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950A -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950A
KR20080067950A KR1020070129359A KR20070129359A KR20080067950A KR 20080067950 A KR20080067950 A KR 20080067950A KR 1020070129359 A KR1020070129359 A KR 1020070129359A KR 20070129359 A KR20070129359 A KR 20070129359A KR 20080067950 A KR20080067950 A KR 2008006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unit
storage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478B1 (ko
Inventor
정기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시산업
Priority to US12/449,030 priority Critical patent/US8266840B2/en
Priority to CN2007800500710A priority patent/CN101605452B/zh
Priority to PCT/KR2007/006642 priority patent/WO2008088133A1/en
Priority to EP07851608A priority patent/EP2104414A1/en
Priority to CA2675414A priority patent/CA2675414C/en
Priority to JP2008007848A priority patent/JP2010094026A/ja
Publication of KR2008006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950A/ko
Priority to CO09085446A priority patent/CO6210768A2/es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을 따라 차례대로 쌓인 다수의 적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유닛은 배수구멍이 마련된 제1 공간을 갖는 상기 연장축선 상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연장축선에 대한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저장유닛이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배출통로를 구비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가 제공된다.
수경재배, 화분유닛, 연결유닛, 급수, 배수, 펌프, 재배키트, 가시광 광촉매

Description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WATER STORAGE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본 발명은 물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의 급배수가 용이한 다층 구조를 갖는 물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경재배 등에 사용되는 종래의 다층 구조를 갖는 물 저장 장치는 상하로 배치되어 재배부로서 역할을 하는 다수의 물 저장부와, 최상부의 물 저장부로 물을 공급하고 물이 아래의 물 저장부로 차례대로 공급되도록 하는 급배수 구조를 구비한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상층의 저장부와 하층의 저장부를 단순히 연결해주는 급배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층이 많아지면 층 사이를 일일이 연결해주어야 하므로 설치가 번거로우며, 외형도 매우 제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조의 다층 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배수 구조가 단순한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재배 기능을 하며 수질안정 및 공기정화의 효과가 높은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가 용이한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용 저장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급배수가 용이한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용 저장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높이 조절이 쉬운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용 저장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을 따라 차례대로 쌓인 다수의 적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유닛은 배수구멍이 마련된 제1 공간을 갖는 상기 연장축선 상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연장축선에 대한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저장유닛이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배출통로를 구비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유닛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1 공간과 분리된 제2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2 공간의 물이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유입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유닛의 제2 공간으로 외부의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연장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 이상의 단위 저장 영역을 구비하며, 이웃한 단위 저장 영역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결통로를 구비함으로써, 물이 상기 저장공간 내에서 상기 연장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흐를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의 저장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방향을 따라 좌우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의 저장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위치하도록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층유닛 중 상기 저장유닛의 위에 위치하는 적층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일 수 있다.
상기 급수유닛은 아래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외벽을 구비하며, 상기 급수유닛의 배수구멍은 상기 외벽의 바깥면과 통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연장된 기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층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기둥이 끼워지는 통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적층유닛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위로 이송하여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가장 위에 위치하는 적층유닛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상기 기둥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연장된 이송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상기 이송관을 통해 물을 위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의 내부에 상기 조명기구와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될 수 있따.
상기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상기 저장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기둥형상의 식물재배용 재배키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키트는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형 부재와, 상기 고리형 부재 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은 상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제2 공간이 마련된 추가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추가 연결부 사이에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유닛은 추가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추가 연결부 사이에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저장부의 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연결된 평행한 2개의 열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열 사이를 분리하는 벽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장공간에는 물이 지그재그형으로 흐를 수 있도록 마련된 분할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쌓인 몸체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유닛은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로부터 연장된 가이부와,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멍이 마련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가이드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물의 이동 경로 상의 벽면에 광촉매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은 TiON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TiON 혼합물은 은나노 또는 백금나노늘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수구멍이 마련된 제1 공간을 구비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 바깥쪽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저 장부와,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저장유닛이 제공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 이상의 단위 저장 영역을 구비하며, 이웃한 단위 저장 영역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결통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 공간과 분리된 제2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간의 물이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유입통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수구멍이 마련된 바닥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과,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리벽은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공간이 상기 제2 공간보다 작아지도록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며, 상기 배수구멍은 상기 제1 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분리벽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바닥은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통로기둥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로기둥은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공간이 마련되는 쪽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통로기둥의 통로의 단면형상은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각각 아래와 위에 위치하도록 대 체로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재배부와 연결부는 각각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통로기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로기둥의 통로의 단면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통로기둥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로기둥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상기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덮으며,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아래로 돌출된 3개 이상의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배출통로는 분리가능한 높이조절벽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측벽은 상기 통로기둥의 개방된 일측의 개방부분에서 경사지게 각이 질 수 있다.
상기 경사지기 진 각은 6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둥에 다수의 저장유닛과 연결유닛을 끼워 설치하는 것만으로 급배수가 가능하므로 설치가 매우 쉽다. 또한, 저장유닛을 나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장식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광촉매 구슬이 구비되므로 수질안정 및 공기정화의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급배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지하나 밀폐형 사무실 등 빛이 들어오지 않는 공간에서도 쉽게 원예를 즐길 수 있다. 또한, 광촉매 물질의 살균작용에 의해 식물이 더욱 잘 자라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물 저장 장치(10)는 식물재배용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받침대(20)와, 받침대(20)로부터 위로 연장축선(110)을 따라 연장된 기둥(50)과, 기둥(50)에 끼워진 다수의 적층유닛(30, 40)을 구비한다. 다수의 적층유닛(30, 40)은 화분유닛으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저장유닛(30) 및 다수의 연결유닛(40)을 구비한다. 이하, 저장유닛(30)은 그 기능에 맞춰 화분유닛으로 기재한다. 받침대(20)는 바닥판(22)과, 바닥판(22)과 마주보는 상판(24)과, 바닥판(22)과 상판(24)을 연결하는 측벽(26)을 구비한다. 상판(22)의 중심부에는 기둥(50)이 꼭 맞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된 삽입통로(23)가 마련된다. 삽입통로(23)를 통해 끼워진 기둥(50) 은 바닥판(22)에 고정된다. 삽입통로(23)는 기둥(50)의 형상에 맞게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삽입통로(23)의 주위에는 삽입통로(23)를 둘러싸는 수용홈(25)이 마련된다. 수용홈(25)과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은 연결통로(27)를 통해 서로 통한다. 수용홈(25)에 기둥(50)에 끼워진 최하단의 연결유닛(40)의 후술하는 삽입부(49)가 끼워진다.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는 수중펌프(60)가 설치된다. 수중펌프(60)는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 저장된 물을 이송관(56)을 통해 위로 이송시킨다.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는 물과 함께 광촉매 구슬(70)들이 저장된다. 광촉매 구슬(70)은 가시광 광촉매, 은나노와 백금나노의 혼합물을 유리구슬에 코팅한 것이다. 가시광 광촉매는 빛을 에너지로 이용하여 활성화된 전자-정공쌍들을 발생시키며, 전자-정공쌍들은 강력한 산화제인 하이드록실 라디칼과 산소음이온을 발생시켜 각종 유기물, 이끼류 등을 산화분해한다. 은나노 입자는 항균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시광 광촉매로서 산화질화티타늄(TiON)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광촉매 구슬(70)에 의해 대기정화와 강력한 항균, 탈취, 정수, 방오(防汚)의(pollution-proof) 기능을 갖고 시각적으로도 데코레이션 효과가 있어 디스플레이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식물(103)이 더 잘 자란다. 광촉매 물질은 구슬(70)에 코팅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층유닛(30, 40) 및 기둥(50)에서 물이 이동하는 경로 상의 벽면에 코팅되어 사용된다.
