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955B1 - 다용도 모듈형 화분 - Google Patents

다용도 모듈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955B1
KR102458955B1 KR1020200051240A KR20200051240A KR102458955B1 KR 102458955 B1 KR102458955 B1 KR 102458955B1 KR 1020200051240 A KR1020200051240 A KR 1020200051240A KR 20200051240 A KR20200051240 A KR 20200051240A KR 102458955 B1 KR102458955 B1 KR 10245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dule
flowerpot
water chan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2840A (ko
Inventor
한경수
박용순
한승진
Original Assignee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스그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어스그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00051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955B1/ko
Publication of KR20210132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을 결합하여 여러 모양의 화분을 형성할 수 있고, 여러 모양으로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모듈을 결합한 화분으로 다양한 조형물 및 조경을 구성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모듈을 4피스로 원형으로 결합하여 원형의 화분을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하여 수직의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4피스의 모듈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으로 결합하여 띠 모양으로 형성하고 정원 또는 공원에 여러 모양의 조경을 형성할 수 있고 조경에서 오솔길의 경계를 구성할 수 있으며 화분에 공급되는 물은 각 모듈에서 수용하고 수용한 물이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각 모듈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다용도 모듈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모듈형 화분{modular flowerpot using a multipurpose}
본 발명은 기본 단위로 4피스로 구성되는 모듈을 결합하여 여러 모양의 화분을 형성하고 여러 모양으로 변형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모듈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화분으로 다양한 조형물 및 조경을 구성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모듈을 4피스로 구성하여 4피스를 원형으로 결합하여 원형의 화분을 구성할 수 있고, 구성되는 원형의 화분을 상하로 안전하게 결합하여 수직의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4피스의 모듈을 길이 방향으로 연속으로 결합하여 띠를 형성하고 정원 또는 공원에 여러 모양의 조경을 형성할 수 있고 수직 및 수평으로 연결되는 화분에는 자동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모듈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기능 화분과 일부 같은 목적으로 특허 제10-0931564(지주 부착용 화분, 이하, 종래기술이라함)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 1는 지주에 부착하여 수직으로 꽃 기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피스로 구성되어 있고 외경과 내경으로 구성되어 외경과 내경에는 별도의 홀을 형성하여 외경 홀에는 꽃을 심을 수 있고 내경 홀에는 물을 수용하고 심지를 이용하여 내경의 홀의 물을 외경의 홀의 꽃 뿌리에 이송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기둥을 이용하고 화분을 중첩하여 조형을 구성하는 것이므로 항상 일정한 크기의 기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기둥이 없이 화분을 높이 중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화분과 화분 사이에 물을 자동으로 일정한 량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화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화분의 다양한 용도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화분을 모듈형으로 4피스로 구성하여 각 모듈을 결합하는 방법과 각 모듈에 심은 식물에 따라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다양한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고 각 모듈의 다양한 결합 방법에 따라 띠 모양으로 정원 및 공원에 조경을 형성할 수 있고 그 조경에 조형물까지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모듈형 화분을 연결하는 화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결합 방법에 따라 공급하는 물 및 영양제를 화분 전체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플라스틱 폐기물 중 비닐류를 재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모듈을 4피스로 구성하고 결합하여 원형의 화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화분을 적층하는 화분으로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으며 모듈과 모듈 사이의 턱을 연결부로 연결하여 띠 모양의 화분을 구성할 수 있으며 모듈과 모듈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의 수에 따라 화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모듈을 혼용하여 결합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조형물과 조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개의 모듈을 4개로 결합하여 화분을 형성하는 경우 모듈에는 식수부와 물저장부로 구성하고 식수부의 내측으로 물이 이동하는 수로부를 형성하고 성가 수로부는 식수부의 양쪽으로 연장하여 다른 수로부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수로부로 유입되는 물을 식수부와 이웃 수로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화분을 상하로 결합할 경우 상기 수로부의 물은 아래 화분의 수로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모듈을 결합하여 원형의 화분을 형성하여 수직 조형물을 형성하거나 모듈을 띠 모양으로 결합하여 조경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수로부를 통하여 물을 아래 방향으로 또는 수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각 모듈 사이에 연장부를 중첩 결합하여 화본의 전체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연결부에 연결턱을 형성하고 그 턱에 연결부를 연결하여 연결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모듈의 식수부와 물저장부 사이에는 칸막이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여러 개의 홀이 형성하여 수로에서 유입되는 물을 물 저장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칸 막이에 다수개의 심지를 물저장부까지 연장하여 배치하고 물저장부의 물을 식수부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로부의 물은 식수부를 통하여 물저장부에 물을 이송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각 모듈이 결합하여 원형의 화분을 형성하고 각 화분을 척층하여 조형물을 구성하는 경우 화분 전체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단부의 화분의 수로부에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부가적으로 물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하 화분과 화분 사이에 물 이송관을 배관하여 수로부로 유입되는 물이 일정한 높이 이상은 상기 물 이송관을 통해 아래 화분 수로부로 이동하여 각 화분이 수로부의 수면은 항상 동일하도록 구성하였다.
