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953Y1 - 조립식 화분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953Y1
KR200461953Y1 KR2020090013301U KR20090013301U KR200461953Y1 KR 200461953 Y1 KR200461953 Y1 KR 200461953Y1 KR 2020090013301 U KR2020090013301 U KR 2020090013301U KR 20090013301 U KR20090013301 U KR 20090013301U KR 200461953 Y1 KR200461953 Y1 KR 200461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ter
water storage
wall port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33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843U (ko
Inventor
김재영
유봉식
정명일
이상범
이수미
조일환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0900133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95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9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립식 화분은 수목류 같은 다년생 목본식물의 재배시 화분 및 상토 교체가 용이하고, 뿌리 생육의 진단이 용이하도록, 뿌리의 관찰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화분, 조립식, 이중구조, 고무패킹

Description

조립식 화분{AN ASSEMBLE TYPE FLOWERPOT}
본 고안은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류 같은 다년생 목본식물의 재배시 화분 및 상토 교체가 용이하고, 뿌리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탈착식 구조로 이루어진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쉼터, 공원조성 및 실내외 정원용으로 관상수목 재배 및 이들을 이용한 컨테이너 재배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웰빙 및 로하스형의 문화생활이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화훼작물의 소비도 연중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2006년 화훼재배현황은 재배면적의 약 7,7천ha, 생산액 약 1조원으로 매년 증가 추세에 있고, 주요 재배작물은 숙근류, 구근류, 관상수목류 등으로 다양하며, 주로 절화, 분화, 정원용 등으로 이용된다.
화훼산업 중 특히 관상수목류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원조성, 옥상녹화, 실내정원 등에 대한 수요 및 발전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생력재배, 편리성, 효율성 등이 뛰어난 컨테이너 화분재배 및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관상수목의 컨테이너 화분재배에서 중요한 조건은 화분에 심은 무거운 관상 수목류의 이동과 식물의 성장에 따른 상토 및 화분의 교체이며, 이러한 조건은 관 상수의 컨테이너재배 확대에 있어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종래 화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가 없는 화분으로서, 상토와 목본성 수목류를 심은 대형 화분일 경우, 무겁고, 부피가 커서 이동이 어렵고 특히 상토 및 화분 교체시 화분을 부수거나 분해해야 하므로, 화분재배의 비용이 증가하고,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수목류의 장기간 재배시 뿌리가 화분 내부를 휘감아버리므로 화분과 뿌리를 분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큰 수목일수록 무거워져서 작업 및 이동이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상수목의 컨테이너 화분재배에 있어서, 상토 및 화분의 교체가 용이하고, 뿌리의 관찰이 가능하며, 이동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화분에 대한 필요성이 큰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외 정원조성, 옥상녹화 등을 위해 수목류의 컨테이너 화분재배시 이동이 쉽고, 상토 및 화분교체가 용이하며, 식물뿌리로의 수분 공급이 용이하고, 지하부의 뿌리생육과 진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제 1 측벽부, 제 2 측벽부, 바닥부 및 상부 홀더부가 탈착식 구조의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 사이의 결합부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패킹이 설치된 구조의 조립식 화분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관상 수목 등의 식물의 재배 시 식물의 이식, 상토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식물 뿌리의 생육상태를 진단할 수 있으며, 실내외 정원 및 옥상정원 조성시 이동이 용이하고, 장거리 대량수송에도 유리한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은 제 1 측벽부, 제 2 측벽부, 바닥부 및 상부 홀더부가 탈착식 구조의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 사이의 결합부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패킹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식물의 이식, 화분 및 상토 교환시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식물의 뿌리와 화분을 분리할 수 있고, 화분 내부의 뿌리 관찰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 사이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 패킹이 설치되어 있어서 물의 누수로 인한 화분 주변환경의 오염 및 화분내 수분부족으로 인한 식물의 성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의 구조는 이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에 상토 및 식물을 담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평 단면상의 형상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 사이의 결합부는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한 탈착식 구조의 결합부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제 1 측벽부에는 걸림고리를 형성하고, 제 2 측벽부에는 걸림홈부를 형성하여, 이들에 의해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의 체결 및 분리를 수행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내주면부와 외주면부 사이에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고,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물 저장부와 연결된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내주면부에는 화분 내부와 연통된 물 공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주입구는 외부에서 상기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에 형성된 물저장부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구조로서, 예를 들어,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 각각의 상단면을 개방시킨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저장부로의 물 주입은 상기 상부 홀더부를 상기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와 분리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부 홀더부는 상기 물주입구의 덮개 또는 뚜껑의 기능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내주면부와 외주면부 사이에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고, 상기 상부 홀더부에는 상기 물 저장부와 연결된 구조의 물주입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의 하단부의 내주면부에는 화분 내부와 연통된 물 공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저장부로의 물 주입은 상기 상부 홀더부를 상기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와 결합한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 홀더부의 물주입 관통구와 물저장부를 연결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상단면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수목류 등의 식물 재배시, 식물의 뿌리에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해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물공급의 조절은 식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식물의 뿌리로의 물공급 조절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측벽 부 및 제 2 측벽부를 각각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식물 