기둥(50)은 사각기둥 형상으로서, 받침대(20)로부터 연장축선(110)을 따라 위로 길게 연장된다. 기둥(50)의 하단은 받침대(20)의 바닥판(22)에 고정된다. 기둥(50)은 중공형으로서, 내부 통로를 통해 펌프(60)로부터 연장된 이송관(56) 및/ 또는 전선(도시되지 않음) 등이 지나간다.
다수의 화분유닛(30)과 다수의 연결유닛(40)은 상하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화분유닛(30)과 연결유닛(40)은 본 발명의 적층유닛을 형성한다.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화분유닛(30)은 물 저장공간인 재배공간(31)을 갖는 재배부(저장부)(32)와, 연결유닛(도2의 40)과 연결되는 연결부(34)를 구비한다. 재배부(32)는 사각형의 바닥판(321)과, 바닥판(321)으로부터 연장된 4개의 측벽(322)을 구비한다. 바닥판(321)에는 재배키트(10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된 원형의 돌출부(323)가 마련된다. 도9를 함께 참조하면, 재배키트(100)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서,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원형 고리(101)와, 상기 다수의 원형 고리(101)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102)를 구비한다. 재배키트(100)의 내부에 재배되는 식물(도2의 103)이 위치하며, 재배키트(100) 내부에 맥반석 및/또는 하이드로볼이 채워져 식물(10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재배공간(31)에서 재배키트(100)의 바깥 부분은 광촉매 구슬(70)로 채워진다. 4개의 측벽(322) 중 하나에는 양측에 유입통로(33)와 배출통로(35)가 마련된다. 배출통로(35)의 상하위치에 따라 재배공간(31)의 물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유입통로(33)는 연결부(34)의 후술하는 제2 공간(36)과 통하며, 배출통로(35)는 연결부(34)의 후술하는 제1 공간(38)과 통한다.
연결부(34)는 재배부(32)의 유입통로(33)와 배출통로(35)가 형성된 측벽(322)의 옆에 위치하며, 정사각형 형상의 바닥판(341)과, 바닥판(341)으로부터 연장된 네 개의 측벽(342)과, 바닥판(341)의 중심을 지나며 상하로 연장되며 정사 각형의 통로(37)가 형성된 삽입기둥(39)과, 바닥판(341)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내부의 분리벽(343)을 구비한다. 바닥판(341)은 재배부(32)의 측벽(322)과 수직을 이룬다. 바닥판(341)에는 후술하는 제1 공간(38)과 통하는 배수구멍(344)이 마련된다. 배수구멍(344)은 삽입기둥(39)의 바로 옆에 위치한다. 바닥판(341)의 하부에는 안쪽에 배수구멍(344)이 포함되도록 삽입기둥(39)의 통로(38)를 에워싸는 돌출된 돌출부(345)를 구비한다. 돌출부(345)는 연결부(34)의 제2 공간(36)과 제1 공간(38)의 상부에 끼워질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네 개의 측벽(342) 중 하나는 재배부(32)의 측벽(322) 중 유입통로(33)와 배출통로(35)가 형성된 측벽이며, 2개는 재배부(32)의 마주보는 두 측벽으로부터 연장된 것이다. 삽입기둥(39)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 통로(37)에 기둥(50)이 끼워진다. 분리벽(343)은 연결부(34)의 내부를 제2 공간(36)과 제1 공간(38)으로 분리하며, 유입통로(33)와 배출통로(35)가 형성된 측벽(322)과 직각을 이룬다. 분리벽(343)은 삽입기둥(39)의 일 측벽(391)의 벽면 상에 위치한다. 분리벽(343)의 상단은 삽입기둥(39)과 연결부(34)의 네 측벽(342) 보다 낮게 형성되는데, 이는 연결부(34)의 상부에 돌출부(345)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화분유닛은 수경재배뿐만 아니라 꺾꽂이 또는 기타 흙을 채워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7과 도8을 참조하면, 연결유닛(40)은 화분유닛(도3의 30)의 연결부(34)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연결유닛(4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유닛(40)은 화분유닛(30)의 연결부(34)와 연결되어, 화분유닛(30)의 연결부(34)의 상하길이를 길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유닛(40)에 의해 화분유닛(30)의 연결 부(34)가 더 길어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유닛(40)은 상하로 위치하는 두 화분유닛(30)을 중간에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기둥(50)에 설치된 다수의 화분유닛(30)은 재배부(32)가 나선형으로 배치되도록 90도씩 틀어져서 설치된다. 이때, 상하로 위치하는 인접한 두 화분유닛(30)의 관계가 도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0을 참조하면, 위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a)은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b)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위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a)의 제1 공간(38a)의 배수구멍(344a)은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b)의 제2 공간(36b)과 자연적으로 통하게 된다.
