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449B1 - 조경용 꽃볼 - Google Patents
조경용 꽃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2449B1 KR102142449B1 KR1020180089992A KR20180089992A KR102142449B1 KR 102142449 B1 KR102142449 B1 KR 102142449B1 KR 1020180089992 A KR1020180089992 A KR 1020180089992A KR 20180089992 A KR20180089992 A KR 20180089992A KR 102142449 B1 KR102142449 B1 KR 1021424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ing
- landscaping
- flower ball
- water
- fl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60—Flowers; Ornamental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 A47G7/044—Hanging flower-pot holders, e.g. mounted on walls, balcony fenc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꽃을 원하는 각도 및 방향에서 자유롭게 꽂을 수 있어 수려한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조경용 꽃볼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은, 표면에 상토 주입구 및 다수의 식재구들이 구성되며 상토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볼 형상의 식재부, 식재부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된 관 형상의 물통, 및 물통 내에 삽입되며, 일단은 물통의 바닥면에 접하고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은 물통의 외부로 인출되어 식재부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경 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꽃을 원하는 각도 및 방향에서 자유롭게 꽂을 수 있어 수려한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조경용 꽃볼에 관한 것이다.
조경(Landscape or gardening)이라는 것은 각종 시설물 혹은 물건 등과 주변 경관에 친화적인 꾸밈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크게, 실외조경(Outdoor gardening)과 실내조경(Indoor garden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실외조경은 공원, 정원, 또는 마당 등에서 경관을 아름답게 꾸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자, 울타리 및 화분대 등 다양한 구조 및 용도의 시설물과 조경 용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실내조경은 주로 식물이나 조화 및 분재와 결합되어 복도, 사무공간 및 거실 등의 실내공간을 꾸미는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의 분재 시설이나 화분 시설 등이 그 주류를 이룬다.
실외조경과 실내조경의 대표적인 주 재료로서 꽃 및 화분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꽃과 같은 보고 즐기거나 향기를 맡으려는 관상식물은 보통 여러 종류의 화분, 분재, 꽃병, 그리고 별도의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계절이나 장소, 또는 취향에 맞게 미려하고 아름답게 자라날 수 있도록 가꾸게 된다.
여기서, 실외조경의 경우 공원이나 정원 등에 많은 수의 꽃을 식재해야 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화분 및 화분대 등이 이용되어야만 하는데, 화분은 흙을 재질로 하여 제작되므로, 그 자체로 다소 무거울 수밖에 없고, 꽃의 크기 및 식재 양이 많게 되면, 그 운반 자체에 어려워질 수 있는 등, 화분을 이용한 실외 조경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꽃이 식재되는 화분은 배치 상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없으며, 그래서, 화분에 식재된 꽃의 배치 상태 또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꽃을 이용한 실외 조경을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다.
게다가, 바닥이나 화분대가 아닌, 조경 구조물에의 화분 설치는 용이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종래에는 구조적으로 다양한 꽃 장식을 만들어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도시하는 않았지만, 화분을 이용한 꽃 장식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종래에 볼 형태의 꽃 식재 도구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볼 형태의 꽃 식재 도구는 철근으로 제작된 볼 형태의 골조에 망을 씌운 후 수작업으로 망을 철근 골조에 고정시켜 제작되며, 망이 고정된 철근 골조 내부에 상토를 채운 후, 망을 뚫어서 꽃을 식재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볼 형태의 꽃 식재 도구는 철근 골조 제작 및 이러한 철근 골조에의 망 고정 작업 등을 모두 수작업으로 진행해야 하는바, 그 제작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철근 골조 내부에 채워진 상토에 빈번하게 물을 공급해야 하므로, 유지 관리 또한 매우 번거롭다.
