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298B1 -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 Google Patents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298B1
KR102476298B1 KR1020220078089A KR20220078089A KR102476298B1 KR 102476298 B1 KR102476298 B1 KR 102476298B1 KR 1020220078089 A KR1020220078089 A KR 1020220078089A KR 20220078089 A KR20220078089 A KR 20220078089A KR 102476298 B1 KR102476298 B1 KR 10247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body
bottom plate
plate portion
functional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상호
Original Assignee
송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상호 filed Critical 송상호
Priority to KR102022007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화분 본체의 바닥면에는 바닥면 내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주면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형의 흡기부를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에서 상기 흡기부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내측 바닥면보다 일정 높이 하부에서 일정 높이로 단차를 갖도록 상기 화분 본체의 내주면에 외주연 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외측 바닥면과, 단차진 상기 내측 바닥면의 외주연 단부로부터 외측 바닥면의 내주연 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경사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의 외측 바닥면으로부터 경사 바닥면의 일부에 걸쳐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하여 복수 개로 형성되는 장공의 메인 배수홀; 내측 바닥면에서 일단이 상기 흡기부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일정 길이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배수홀; 메인 배수홀의 저면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폭이 하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바닥판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받침돌기; 상기 내측 바닥면의 상기 경사 바닥면과 연결되는 경계부로부터 상기 화분 본체의 외주면으로 상기 바닥판부를 상향 만곡지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배수홈; 배수홈을 벗어나 상기 화분 본체의 내주면과 외측 바닥면에 동시에 연결되게 하여 균일한 간격으로 중앙을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시켜 상기 화분 본체가 상부로부터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리브;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호 마주보는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상향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Functional pots that can be stacked and stored in multiple layers}
본 발명은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차지게 형성되는 바닥판부의 배수홀과 받침돌기 및 바닥면 중앙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게 형성한 관형의 흡기부를 통하여 토양의 공기 순환과 수분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손잡이에 의한 취급 및 운반성 향상과 함께 분리가 용이하도록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과 운송이 간편한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도기 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후 내부에 자갈, 배용토, 흙 등의 토양을 내부에 채워지도록 한 후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이다.
화분의 흙에는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일정주기로 물을 공급하게 되며, 공급된 물은 하부로 배출될 때 물과 함께 토양도 일부 배출되면서 유실되기도 하고, 바람에 의해 상부의 흙이 날리거나 이물질이 유입되기도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0141322호(1998.12.30.)의 분망이 일체로 형성된 화분에서는 화분 내의 흙속에서 흙을 통한 외부공기가 유통하도록 하기 위하여 화분용 분망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즉, 선등록고안에서의 분망은 바닥면의 중앙에 공기유동관을 형성하면서 공기유통관의 주면에는 복수의 통기공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화분몸체에는 중앙 상부에 통기공을 형성되게 함으로써 외부를 통해 토양으로 공기가 공급되면서 토양의 공기가 뿌리에 원활히 공급되도록 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분망의 주면과 화분몸체에 형성한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원활한 공기의 유입과 배수를 위해서는 화분몸체의 하단부 외주연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하향 돌출되게 형성해야 하고, 화분을 적층 시 화분간 상호 압착에 의해 분리가 난해한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141322호(1998.12.30.)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과 더불어 바닥판부의 단차지도록 한 바닥면과 이들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홀 및 받침돌기에 의해서 배수 속도를 완화시켜 식재한 식물에 충분한 수분과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안착 리브들에 의해 상하로 분리가 용이하게 적층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관에 따른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운반에 유리하고,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토록 하는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화분 본체의 바닥면에는 바닥면 내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주면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형의 흡기부를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에서 상기 흡기부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내측 바닥면보다 일정 높이 하부에서 일정 높이로 단차를 갖도록 상기 화분 본체의 내주면에 외주연 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외측 바닥면과, 단차진 상기 내측 바닥면의 외주연 단부로부터 외측 바닥면의 내주연 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경사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의 외측 바닥면으로부터 경사 바닥면의 일부에 걸쳐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하여 복수 개로 형성되는 장공의 메인 배수홀; 내측 바닥면에서 일단이 상기 흡기부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일정 길이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배수홀; 메인 배수홀의 저면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폭이 하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바닥판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받침돌기; 상기 내측 바닥면의 상기 경사 바닥면과 연결되는 경계부로부터 상기 화분 본체의 외주면으로 상기 바닥판부를 상향 만곡지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배수홈; 배수홈을 벗어나 상기 화분 본체의 내주면과 외측 바닥면에 동시에 연결되게 하여 균일한 간격으로 중앙을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시켜 상기 화분 본체가 상부로부터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리브;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호 마주보는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상향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도록 한다.