이제, 도1, 도2 및 도10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에 저장된 물은 수중펌프(60)에 의해 기둥(50)의 내부에 설치된 이송관(56)을 따라 위로 이송된다. 이송된 물은 가장 위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a)의 제2 공간(36a)으로 공급되어, 제2 공간(36a)을 채우게 된다. 제2 공간(36a)의 물은 유입통로(33a)를 통해 재배공간(31a)으로 공급되어 재배공간(31a)은 물로 채워지게 된다. 재배공간(31a)의 수위는 배출통로(35a)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재배공간(31a)의 물은 배출통로(35a)를 통해 제1 공간(38a)으로 공급되며, 제1 공간(38a)으로 공급된 물은 제1 공간(38a)의 바닥에 마련된 배수구멍(344a)을 통해 바로 아래 위치하는 연결유닛(40)으로 공급된다. 연결유닛(40)으로 공급된 물은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b)의 제2 공간(36b)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물은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연결유닛(30)까지 이동한 후 최종적으로 받침대(20)의 내부공간(21)으로 다시 돌아온다. 이 과정에서 물은 모든 화분유닛(30)의 재배공간(31)으로 공급되며 멈추지 않고 계속 순환하게 된다. 또한, 광촉매 구슬(70)에 의해 대기정화와 강력한 항균, 탈취, 정수, 방오의 기능을 갖고 시각적으로도 데코레이션 효과가 있어 디스플레이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광촉매 물질의 살균작용에 의해 식물이 더욱 더 잘 자라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분유닛에 재배부가 하나씩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 주위에 다수의 재배부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화분유닛 사이에 연결유닛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유닛 없이 두 화분유닛을 바로 연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분유닛의 재배부가 연결부보다 더 긴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재배되는 식물에 따라 연결부의 길이가 재배부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화분유닛(30)에서 유입통로(33)와 배출통로(35)가 형성된 측벽(321)이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측벽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유입통로(33)와 배출통로(35)의 위치를 서로 바꿔 수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11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화분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11 내지 도14를 참조하면, 화분유닛(30c)의 연결부(34c)는 통로기둥(39c)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2 공간(36c)과 제1 공간(38c)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재배부(32c)를 도11과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14를 참조하 면, 위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c)의 배수구멍(344c)이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d)의 제2 공간(36d)과 통하게 된다.
도15 및 도16은 본 발명의 화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15 및 도16을 참조하면, 화분유닛(30e)은 원통형의 재배부(32e)와 원통형의 연결부(34e)를 구비한다. 통로기둥(39e)은 원통형으로서, 통로(37e)에 끼워지는 기둥(도시되지 않음)은 원기둥 형상이 된다. 연결부(34e)의 내부공간은 분리벽(343e)에 의해 위아래로 위치하는 제2 공간(36e)과 제1 공간(38e)으로 분리된다. 각 공간(36e, 38e)은 통로기둥(39e)를 둘러싸는 고리형상이 된다. 제2 공간(36e)은 개구(33e)를 통해 재배부(32e)의 재배공간(31e)과 통한다. 재배공간(31e)은 배출통로(35e)을 통해 제1 공간(38e)과 통한다. 제1 공간(38e)은 바닥(341e)에 형성된 배수구멍(344e)을 통해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f)의 제2 공간(36f)과 통한다.
도17 및 도18을 참조하면, 화분유닛(30g)은 통로(37g)의 일측(재배부(32g)의 반대쪽)이 외부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연결부(34g)의 바닥 아래에는 일측 구석에 돌출부(345g)가 마련되어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유닛(30g)의 제2 공간(36g) 또는 제1 공간(38g)에 끼워지게 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9 및 도20을 참조하면, 화분유닛(30h)은 통로(37h)의 안쪽 부분(371h)이 원호형이며, 연결부(34h)가 덮개(392h)로 덮여있다. 덮개(392h)의 네 구석부분에는 삽입구멍(393h)이 형성되어, 연결부(34h)의 하단 네 구석부분에 마련된 돌출부(345h)가 끼워진다. 이러한 구조의 화분유닛(30h)은 원형의 기둥(50h)에 사용하 기 적합하다. 그 외의 구성은 도17 및 도18에 도시된 화분유닛(30g)과 대체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1을 참조하면, 화분유닛(30j)은 2개의 재배키트(100j)가 수용될 수 있도록 폭이 넓은 재배부(34j)를 구비한다. 그 외의 구성은 도20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22를 참조하면, 화분유닛(30k)은 원통형의 재배부(32k)와 원통형의 연결부(34k)를 구비한다. 연결부(34k)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즉, 바닥(도시되지 않음)과 대체로 직각인 분리벽(343k)을 구비한다. 연결부(34k)의 내부공간은 분리벽(343k)에 의해 제2 공간(36k)과 제1 공간(38k)으로 나누어진다. 제2 공간(36k)과 제1 공간(38k)은 각각 유입통로(33k)와 배출통로(35k)를 통해 재배부(32k)의 재배공간(31k)과 마련된다. 연결부(34k)와 연결되는 연결유닛(40k)은 원통형으로서, 중심에 원통형의 통로기둥(45k)이 마련된다.
