추출액의 양에 비례한 고온 가압 멸균 처리기의 최대 용량이 1440 리터이므로, 정제수를 1440 리터 첨가한다.
다음으로, S5 과정의 혼합물에 감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가열한다(S6). 15분간 가열을 진행한다. 감초 추출물 역시, 전술한 허브와 마찬가지로, 세척, 건조, 그링인딩 후 추출한다.
여기서, 90도 이상의 클린룸에서 혼합 추출물을 자동시스템으로 주입하여 제품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품 품질 확인 검사를 진행한다. 제품 품질 확인 검사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방식을 이용하여 시료를 채취한 후, 물리적 검사, 화학적 검사, 미생물적 검사가 있다. 물리적 검사는 온도 변화에 따른 혼탁도를 확인하는 검사이고, 화학적 검사는 알칼리와 산도 및 당도를 분석하는 검사이며, 미생물적 검사는 총 세균 수 및 효모, 곰팡이 균, 장내 세균 박테리아 성장을 관찰하는 검사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의 임상 실험을 진행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건강한 20~40세의 성인남녀 12명을 대상으로 하고, 당일 점심식사 후 금식하여 공복 상태에서 시작하여, 평상시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숙취해소 음료를 복용한 A군, 숙취 해소 탄산수를 복용한 B군으로 나누고, 소주 한 병과 마른안주를 30분 안에 섭취하도록 한 뒤, 음주 30분 후부터 30분마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A 군과 B 군의 평상시와 음주 후 혈중 알코올 농도 측정 결과를 하기의 [표 1]로 나타냈다.
Figure 112014010646219-pat00001
[표 1]의 자료를 그래프로 표현한 도면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를 이용하여 숙취해소 효능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시중의 다른 숙취 해소 음료를 이용하여 숙취해소 효능 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즉, 도 2a는 A 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B 군의 혈중 알코올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와 시중의 다른 숙취 해소 음료를 이용하여 숙취해소 효능 실험을 한 결과의 평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술한 표와 도면들을 통해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5 따른 숙취해소 음료를 마신 A 군의 경우, B 군의 경우보다 숙취해소의 효과가 확연하게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울금(Curcuma longa Linn.), 영지버섯(Ganoderna lucidum (Fr.) Karst.),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 연근(Nelumbo nucitera Gaerth.), 박하 잎(Mentha arversis.), 바질 잎(Ocimum Sanctum Linn),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Azadirachta indica Juss. Var. Siamensis valeton) 으로부터
    추출된 허브 추출액과;
    감초 추출물;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추출액, 감초 추출물, 및 정제수의 중량비는 10:1:89이고,
    상기 허브 추출액은 물 99.84중량%, 울금 0.04중량%, 영지버섯 0.02중량%, 생강 0.02중량%, 연근 0.02중량%, 박하 잎 0.02중량%, 바질 잎 0.02중량%,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 0.02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
  3. 울금, 영지버섯, 생강, 연근,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을 포함하는 허브를 수작업으로 손질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으로 제거되지 못한 미세 오염물을 제거 및 세척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세척된 허브를 건조하고, 멸균 소독하는 제3 과정과;
    상기 허브를 그라인딩한 뒤, 세척 및 멸균 소독하여 허브 추출액을 추출하는 제4 과정과;
    상기 허브 추출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가열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5 과정의 혼합물에 감초 추출물을 첨가하여 가열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페트리 접시(petri dish) 안의 세균 배양액에 배양시켜, 세균 배양액에서 검출된 세균 수를 계산하여, 적정 수준 이하인 경우 상기 제4 과정을 진행하고,
    제6 과정은, 온도 변화에 따른 혼탁도를 확인하는 물리적 검사, 알칼리와 산도 및 당도를 분석하는 화학적 검사, 총 세균 수 및 효모, 곰팡이 균, 장내 세균 박테리아 성장을 관찰하는 미생물적 검사를 하는 제품 품질 확인 검사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180도의 폐쇄 건조기에서 15분간 건조한 뒤, 자연 건조를 진행하고, 85~100도의 고온 공기 오븐에서 6시간 멸균 소독을 진행하며,
    상기 제4 과정은, 박하 잎, 바질 잎, 및 인도 멀구슬나무 잎을 유수세척기에서 10분씩 2회 세척하고, 울금, 영지버섯, 생강, 및 연근을 통이 돌아가는 형태의 세척기로 10분씩 3회 세척하며, 120도의 온도와 1.2bar의 압력으로 고온가압 멸균 처리기(autoclave system)에서 멸균 소독을 진행하고,
    상기 제5 과정은, 허브 추출액의 양에 비례한 고온가압 멸균처리기의 최대 용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11시간동안 가열을 진행하며,
    상기 제6 과정은, 15분간 가열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 해소 음료의 제조 방법.
KR20140012310A 2014-02-03 2014-02-03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7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2310A KR101476092B1 (ko) 2014-02-03 2014-02-03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2310A KR101476092B1 (ko) 2014-02-03 2014-02-03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6092B1 true KR101476092B1 (ko) 2014-12-23

Family

ID=5267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2310A KR101476092B1 (ko) 2014-02-03 2014-02-03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6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720A (ko) 2016-12-08 2018-06-18 이성현 멀구슬음료 제조방법
EP3391895A1 (en) 2017-04-18 2018-10-24 Ecillax S.r.l. Composition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associated with alcohol ab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212A (ko) * 2000-12-16 2002-06-22 김용기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JP2006296324A (ja) * 2005-04-22 2006-11-02 Kenkosha:Kk 黒酢入りハーブエキス健康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10748B1 (ko) * 2004-04-16 2012-12-11 동화약품주식회사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212A (ko) * 2000-12-16 2002-06-22 김용기 숙취해소용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210748B1 (ko) * 2004-04-16 2012-12-11 동화약품주식회사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JP2006296324A (ja) * 2005-04-22 2006-11-02 Kenkosha:Kk 黒酢入りハーブエキス健康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720A (ko) 2016-12-08 2018-06-18 이성현 멀구슬음료 제조방법
EP3391895A1 (en) 2017-04-18 2018-10-24 Ecillax S.r.l. Composition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symptoms associated with alcohol ab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fique et al. Biological attributes of lemon: A review
KR101090284B1 (ko) 홍삼과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드링크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33188B1 (ko)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880894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541516B1 (ko)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KR101431417B1 (ko) 아토피 면역체계 강화 및 항암 효과가 있는 한방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0122803A (zh) 一种诺丽果片及其制备方法
CN104247913A (zh) 一种保健米粉
KR101080565B1 (ko) 고장초 추출물이 포함된 액상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859324B1 (ko) 능이버섯을 주로 하는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
KR101476092B1 (ko) 숙취 해소 음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CN105029553A (zh)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00874A (ko) 미세먼지 및 중금속과 항생물질 분해 배출에 도움을 주는 영양식품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CN110093239A (zh) 一种诺丽配制酒及其制备方法
KR101730123B1 (ko) 숙취 해소 음료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N108567003A (zh) 一种超微复合桑叶茶粉及其制备方法
CN103932334B (zh) 一种玫瑰山楂功能饮料及制作方法
KR102058298B1 (ko) 숙취 해소제의 제조방법
CN108159191B (zh) 壮阳健肾的组合物、用途和口服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