각 모듈 화분의 수로부 양쪽에는 수로부에 일정한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로부의 물이 턱보다 높을 경우 수로부의 물이 다음 모듈의 수로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모듈과 모듈의 결합은 모듈의 양쪽 턱에 다음 모듈의 턱에 연결부를 결합하여 양쪽 모듈이 연결하도록 구성하였다.
어느 한쪽의 수로부의 물이 턱과 결합한 연결부의 턱을 통과하여 다른 모듈의 수로부에 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모듈을 연결하여 모듈의 폭을 넓히고자 할 경우 상기 연결부를 수로부의 턱에서 연속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모듈과 모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각 모듈을 연결하는 연결부는 수로부의 각 턱부를 접촉하고 결합하여 수로부의 물의 높이가 연결부의 턱의 높이가 되면 연결부의 턱을 넘어 물이 다음 수로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예; 4피스의 모듈이 결합하여 원형을 형성하여 그 화분의 외경의 길이를 더 넓히고자 할 경우 각 화분 사이에 연결부를 더 결합할 때마다 화분의 외경을 키울 수 있고 연결부의 턱은 수로부의 턱과 같은 높이로 구성하여 수로부의 물은 크립의 턱을 넘어서 모듈의 수로부로 이동하여 전 모듈의 수로부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물을 채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모듈을 띠 모양으로 연결하여 정원 또는 공원에 오솔길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띠 모양으로 연결할 경우도 모듈의 턱을 연결부를 연결하여 띠 모양으로 연결되는 화분에 꽃을 심어서 조경 등의 공원 및 정원에 오솔길 등의 경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화분을 모듈형으로 구성하여 각 모듈을 결합하여 화분을 형성하고 상기 각 화분은 높이로 결합하여 기둥형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각 모듈을 띠모양으로 연결하여 평면상에 여러 모양의 조경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설계에 따라 모듈의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조경을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화분을 여러 모양으로 결합하고 배치하는 방법만으로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도로, 정원, 공원 등의 조경을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분이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화분을 연결하는 방법만으로 조경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화분의 꽃을 사용후에 화분을 폐기하는 일이 없으므로 화분 폐기에 의한 환경 저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각 모듈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화분을 구성하는 것이므로 조경 작업에 숙련된 노하우가 필요 없으며 수 많은 화분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인력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모듈형 화분을 적층할 경우 위로 적층되는 화분이 아래 화분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화분이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화분의 수직 조형물을 구성할 경우 별도의 지지대 없이 구성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모듈의 모양도
도 2a는 모듈을 원형으로 결합한 화분의 상태도
도 2b는 모듈을 띠 모양으로 결합한 화분의 상태도
도 3은 원형의 화분을 모듈로 분리한 상태도
도 4는 모듈의 연결 방법도
도 5는 모듈을 결합한 원형 화분의 적층 상태도
도 6은 연결구의 상세도
도 7은 모듈의 적용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모듈의 원형 상태로 결합한 화분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사진
본 발명은 모듈(11)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화분(12)에 관한 것으로, 모듈(11)의 결합으로 화분(12)을 이용한 조형물과 조경을 구현할 수 있는 다용도 모듈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내측으로 수로부(15)가 형성되고 수로부(15) 외부에는 수로부(15)를 포함하고 상부는 수로부(15)와 같은 높이로 하부는 수로부(15)와 같은 수평으로 식수부(13)를 형성하고 식수부(13) 아래에는 수로부(15)와 연계하여 물 저장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수부(13)와 물저장부(14) 경계에는 단턱부(17)가 형성되어 상기 단턱부(17)에 칸막이(16)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식수부(13) 외경을 따라 식수부(13)의 저부에 통기부(24)가 형성되어 식수부(13)에 심은 꽃의 뿌리에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식수부(13)에는 꽃을 포함하는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물저장부(14)에는 상기 