도23을 참조하면, 재배부(32m)가 연결부(34m)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2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4를 참조하면, 재배부(32p)가 연결부(34p)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재배공간(31p) 내부에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재배키트(100p)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2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5를 참조하면, 재배부(32q)가 연결부(34q)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 며, 각 재배부(32q)가 연결부(34q)로부터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각 재배공간(31q) 내부에 다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재배키트(100q)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도2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6을 참조하면, 식물재배장치(10r)는 조명기구(200r)를 구비한다. 조명기구(200r)는 기둥(50r)의 상단에 설치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둥의 내부공간을 통해 연결된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80)이 적층되어 있다. 화분유닛(80)들은 상하로 위치하는 두 화분유닛(80)이 9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도28을 참조하면, 유입통로(82)와 배출통로(84)의 높이는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마련된 높이조절벽(85)에 의해 조절된다. 높이조절벽(85)의 모서리부분은 얇게 형성되어 손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통로(82) 쪽에는 높이조절벽(85)이 제거된 상태이고, 배출통로(84) 쪽에는 높이조절벽(85)이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재배부(86)의 물높이는 높이조절벽(85)의 높이까지 형성된다. 만일 배출통로(84) 쪽의 높이조절벽(85)이 제거된다면, 재배부(86)의 물높이는 높이조적벽(85)이 없는 상태로 낮아질 것이다. 연결부(81)는 대체로 말굽형상으로서, 내부에 제1 공간(88)이 마련된 제1 연장부(881)와 내부에 제2 공간(89)이 마련된 제2 연장부(89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조절벽(85)이 떼어내어 제어하는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높이조절벽(85)은 슬라이드방식 이동하며 홈에 끼 워지거나 제거될 수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바닥의 가장자리 4부분에는 각각 아래로 돌출된 제1, 제2, 제3, 제4 결합용 돌출부(811, 812, 813, 814)가 마련된다. 각 돌출부(811, 812, 813, 814)는 아래에 위치하는 화분유닛의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끼워져 결합된다. 제1, 제2 돌출부(811, 812)는 제1 공간(88)의 바닥에 위치하는데, 제1 돌출부(811)는 재배부(8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2 돌출부(812)는 제1 연장부(881)의 끝단에 위치한다. 제2 돌출부(812)에 배수구멍(83)이 위치한다. 제3, 제4 돌출부(813, 814)는 제2 공간(89)의 바닥에 위치하는데, 제3 돌출부(813)는 재배부(86)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제4 돌출부(814)는 제2 연장부(891)의 끝단에 위치한다. 제3 돌출부(813)는 제4 돌출부(813) 쪽으로 연장된 돌기(8131)를 구비한다. 이 돌기(8131)는 화분유닛(80)이 다른 화분유닛(80)과 비정상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이 돌기(8131)는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아래의 화분유닛의 배수공간이 마련된 제1 공간으로 연결되는 것을 막는다. 이는 그러한 상태가 될 때에는 돌기(8131)가 제2 연장부(891)에서 외벽에 걸려 안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이다. 나머지 위치에서는 자유롭게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도29 및 도30을 참조하면, 화분유닛(80a)의 재배부(86a)는 중심에 위치하는 연결부(81a)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재배부(86a)는 연결부(81a)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된 제1, 제2, 제3, 제4 재배공간(861a, 862a, 863a, 864a)을 구비한다. 제1 재배공간(861a)은 연결부(81a)의 제2 공간(89a)와 통하는 유입통로(82a)와 제2 재배공간(862a)과 통하는 배출통로(84a)를 구비한다. 유 입통로(82a)와 배출통로(84a)의 구성은 도27 및 도28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2, 제3, 제4 재배공간(862a, 863a, 864a)은 제1 재배공간(861a)과 동일한 구성이며, 제4 재배공간(864a)의 배출통로(84a)는 배수구멍(83a)이 마련된 제1 공간(88a)과 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분유닛(80a)으로 들어온 물은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재배공간(861a, 862a, 863a, 864a)을 차례대로 순환하며 아래로 배수된다.
도31을 참조하면, 화분유닛(80e)은 도30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한 형태이다. 화분유닛(80e)의 제1 재배공간(861e)과 제2 재배공간(862e)의 사이, 제2 재배공간(862e)과 제3 재배공간(863e)의 사이, 제3 재배공간(863e)과 제4 재배공간(864e)의 사이는 높이조절벽(85e)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연결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30에 도시한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도32를 참조하면, 화분유닛(80f)은 도30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재배공간(861f)이 하나만 형성된 구성이다. 그 외의 구성은 도30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33과 도34를 참조하면, 화분유닛(80b)은 원주방향으로 대체로 60도 간격으로 배치된 3개의 제1, 제2 제3 공간(88b, 89b, 90b)을 갖는 연결부(81b)를 구비한다. 제1 공간(88b)에는 배수구멍(83b)과 재배공간(861b)과 연결된 배출통로(84b)가 마련된다. 제2 공간(89b)에 재배공간(861b)과 연결된 유입통로(82b)가 마련된다. 연결부(81b)의 바닥에는 제1, 제2, 제3 공간(88b, 89b, 90b)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아래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제2, 제3 돌출부(811b, 812b, 813b)가 마련된다. 제1 돌출부(811b)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돌기(8111b)가 마련된다. 돌기(8111b)에 의해 제1 돌출부(811b)는 제2 공간(89b)에만 삽입될 수 있어, 상하로 위치하는 화분유닛이 제대로 결합되도록 한다.즉, 배수구멍(83b)을 통해 배수된 물이 제2 공간(89b)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도35와 도36의 화분유닛(80c)은 도30에 도시한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로서, 원형의 재배공간(861c)이 연결부(81c)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 마련된다.
도37을 참조하면, 위로부터 차례대로 적층된 급수유닛(91d)과, 화분유닛(80d)과, 상부 연결유닛(92d)과, 하부 연결유닛(94d)이 구비된다. 도37과 도38을 참조하면, 화분유닛(80d)은 중앙의 사각형의 연결부(81d)와, 연결부(81d) 주위에 형성된 사각형의 재배부(86d)를 구비한다. 연결부(81d)와 재배부(86d)는 배출통로(84d)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부(81d)의 중심에는 중심기둥(821d)이 마련된다. 연결부(81d)에서 중심기둥(821d)의 바깥 부분이 제1 공간(88d)을 형성한다. 재배부(86d)의 내부공간이 물이 유입되는 제2 공간이자 재배공간이 된다. 제1 공간(88d)의 바닥에는 배수구멍(83d)이 마련된다. 제1 연결부(81d)의 바닥 네 구석부분에는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811d)가 마련된다. 돌출부(811d)는 후술하는 상부 연결유닛(92d)의 상단에 꼭 맞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37과 도39를 참조하면, 급수유닛(91d)은 사각형의 지지판(912d)과, 지지판(912d)의 중심에 위치하며 위로 연장된 중공형의 중심기둥(911d)과, 지지판(912d)의 외곽에서 위로 연장된 제1 측벽(913d)과, 지지판(912d)의 외곽에서 아 래로 연장된 제2 측벽(914d)을 구비한다. 지지판(912d)의 아래면에는 화분유닛(80d)의 중심기둥(821d)이 꼭 맞게 끼워지는 플랜지(9121d)가 마련된다. 제1 측벽(913d)에는 외부와 통하는 4개의 슬릿(9131d)이 마련된다. 제2 측벽(914d)의 바깥면에는 슬릿(9131d)과 연결되어 아래로 연장된 물 안내홈(9141d)가 형성된다. 제2 측벽(914d)의 아래부분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진다. 상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제1 측벽(913d)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이 물은 슬릿(9131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물은 물 안내홈(9141d)을 따라 흘러내려가 화분유닛(80d)의 재배부(86d)로 공급된다.
