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242B1 -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242B1
KR102073242B1 KR1020180119105A KR20180119105A KR102073242B1 KR 102073242 B1 KR102073242 B1 KR 102073242B1 KR 1020180119105 A KR1020180119105 A KR 1020180119105A KR 20180119105 A KR20180119105 A KR 20180119105A KR 102073242 B1 KR102073242 B1 KR 102073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nutrient solution
supplie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오열
Original Assignee
설오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오열 filed Critical 설오열
Priority to KR1020180119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242B1/ko
Priority to PCT/KR2019/013047 priority patent/WO20200718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나 방향등을 조절할 수 있어 식물이 성장하는데 높이 제약이 없으며, 식물이 생장하는데 꼭 필요한 자연광 또는 인공광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최상단에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면 순차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식물에게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Flowerpot and Assembled Tower flowerpot Assembly}
본 발명은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공간이나 방향등을 조절할 수 있어 식물이 성장하는데 높이 제약이 없으며, 식물이 생장하는데 꼭 필요한 자연광 또는 인공광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하여 골고루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최상단에서 물이나 양액을 공급하면 순차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식물에게 골고루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별도로 화단을 구비하지 않고, 간편하게 식물을 관상용 또는 식용으로 키우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화분의 밑에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별도의 홀이 구비되는데, 상기와 같은 화분에 급수를 하였을 경우, 물이 화분의 밑에 구비된 홀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화분을 사용할 때에는 화분에 별도의 화분 받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은 가로 방향으로 긴 형태의 2단이나 3단 형태로 이루어진 화분 진열대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화분을 수평상으로 진열하여 재배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화분 진열대는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단형태의 진열대여서 기본적인 공간 차지가 불가피하여 어느 정도의 배치 공간이 확보된 실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화분 진열대는 흙에서 재배되는 일반적인 식물과 수경재배 또는 새싹 재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식물을 함께 진열하여 재배할 수 없는 단순한 구성으로 되어 있었고, 일반 화분을 진열한다 하더라고 화분의 크기 때문에 함께 진열하여 재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결국, 이러한 단순한 화분 배열 형태는 오히려 자연적인 인테리어 효과도 크게 발휘하지 못하고 오히려 실내 미관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분 진열대 위에 있는 화분에 물을 주는데 있어서도 화분으로부터 물이 바닥으로 직접 떨어지므로 화분받침대를 각각 받쳐 준다 하더라도 물이 또다시 흘러 넘쳐 바닥을 지저분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어 여러 개의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한 곳에 모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식물의 특성에 따라 그 조건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재배할 작물에 맞는 전용 화분제품을 별도로 각각 구입하여 사용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와 함께 이러한 전용 화분들을 실내에 놓고 사용함으로 인한 재배 공간이 더 요구되는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좁은 실내 공간에서 여러 종류의 식물을 동시 또는 선택적으로 함께 재배하기 위한 화분이 요구되는 상황이며, 실내의 좁은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여 입체적이면서도 자연 친화적인 인테리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진열대 역할도 함께할 수 있는 화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20265호 “다단화분구조체”에서는 중심이 비어있는 원형의 화분이 두 개의 고정파이프에 의해 다층의 구조로 적층되고, 그 중심부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이 테두리에 설치된 두개의 걸이개를 통해 상기 고정파이프에 걸려 화분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은 반원형의 몸체 2개가 나사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화분의 내측에는 끼움부가 설치되고 각 층의 화분에 설치된 상기 끼움부에 고정파이프가 삽입되어 다층의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파이프에는 길이조절부가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 고정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화분구조체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최하층에는 각층의 물통을 지나는 물이 담겨지는 물받침대가 형성되어 각 층의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조립체로 이루어진 화분이 나사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파이프의 상단부 방향으로 화분이 순서대로 끼워지는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 및 해체가 불편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특히 화훼농원과 같이 화초 또는 식물의 교체주기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장소에서는 복잡한 구조로 인한 식물의 식재 작업이 지체될 수 있는 것이었으며, 화분의 중앙 부분에는 물통을 구비함으로써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공간이 협소해질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939호 “다단조립식 화분”에서는 바닥에서 지지되는 받침다리와, 상기 받침다리 상부로 일정 높이만큼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연결봉과, 상기 수직연결봉에 삽입되기 위한 중앙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다리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침대와, 상기 수직연결봉 외부로 끼워져 일정 높이의 간격만큼 배치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화분고정구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개의 화분고정구 각각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소정 깊이의 내부 