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930B1 -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930B1
KR101826930B1 KR1020160061652A KR20160061652A KR101826930B1 KR 101826930 B1 KR101826930 B1 KR 101826930B1 KR 1020160061652 A KR1020160061652 A KR 1020160061652A KR 20160061652 A KR20160061652 A KR 20160061652A KR 101826930 B1 KR101826930 B1 KR 101826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tubular
lower arm
cylinder body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1763A (ko
Inventor
권오일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별빛농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별빛농장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별빛농장
Priority to KR1020160061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930B1/ko
Publication of KR2017013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중앙에서 위로 돌출된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관 주위의 바닥에서 위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고서 역절두원추형상을 가진 몸체, 상기 드레인관의 상단에 하단이 외접되어 암수결합되고 하단 둘레면에 복수개의 월류구멍이 형성된 월류관,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월류관을 에워싸서 하단이 상기 몸체의 바닥에 접촉하고 있고 상단이 바로 위에 적층되는 화분의 드레인관의 하단에 내접되어 장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화분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되어 바로 위의 화분의 바닥을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stackable flowerpot assembly for cultivating plant}
본 발명은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화분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식물을 재배 가능하게 하면서도 복수개의 화분 바닥에 물 주입이 가능한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꽃을 심어 가꾸는 그릇을 말한다.
종래의 화분은 화분에 수납되는 화초들로 인하여 화분 위에 다른 화분을 얹어 놓을 수 없었기 때문에 여러 화분들을 비치하는 경우 화분이 차지하게 되는 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화분 위의 공간은 비어 있게 되어 공간 활용면에서 비합리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화분을 입체적으로 배치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다단식 화분선반이나 받침대들이 필요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화분이 한국실용신안공고 제1994-000414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화분에는 화분몸체가 사각통체로 형성되어, 몸체의 각 벽면에 원뿔형의 요입부가 형성되고,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모서리면가 형성되며, 몸체의 상단에 요입홈을 갖는 보강테기 형성되고, 보강테의 하측과 요입홈 내측으로 보강돌조가 형성되고, 화분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천공되되, 바닥면의 중앙부에는 융기부와 요입부가 사방으로 안내되는 배수안내판이 형성되어 배수안내판의 각 요입부의 끝부분에 배수공이 천설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분은 화분에 수납되는 화초 또는 식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화초를 화분의 중앙부분에 심어 각 화분들을 평면으로 배치하고 화초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화초를 화분의 네 귀퉁이 부분에 심어 화분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다른 화분을 안치하여 올림으로써 수개의 화분들을 적층할 수 있는 것으로서 화분의 적층시에는 아래측 화분의 벽면 상단에 형성된 요입홈에 상측 화분의 귀퉁이를 안치하여 상측 화분의 귀퉁이가 아래측 화분의 요입홈내에 요동됨이 없이 괘지되게 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화분은 화분을 적층함에 있어서 선반이나 받침대등의 진열대가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화분 진열의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화분의 적층 개수는 화분의 내구성이 보장되는 한 특별한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쌓아 올릴 수 있어 특히 아파트 베란다 등과 같이 좁은 공간에 화분을 비치하는 경우에 공간 활용도를 최대한 높일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화분은 보강테의 하단과 요입홈 내측으로 보강돌조 형성되어 있어 수개의 화분들을 적층하더라도 화분의 지지력이 충분히 보장될 뿐만 아니라, 위쪽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은 화분의 배수안내판에 의하여 배수안내판의 요입부를 타고 화분의 모서리 측으로 흘러내려 화초를 적시면서 떨어지기 때문에 최상단의 화분에만 물을 주어도, 최 하단의 화분에 이르기까지 모든 화초에 골고루 물을 줄 수가 있고, 별도의 받침대나 화분 선반 없이도 화분을 다단계로 쌓아 올려 화초를 재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화초 재배시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실용적인 화분이다.