도37과 도40을 참조하면, 상부 연결유닛(92d)은 사각형의 지지판(921d)과, 지지판(921d)의 중심에 위치하며 상하로 연장된 중심기둥(922d)과, 지지판(921d)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하로 연장된 외곽벽(923d)을 구비한다. 지지판(921d)에는 연결통로(9211d)가 마련되어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지지판(921d)의 윗 공간으로 화분유닛(80d)의 돌출부(811d)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37과 도41을 참조하면, 하부 연결유닛(94d)은 하단에 위치하는 사각형의 지지판(941d)과, 지지판(941d)의 중심에 위치하며 상하로 연장된 중심기둥(942d)과, 지지판(941d)의 바깥쪽에 위치하며 상하로 연장된 외곽벽(943d)을 구비한다. 지지판(921d)에는 연결통로(9411d)가 마련되어 물이 통과할 수 있다. 지지판(941d)의 아래면 네 구성에는 돌출부(9412d)가 마련되어 급수유닛(91d)의 상단에 꼭 맞게 끼워져 결합된다. 하부 연결유닛(94d)의 상단에는 상부 연결유닛(92d)의 하단이 꼭 맞게 끼워져 결합된다.
도42 내지 도45를 참조하면, 화분유닛(80e)과, 재배키트(100e)와, 2가지 연결유닛(90e, 92e)이 구비된다. 화분유닛(80e)은 제1 공간(88e)이 마련된 제1 연결부(87e)와, 제2 공간(89e)이 마련된 제2 연결부(86e)와, 두 연결부(86e, 87e)의 사이에 두 구획벽(873e, 863e)에 의해 형성된 재배공간(84e)이 마련된 재배부(85e)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87e)와 제2 연결부(86e)의 마주보는 외벽은 각각 기둥(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쪽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있다. 제1 연결부(87e)의 제1 공간(88e)과 재배부(85e)의 재배공간(84e)은 구획벽(873e)에 형성된 상하로 좁고 길게 연장된 배출통로(882e)를 통해 물이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1 연결부(87e)의 제1 공간(88e)은 분리벽(871e)에 의해 제1 연결부(87e) 내부의 다른 공간과 분리된다. 제2 연결부(86e)의 제2 공간(89e)와 재배부(85e)의 재배공간(84e)은 구획벽(863e)에 형성된 상하로 좁고 길계 연장된 유입통로(81e)를 통해 물이 통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제2 연결부(86e)의 제2 공간(84e)은 분리벽(861e)에 의해 제2 연결부(86e) 내부의 다른 공간과 분리된다. 재배부(85e)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분할벽(82e)에 의해 다수의 재배구역(841e)으로 분리된다. 분할벽(82e)은 일측 끝단이 좌우 번갈아 개방되어 있어 물이 지그재그 형태로 지나갈 수 있다. 각 재배구역(841e)에는 재배키트(100e)가 끼워져 사용된다. 제1 연결부(87e)의 제1 공간(88e)의 바닥에는 배수구멍(881e)이 마련된다. 배출통로(882e)에는 재배공간(84e)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수위조절부재(83e)가 삽입되어 있다. 수위조절부재(83e)는 배출통로(882e)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부착 및 제거가 가능하다. 두 연결부(86e, 87e)의 밑바닥에는 아 래로 돌출된 돌출부(881e)가 마련된다. 돌출부(881e)가 아래의 연결유닛(90e, 92e)에 끼워져 결합을 도와준다.
2가지 연결유닛(90e, 92e)은 제1 연결유닛(90e)과 제2 연결유닛(92e)이다. 제1 연결유닛(90e)은 화분유닛(80e)의 제1 연결부(87e)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1 연결부(87e)의 아래에 연결된다. 제1 연결유닛(90e)의 아래에는 다른 제1 연결유닛(90e) 또는 화분유닛(80e)의 제2 연결부(86e)가 연결된다. 제2 연결유닛(92)은 화분유닛(80e)의 제2 연결부(86e)와 동일한 구성으로서, 제2 연결부(86e)의 아래에 연결된다. 제2 연결유닛(92e)의 아래에는 다른 제2 연결유닛(92e) 또는 화분유닛(80e)의 제1 재배부(87e)가 연결된다.
물은 화분유닛(80e)의 제2 공간(89e)으로 유입된다. 제2 공간(89e)으로 유입된 물은 유입통로(81e)를 통해 재배공간(84e)으로 유입된다. 재배공간(84e)으로 유입된 물은 각 재배구역(841)을 거쳐 배출통로(882e)를 통해 제1 공간(88e)으로 유입된다. 제1 공간(88e)의 물은 배수구멍(881e)을 통해 아래의 제1 연결유닛(90e)으로 유입된다. 제1 연결유닛(90e)으로 유입된 물은 다른 제1 연결유닛(90e) 또는 다른 화분유닛(80e)의 제2 공간(87e)으로 유입된다.