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수직연결봉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측 화분 및 제 2측 화분 한 쌍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화분과, 상기 수직연결봉의 상부 말단부에 끼워져 수평 방향으로 분기되는 연결공이 형성된 수평지지봉을 구성하여 종류별로 다양한 화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높이방향으로 층층이 형성되는 화분구조체로 이루어져 조립 및 해체가 간편하고 휴대성과 이동성이 용이하여 가정 또는 화훼농원 등의 장소에서 화초나 꽃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다단조립식 화분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기술은 화분에 공급된 물이 아래쪽에 있는 화분에 일부 흡수되고 나머지가 공급되게 되는데 떨어지면서 주변에 튀게 되며, 흙을 패이게 하는 등에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동일한 넓이를 가진 화분이 적층하듯 구성됨에 따라 성장하는 식물의 높이가 제한되며, 위쪽에 위치한 화분에 의해 아래쪽에 위치한 화분의 경우 자연광이나 인공광이 가려지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2026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793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립형태로 구성이 가능한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 또는 양액의 배출구와 유입구가 분리형태로 이루어져 식물이 생장하는 본체부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구성할 수 있는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수 있어 자연광 혹은 인공광을 받는데 제약이 없는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분은, 식물 및 식물이 자랄 때 필요한 토양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막혀있는 본체몸체와, 본체몸체의 내측 또는 외측 일측에 연통되는 원통형태의 본체기둥과, 본체몸체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 또는 양액을 배출하는 본체배출구로 이루어진 본체부; 및 본체부의 하단부 아래쪽 부분에 결합하여 본체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모았다가 받침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본체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기둥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물 또는 양액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나선홈형태의 회전유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몸체와 본체기둥의 사이에 형성되어, 본체기둥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의 유량을 조절 및 제어하는 물공급조절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공급조절수단은, 상기 본체몸체와 본체기둥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기둥과 본체몸체 사이를 가로 막아 본체기둥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한꺼번에 공급되는 것을 막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조절판과, 조절판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판에 의해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이 일정하게 본체몸체로 공급해주는 조절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배출구는 본체기둥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기둥의 중심부분은 속이 빈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와 본체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적어도 둘 이상의 상기 본체부가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기둥의 상측부분에 형성되며,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양각부와, 상기 본체기둥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며,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각부로 구성되되, 서로 끼움결합이 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때, 상기 본체기둥의 내부 일측에는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양액이 하부에 위치한 본체기둥으로 바로 흐를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연결유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립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또는 양액의 배출구와 유입구가 분리형태로 이루어져 식물이 생장하는 본체부의 방향성과 무관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바꿀수 있어 자연광 혹은 인공광을 받는데 제약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받침부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본체받침부가 결합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기둥의 회전유로의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기둥의 연결유로의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받침부의 평면도 및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본체받침부가 결합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기둥의 회전유로의 모습,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기둥의 연결유로의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 어셈블리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어셈블리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분(100)은, 식물 및 식물이 자랄 때 필요한 토양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막혀있는 본체몸체(111)와, 본체몸체(111)의 내측 또는 외측 일측에 연통되는 원통형태의 본체기둥(112)과, 본체몸체(111)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 또는 양액을 배출하는 본체배출구(113)로 이루어진 본체부(110); 및 본체부(110)의 하단부 아래쪽 부분에 결합하여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모았다가 받침배출구(121)를 통해 배출하는 본체받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분(100)은 본체부(110)와 본체받침부(120)로 구성되며, 다시 본체부(110)는 식물 및 식물이 자랄 때 필요한 토양을 보관할 수 있도록 측면과 하면이 막혀 있으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물 또는 양액, 자연광(햇빛) 또는 인공광 등이 들어올 수 있으며 식물이 성장할 공간이 필요하도록 상면은 개방되어 있는 본체몸체(111)와, 본체몸체(111)의 내측 또는 외측 및 가장자리 일측에 연통되어 형성되며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본체기둥(112)과, 본체몸체(111)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본체몸체(111)에 공급된 물 또는 양액을 아래쪽으로 배출하는 본체배출구(11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받침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부 아래쪽 부분에 결합하여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모았다가 배출하는 받침배출구(121)를 포함하여 이루고 있다.