하지만, 상기 개시된 화분은 최상단의 화분에 물을 주어, 물이 각 화분에 담겨진 흙을 통과시켜 최 하단의 화분에 물을 공급하게 되어서, 최 하단의 화분의 흙에 물을 공급하는 속도가 더디어 수문에 민감한 식물재배에 부적합하고, 최 하단의 화분의 바닥에 천설된 배수공을 통하여 물이 아파트 베란다나 선반으로 배수되어 아파트 베란다나 선반을 더럽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바닥 중앙에서 위로 돌출된 드레인관과 상기 드레인관 주위의 바닥에서 위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를 구비하고서 역절두원추형상을 가진 몸체, 상기 드레인관의 상단에 하단이 외접되어 암수결합되고 하단 둘레면에 복수개의 월류구멍이 형성된 월류관, 상기 드레인관과 상기 월류관을 에워싸서 하단이 상기 몸체의 바닥에 접촉하고 있고 상단이 바로 위에 적층되는 화분의 드레인관의 하단에 내접되어 장착되는 지지대, 및 상기 화분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되어 바로 위의 화분의 바닥을 지지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화분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별도의 받침대나 화분 선반 없이도 화분을 다단계로 쌓아 올려 화초를 재배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적층된 모든 화분들의 바닥에 동시적으로 물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화분 밖으로 물이 빠져나가 아파트 베란다나 선반으로 배수되어 아파트 베란다나 선반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분 조립체의 통몸체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분 조립체의 거치대를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분 조립체의 월류관을 도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밑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분 조립체의 관형 지지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분 조립체를 조립상태에서 도시한 평면도와 정면도, 및
도 6은 도 1의 화분 조립체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화분 조립체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는 본 실시예의 화분 조립체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화분 조립체(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중앙에서 수직방향 위로 돌출된 드레인관(11)을 구비하고서 전체적으로 역 절두원추형상의 외형을 가진 수지 사출형성체인 통몸체(10); 상기 드레인관(11)의 상단에 하단이 외접되어 암수결합되고 하단 둘레면에 복수개의 월류구멍(25)이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뻗은 수지 사출형성체인 월류관(20); 상기 드레인관(11)과 상기 월류관(20)을 에워싸서 하단이 상기 통몸체(10)의 바닥에 얹어 놓여 있고 상단이 바로 위에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드레인관(11)의 하단에 내접되어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서 수직방향으로 뻗은 수지 사출형성체인 관형 지지대(30); 및 상기 통몸체(10)의 하부와 암수결합되어 상기 통몸체(10)를 지지하고, 상기 통몸체(10)의 바로 아래의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될 수 있는 수지 사출형성체인 거치대(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몸체(10)에 구비된 상기 드레인관(11)의 하단은 상기 통몸체(10)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1)에 유통하고 상단이 상기 통몸체(10)의 내부와 유통하고 있다.
상기 통몸체(10)의 상단 테두리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은 플랜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2)에는 상기 플랜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3개의 절결부(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통몸체(10)의 둘레면에는 상기 통몸체(10)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통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복수개의 통기구(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관(11)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몸체(10)의 개구(1)와 유통하는 하부암형부(11a), 상기 하부암형부(11a)의 외경과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하부암형부(11a)와 유통하는 상부숫형부(11b), 상기 하부암형부(11a)와 상기 상부숫형부(11b) 사이의 외면에 형성된 외단차부(11c), 및 상기 하부암형부(11a)와 상기 상부숫형부(11b) 사이의 내면에 형성된 내단차부(11d)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중심축선방향에 평행하게 뻗은 복수개의 돌기(11e)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월류관(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1e)에 외접되어 상기 외단차부(11c) 위에 놓이게 되는 하부암형부(21), 상기 하부암형부(21)의 외경과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하부암형부(21)와 유통하는 상부소경부(22), 상기 하부암형부(21)와 상기 상부소경부(22) 사이의 외면에 형성된 외단차부(23), 및 상기 하부암형부(21)와 상기 상부소경부(22) 사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관(11)의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 내단차부(24)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암형부(21)의 밑면에는 상기 외단차부(11c)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다리(21c)가 아래로 뻗어서 상기 하부암형부(21)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월류관(20)이 상기 드레인관(11)에 장착되면, 상기 외단차부(11c)와 상기 하부암형부(21)의 밑면 간에 틈(S1)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암형부(21)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월류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월류관통구멍(25)을 통하여 출입하는 물은 상기 드레인관(11)의 상기 복수개의 돌기(11e)와 상기 월류관(20)의 하부암형부(21)에 의해 형성된 복수개의 빈 공간을 통하여 상기 틈(S1)과 유통하고 있다.