도46 내지 도49를 참조하면, 화분유닛(80f)은 제1 연결부(87f)와, 제2 연결부(86f)와, 두 연결부(86f, 87f)의 사이에 위치하는 재배부(85f)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87f)에는 분리벽(871f)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제1 공간(88f)과 제2 공간(89f)이 마련된다. 제1 공간(88f)의 바닥에는 배수구멍(881f)이 마련된다. 제1 공간(88f)과 재배부(85f)의 재배공간(84f) 사이에는 배출통로(882f)가 마련되 고, 제2 공간(89f)과 재배부(84f)의 재배공간(84f) 사이에는 유입통로(81f)가 마련된다. 재배부(85f)의 내부 공간은 물이 수용되는 재배공간(84f)과, 빈 격리공간(89f)으로 이루어진다. 재배공간(84f)은 나란하게 연장된 제1 열(841f)과 제2 열(842f)을 구비한다. 각 열(841f, 842f)은 제1 연결부(87f)와 제2 연결부(86f) 사이에 길게 연장되며, 그 구성은 도45에 도시된 예와 같이 물이 지그재그 형태로 흐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열(841f)은 제1 연결부(87f) 쪽에서 배출통로(882f)와 연결되고, 제2 열(842f)은 제1 연결부(87f) 쪽에서 유입통로(81f)와 연결된다. 제1 열(841f)의 끝단과 제2 열(842f)의 끝단은 제2 연결부(86f)의 내부공간(861f)과 연결되며 서로 통하게 된다. 격리공간(891f)은 제1 연결부(87f)와 제2 연결부(86f) 사이에 길게 연장되며, 재배공간(84f)의 제1 열(841f)과 제2 열(842f) 사이에 위치한다. 격리공간(891f)의 형성하는 외벽의 일측 끝단은 제1 연결부(87f)의 분리벽(841f)과 연결된다. 제1 연결부(87f)의 제2 공간(89f)으로 유입된 물은 재배공간(84f)의 제2 열(842f)과 제1 열(841f)을 차례로 지나 제1 연결부(87f)의 제1 공간(88f)으로 유입되고, 제1 공간(88f)에 마련된 배수구멍(881f)을 통해 아래로 배수된다. 그 외의 구성은 도42 내지 도25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50을 참조하면, 몸체유닛(90g)과, 화분유닛(80g)과, 연결유닛(92g)과, 재배키트(100g)가 구비된다. 도50과 도51을 참조하면, 몸체유닛(90g)은 기둥부(91g)와, 수용부(94g)와, 가이드부(96g)를 구비한다. 기둥부(91g)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기둥부(91g)의 내부 공간에 중심기둥(도시되지 않음)이 통과한다. 수용 부(94g)는 기둥부(91g) 상부 외측에 물이 수용되도록 바닥(941g)과 측벽(943g)을 구비한다. 바닥(941g)에는 배수구멍(942g)이 마련되며, 수용부(94g)의 물이 배수구멍(942g)을 통해 아래로 배수되도록 바닥(941g)은 기울어져 있다. 가이드부(96g)는 기둥부(91g)로부터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평행한 2개의 가이드벽(961g, 962g)을 구비한다. 수용부(94g)의 배수구멍(942g)은 2 가이드 벽(961g, 962g)의 바깥쪽에 연결된다. 가이드부(96g)에 화분유닛(80g) 또는 연결유닛(92g)이 꼭 맞게 끼워진다. 도50과 도52를 참조하면, 화분유닛(80g)은 재배부(85g)와, 연결부(87g)를 구비한다. 재배부(85g)에는 도54에 도시한 형태의 재배키트(100g)가 삽입된다. 연결부(87g)의 외벽은 몸체유닛(90g)의 가이드부(96g)에 끼워질 수 있도록 홈(871g)을 형성한다. 수위조절부재(83g)가 배출통로(84g)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탈착이 가능하다. 그 외의 구조는 도28에 도시한 화분유닛과 대체로 동일하다. 도50 및 도53을 참조하면, 연결유닛(92g)은 화분유닛(80g)의 연결부(87g)의 구성과 대체로 동일하다.
도56 내지 도58을 참조하면, 화분유닛(80h)은 도28에 도시한 화분유닛(80)을 변형시킨 형태로서, 돌출부(811h)가 원기둥형태로 이루어지면, 연결부(87h)의 외벽(871h)은 삽입홈(872h)과 연결된 벽이 홈(872h)의 연장선(873h)과 경사각 A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각 A가 60도인 것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분유닛(80h)은 도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의 간격으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다층구조의 물 저장 장치가 식물재배장치로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는 수질여과 장치 및 관상 및 조경 제품, 그리고 관상어 수조 등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은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적층유닛 즉, 화분유닛과 연결유닛은 아크릴로 제작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유닛는 아크릴 외에 유리나 합성수지 등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이 펌프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수동으로 상단에 물을 공급해줌으로써 물이 각 재배부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촉매 물질을 구슬에 코팅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층유닛나 받침대의 벽면에 광촉매 물질을 바로 코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인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한 식물재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평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한 화분유닛을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도3에 도시한 화분유닛을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7은 도1에 도시한 연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8은 도7에 도시한 연결유닛의 평면도이다.
도9는 도2에 도시한 재배키트의 사시도이다.
도10은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평면도로서, 연결된 2개의 화분유닛의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결된 2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평면도이다.
도13은 도11에 도시한 화분유닛을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4는 도1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평면도로서, 연결된 2개의 화분유닛의 위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16은 도15에 도시한 화분유닛을 D-D'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연결된 2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8은 도17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0은 도19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21은 도19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2는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3은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4는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5는 도1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7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28은 도27에 도시한 화분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c)는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29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30은 도29에 도시한 화분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c)는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d)는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c)는 Y'-Y"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33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34는 도33에 도시한 화분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3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36은 도35에 도시한 화분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38은 도37에 도시한 화분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 는 측단면도이다.
도39는 도37에 도시한 급수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40은 도37에 도시한 상부 연결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41은 도37에 도시한 하부 연결유닛에 대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측단면도이다.
도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3은 도42에 도시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4는 도42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5는 도44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평면도이다.
도4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7은 도46에 도시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48은 도46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49는 도48에 도시한 화분유닛의 평면도이다.
도5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1은 도50에 도시한 몸체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52는 도50에 도시한 화분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53은 도50에 도시한 연결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54는 도50에 도시한 재배유닛에 대한 도면이다.
도55는 도52에 도시한 수위조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5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유닛의 사시도이다.
도57의 (a)는 도56의 화분유닛의 평면도이고, (b)는 도56의 화분유닛의 측면도이다.