이때, 상기 받침배출구(121)는 본체기둥(112)에 인접한 곳에 형성하여,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모았다가 받침배출구(121)를 통해 배출할 때, 물 또는 양액이 본체기둥(112)의 외면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본체기둥(112)의 외면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물 또는 양액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나선홈형태의 회전유로(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기본적으로 상기 본체기둥(112)은 원통형태로 이루어져 그 상부에서 공급된 물 또는 양액이 본체기둥(112)의 면압력에 의해 외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기둥(112)의 면압력을 넘는 양의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될 경우에는 본체기둥(112)을 따라 흐르지 않고 이탈하여 낙하하게 된다. 이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물 또는 양액의 공급이 어려울 수 있으며, 주변에 떨어지게 되면 지저분하게 된다. 이럴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본체기둥(112)의 외면에 나선홈형태의 회전유로(114)를 형성하여 물 또는 양액이 회전유로(11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몸체(111)와 본체기둥(112)의 사이에는 본체기둥(112)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의 유량을 조절 및 제어하는 물공급조절수단(13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조절수단(130)은, 상기 본체몸체(111)와 본체기둥(112) 사이에 형성되며, 본체기둥(112)과 본체몸체(111) 사이를 가로 막아 본체기둥(112)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한꺼번에 공급되는 것을 막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조절판(131)과, 조절판(131)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판(131)에 의해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이 일정하게 본체몸체(111)로 공급해주는 조절배출구(132)로 구성된다.
물 또는 양액이 한꺼번에 많이 공급될 경우, 상기 본체부(110)에 있는 토양등이 패이거나 이동하게(쓸려버리다)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본체부(110)에 성장하고 있는 식물이 제대로 지지받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물공급조절수단(130)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조절판(131)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될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조절판(131)에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을 조절배출구(132)를 통해 본체몸체(111)로 일정하게 공급해줘 토양등이 패이거나 이동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와 본체받침부(120)는 분리형과 일체형 모두 가능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부(110)가 적어도 둘 이상이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좁은 공간에서 많은 식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부(110)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식물을 키울 수 있는 화분 어셈블리(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기둥(112)의 상측부분에 형성되며,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양각부(141)와, 상기 본체기둥(112)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며,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각부(142)로 구성되되, 서로 끼움결합이 되도록 하는 결합수단(14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렇게 양각부(141)와 음각부(142)로 이루어진 결합수단(14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본체부(110)를 자유롭게 적층하여 화분 어셈블리(20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본체부(110)가 향하는 방향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본체부(110)의 방향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에 가장 큰 이유는 물 또는 양액 공급이 특정 방향일 때만 가능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여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상단에 위치해 있는 본체부(110)를 통해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본체몸체(111)에는 토양이 담겨져 있기에 물 또는 양액이 토양에 흡수되게 되며, 지속적으로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함에 따라 본체몸체(111)의 바닥부분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물 또는 양액이 배출된다. 이때, 본체배출구(113)를 본체기둥(112)으로부터 먼 곳에 구성한 이유는 가깝게 구성하면 본체몸체(111)의 전체에 물 또는 양액을 골고루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본체기둥(112)에서부터 먼 곳에 구성하여 본체몸체(111)에 골고루 물 또는 양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여기서, 물 또는 양액이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될 때, 바로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종래에 조립식 화분(100)에서 나타나던 문제점인 물 또는 양액이 낙차하면서 토양을 패이게 하거나 물이 사방으로 튀게 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의 하단부에 본체받침부(120)를 형성하였다. 상기 본체받침부(120)는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다시 본체기둥(112) 쪽으로 흘려보내주기 위해서 본체배출구(113)가 있는 앞쪽에서 본체기둥(112)이 있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은 아래쪽에 위치해 있는 본체받침부(120)로 배출되며, 배출된 물 또는 양액은 본체받침부(120)의 경사면을 따라 본체기둥(112)이 있는 방향으로 흐르게 되고, 흘러간 물 또는 양액은 받침배출구(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외부로 배출된 물 또는 양액은 하단에 연속적으로 결합된 본체기둥(112)의 외면을 따라 흐르게 되고, 이후에는 앞에서 설명한 거와 같이 본체부(110)에 공급되었다가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본체받침부(120)로, 본체받침부(120)로 흘러간 물 또는 양액은 본체배출구(113)를 통해 또 다시 하단에 결합된 본체기둥(112)의 외면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분(100)은 공급한 물 또는 양액이 항상 본체기둥(112)의 외면을 따라 흐르도록 함에 따라 본체부(110)의 방향은 특정방향으로 치우칠 