상기 관형 지지대(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관(11), 상기 드레인관(11)에 외접된 상기 월류관(20)의 하부암형부(21) 및 상기 월류관(20)의 상부소경부(22)의 하부를 에워싸고서 상기 통몸체(10)의 바닥 테두리에 얹어 놓이는 절두원추형부(31); 상기 절두원추형부(31)의 절두부에 하단이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절두원추형부(31)의 중심축선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고서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의 높이레벨에 못 미쳐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형부(32); 상기 관형부(32) 보다 작은 직경과 갖고서 하단이 상기 관형부(32)의 상단에 유통하게 이음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보다 더 위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뻗어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상기 드레인관(11)의 하부암형부(11a)에 내접되어 암수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상기 내단차부(11d)에 맞닿음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숫형관형부(33); 및 상기 관형부(32)와 상기 숫형관형부(33) 사이에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통몸체(10)의 개구(1)의 테두리 밑면 부위에 맞닿음될 수 있는 외단차부(34)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거치대(4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몸체(10)의 하부에 외접되어 암수결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역절두원추형상부(41), 상기 역절두원추형상부(41)의 하부 테두리에서 방사안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통몸체(10)의 밑면 테두리와 접촉되어 상기 통몸체(10)를 지지하는 플랜지(42), 상기 역절두원추형상부(41)의 외주면에서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를 넘어 반경 바깥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역절두원추형상부(41)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걸침바(43), 및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에 형성된 상기 3개의 절결부(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3개의 절결부(3)와 마주하는 상기 3개의 걸침바(43)의 밑면에 형성된 홈(44)을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분 조립체(100),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몸체(10)의 드레인관(11)에 월류관(20)을 장착하고, 상기 월류관(20)을 덮도록 상기 관형 지지대(30)를 상기 통몸체(10)의 바닥에 얹어 놓고, 상기 거치대(40)를 상기 통몸체(10)에 장착한 후, 상기 통몸체(10)에 흙을 집어넣고 식물 줄기가 통몸체(10)의 테두리 쪽으로 나오도록 식물을 심고 나서, 물을 관형 지지대(30)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주입하게 되면, 일부의 물은 상기 월류관(20)과 상기 드레인관(11)을 경유하여 통몸체(10)의 개구(1)를 통하여 통몸체(10) 밖으로 배수되게 되고, 다른 일부의 물은 상기 월류관(20)과 상기 관형 지지대(3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기 관형 지지대(30) 내의 상기 통몸체(10) 바닥에 쌓이게 되면서, 상기 다른 일부의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절두원추형부(31)의 밑면과 상기 통몸체(10)의 바닥 간에 틈이 생겨서 이 틈을 통하여 물이 상기 통몸체(10)에 쌓인 흙층 밑으로 스며들면서 서서히 상기 흙층 위로 스며들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화분 조립체(100)를 복수개 마련하고, 이들 복수개의 화분 조립체(100)들의 숫형 관형부(33)와 절결부(3)를 바로 위에 배치된 화분 조립체(100)의 하부 암형부(11a)와 홈(44)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하면서, 이들 복수개의 화분 조립체(100)들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하고 나서, 최상단에 배치된 화분 조립체(100)의 관형 지지대(30)의 상단 개구를 통하여 물을 주입하게 되면, 상기 일부의 물은 상기 복수개의 화분 조립체(100)의 자중에 의해 가압을 받은 상기 최하단의 화분 조립체(100)의 거치대(40)가 베이스면과 밀착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상기 복수개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월류관(20)들과 상기 드레인관(11)들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최하단에 배치된 화분 조립체(100)의 드레인관(11)에 쌓이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계속 물이 주입되면 최상단의 환분 조립체(100)의 드레인관(11)에 쌓이게 되면서, 상기 복수개의 화분 조립체(100)의 드레인관(11)에 형성된 복수개의 월류관통구멍(25)을 통하여 월류하여 상기 복수개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관형 지지대(30) 내의 상기 통몸체(10) 바닥 각각에 쌓이게 되면서,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절두원추형부(31)의 밑면과 상기 통몸체(10)의 바닥 각각 간에 틈이 생겨서 이 틈들을 통하여 물이 상기 통몸체(10) 각각에 쌓인 