도58은 도56의 화분유닛이 3개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20 : 받침대
30 : 저장유닛 31 : 저장공간
32 : 저장부 36 : 제2 공간
38 : 제1 공간 34 : 연결부
40 : 연결유닛 50 : 기둥
56 : 이송관 60 : 수중펌프
70 : 광촉매 구슬 100 : 재배키트
110 : 연장축선 344 : 배수구멍

Claims (44)

  1.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축선을 따라 차례대로 쌓인 다수의 적층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유닛은 배수구멍이 마련된 제1 공간을 갖는 상기 연장축선 상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연장축선에 대한 반경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갖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저장유닛이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배출통로를 구비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1 공간과 분리된 제2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제2 공간의 물이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유입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유닛의 제2 공간으로 외부의 물이 공급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연장축선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 이상의 단위 저장 영역을 구비하며, 이웃한 단위 저장 영역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결통로를 구비함으로써, 물이 상기 저장공간 내에서 상기 연장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흐르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의 저장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방향을 따라 좌우에 교대로 위치하도록 2개 이상이 설치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의 저장공간은 상기 연결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저장유닛은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위치하도록 3개 이상이 설치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유닛 중 상기 저장유닛의 위에 위치하는 적층유닛은 상기 저장유닛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유닛인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아래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경사진 경사부를 갖는 외벽을 구비하며, 상기 급수유닛의 배수구멍은 상기 외벽의 바깥면과 통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연장된 기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적층유닛의 연결부는 상기 기둥이 끼워지는 통로를 더 구비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적층유닛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위로 이송하여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어느 하나에 제공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받침대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다수의 적층유닛 중 가장 위에 위치하는 적층유닛에 제공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연장된 이송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상기 이송관을 통해 물을 위로 이송시키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 설치되는 조명기구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내부에 상기 조명기구와 연결되는 전선이 수용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중공형 기둥형상의 식물재배용 재배키트를 더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키트는 상하로 배치되는 다수의 고리형 부재와, 상기 고리형 부재를 연결하도록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상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제2 공간이 마련된 추가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추가 연결부 사이에 길게 연장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닛은 추가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연결부와 추가 연결부 사이에 길게 연장되며, 상기 저장부의 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연결된 평행한 2개의 열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열 사이를 분리하는 벽이 마련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는 물이 지그재그형으로 흐를 수 있도록 마련된 분할벽이 구비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선을 따라 쌓인 몸체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유닛은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로부터 연장된 가이부와, 물이 배출되는 배수구멍이 마련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층유닛은 상기 몸체유닛의 가이드부에 끼워질 수 있는 삽입홈을 구비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물의 이동 경로 상의 벽면에 광촉매 물질이 코팅된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물질은 TiON 혼합물인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TiON 혼합물은 은나노 또는 백금나노늘 더 함유하는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24. 배수구멍이 마련된 제1 공간을 구비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측면 바깥쪽에 위치하며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마련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상기 제1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된 배출통로를 포함하는 저장유닛.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 2개 이상의 단위 저장 영역을 구비하며, 이웃한 단위 저장 영역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연결통로를 구비하는 저장유닛.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 공간과 분리된 제2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공간의 물이 상기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유입통로를 더 구비하는 저장유닛.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수구멍이 마련된 바닥과,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과,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벽을 구비하는 저장유닛.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바닥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저장유닛.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공간이 상기 제2 공간보다 작아지도록 일측으로 치우쳐서 위치하며, 상기 배수구멍은 상기 제1 공간의 바닥에서 상기 분리벽의 가운데 부분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는 저장유닛.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바닥은 대체로 정사각형 형상인 저장유닛.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통로기둥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로기둥은 상기 분리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공간이 마련되는 쪽에 위치하는 저장유닛.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기둥의 통로의 단면형상은 사각형인 저장유닛.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공간과 제2 공간이 각각 아래와 위에 위치하도록 대체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저장유닛.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부와 연결부는 각각 원통형인 저장유닛.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통로기둥을 더 구비하는 저장유닛.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기둥의 통로의 단면형상은 원형인 저장유닛.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중심부를 지나는 통로가 형성된 통로기둥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로기둥의 일측은 개방된 저장유닛.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상기 제1 공간 또는 제2 공간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돌기가 마련된 저장유닛.
  3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을 덮으며, 상기 돌출부가 끼워지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저장유닛.
  40. 제2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아래로 돌출된 3개 이상의 결합용 돌출부를 구비하는 저장유닛.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바깥쪽으로 연장된 돌기를 구비하는 저장유닛.
  42. 제24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통로는 분리가능한 높이조절벽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저장유닛.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연결부의 바닥에는 아래로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의 측벽은 상기 통로기둥의 개방된 일측의 개방부분에서 경사 지게 각이 진 저장유닛.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각은 60도인 저장유닛.
KR1020070129359A 2007-01-17 2007-12-12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KR10096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449,030 US8266840B2 (en) 2007-01-17 2007-12-18 Water storage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CN2007800500710A CN101605452B (zh) 2007-01-17 2007-12-18 多层结构的储水装置
PCT/KR2007/006642 WO2008088133A1 (en) 2007-01-17 2007-12-18 Water storage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EP07851608A EP2104414A1 (en) 2007-01-17 2007-12-18 Water storage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CA2675414A CA2675414C (en) 2007-01-17 2007-12-18 Water storage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JP2008007848A JP2010094026A (ja) 2007-01-17 2008-01-17 多層構造を有する水貯蔵装置
CO09085446A CO6210768A2 (es) 2007-01-17 2009-08-14 Aparato de almacenamiento de agua con estructura de capas multip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5308 2007-01-17
KR1020070005308 2007-01-17
KR20070050552 2007-05-23
KR1020070050552 200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950A true KR20080067950A (ko) 2008-07-22
KR100968478B1 KR100968478B1 (ko) 2010-07-07

Family

ID=3963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59A KR100968478B1 (ko) 2007-01-17 2007-12-12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66840B2 (ko)
EP (1) EP2104414A1 (ko)
KR (1) KR100968478B1 (ko)
CN (1) CN101605452B (ko)
CA (1) CA2675414C (ko)
CO (1) CO6210768A2 (ko)
WO (1) WO200808810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56B1 (ko) * 2011-09-29 2013-09-13 주식회사 신일 수경재배용 여과기
KR101856472B1 (ko) * 2017-06-15 2018-05-10 박요성 적층식 식물재배장치
KR20180003664U (ko) * 2017-06-19 2018-12-28 김태연 가변형 간격 조절구
KR102073242B1 (ko) * 2018-10-05 2020-03-02 설오열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3525B (en) * 2010-07-19 2011-07-27 Alexander P Fisher System and method for growing plants
CN102599041B (zh) * 2011-01-19 2015-04-15 杜强 一种充气式栽培装置
USD688896S1 (en) 2012-06-13 2013-09-03 Van M. Kassouni Spiral planter
US20130333287A1 (en) * 2012-06-13 2013-12-19 Van M. Kassouni Planter assembly
MX2012011572A (es) * 2012-10-05 2013-02-07 Luis Hector Alberto Martinez Ruanova Unidad colgante vertical doble en forma de bolsas para cultivo hidroponico de plantas, panel de unidades colgantes verticales dobles en forma de bolsas y estructura para invernadero.