필요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기둥(112)의 내측에는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양액이 하부에 위치해 있는 본체부(110)로 바로 흐를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연결유로(11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유로(115)의 구성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최상단에 위치해있는 본체부(110)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게 되면 위쪽에 있는 본체부(110)에 공급된 후 아래쪽에 있는 본체부(110)로 순차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즉,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였을 때, 가장 아래쪽에 위치해 있는 본체부(110)에는 물 또는 양액은 한참 후에나 공급이 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 또는 양액을 최상단에 위치한 본체부(110)에 공급하였을 때, 일부는 순차적으로 공급이 되고 나머지는 본체몸체(111)를 거치지 않고 연결유로(115)를 따라 아래쪽에 위치한 본체부(110)에 공급하도록 구성하여 짧은시간에 가능한 동시적으로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본체기둥(112)은 원통형태로 구성한다고 하였는데, 반드시 원통형태로 구성될 필요는 없으나 적층하기에 용이하며, 물 또는 양액이 외면을 따라 흘러내리기 용이한 형태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고 하겠다.
또한, 상기 본체기둥(112)의 중심부분은 속이 빈 원통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기둥(112)의 중심부분이 비어 있거나 꽉 찬 경우 기능적인 차이는 없으나 사용자가 화분 어셈블리(200)에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본체기둥(112)의 중심부분이 비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사용자가 일일이 본체부(110)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지 않고 관수시스템을 구성하여 물 또는 양액을 최상단에 위치해 있는 본체부(110)에 공급하고 순차적으로 흘러내린 물 또는 양액을 최하단에서 물받침부(160)에 다시 모아 최상단에 위치해 있는 본체부(110)로 다시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가 직접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동화되어 화분 어셈블리(200)에 물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체부(110)와 본체부(110) 사이에 연결부(150)를 구성하여 본체부(110)와 본체부(110) 사이를 간격을 넓히게 되면 식물의 성장에 따라 옮겨 심을 필요없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화분
110 - 본체부
111 - 본체몸체
112 - 본체기둥
113 - 본체배출구
114 - 회전유로
115 - 연결유로
120 - 본체받침부
121 - 받침배출구
130 - 물공급조절수단
131 - 조절판
132 - 조절배출구
140 - 결합수단
141 - 양각부
142 - 음각부
150 - 연결부
160 - 물받침부
200 - 화분 어셈블리

Claims (13)

  1. 식물 및 식물이 자랄 때 필요한 토양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막혀있는 본체몸체와, 본체몸체의 내측 또는 외측 일측에 연통되는 원통형태의 본체기둥과, 본체몸체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 또는 양액을 배출하는 본체배출구로 이루어진 본체부; 및
    본체부의 하단부 아래쪽 부분에 결합하여 본체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모았다가 받침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본체받침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기둥의 내부 일측에는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양액의 일부가 하부로 바로 흐를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연결유로와,
    상기 본체몸체와 본체기둥의 사이에 부설되며, 본체기둥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의 유량을 조절 및 제어하는 물공급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조절수단은,
    본체기둥과 본체몸체 사이를 가로 막아 본체기둥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한꺼번에 공급되는 것을 막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조절판과, 조절판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판에 의해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이 일정하게 본체몸체로 공급해주는 조절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배출구는 본체기둥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기둥의 중심부분은 속이 빈 원통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 1항, 제 5항 및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본체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적어도 둘 이상의 화분 및 선택적으로 적용가능한 원통형태의 연결부로 상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화분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화분은,
    식물 및 식물이 자랄 때 필요한 토양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측면과 하면이 막혀있는 본체몸체와, 본체몸체의 내측 또는 외측 일측에 연통되는 원통형태의 본체기둥과, 본체몸체 하단부 일측에 형성되어 공급된 물 또는 양액을 배출하는 본체배출구로 이루어진 본체부;
    본체부의 하단부 아래쪽 부분에 결합하여 본체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 또는 양액을 모았다가 받침배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본체받침부;
    상기 본체기둥의 내부 일측에는 상부에서 유입되는 물 또는 양액의 일부가 하부로 바로 흐를 수 있도록 통로역할을 하는 연결유로; 및
    상기 본체몸체와 본체기둥의 사이에 부설되며, 본체기둥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의 유량을 조절 및 제어하는 물공급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물공급조절수단은,
    본체기둥과 본체몸체 사이를 가로 막아 본체기둥을 통해 공급되는 물 또는 양액이 한꺼번에 공급되는 것을 막고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조절판과, 조절판 일측에 형성되어 조절판에 의해 저장된 물 또는 양액이 일정하게 본체몸체로 공급해주는 조절배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어셈블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기둥의 상측부분에 형성되며,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양각부와, 상기 본체기둥의 하측부분에 형성되며,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각부로 구성되되, 서로 끼움결합이 되도록 하는 결합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어셈블리.