삭제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바닥판부의 외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메인 배수홀의 저면으로만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부의 외측 바닥면은 화분 본체의 내주면측 단부로부터 경사 바닥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한다.
상기 흡기부는 외주면이 바닥면으로부터 75°~85°의 경사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에 의해 상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메인 배수홀과 서브 배수홀 및 흡기부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통해 동시에 배출되게 하면서 바닥판부에서는 경사 바닥면에 형성되는 메인 통기홀과 서브 통기홀을 통해 배출되게 함으로써 공급수가 토양으로부터 배출되는 시간이 지연되도록 하여 좀더 많은 수분이 식물에 공급되도록 하는 동시에 이들 메인 통기홀과 서브 통기홀을 통해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토양에 식재된 식물에 최상의 생육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분 본체의 내부에서 내주면과 외측 바닥면에 걸쳐 형성되는 안착 리브의 상단으로 화분이 연속 안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동시에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단부에 상향 돌출되게 손잡이가 형성되게 함으로써 좀더 쉽고 안전한 운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바닥판부와 메인 배수홀 및 서브 배수홀의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에서 받침돌기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에 의한 배수와 공기 유입 작용을 예시하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적층 구조를 예시한 측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평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 본체(10)와 흡기부(20)와 바닥판부(30)와 메인 배수홀(40)과 서브 배수홀(50)과 받침돌기(60)와 배수홈(70)과 안착 리브(80) 및 손잡이(90)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화분 본체(10)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화분 본체(10)의 중앙에는 바닥면으로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흡기부(20)를 형성한다.
즉, 흡기부(20)는 화분 본체(10)의 중앙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관형상의 구성이며, 내부는 하향 관통되는 빈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흡기부(20)에는 주면으로 판면이 관통되도록 하는 통기홀(21)이 형성되도록 한다.
흡기부(20)에 형성되는 통기홀(21)은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도면에서와 같이 측면측 외주면으로는 상부와 하부에 걸쳐 일정 높이로서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상부면으로도 통기홀(21)이 동시에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통기홀(21)은 도시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화분 본체(10)의 바닥면에서 흡기부(20)의 하단부는 전체 내경에서 1/3 직경을 넘지 않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흡기부(20)의 외주면은 바닥면으로부터 75°~85°의 경사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분 본체(10)에 형성되는 바닥면은 높이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닥판부(30)로서 이루어지며, 바닥판부(30)는 다시 도 4에서와 같이 흡기부(20)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내측 바닥면(31)과, 이 내측 바닥면(31)보다는 하부에서 일정 높이의 단차를 갖도록 하여 화분 본체(10)의 내주면에 외주연 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외측 바닥면(32)과, 단차진 내측 바닥면(31)의 외주연 단부로부터 외측 바닥면(32)의 내주연 단부간을 하향 경사지도록 하면서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경사 바닥면(33)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닥판부(30)는 내측 바닥면(31)으로부터 경사 바닥면(33)을 거쳐 높이가 다르게 하여 외측 바닥면(32)으로 점차 계단식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닥판부(30)는 내측 바닥면(31)의 형성 폭이 가장 좁게 형성되도록 하고, 외측 바닥면(32)과 경사 바닥면(33)은 유사한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닥판부(30) 중 외측 바닥면(32)으로부터 경사 바닥면(33)의 일부에 걸쳐 단차지도록 메인 배수홀(40)을 형성한다.
즉, 메인 배수홀(40)은 외측 바닥면(32)과 함께 경사 바닥면(33)에 걸쳐 판면이 수직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화분 본체(10)의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회전 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이들 각 메인 배수홀(40)은 장공의 형상으로서 형성되도록 한다.
메인 배수홀(40)의 내측으로는 내측 바닥면(31)에 서브 배수홀(50)이 형성되도록 한다.
서브 배수홀(50)은 내측 바닥면(31)에 형성되도록 하면서 일단은 흡기부(20)의 단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타단은 경사 바닥면(33)과 연결되는 연결 부위 또는 경사 바닥면(33)으로도 일부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한다.