게다가, 많은 수의 꽃을 망을 뚫어서 식재해야 하므로, 망의 파손 및 이로 인한 상토의 유실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유지 관리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은 꽃을 원하는 각도 및 방향에서 자유롭게 꽂을 수 있어서 수려한 경관을 제공할 수 있는 조경용 꽃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상토에 물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경용 꽃볼을 제공함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에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모양의 조경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조경용 꽃볼을 제공함에 그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면에 상토 주입구 및 다수의 식재구들이 구성되며 상토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볼 형상의 식재부, 식재부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된 관 형상의 물통, 및 물통 내에 삽입되며, 일단은 물통의 바닥면에 접하고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은 물통의 외부로 인출되어 식재부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포함하는 조경용 꽃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에 있어서, 식재부는, 각각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토 주입구, 및 다수의 식재구와 개구 홀을 포함하고, 상면에 물통 삽입구가 구성된 반구 형상의 제1식재부와 제2 식재부가 좌우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에 있어서, 제1식재부와 제2식재부는, 상호 접촉되는 부분들에 각각 제1 테두리 및 제2 테두리를 구비하며, 제1 테두리 및 제2 테두리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들이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제1 돌기들이 삽입 고정되는 제1 돌기홀들이 구비되며, 제1 및 제2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용 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에 있어서, 물통은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심지가 인출되는 인출 홀 및 상기 인출 홀의 위쪽으로 배치되는 물 주입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에 있어서, 식재부는 외측 하면에 설치된 거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은, 각각 상토 주입구 및 식재구를 구비한 한 쌍의 반구형 제1 및 제2 식재부들이 좌우 결합되어 내부에 상토 수용공간을 갖는 구형 식재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식재부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토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심지를 구비한 물통이 삽입 설치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은 꽃을 원하는 각도 및 방향에서 자유롭게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실외조경 및 실내조경에서 수려한 경관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은 구조적으로 상하부에 고리 및 돌출부 등이 구비되어 있어 다양한 구조물에 결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조경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은, 한 쌍의 반구형 제1 및 제2 식재부들을 상호 결합한 후에 심지를 구비한 물통을 삽입하여 제작하므로, 철골 구조에 망을 씌워 제작하는 종래의 그것에 비해 그 제작이 매우 간단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은 내부에 심지를 구비한 물통이 구비되어 삼투압 방식에 따라 상토에 물을 공급하게 되므로, 상토에 물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부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은, 구조가 단순하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유지 관리는 물론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과 캡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과 캡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의 적용 예를 도시한 사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의 적용 예를 도시한 또 다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과 캡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과 캡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의 적용 예를 도시한 사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의 적용 예를 도시한 또 다른 사진이다.
전술한 목적들, 특징들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은 조경용 꽃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조경용 꽃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100)은 구형(Sphere Type)의 식재부(10), 식재부(10에 삽입 설치되는 물통(40), 및 물통(40) 내에 설치되어 식재부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심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식재부(10)는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상토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만드는 반구 형상의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은, 예를 들어, 각각 30∼50㎝의 지름을 갖는 반구 형상들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는 좌우 결합되어 구 형상의 식재부(10)를 구성한다.
반구형으로 구성되는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의 상부에는 반원형으로 도출된 형태의 걸림부(60)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60)가 반원 형상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걸림부(60)는 반원형 외에도 다각 형상이나 고리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60)에는 적어도 하나씩의 걸림홀(61)이 추가로 구성되어 걸림홀(61)에 의해 식재부(10)가 특정 위치에 매달리도록 할 수도 있다.
반구 형상의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은 각각 그 표면에 적어도 하나씩의 상토 주입구(P) 및 식재구(h)가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토 주입구(P)는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 각각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씩 개구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토 주입구(P)의 하측 방향으로는 상토 주입시 상토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식재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Pb)가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Pb)는 상토 주입구(P) 구성시 상토 주입구(P)를 절개해서 오픈시키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받침부재(Pb)에는 동일하거나 다른 다양한 간격으로 복수의 받침걸이 홈부(Pba)가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받침걸이 홈부(Pba)는 톱니형태나 물결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받침걸이 홈부(Pba)에는 전구나 전선들이 다양한 형태로 감기거나 고정될 수 있다.