식수부(13)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수로부(15)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물저장부(14)에 공급이 용이하도록 수로부(15) 바닥의 칸막이(16)의 홀(19)을 통하여 식수부(13)에 연결되는 수로부(15)의 물이 식수부(13)를 통하여 물저장부(14)에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식수부(13)와 물저장부(14) 사이에는 착탈식 칸막이(16)가 형성되어 있고 칸막이(16) 위로부터 아래에 이르기까지 심지(16-1)를 연결하여 상기 심지(16-1)를 통하여 물저장부(14)의 물이 식수부(15)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16)는 그 저부에 지지대(16-2)가 물저장부의 바닥에 지지가 되어 칸막이(16)가 뒤집어지지 않고 칸막이(16)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로부(15)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외벽과 내벽을 형성하여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수용된 물은 식수부(13)를 통하여 물저장부(14)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로부(14)의 양쪽 단부는 턱(18a)을 형성하고 턱(18a)의 높이만큼 물을 저장할 수 있으며 턱(18a)을 넘는 물은 이웃 수로부(13)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모듈(11)은 연결부(22)로 모듈(11)의 수로부(115)를 연결하여 원형의 화분(12) 또는 띠 모양의 화분(12)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부(19)와 연결부(19)를 연속 결합하여 모듈(11)과 모듈(11) 사이를 넓혀 전체 화분(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2)를 연속으로 연결할 경우 연결부(22)의 연결턱(22-1)을 연결함으로써 연결부(22) 폭을 넓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모듈(11)을 결합하여 원형의 화분(12)을 형성하고 화분(12)을 적층하여 기둥형으로 조형물을 조성할 수 있고, 적층한 상부 화분(12)에 물을 공급하여 하단부 화분까지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화분(12)을 높이로 적층한 경우에도 각 모듈(11)의 수로부(15)의 수면은 동일한 높이로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의 화분(12)을 수직으로 적층하여 높이가 형성되면 그 상부에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단부의 화분에 물받이(도시되지않음)를 형성할 수 있고 물받이에서 빗물을 모아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수도물을 바로 모듈(11)의 수로부(15)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충되는 물은 최 상부의 회분(12)으로 유입된 물은 수로부(13)의 턱(18a)만큼 수용할 수 있고 턱(18a) 이상으로 유입되는 물은 수로부(13)에 형성된 물 이송관(25)을 통하여 아래 화분(12)으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아래에 적층된 화분(12)에 연속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 이송관(25)은 수로부(1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수로부(13)의 턱(18a)을 넘는 물이 물 이송관(25)의 유입구(25-1)를 통하여 물이송관(25)의 배출구(25-2)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같은 방법으로 아래 화분(12)에 연속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같은 방법으로 모듈(11)을 띠모양으로 연결하여 조경을 형성하거나 물길을 형성할 경우에도 처음 모듈(11)에 유입되는 물은 각 모듈(11)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턱(18a)에 결합하는 연결부(22)로 각 모듈(11)을 연결하되 연결부(22)에 모듈(11)의 턱(18a)과 동일한 높이로 구성되는 턱(18b)으로 물이 넘처서 다음 모듈(11)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의 설명
도 1은 모듈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모듈을 원형으로 결합하여 원형의 화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모듈을 띠 모양으로 결합하여 띠 모양의 화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원형의 화분을 분리하여 각 모듈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모듈을 연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과 그 키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모듈을 결합하여 원형으로 구성되는 화분을 적층하여 수직의 조형물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연결구의 모양을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모듈의 구조와 사용상태와 수로부에서 아래 모듈로 물을 이송하는 qd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모듈의 원형 상태로 결합한 화분에 꽃을 심고 적층하는 방법을 사진으로 전시한 것이다.