서브 배수홀(50)도 메인 배수홀(4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메인 배수홀(40)은 서브 배수홀(50)보다는 외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므로 메인 배수홀(40)의 형성 폭은 서브 배수홀(50)보다는 작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삭제
메인 배수홀(40)의 저면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폭으로는 하향 돌출되도록 받침돌기(6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의 받침돌기(60)는 메인 배수홀(40)의 저면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높이로 하향 돌출되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특히, 받침돌기(60)는 도 5에서와 같이 메인 배수홀(40)의 주연부를 따라 형성되도록 하면서 외측 바닥면(32)측으로 형성되는 메인 배수홀(40)에만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바닥판부(30)의 내측 바닥면(31)과 경사 바닥면(33)이 연결되는 경계부로부터 화분 본체(10)의 외주면으로는 바닥판부(30)를 상향 만곡지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방사상으로 배수홈(70)을 형성하도록 한다.
배수홈(70)은 도 6에서와 같이 내측 바닥면(31)으로부터 메인 배수홀(40)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배수홈(70)이 형성되는 부위에는 메인 배수홀(4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면서 2~4곳에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다만, 배수홈(70)의 깊이는 내측 바닥면(31)측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 또는 그보다 점차 낮은 높이로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홈(70)은 외측 바닥면(32)과 경사 바닥면(33)의 판면을 하부로부터 일정 폭으로 상향 만곡지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동심원상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화분 본체(10)의 내부에는 내주면과 함께 외측 바닥면(32)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하면서 주면을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동심원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일정 높이로서 안착 리브(80)가 형성되도록 한다.
즉, 안착 리브(80)는 일정 폭의 일측단은 화분 본체(10)의 내주면에 일정 높이로서 결합되는 동시에 하단은 외측 바닥면(32)에서 동심원상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안착 리브(80)는 바닥판부(30)로부터 일정 높이로서 돌출되게 하여 다른 화분의 바닥이 안치되면서 복수의 화분 적층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화분 본체(10)의 상단부에는 상호 마주보는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상향 및 외측으로 돌출되게 손잡이(9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손잡이(9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바닥판부(30)의 외측 바닥면(32)은 화분 본체(10)의 내주면측 단부로부터 경사 바닥면(33)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분은 배수와 함께 공기 공급과 화분의 적층 및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즉, 화분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기부(20)에 형성되는 통기홀(21)들과 바닥판부(30)에 형성되는 메인 배수홀(40)과 서브 배수홀(50)을 통해 수분 배출과 공기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화분간 적층과 운반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흡기부(20)에 형성되는 통기홀(21)들과 함께 단차지게 형성한 바닥판부(30)에 형성한 메인 배수홀(40)과 서브 배수홀(50)은 화분 본체(10)의 내부에 채워지도록 한 토양의 상부로부터 공급되어 토양에 흡수된 수분이 토양에 최대한 머물면서 식물 생육을 위해 공급되도록 한다.
특히, 메인 배수홀(40)의 저면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높이가 돌출되도록 한 외측 바닥면(32)으로 형성되는 받침돌기(60)가 지면에 밀착되면서 사실상 외측 바닥면(32)의 경사 바닥면(33)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메인 배수홀(40)의 일부와 내측 바닥면(31)으로 형성되는 서브 배수홀(50)을 통하여 안정적이면서도 좀더 배출이 지연되게 함으로써 식물에 충분한 수분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해서는 이들 중앙의 흡기부(20)에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홀(21)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토양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외부로의 수분 배출과 외부로부터의 공기 유입은 배수홈(70)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지나친 배수로 인한 잦은 급수를 방지하면서 항상 안정적으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성장에 최적의 조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부에 상향 및 외측으로 돌출되게 손잡이(90)가 일체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식물이 심어진 상태에서도 누구나 쉽게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화분 사이즈가 한 사람에 의해 들기 곤란하더라도 2인이 함께 양측에서 각각 들 수가 있어 화분의 이동이 보다 쉬울 수가 있도록 한다.