식재구(h)는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 각각의 표면에 다수 개가 마련되며, 다수의 식재구들(h)은 상토 주입구(P) 아래의 모든 부분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식재구들(h)은,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이 30∼50㎝의 지름을 갖는다고 할 때, 5∼10㎝의 지름 및 3∼7㎝ 중 적어도 하나의 간격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 각각의 표면에는 식재구(h) 및 상토 주입구(P) 이외에, 다수의 개구 홀(Sh)들이 타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개구 홀(Sh)들을 통해 배수 및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식물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수의 개구 홀(Sh)은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 각각의 표면이 타공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이 매쉬 형태로 구성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의 크기, 식재구들(h)의 크기 및 간격, 다수의 개구 홀(Sh) 크기나 개수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의 크기, 식재구들(h)과 개구 홀(Sh)들의 크기 및 간격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반구 형상의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은 그들의 상측에 물통 삽입구를 구비한다. 물통 삽입구는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의 상부 걸림부(60) 측에 반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구 형상의 제1 및 제2 식재부들(12, 14)은 상호 접촉하는 부분들 각각에 제1 테두리(13)와 제2 테두리(15)가 마련된다. 제1 테두리(13)와 제2 테두리(15)는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의 상호 결합을 위해 마련된다. 제1 테두리(13)와 제2 테두리(15)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제1 테두리(13)에는 제1 돌기들(22)이 구성되며, 나머지 하나, 예를 들어, 제2테두리(15)에는 제1 돌기들(22)에 대응하는 부분에 제1 돌기홀들(24)이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 형상의 식재부(10)는 반구 형상 제1 식재부(12)의 제1 테두리(13)에 마련된 제1 돌기들(22)이 반구 형상 제2 식재부(14)의 제2 테두리(15)에 마련된 제1 돌기홀들(24)에 억지 끼움 식으로 끼워짐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1 테두리(13)와 제2 테두리(15)에는 동일하거나 다른 다양한 간격으로 복수의 테두리 홈(15a)이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테두리 홈(15a)은 톱니형태나 물결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테두리 홈(15a)에는 전구나 전선들이 다양한 형태로 감기거나 고정될 수 있다.
부가해서, 제1 및 제2 테두리들(13, 15)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용 홀들(2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구 형상의 식재부(10)는 이러한 보강용 홀들(26)에 타이(tai) 등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의 원치 않는 분리가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강용 홀들(26) 중에서 가장 위에 배치되는 보강용 홀(26)은,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 상의 원치 않는 분리가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 이외에, 부가적으로 그 구멍에 고리 또는 철사 등을 끼워 묶어 본 발명에 따른 꽃볼(100)을 아치 등의 구조물에 걸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부(10)는 그의 상단 측 보강용 홀(26)에 고리 또는 철사 등을 끼워 묶어 조경 구조물에 매다는 방식 이외에, 외부 구조물에의 거치를 위해 마련되는 거치 홈(32)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거치 홈(32)은 식재부(10)의 외부 하면에 구성되어, 물통(4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재부(10)가 구르지 않고 평면 위치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물통(40)이 식재부(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경우에는 물통(40)의 돌출 거치부(46)가 거치 홈(32)을 통해 하부 방향으로 돌출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40)은 반구 형상의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가 좌우 결합되어 구성된 구 형상의 식재부(10)에서 물통 삽입구를 통해 그의 외부로부터 내부 중앙에 삽입 설치된다. 또한, 물통(40)이 제1 식재부(12)나 제2 식재부(14)의 내부 중앙에 위치된 상태로 제1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를 결합 및 조립함으로써 식재부(10)의 내부 중앙에 물통(40)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물통(40)은 하면이 폐쇄되고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 관 형상으로 구성되며, 폐쇄된 물통(40)의 하면에는 식재부(10)의 하부 거치 홈(32)을 관통해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 거치부(46)가 구성된다.
돌출 거치부(46)는 식재부(10) 상단 측 보강용 홀(26)에 고리 또는 철사 등을 끼워 묶어 조경 구조물에 매다는 방식 이외에, 물통(40)과 식재부(10)의 하단부가 외부 구조물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성된다.
원통형 관 형상의 물통(40) 하면은 식재부(10)의 내면과 외주면 일부가 거치 및 접촉되고, 상면은 식재부(10)의 상부면에 대응되거나 상부면의 밖으로 소정부분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물통(40)의 하부 외주면은 식재부(10) 하면에 구성된 거치 홈(32)의 내주면에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만일, 식재부(10)의 내부 하면에 가이드 턱이 마련된 경우에는 물통(40)의 하부 외주면이 가이드 턱 내부에 끼워지도록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물통(40)의 하면이 가이드 턱 내부에 끼워지면 물통(40)의 돌출 거치부(46)가 거치 홈(32) 내주면 유격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물통(40)은 그 개방된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통(40) 내부로의 오염 물질 침투를 차단하고, 또한, 물통(40)에 담긴 물의 증발을 억제시키는 개폐식 캡(42)을 더 포함한다. 개폐식 캡(42)은 물통(40) 상단 개구부의 크기 및 형상에 맞게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식 캡(42)은 일 측부의 고리가 물통(40) 상단 외측에 조립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심지(50)는 물통(40) 내부에 설치되며, 이렇게 심지(50)가 설치된 물통(40) 내부 공간에는 물이 채워진다. 물통(40)은 상면이 개방된 관 형상으로 마련되므로, 심지(50)는 이러한 물통(4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예를 들어, 네 개가 삽입 설치된다.