실시 예-1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결합하여 화분(12)을 구성하는 모듈(11)은 라운드화 되어 4개의 모듈(11)을 결합하게 되면 원형의 화분(12)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모듈(11)의 수로부(13)의 턱(18a)을 연결부(22)로 결합하게 되면 수로부(13)가 서로 연결되어서 원형을 구성하게 되고 연결된 수로부(13)에 각 물저장부(14)를 포함하는 식수부(15)가 수로부(13)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각 식수부(15)는 4개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각 모듈(11)이 결합하여 화분(12)을 형성하게 되고 전체 화분(12)은 4개의 모듈(11)이 각각 돌출되는 모양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모듈(11)이 물저장부(14) 와 식수부(15) 사이의 단턱부(17)에 칸막이(16)를 거치하게 되면 칸막이(16)에 형성된 지지대(16-2)가 물저장부(14)의 바닥에 지지가 되어 칸막이(16)가 단턱부(17)에 견고하게 거치된다.
상기 칸막이(17)에 형성된 홀(19)을 통하여 수로부(15)의 물이 물저장부(14)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칸막이(16)에는 심지(16-1)를 삽입하여 그 심지(16-1)를 물저장부(14)의 바닥까지 진출하여 물저장부(14)의 물이 심지(16-1)를 통하여 식수부(15)로 이동하여 식수부(15)의 꽃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모듈(11)에 꽃 및 식물을 심게 되면 한개의 화분(12)에 네개의 모듈(11)이 구분되게 배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각 모듈(11)을 수로부(13)의 턱(18a)을 연결부(22)로 연결하여 원형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연결부(22)를 서로 중첩되게 연결하게 되면 연결부(22)의 폭이 커지게되므로 전체 화분(12)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모듈(11)을 연결하여 원형으로 구성되는 화분(12)을 적층하게 되면 윗 화분(12)의 각 모듈(11)은 아래 화분(12)의 모듈(11)과 모듈(1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아래 수로부(15) 위에는 윗 수로부(15)가 거치되는 방법으로 연속하여 적층하게 되면 모듈(11)과 모듈(11) 사이에 다시 모듈(11)이 위치하게 되므로 각 모듈(11)은 한 칸 건너서 적층되는 모양으로 적층하게 되므로 윗 모듈(11)과 아래 모듈(11) 사이는 각 모듈(11)의 높이 만큼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모듈(11)에 꽃을 심게 되면 꽃이 자라는 공간은 모듈(11)의 높이만큼 자랄 수 있게 되며 더 자란 꽃은 휘게 되므로 현실적으로 꽃은 모듈(11)의 높이보다 더 큰 길이로 자랄 수 있고 휜 꽃의 줄기가 전체 모듈(11)을 덮을 수 있게 된다.