화분에 토양이 채워지지 않은 속이 빈 화분은 도 8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삽입되는 화분의 하단부가 각각 화분 본체(10)에 내부에서 내주면과 바닥판부(30)의 외측 바닥면(32)에 걸쳐 일정 높이로 형성되도록 한 복수의 안착 리브(80)들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하고, 이때 화분 본체(10)들간 쉽게 수직의 방향으로 분리가 쉽게 적층되게 함으로써 복수의 화분들이 적층되도록 하여 일시에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하나씩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를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배수홀(40)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한 받침돌기(60)들에 의해 좀더 폭넓게 지면에 안착되면서 보다 안정적인 화분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화분 본체
20 : 흡기부
21 : 통기홀
30 : 바닥판부
31 : 내측 바닥면 32 : 외측 바닥면
33 : 경사 바닥면
40 : 메인 배수홀
50 : 서브 배수홀
60 : 받침돌기
70 : 배수홈
80 : 안착 리브
90 : 손잡이

Claims (5)

  1. 상부로부터 하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화분 본체의 바닥면에는 바닥면 내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점차 직경이 축소되도록 하여 주면에 형성되는 통기홀을 통해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형의 흡기부를 형성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화분 본체에서 상기 흡기부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내측 바닥면보다 일정 높이 하부에서 일정 높이로 단차를 갖도록 상기 화분 본체의 내주면에 외주연 단부가 연결되는 수평의 외측 바닥면과, 단차진 상기 내측 바닥면의 외주연 단부로부터 외측 바닥면의 내주연 단부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여 일체로 연결되게 하는 경사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바닥판부;
    상기 바닥판부의 외측 바닥면으로부터 경사 바닥면의 일부에 걸쳐 단차지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화분 본체의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균일한 간격을 갖도록 하여 복수 개로 형성되는 장공의 메인 배수홀;
    내측 바닥면에서 일단이 상기 흡기부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일정 길이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 배수홀;
    메인 배수홀의 저면측 주연부를 따라 일정 폭이 하향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바닥판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받침돌기;
    상기 내측 바닥면의 상기 경사 바닥면과 연결되는 경계부로부터 상기 화분 본체의 외주면으로 상기 바닥판부를 상향 만곡지도록 하여 복수 개로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배수홈;
    배수홈을 벗어나 상기 화분 본체의 내주면과 외측 바닥면에 동시에 연결되게 하여 균일한 간격으로 중앙을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시켜 상기 화분 본체가 상부로부터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안착 리브;
    상기 화분 본체의 상단부에서 상호 마주보는 외주면에 일정 높이로 상향 및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파지가 가능하도록 손잡이;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는 상기 바닥판부의 외측 바닥면에 형성되는 메인 배수홀의 저면으로만 형성되도록 하는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의 외측 바닥면은 화분 본체의 내주면측 단부로부터 경사 바닥면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하는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부는 외주면이 바닥면으로부터 75°~85°의 경사각으로 형성하는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KR1020220078089A 2022-06-27 2022-06-27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KR10247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089A KR102476298B1 (ko) 2022-06-27 2022-06-27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089A KR102476298B1 (ko) 2022-06-27 2022-06-27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298B1 true KR102476298B1 (ko) 2022-12-08

Family

ID=8443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089A KR102476298B1 (ko) 2022-06-27 2022-06-27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2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322B1 (ko) 1994-10-06 1998-06-15 박명규 항생물질 키모렉신- 에이(kimorexin - a) 및 그 제조법
KR200141322Y1 (ko) * 1996-04-30 1999-03-20 홍정남 분망이 일체로 형성된 화분
KR20080004674U (ko)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난 재배용 화분
KR101103585B1 (ko) * 2010-07-08 2012-01-09 김동욱 화분용 급수장치
KR200459222Y1 (ko) * 2009-02-23 2012-03-22 최경문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322B1 (ko) 1994-10-06 1998-06-15 박명규 항생물질 키모렉신- 에이(kimorexin - a) 및 그 제조법
KR200141322Y1 (ko) * 1996-04-30 1999-03-20 홍정남 분망이 일체로 형성된 화분
KR20080004674U (ko) * 2007-04-12 2008-10-16 박신현 난 재배용 화분
KR200459222Y1 (ko) * 2009-02-23 2012-03-22 최경문 화분
KR101103585B1 (ko) * 2010-07-08 2012-01-09 김동욱 화분용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9378A (en) Integrable, modular stackable multi-plant holder
JP2018531028A6 (ja) 改良された水耕植物栽培装置
JP2018531028A (ja) 改良された水耕植物栽培装置
US11553653B2 (en) Plant pot
US6955008B2 (en) Aerating base plate for a flowerpot
US6766615B2 (en) Root saving plant saucer
US5010687A (en) Flowerpot
KR102476298B1 (ko)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KR101884366B1 (ko) 화분
KR101826930B1 (ko)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US10098288B1 (en) Plant pots with stabilizing stakes and related methods
US11516971B2 (en) Stackable plant pot assembly
FI81481C (fi) Blomkruka.
KR102346341B1 (ko) 분리형 화분
US20180368334A1 (en) Container for pot culture
KR200490244Y1 (ko) 화분
US10470376B1 (en) Plant pots with a drain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206791116U (zh) 一种多棱体立体花盆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CN217308418U (zh) 一种新型树脂花盆
US20090139140A1 (en) Method and device to grow bulb-crops
CN214385238U (zh) 植物种植容器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