심지(50)는 물통(40)에 담긴 물을 삼투압 방식으로 식재부(10)에 수용되는 상토에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며, 이를 위해, 캡(42)으로 덮히는 물통(40)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출 홀(40h)이 구성된다.
각각의 심지(50)는 각각의 인출 홀(40h)을 통해 물통(40) 밖으로 인출되어 식재부(10)의 내부 상측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심지(50)는 식재부(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상토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아울러, 물통(40)에 물과 함께 영양제가 담기는 경우, 심지(50)는 물과 영양제를 상토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인출 홀(40h)은 물통(40) 내에 삽입 설치되는 심지(50)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심지(50)는 그의 일단, 즉, 하단이 물통(40)의 내부 바닥에 닿고,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 즉, 상단이 물통(40)의 인출 홀(40h)을 통해 물통(40) 밖으로 인출된 후 식재부(10)의 내부 공간 상측까지 연장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것은 물통(40) 내에 담기는 물이 전부 심지(50)를 통해 식재부(10)의 내부 공간으로 모두 공급되면서, 식재부(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토의 상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심지(50)는 부직포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심지(50)는 테이프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실 모양으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물통(40)은 심지(50)가 인출되는 인출 홀(40h) 이외에, 그 내부에 물을 주입했을 때 즉시 물이 상토 쪽으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물 주입 홀(41)을 더 포함한다.
물통(40) 상단부와 심지 인출 홀(40h)의 사이 영역인, 물통(40)의 상단부 외주면에는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가 결합됨으로써,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와 접촉되는 결착 돌기부(40a)가 구성된다. 즉,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는 물통(40)을 사이에 두고 결착되는바,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의 상단 결착부는 물통(40) 상단부의 결착 돌기부(40a) 상에서 물통(40)과도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제1 식재부(12)와 제2 식재부(14)가 결착된 식재부(10)가 결착 돌기부(40a)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식재부(10)가 물통(40)의 하단부로 쳐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과 캡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물통과 캡의 조립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40)의 물 주입 홀(41)은 인출 홀(40h)의 위쪽으로, 예를 들어, 6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40)에 담기는 물은 물 주입 홀(41)을 통해 즉시 식재부(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토로 공급되어 상토를 적시게 되고, 이후, 물통(4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 상토가 마르면 심지(50)를 통해 물통(40)에 담긴 물이 상토로 공급될 수 있다.
만약 물 주입 홀(41)이 없다면, 물통(40)에 물을 주입했을 때 상토는 말라있기 때문에 심지(50)로 마른 상토를 적시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고, 물 소모량도 많아져 관수 주기가 짧아질 수 있다. 그러므로, 물통(40)의 용도는 물 저장의 기능뿐 아니라, 물 주입 기능도 겸한다. 아울러, 물 주입 홀(41)은 상토에 물을 주입 용도는 물론 오버플로우(Overflow)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
물통(40) 하단의 돌출 거치부(46)는 식재부(10) 하단의 거치 홈(32)을 관통해서 식재부(10) 하단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돌출 거치부(46)는 원통형 또는 삼각 이상의 다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 거치부(46)에는 적어도 두 방향으로 돌출된 거치 보조판(47)이 구성된다. 거치 보조판(47)은 두 방향 또는 네 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 판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네개 이상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식재부(10) 하단의 거치 홈(32)에는 거치 보조판(47) 형상 및 위치에 대응되어, 돌출 거치부(46)와 함께 거치 보조판(47)이 삽입 및 조립되도록 거치 보조판 삽입 홀이 추가로 구성된다.
도 4와 같이, 물통(40) 상단의 적어도 일 측면에는 개폐식 캡(42)이 탈착 및 조립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캡 고정 홀(41)이 구성된다. 개폐식 캡(42)은 물통(40) 상단 형상에 따라 원형으로 하나만 구성될 수 있지만, 반원형으로 나뉘어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개폐식 캡(42) 형상 및 개수에 대응되도록 물통(40) 상단 측면부에는 복수개의 캡 고정 홀(41)이 구성된다. 캡 고정 홀(41)에는 개폐식 캡(42)들의 고리가 각각 억지 끼움식으로 결착되어, 캡 고정 홀(41)과 이에 결착된 개폐식 캡(42)의 고리에 의해 개폐식 캡(42)의 개폐가 가능하다. 개폐식 캡(42)은 물통(40) 내부로 오염 물질 침투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물통(40)에 담긴 물의 증발을 방지한다.