흙층들 밑으로 스며들면서 서서히 상기 흙층들 위로 스며들게 되고, 아울러, 상기 다른 일부의 물은 최상단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월류관(20)과 상기 관형 지지대(3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최상단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관형 지지대(30) 내의 최상단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통몸체(10) 바닥에 쌓이게 되면서, 상기 다른 일부의 물의 수압에 의해 최상단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절두원추형부(31)의 밑면과 최상단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통몸체(10)의 바닥 간에 틈이 생겨서 이 틈을 통하여 물이 최상단의 화분 조립체(100)의 상기 통몸체(10)에 쌓인 흙층 밑으로 스며들면서 서서히 상기 흙층 위로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화분 조립체가(100)는 별도의 받침대나 화분 선반 없이도 화분을 다단계로 쌓아 올려 화초를 재배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적층된 모든 화분들의 바닥에 동시적으로 물 공급이 가능하면서도 화분 밖으로 물이 빠져나가 아파트 베란다나 선반으로 배수되어 아파트 베란다나 선반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통몸체, 20; 월류관, 30; 관형 지지대, 40; 거치대

Claims (3)

  1. 복수개의 화분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식물을 재배 가능하게 하면서도 복수개의 화분 바닥에 물 주입이 가능한 화분 조립체로서,
    바닥 중앙에서 수직방향 위로 돌출된 드레인관(11)을 구비하고서 전체적으로 역 절두원추형상의 외형을 가진 수지 사출형성체인 통몸체(10);
    상기 드레인관(11)의 상단에 하단이 외접되어 암수결합되고 하단 둘레면에 복수개의 월류구멍(25)이 형성되어 수직방향으로 뻗은 수지 사출형성체인 월류관(20);
    상기 드레인관(11)과 상기 월류관(20)을 에워싸서 하단이 상기 통몸체(10)의 바닥에 얹어 놓여 있고 상단이 바로 위에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드레인관(11)의 하단에 내접되어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고서 수직방향으로 뻗은 수지 사출형성체인 관형 지지대(30); 및
    상기 통몸체(10)의 하부와 암수결합되어 상기 통몸체(10)를 지지하고, 상기 통몸체(10)의 바로 아래의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상단 테두리에 안착될 수 있는 수지 사출형성체인 거치대(40)를 포함하고,
    상기 통몸체(10)에 구비된 상기 드레인관(11)의 하단은 상기 통몸체(10)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1)에 유통하고 상단이 상기 통몸체(10)의 내부와 유통하고,
    상기 통몸체(10)의 둘레면에는 상기 통몸체(10)의 둘레방향으로 그리고 통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복수개의 통기구(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몸체(10)의 상단 테두리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뻗은 플랜지(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2)에는 상기 플랜지(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서 3개의 절결부(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대(40)는
    상기 통몸체(10)의 하부에 외접되어 암수결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역절두원추형상부(41),
    상기 역절두원추형상부(41)의 하부 테두리에서 방사안쪽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통몸체(10)의 밑면 테두리와 접촉되어 상기 통몸체(10)를 지지하는 플랜지(42),
    상기 역절두원추형상부(41)의 외주면에서 기단이 고정되고 선단이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를 넘어 반경 바깥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역절두원추형상부(41)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3개의 걸침바(43), 및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에 형성된 상기 3개의 절결부(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3개의 절결부(3)와 마주하는 상기 3개의 걸침바(43)의 밑면에 형성된 홈(44)을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관(11)은
    상기 통몸체(10)의 개구(1)와 유통하는 하부암형부(11a),
    상기 하부암형부(11a)의 외경과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하부암형부(11a)와 유통하는 상부숫형부(11b),
    상기 하부암형부(11a)와 상기 상부숫형부(11b) 사이의 외면에 형성된 외단차부(11c), 및
    상기 하부암형부(11a)와 상기 상부숫형부(11b) 사이의 내면에 형성된 내단차부(11d)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중심축선방향에 평행하게 뻗은 복수개의 돌기(11e)가 마련되고,
    상기 월류관(20)은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1e)에 외접되어 상기 외단차부(11c) 위에 놓이게 되는 하부암형부(21),
    상기 하부암형부(21)의 외경과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내경을 가지고서 상기 하부암형부(21)와 유통하는 상부소경부(22),
    상기 하부암형부(21)와 상기 상부소경부(22) 사이의 외면에 형성된 외단차부(23), 및