뿌리의 말단부가 위치하고 있는 화분의 하단부 및 외주면 부근으로의 물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의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플라스틱, 고무 및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는 내부의 물 저장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물저장량 표시부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량 표시부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의 외주면부에 물저장량 표시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물저장량 표시부는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의 외주면부에 수직 방향의 투명한 밴드부의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부를 이루는 소재는 예를 들어,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화분의 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하면에 이동식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바퀴는 화분을 넘어뜨리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이동식 바퀴가 상기 바닥부 하면에 고정되거나,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식물의 성장 및 재배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바닥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구조의 배수구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에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화분 내부의 물이 배수구를 통해 빠른 속도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측벽부들의 하단부 부근에 배수 가이드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화분 내부의 수분 배출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배수 가이드부는 예를 들어, 배수구와 연통되는 제1관통구들이 형성된 판상형 몸체부의 외주면에 대략 7cm 정도의 높이를 갖고 상기 물공급부와 연통된 제2관통구들이 형성된 테두리부가 결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수 가이드부의 상단부에는 식물뿌리의 생장에 의한 식물 뿌리와 제1관통구들 및 배수구와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막이 형상될 수 있으며, 판상형 몸체부와 차단막 사이의 공간에는 인공용토로서, 하이드로볼 등이 담지 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가이드부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및 고무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막은 수분의 이동이 가능하면서, 뿌리의 생장에 의한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섬유로 이루어진 망사 또는 천(cloth)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고안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조립식 화분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식 화분은 상부 홀더부(130), 제 1 측벽부(110), 제 2 측벽부(120), 바닥부(140) 및 고무패킹(1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구형의 제 1 측벽부(110) 및 제 2 측벽부(120)는 결합부위에 봉 형상의 고무패킹을 배치한 상태에서 제 1 측벽부(110)의 걸림홈부(161)와 제 2 측벽부(120)의 걸림고리(162)의 체결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제 1 측벽부(110)와 제 2 측벽부(120)는 각각의 하단면에 형성된 요철부(116, 126)가 바닥부(140)에 형성된 끼움공(144)에 삽입됨으로써, 바닥부(140)와 결합되며, 제 1 측벽부(110) 및 제 2 측벽부(120)의 결합구조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상부 홀더부(130)가 상단부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조립식 화분이 완성된다.
또한, 바닥부(140)의 하면(146)에는 이동용 바퀴(14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조립식 화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 중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의 상단면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2의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의 내주면부 방향에서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부의 평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측벽부(110)는 내주면부(110a), 외주면 부(110b), 물저장부(111), 물주입구(112), 물공급부(113) 및 걸림홈부(161)로 이루어져 있고, 제 2 측벽부(120)는 내주면부(120a), 외주면부(120b), 물저장부(121), 물주입구(122), 물공급부(123) 및 걸림고리(162) 이루어져 있다.
제 1 측벽부(110)와 제 2 측벽부(120)는 각각 내주면부(110a, 120a)와 외주면부(110b, 120b) 사이에 물저장부(111, 121)인 공간(S)이 마련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상단면이 개방된 구조의 물주입구(112, 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부(110a)의 하단부에는 그물망 구조의 물공급부(113, 1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상부 홀더부(130)에는 물주입구(112, 122)와 연결되는 물주입 관통구(1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홀더부(130)가 제 1 측벽부(110)와 제 2 측벽부(120)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물주입 관통구(132)를 통해 물저장부(111, 121)에 편리하게 물을 주입할 수 있으며, 물저장부(111, 121)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한 상태에서, 물공급부(113, 123)를 통해 화분내부로 물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벽부에 배수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배수 가이드부(180)는 내부에 인공용토로서 하이드로볼(188)들이 채워져 있고, 측면의 테두리부에는 물공급부(113)와 연통된 제2관통구(182)가 형성되어 있고, 판상형 몸체부에는 바닥부(140)의 배수구(148)와 연통된 제1관통구(1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수 가이드부(180)의 상부에는 식물뿌리의 생장에 의해 식물 뿌리가 제1관통구(184) 및 배수구(148)에까지 접촉되지 않게 하며, 수분의 이동이 가능한 차단막(186)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 가이드부(180)에 의해 바닥부(140)에 배수구(148)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물공급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화분 내부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148)를 통해 곧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배수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조립식 화분의 제 1 측벽부(110)에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밴드 형상인 물 저장량 표시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홀더부(130)의 물주입 관통구(132)를 통해 물저장부(111)에 물을 주입할 경우, 물 저장량 표시부(115)를 통해 제 1 측벽부(110) 내부에 있는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물저장부(111)에 있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화분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화분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립식 화분이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 중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의 상단면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은 도 4의 제 1 측벽부 및 제 2측벽부의 내주면부 방향에서의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홀더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벽부에 배수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는 모습의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화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이다.