한편, 식재부(10)와 물통(4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100)에 있어서, 돌출부(30)를 포함하는 식재부(10)는 폴리 에틸렌(PE), 폴리 프로필렌(PP) 및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금형 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물통(40)은 식재부(10)와 동일 재질은 물론 다른 재질로도 제작될 수 있으며, 금형 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식재부(10) 및 물통(40)의 재질 및 제작 방식은 다양하게 설계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100)은 금형 사출 방식에 따라 제작될 수 있으므로, 그 제작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가벼워서 그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내부에 물통이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상토에 물 공급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볼(100)은, 식재부에 물통을 삽입 설치한 상태로 제1 및 제2 식재부(12,14)들 각각에 마련된 상토 주입구(P)들을 통해 식재부의 내부 공간에 상토를 채워 넣고, 그런 다음, 제1 및 제2 식재부(12,14)들에 마련된 식재구(P)들을 통해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꽃 또는 꽃씨를 식재하며, 이후, 내부에 심지가 설치된 물통에 물을 채운 후에 다양한 구조의 조경 조형물에 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의 적용 예를 도시한 사진들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들이 식재된 꽃볼(200)은 다양한 조경 조형물, 예를 들어, 꽃길을 만들기 위한 복수의 아치형 조형물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나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들이 식재된 꽃볼(200)은 공원이나 광장에 설치된 거치물들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꽃들이 식재된 꽃볼(200)은 다양한 방향 및 각도에서 꽃들이 식재되어 있으므로, 그 자체로 미관이 수려할 뿐만 아니라, 수려한 경관의 꽃길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아치나 터널 등에 설치되는 화분들의 경우에 아래에서 위를 올려다보았을 때 화분이 드러나 보여 미관상 좋지 못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꽃볼의 경우 화분의 전체가 꽃으로 둘러싸여 있는 구조이므로, 수려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꽃길을 조경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많은 수의 화분이 필요하고, 반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하지 못함으로써 수려한 경관을 얻는데 한계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꽃볼을 적용한 꽃들이 식재된 꽃볼(200)은 그 자체로 많은 수의 꽃들이 식재되어 있으므로 많은 수의 화분을 대체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등, 그 설치가 용이하고, 매우 수려한 경관을 얻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꽃의 적용 예를 도시한 또 다른 사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들이 식재된 꽃볼(200)은 주간 뿐만이 아닌 야간에도 공원이나 광장에 설치된 거치물들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야간에는 꽃볼(200)의 꽃들이 더욱 잘보이도록 하면서도 빛이 아우러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꽃볼(200)과 꽃볼(200)의 주변부에는 다양한 조명들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재부(10)의 받침부재(Pb)와 제1 및 제2 테두리들(13, 15)에는 톱니나 물결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받침걸이 홈부(Pba)와 테두리 홈(15a)들이 구성된다. 이에, 식재부(10)의 받침걸이 홈부(Pba)와 테두리 홈(15a)들에는 전구나 전선들이 다양한 형태로 감기거나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간 뿐만이 아닌 야간에도 꽃들이 식재된 꽃볼(200)과 조명들이 아우러질 수 있도록 하여 수려한 경관의 꽃길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식재부 12: 제1 식재부
13: 제1테두리 14: 제2 식재부
15: 제2테두리 22: 제1 돌기
24: 제1 돌기홀 26: 보강용 홀
32: 반구 기둥 33: 제3테두리
35: 제4테두리 36: 제2 돌기
38: 제2 돌기홀 40: 물통
40h: 인출 홀 41: 물 주입 홀
42: 캡 50: 심지
100: 조경용 꽃볼 200: 꽃이 식재된 꽃볼
13: 제1테두리 14: 제2 식재부
15: 제2테두리 22: 제1 돌기
24: 제1 돌기홀 26: 보강용 홀
32: 반구 기둥 33: 제3테두리
35: 제4테두리 36: 제2 돌기
38: 제2 돌기홀 40: 물통
40h: 인출 홀 41: 물 주입 홀
42: 캡 50: 심지
100: 조경용 꽃볼 200: 꽃이 식재된 꽃볼
Claims (6)
- 표면에 상토 주입구 및 다수의 식재구들이 구성되며, 상토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갖는 볼 형상의 식재부;
상기 식재부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며, 하면은 폐쇄되고 상면은 개방된 관 형상의 물통; 및
상기 물통 내에 삽입되며, 일단은 상기 물통의 바닥면에 접하고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은 상기 물통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식재부의 내부 상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를 포함하는,