CN102972280B (zh) * 2013-01-04 2015-01-28 吕兆龙 一种无土水培蔬菜架
CN103782828A (zh) * 2013-12-12 2014-05-14 成都佳美嘉科技有限公司 太阳能花盆支架
US10080336B2 (en) 2014-04-16 2018-09-25 Aquatree Global, Llc Aquaponics system
US10264767B2 (en) * 2014-06-05 2019-04-23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Multi-level apartment type three-dimensional water tank
US9332695B2 (en) 2014-10-09 2016-05-10 Kee Y. Hwang Modular plant container
WO2018013163A1 (en) 2016-07-14 2018-01-18 Mjnn Llc Control and sensor systems for an environmentally controlled vertical farming system
USD854649S1 (en) * 2017-01-03 2019-07-23 Thierry Coche Component of a modular system for vertical hydroponics
CN107455166B (zh) * 2017-09-11 2023-05-09 重庆樟旗模具有限公司 一种绿植养护装置
WO2019153368A1 (zh) * 2018-02-12 2019-08-15 苏州大学张家港工业技术研究院 一种储水式模块化垂直绿化系统
CN108617336A (zh) * 2018-05-11 2018-10-09 桐城市天地泰农业科技有限公司 立体式幼苗种植装置
JP7305995B2 (ja) 2019-03-15 2023-07-1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水質浄化部材、水耕栽培装置、および水質浄化装置
US11672215B2 (en) 2020-01-12 2023-06-13 Sentient Design, Inc.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WO2022123333A1 (en) * 2020-12-09 2022-06-16 H.Glass Sa Hydroponic growing system
CN115559125B (zh) * 2022-11-07 2024-06-04 安徽安利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防污易清洁水性无溶剂聚氨酯合成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99920A (en) * 1974-12-28 1978-02-01 Tatamoto J Hydroponic cultivation
JPH01243932A (ja) * 1988-03-25 1989-09-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水耕栽培装置
CN2122476U (zh) * 1992-05-13 1992-11-25 丁一 自调供水花盆
US5251399A (en) * 1992-10-23 1993-10-12 Rasmussen Von O Vertical plant stand
JP3273983B2 (ja) * 1992-11-20 2002-04-1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潅水装置付き多段育苗器
US5555676A (en) * 1994-11-03 1996-09-17 A.C.T., Inc. Vertical planter apparatus and method
CN2353140Y (zh) * 1999-02-13 1999-12-15 田辉勤 柱型立体土壤植物种植器
KR100316370B1 (ko) * 1999-09-13 2001-12-22 변복구 작물의 공중채묘용 육묘장치
KR20010028025A (ko) * 1999-09-17 2001-04-06 윤종용 웨이퍼의 예비 가열장치
JP2002325512A (ja) * 2001-05-01 2002-11-12 Kana Abe 多段型植木鉢設置体
US6615542B2 (en) * 2001-11-14 2003-09-09 Larry Austen Ware Plant growth unit
KR100448873B1 (ko) * 2002-02-07 2004-09-16 바이오메디아 주식회사 가정용 식물재배용 선반케이스
US6727091B2 (en) * 2002-05-31 2004-04-27 University Of Guelph Room air cleansing using hydroponic plants
US20050262768A1 (en) * 2003-08-04 2005-12-01 Jozef Cybula Standing flowerbed
AU2003904312A0 (en) * 2003-08-13 2003-08-28 Keats, John Rodney Plant pot with water reservoir
US6840008B1 (en) * 2003-10-09 2005-01-11 Chester C. Bullock Vertical planting system
US20090038220A1 (en) * 2006-12-15 2009-02-12 Lawson Guthrie Planter platfor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556B1 (ko) * 2011-09-29 2013-09-13 주식회사 신일 수경재배용 여과기
KR101856472B1 (ko) * 2017-06-15 2018-05-10 박요성 적층식 식물재배장치
KR20180003664U (ko) * 2017-06-19 2018-12-28 김태연 가변형 간격 조절구
KR102073242B1 (ko) * 2018-10-05 2020-03-02 설오열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WO2020071859A1 (ko) * 2018-10-05 2020-04-09 설오열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5452A (zh) 2009-12-16
WO2008088108A1 (en) 2008-07-24
US20100072102A1 (en) 2010-03-25
KR100968478B1 (ko) 2010-07-07
US8266840B2 (en) 2012-09-18
CA2675414C (en) 2011-11-29
CN101605452B (zh) 2011-06-08
CO6210768A2 (es) 2010-10-20
EP2104414A1 (en) 2009-09-30
CA2675414A1 (en)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478B1 (ko) 다층 구조의 물 저장 장치
US9420768B2 (en) Aquaponics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0477950Y1 (ko) 수직 정원 화분 장치
CA2637935C (en) Modular container system
EP3295788B1 (en) Water culture block and water culture device having same
CN105208851B (zh) 用于移植植物的嵌件和装置
KR102227513B1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및 식물재배장치의 화분모듈
JP2010094026A (ja) 多層構造を有する水貯蔵装置
WO2008088133A1 (en) Water storage apparatus with structure of multiple layers
JP2012005386A (ja) 複合多段植木鉢
JP5694222B2 (ja) 植物栽培装置
CN210298686U (zh) 一种便于观赏的景观植物栽培箱
KR20110114778A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101826930B1 (ko)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KR102214775B1 (ko) 작물 재배 장치
KR20130005040U (ko) 식물 재배 장치
KR101466266B1 (ko) 피라미드형 꽃탑 화환
JP3320689B2 (ja) 組立式植木鉢
KR20110000499U (ko) 복층식재를 위한 조립설치용 가로등화분
KR102162634B1 (ko) 간소화된 조립구조를 갖는 적층식 식재포트 조립체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102620392B1 (ko) 가정용 아쿠아포닉스 장치
KR102684252B1 (ko) 식물을 위한 공기 공급 기능을 갖는 화분
RU109368U1 (ru) Модул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US20220369571A1 (en) Interengageable container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