각 모듈(11)에 꽃을 심고 적층하게 되면 각 모듈(11)에 심은 꽃이 자라서 휘게 되므로 적층한 화분(12)은 전체적으로 꽃 기둥을 형성하는 모양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모듈(11)을 결합한 화분(12)을 적층하여 꽃기둥을 보다 더 높이 형성하게 될 때는 외부 힘에 의해 넘어지는 화분(12)을 보호하기 위해 화분(12) 내부에 부가적으로 기둥을 세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화분(12)은 그 자체로 꽃 기둥(28)을 형성하는 것이 되므로 전체 화분(1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네개의 모듈(11)이 결합하여 화분(12)이 형성되는 경우 어느 한 모듈(11)의 바닥에 걸쳐 물이송관(25)을 설치하고 수로부(15)의 물 높이가 수로부(15)의 턱(18a) 높이보다 높은 물은 물이송관(25)의 물 유입구(25-1)가 수로부(15)의 턱(18a) 높이와 같으므로 턱(18a)보다 높은 물은 상기 물이송관(25)을 통하여 아래 화분(12)의 모듈(11)로 물을 이송하게 되므로 적층된 모든 화분의 소부 물 높이는 일정한 높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각 모듈(11)을 포함하는 화분(12) 전체에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화분(12)의 어느 한 모듈(11)의 수로부(13)에 물 이송관(25)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물 이송관(25)은 윗 화분(12)의 모듈 수로부(13)에 설치하되 물이송관(25)의 물유입구(25-1)는 윗 수로부(13)의 턱(18a) 높이로 노출되고 물 이송관(25)의 배출구(25-2)는 윗 화분(12)의 저부에 노출되어 윗 수로부(13)의 턱(18a) 높이의 물은 상기 물이송관(25)의 유입구(25-1)로 유입되어 윗 화분(12)의 저부에 노출된 배출구(25-2)로 배출되어 아래 화분의 수로부(13)에 물을 보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적층된 화분(12)의 수로부(13)에 설치하게 되면 최 상부의 화분(12)에 보충되는 물은 최하부의 화분(12)에 이송되고 이송되는 물은 각 화분의 수로부(13) 턱(18a) 높이로 물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로부(13)의 물은 수로부(13)와 식수부(15)를 통하여 물이 식수부(15)로 이동하고 식수부(15)로 이동한 물은 식수부(15) 아래 물저장부(14)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수로부(13)와 식수부(15) 사이의 벽은 식수부(15)의 흙이 수로부(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의 이동은 용이하도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모듈(11)의 물저장부(14)에는 심지(16-1)가 칸막이(16)를 통과하여 식수부(15)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수로부(13)의 물이 말라서 식수부(15)에 물을 공급할 수 없을 경우 물저장부(14)의 물을 심지(16-1)가 서서히 식수부(15)의 흙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꽃 기둥의 제일 아래 화분에 물이 충분히 공급되면 아래 화분의 센서(도시되지않음)에 의해 물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2
본 발명의 실시 예-2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11)의 수로부(13) 양단부의 턱(18a)을 연결부(22)로 연결하면서 띠모양으로 형성하여 오솔길의 경계를 구성하거나 꽃길을 구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실시 예-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의 화분도 각 모듈(11)을 원형 방향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며, 실시 예-2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되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방향을 지그재그로 바꾸면서 연결하여 띠 모양을 형성하게 되므로 계속 연결하게 되면 무한대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길이와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꽃길의 경계를 구성할 수도 있고, 오솔길의 경계를 구성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연결되는 모듈(11)에 물의 공급은 최초의 모듈(11)에 물을 수로부(13)에 공급하게 되면 수로부(13)의 턱(18a)을 연결한 연결부(22)의 턱(18b)을 넘어서 다음 모듈(11)로 이송하게 되면 모든 모듈(11)의 물 이송은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물의 공급은 최후의 모듈(11)의 수위를 센싱하여 물의 공급과 차단을 실시할 수 있다.