Claims (5)

  1. 제 1 측벽부, 제 2 측벽부, 바닥부 및 상부 홀더부가 탈착식 구조의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제 1 측벽부와 제 2 측벽부 사이의 결합부에는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고무패킹이 설치된 구조이며,
    상기 제 1 측벽부 및 제 2 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내주면부와 외주면부 사이에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고,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물저장부와 연결된 물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내주면부에는 화분 내부와 연통된 물 공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홀더부에는 상기 물 저장부와 연결된 구조의 물주입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가 형성된 중공구조를 갖는 측벽부의 외주면부에는 측벽부 내부의 물 저장량을 확인할 수 있는 물 저장량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는 이동식 바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분.
KR2020090013301U 2009-10-13 2009-10-13 조립식 화분 KR200461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01U KR200461953Y1 (ko) 2009-10-13 2009-10-13 조립식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3301U KR200461953Y1 (ko) 2009-10-13 2009-10-13 조립식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843U KR20110003843U (ko) 2011-04-20
KR200461953Y1 true KR200461953Y1 (ko) 2012-08-22

Family

ID=44209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3301U KR200461953Y1 (ko) 2009-10-13 2009-10-13 조립식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9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0717A (zh) * 2016-06-17 2016-08-31 江苏静园环艺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方便移栽植物的花盆
CN109392516A (zh) * 2018-12-14 2019-03-01 路乃鑫 一种可拆装式花盆
KR102267975B1 (ko) * 2020-12-22 2021-06-23 (주)이에스텍 이중 구조를 갖는 플랜터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플랜터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642A (ja) * 2000-05-30 2001-12-04 Chiku Oshiro 植木鉢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2-03-09 박정연 이중 화분
JP2009106174A (ja) * 2007-10-29 2009-05-21 Koden Kk 分割式植木鉢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3642A (ja) * 2000-05-30 2001-12-04 Chiku Oshiro 植木鉢
KR200267161Y1 (ko) 2001-11-20 2002-03-09 박정연 이중 화분
JP2009106174A (ja) * 2007-10-29 2009-05-21 Koden Kk 分割式植木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843U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1088A1 (en) Vertical hydroponic tower array fixture system
US20120000128A1 (en) Modular hydroponic growing unit
KR100943394B1 (ko) 다층구조 기구를 이용한 딸기 및 소형 엽채류의 재배장치
KR101350394B1 (ko) 수로가 형성된 재배플레이트를 가지는 수경재배장치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101419119B1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200461953Y1 (ko) 조립식 화분
US20120073195A1 (en) Plant growth and garden bags and method of cultivating plants therein
KR100419903B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CN204518612U (zh) 快速拼接式栽培槽
KR102073242B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JP6981084B2 (ja) 壁面緑化用プランター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101663865B1 (ko) 양액 토양 겸용 화분 및 상기 양액 토양 겸용 화분에 적용되는 화분 받침 부재 및 화분 내부 부재
JP2002101755A (ja) ガーデニングタイル用トレイおよびガーデニング芝生タイル
JP2014030377A (ja) 栽培装置
CN212065019U (zh) 一种可回收利用雨水的环保雨水种植容器
CN114208552B (zh) 一种鹰嘴豆育苗系统及育苗方法
JP2003009687A (ja) 給水マット付植物トレイと貯水タンクの一体型底面給水プランター
US20220071111A1 (en) Vertical Farm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Vertical Farming
KR200271930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CN111386903A (zh) 一种可回收利用雨水的环保雨水种植容器及种植方法
KR20210157755A (ko) 무토양 고분자 식생배지를 채용하고 원통형 수직벽에 실시하는 식물재배장치 및 식생분 조합
WO2022265488A1 (es) Empaque para cultivo hidropónico con trampa atrayente para insectos
CN109349199A (zh) 一种毛细自灌溉生态鱼缸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