  10. 삭제
  11. 제 8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본체받침부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어셈블리.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19105A 2018-10-05 2018-10-05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KR10207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05A KR102073242B1 (ko) 2018-10-05 2018-10-05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PCT/KR2019/013047 WO2020071859A1 (ko) 2018-10-05 2019-10-04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105A KR102073242B1 (ko) 2018-10-05 2018-10-05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242B1 true KR102073242B1 (ko) 2020-03-02

Family

ID=6980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105A KR102073242B1 (ko) 2018-10-05 2018-10-05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3242B1 (ko)
WO (1) WO2020071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6876B (zh) * 2020-10-23 2022-05-24 淮北特致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家用植物生长光学牵引花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65Y1 (ko) 2003-04-19 2003-07-16 윤진영 다단화분구조체
KR100801133B1 (ko) * 2006-08-22 2008-02-05 배도윤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20080067950A (ko) * 2007-01-17 2008-07-22 주식회사 포시산업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KR101317939B1 (ko) 2011-09-09 2013-10-16 전문배 다단조립식 화분
KR20130119831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포시 수분 공급이 가능한 적층형 식물 재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935B1 (ko) * 2001-01-20 2003-03-15 김명순 다단 꽃탑 및 그 급수방법
KR20160146152A (ko) * 2015-06-11 2016-12-21 이창수 식물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265Y1 (ko) 2003-04-19 2003-07-16 윤진영 다단화분구조체
KR100801133B1 (ko) * 2006-08-22 2008-02-05 배도윤 자동 급수장치가 구비된 화분
KR20080067950A (ko) * 2007-01-17 2008-07-22 주식회사 포시산업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KR101317939B1 (ko) 2011-09-09 2013-10-16 전문배 다단조립식 화분
KR20130119831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포시 수분 공급이 가능한 적층형 식물 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71859A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01870B2 (en) Multifunctional hanging-type plant-growing assembly
US20110258925A1 (en) Vertical planter
JP5495198B1 (ja) 筒状緑化ユニット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CN203505235U (zh) 一种阳台种植装置和组件
JP2012516151A (ja) 多層構造機構を利用するイチゴ及び小型葉菜類の栽培装置及び方法
CN104207554B (zh) 一种立柱吊挂式自动化立体栽培装置
KR20150087510A (ko)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KR101317939B1 (ko) 다단조립식 화분
CN212279026U (zh) 一种草莓新品种培育用育苗架
EP3533319A1 (en) Verticle grow box module and module and system of vertical grow boxes that incorporates it
KR20190089391A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100404389B1 (ko) 가정용 수경재배기
CN112544277B (zh) 一种植物种植组合盆及使用方法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CN204518612U (zh) 快速拼接式栽培槽
CN208273737U (zh) 可快速构建的立体种植架
CN214430419U (zh) 一种植物种植组合盆
CN206559865U (zh) 一种壁挂组合花盆
CN214430421U (zh) 一种植物种植组合盆的施肥给水系统
CN214046858U (zh) 一种园林绿化用苗木育苗装置
US20220330500A1 (en) Modular Hydroponics Gardening Apparatus
KR20090020887A (ko) 다단식 식물재배기
KR200461953Y1 (ko) 조립식 화분
KR102183493B1 (ko) 물 절약형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