조경용 꽃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는,
각각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토 주입구, 및 다수의 식재구와 개구 홀을 포함하고, 상면에 물통 삽입구가 구성된 반구 형상의 제1식재부와 제2 식재부가 좌우 결합된,
조경용 꽃볼.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재부와 제2 식재부는,
상호 접촉되는 부분들에 각각 제1 테두리 및 제2 테두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테두리 및 제2 테두리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기들이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1 돌기들이 삽입 고정되는 제1 돌기홀들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및 제2 테두리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용 홀들이 구비되는,
조경용 꽃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개폐식 캡을 더 포함하는,
조경용 꽃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심지가 인출되는 인출 홀, 및 상기 인출 홀의 위쪽으로 배치되는 물 주입 홀들을 포함하는,
조경용 꽃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부는
외측 하면에 설치된 거치 홈을 포함하는 조경용 꽃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992A KR102142449B1 (ko) | 2018-08-01 | 2018-08-01 | 조경용 꽃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9992A KR102142449B1 (ko) | 2018-08-01 | 2018-08-01 | 조경용 꽃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4607A KR20200014607A (ko) | 2020-02-11 |
KR102142449B1 true KR102142449B1 (ko) | 2020-08-07 |
Family
ID=69569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9992A KR102142449B1 (ko) | 2018-08-01 | 2018-08-01 | 조경용 꽃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244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10597A1 (en) | 2021-12-14 | 2023-06-22 | Floriate Holding B.V. | Plant hold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914B1 (ko) | 2011-01-20 | 2013-12-26 | 이훈재 | 수분 자동 공급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845U (ko) * | 1995-06-29 | 1997-01-24 | 복권 자동판매기의 복권 취출장치 | |
KR20010082883A (ko) * | 2000-02-22 | 2001-08-31 | 김해근 | 모듈형 플라워 타워 |
KR20130046793A (ko) * | 2011-10-28 | 2013-05-08 | 최원태 |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
KR20130139129A (ko) * | 2012-06-12 | 2013-12-20 | 최시업 | 사방에서 식물을 심을 수 있는 화분 |
-
2018
- 2018-08-01 KR KR1020180089992A patent/KR1021424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914B1 (ko) | 2011-01-20 | 2013-12-26 | 이훈재 | 수분 자동 공급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4607A (ko) | 2020-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18300A (en) | Hanging basket liner | |
JP6025279B1 (ja) | 多段積層用の飾り鉢ユニット | |
KR101331404B1 (ko) |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 |
KR102142449B1 (ko) | 조경용 꽃볼 | |
KR100419903B1 (ko) |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 |
KR101011377B1 (ko) | 관상식물용 천정 부착형 지지체 | |
KR102330902B1 (ko) | 삼투압에 의한 자연순환식 가습 화분 | |
JP2007151528A (ja) | つる植物栽培用用土容器及び育成仕立て運搬用資材 | |
KR102377902B1 (ko) | 자동 관수 화분 | |
JP2005270052A (ja) | 花卉植栽構造 | |
KR100998747B1 (ko) | 식물 재배용 인형용기의 제작방법 | |
KR101014627B1 (ko) | 화분 | |
JP2005027611A (ja) | 花卉植栽構造 | |
CN2913051Y (zh) | 动物造型空心骨架 | |
JP2001186816A (ja) | 花卉ハンギングバッグおよび花卉ハンギングセット。 | |
US20220110268A1 (en) | Effective and beneficial vessels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to manipulate root growth | |
KR101011378B1 (ko) | 관상식물용 수직형 지지체 | |
KR102538925B1 (ko) | 저면급수 화분 | |
KR101228037B1 (ko) | 조립식 화분 커버 | |
KR200412712Y1 (ko) | 걸고리가 구성된 화분 | |
KR100818147B1 (ko) | 탄성 화분 | |
KR200247908Y1 (ko) | 조립식 화분 | |
KR100383214B1 (ko) | 다단 화분구조체 | |
CN205727467U (zh) | 保水剂水培植物环形吊灯 | |
KR20170055350A (ko) | 장식용 화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