11 : 모듈 12 : 화분
13 : 식수부 14 : 물저장부
15 : 수로부 16 : 칸막이
17 : 단턱부 18 : 턱(a,b)
19 : 수로홈 22 : 연결부,
24 : 통기부 25 : 물 이송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모듈을 결합하여 다양한 모양의 화분을 구성하는 모듈형 화분에 있어서, 물을 수용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수로부(15)와, 수로부(15) 외부에 연계하여 돌출되게 형성되고 꽃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식수부(13)와, 상기 식수부(13)와 일체로 식수부(13) 아래에 형성되어 수로부(15)에서 유입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고 식수부(13)에 물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저장부(14)로 구성되는 모듈(11)을 결합하여 원형 및 띠 모양의 화분(1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듈형 화분에 있어서, 모듈(11)의 연결은 수로부(15)의 단부를 다른 모듈(11)의 단부와 밀착하되 각 모듈(11)의 수로부(15) 턱(18a)의 높이를 동일하게 한 후 양쪽 턱(18a)에 연결부(22)를 결합하여 두개의 모듈(11)이 연결되며 수로부(15)의 물은 연결부(22)에 형성된 턱(18b)의 높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듈형 화분.
  4. 제3항에 있어서, 연결구(22)에는 연결턱(22-1)이 형성되어 여러 개의 연결구(22)가 연결턱(22-1)에서 연속 결합하여 전체 연결 구간을 넓혀서 모듈(11)과 모듈(11)의 간격을 넓힐 수 있게 되어 연결구(22)의 연속 결합으로 화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듈형 화분.
  5. 제3항에 있어서, 식수부(13)와 물저장부(14) 사이에는 단턱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턱부(17)에는 물을 배수할 수 있는 홀(14-1)과 물저장부(14)의 물을 식수부(13)로 이송할 수 있도록 심지(16-1)가 형성되는 칸막이(16)가 거치되어 상기 칸막이(16) 위에 흙을 포함하는 꽃을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단턱부(17)에는 통기부(23)가 형성되어 꽃 뿌리에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모듈형 화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51240A 2020-04-28 2020-04-28 다용도 모듈형 화분 KR102458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240A KR102458955B1 (ko) 2020-04-28 2020-04-28 다용도 모듈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240A KR102458955B1 (ko) 2020-04-28 2020-04-28 다용도 모듈형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840A KR20210132840A (ko) 2021-11-05
KR102458955B1 true KR102458955B1 (ko) 2022-10-25

Family

ID=7850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240A KR102458955B1 (ko) 2020-04-28 2020-04-28 다용도 모듈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9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036B1 (ko) * 2023-05-30 2023-08-29 탁승호 무인 자동 재배 무정지 유기농 스마트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54B1 (ko) * 2013-05-23 2015-08-28 (주)오믹시스 모듈형 식물재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7510A (ko) *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154B1 (ko) * 2013-05-23 2015-08-28 (주)오믹시스 모듈형 식물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840A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80253B1 (en) Apparatus for hydroponic cultivation
US4887388A (en) Irrigation system for commercial plant cultivation
US4922653A (en) Plant watering and feeding support system
US10492377B2 (en) Unique rollable five-device-in-one system comprising rollable clawed-foot flower container, rollable adjustable-receiver umbrella stand, rollable water reservoir, rollable water-regulating irrigation system, and rollable water-circulating system
CN107771030A (zh) 植物垂直栽培装置的柱单元
JP2017538405A (ja) 垂直な水耕栽培タワー・アレイ固定システム
US20050047868A1 (en) Modular, self contained, engineered irrigation landscape and flower bed panel
JP2016518120A (ja) 垂直ガーデンシステム
KR100835721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US9930841B2 (en) Vertically oriented collapsible hydroponic plant production apparatus
US10462980B2 (en) Offset stacked vertical planting containers
US20100005716A1 (en) Portable Apparatus for Promoting and Containing Plant Growth
KR200472972Y1 (ko) 딸기 수경재배용 베드
EP3261431B1 (en) Soilless plant cultivating container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KR20190089391A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102458955B1 (ko) 다용도 모듈형 화분
KR101510463B1 (ko) 다층 화분
CA2158720C (en) Modular drainage system for containers
JP4928992B2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CN215819448U (zh) 立式园林种植面板、土壤筛箱以及集水器
WO2017010952A1 (es) Torre hidropónica modular
US20220330500A1 (en) Modular Hydroponics Gardening Apparatus
US7770325B2 (en) Method for planting and transporting pre-grown hedges to provide an instant fence
GB2527150A (en) A propag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