    상기 하부암형부(21)와 상기 상부소경부(22) 사이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드레인관(11)의 상기 상부숫형부(11b)의 윗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 내단차부(24)를 일체로 포함하고,
    상기 하부암형부(21)의 밑면에는 상기 외단차부(11c)에 접촉하는 복수개의 다리(21c)가 아래로 뻗어서 상기 하부암형부(21)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하부암형부(21)의 둘레면에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상기 복수개의 월류관통구멍(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형 지지대(30)는
    상기 드레인관(11), 상기 드레인관(11)에 외접된 상기 월류관(20)의 하부암형부(21) 및 상기 월류관(20)의 상부소경부(22)의 하부를 에워싸고서 상기 통몸체(10)의 바닥 테두리에 얹어 놓이는 절두원추형부(31);
    상기 절두원추형부(31)의 절두부에 하단이 유통하게 접속되어 있고 선단이 상기 절두원추형부(31)의 중심축선과 동일한 중심축선을 갖고서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의 높이레벨에 못 미쳐 수직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형부(32);
    상기 관형부(32) 보다 작은 직경과 갖고서 하단이 상기 관형부(32)의 상단에 유통하게 이음되어 있고 상단이 상기 통몸체(10)의 플랜지(2)보다 더 위로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뻗어 있고 상기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상기 드레인관(11)의 하부암형부(11a)에 내접되어 암수결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통몸체(10)의 상기 내단차부(11d)에 맞닿음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숫형관형부(33); 및
    상기 관형부(32)와 상기 숫형관형부(33) 사이에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상기 통몸체(10)의 개구(1)의 테두리 밑면 부위에 맞닿음될 수 있는 외단차부(34)를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3. 삭제
KR1020160061652A 2016-05-19 2016-05-19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KR101826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52A KR101826930B1 (ko) 2016-05-19 2016-05-19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1652A KR101826930B1 (ko) 2016-05-19 2016-05-19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63A KR20170131763A (ko) 2017-11-30
KR101826930B1 true KR101826930B1 (ko) 2018-02-08

Family

ID=60812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1652A KR101826930B1 (ko) 2016-05-19 2016-05-19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9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7870A (zh) * 2018-04-04 2018-07-24 常州市明丽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道路用生态立体绿化隔音墙
KR102221001B1 (ko) * 2019-05-10 2021-02-26 김태균 다층구조를 갖는 타워형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1763A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183B2 (en) Stackable pots for plants
US6840008B1 (en) Vertical planting system
US5426890A (en) Culture tray for growing young plants
US4083146A (en) Device for continuously watering plants in flower pots or boxes
US6516563B1 (en) Plant container
US20150289453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A2829417A1 (en) Propagation container for plants and propagation plate having several such propagation containers
KR101343379B1 (ko) 화분
KR101826930B1 (ko)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US20010052199A1 (en) Stackable planter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KR101099542B1 (ko) 수직 적층에 적합한 화분의 급수 구조
CN217117172U (zh) 潮汐水培种植盆及立体种植装置
KR101884366B1 (ko) 화분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US11516971B2 (en) Stackable plant pot assembly
US10667476B2 (en) Sustained release irrigation apparatus with pivoting cap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20170003332U (ko) 포트 꽂이 화분
JP6355612B2 (ja) 植木鉢
KR102476298B1 (ko)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KR102334970B1 (ko) 이종(異種)의 화분을 수용할 수 있는 화분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