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366B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4366B1
KR101884366B1 KR1020160153842A KR20160153842A KR101884366B1 KR 101884366 B1 KR101884366 B1 KR 101884366B1 KR 1020160153842 A KR1020160153842 A KR 1020160153842A KR 20160153842 A KR20160153842 A KR 20160153842A KR 101884366 B1 KR101884366 B1 KR 10188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ollen
flower pot
side wall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6074A (ko
Inventor
임근용
Original Assignee
임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용 filed Critical 임근용
Priority to KR1020160153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43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화분용기;를 구비하고, 상기 화분용기들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다단 형태로 결합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고, 각 단의 화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식물이 복수의 화분을 뿌리로 공유함으로써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분{Flower po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결합되는 형태로 제작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점차로 정보화됨에 따라 삭막해져 가는 실내 분위기를 보다 인간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분위기로 꾸미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실내에서 화초를 기르는 것도 이러한 시도들 중 하나이며, 오늘날 대부분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관상 혹은 건강의 목적으로 화초를 재배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에서는 주로 발코니 등에 화분을 구비하고, 각종 화초와 간단한 채소 등을 가꾸고 있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의 화초나 식물 등을 실내에서 화분을 이용하여 재배함에 있어서, 공간이 좁은 실내에서 여러 종류의 식물을 담기 위한 화분들로 인해 공간이 협소해지고, 바닥에 놓고 재배하는데 따른 공간적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분대 및 조립식 화분대가 사용되어 왔으나 그 재료가 플라스틱 합성수지, 스테인리스 강등의 재질로 만들어져 강도가 약하고 무거우며, 화분을 올려놓는 받침대의 정해진 규격으로 인하여 화분을 놓을 수 있는 수량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활용에도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화분을 협소한 공간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실외, 실내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는 화분대의 개발이 요구되며, 기존의 다단화분은 각각의 화분이 분리되어 있어 뿌리 발육에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화분의 수분을 유지하는데도 문제가 있다.
KR 10-2001-0081416 A KR 10-1198635 B1 KR 20-0297407 Y1 KR 20-0479346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단 형태로 결합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 형태의 화분을 구성하되, 각 단의 화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식물이 복수의 화분을 뿌리로 공유할 수 있어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 받을 수 있게 하는 화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화분용기와; 상기 화분용기들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용기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에 상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하단이 안착되게 설치되되, 상측의 화분용기의 모서리 부분이 하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화분용기의 측벽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화분용기의 모서리 일부분을 진입시킬 수 있게 진입홈을 형성하는 진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용기는 측벽부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측벽부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측벽부의 제1끼움구멍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벽부의 제2끼움구멍에 상부가 삽입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하측의 화분용기 바닥으로부터 상측의 화분용기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용기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측에 상기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화분용기의 중공부에 삽입되고, 상부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분용기와 상기 지지콘은 내부가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와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다단 형태로 결합하는 구조를 적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많은 화초나 식물 등을 재배할 수 있고, 각 단의 화분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식물이 복수의 화분을 뿌리로 공유함으로써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00)와 지지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화분용기(10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가 구비된다. 상기 화분용기(100)는 평평한 바닥부(101)와, 바닥부(10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 및 바닥부(101)와의 사이에 식재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103)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01)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수공이 더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바닥부(101)를 사각으로 형성하여 화분용기(100)를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바닥부(101)를 삼각이나 오각 또는 육각 등과 같은 다각으로 형성함으로써 다각 기둥 형태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화분용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상단에 상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하단이 안착되게 설치되되, 상측의 화분용기(100)의 모서리 부분(100a)이 하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상단 중앙에 위치하도록 서로 엇갈리게 설치된다.
상기 화분용기(100)는 가장 큰 사이즈를 갖는 것이 가장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위로 사이즈가 작은 것들이 순차적으로 적층 배치된다.
상기 지지유닛은 화분용기(100)들을 적층하여 설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0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하측의 화분용기(100)의 측벽부(103) 상단과 상측의 화분용기(100)의 바닥부(101) 저면에 각각 도포되는 접착제를 적용하였으나, 접착제와 다르게 벨크로테이프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에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10)와 지지유닛(210)을 구비한다.
상기 화분용기(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가 구비된다. 상기 화분용기(110)는 평평한 바닥부(111)와, 바닥부(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 및 바닥부(111)와의 사이에 식재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11)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수공이 더 형성된다.
상기 화분용기(11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화분용기(110)는 측벽부(113)의 상단에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측벽부(113)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끼움구멍(115)이 형성되고, 측벽부(113)의 하단에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113)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끼움구멍(117)이 형성된다. 화분용기(110)의 바닥부(111)에도 제1끼움구멍(115) 및 제2끼움구멍(117)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유닛(210)은 상기 지지봉은 하측의 화분용기(110)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10)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측의 화분용기(110)가 하측의 화분용기(110)와 분리되거나 유동하여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측벽부(113)의 제1끼움구멍(115)에 하부가 삽입되고, 측벽부(113)의 제2끼움구멍(117)에 상부가 삽입되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은 하측의 화분용기(110)의 제1끼움구멍(115)에 삽입되는 제1끼움돌기(211)와, 상측의 화분용기(110)의 제2끼움구멍(117)에 삽입되는 제2끼움돌기(212)와, 제1끼움돌기(211)와 제2끼움돌기(212)를 연결하고 제1끼움돌기(211)와 제2끼움돌기(21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하측의 화분용기(110)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10)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확장부(213)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213)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와셔부재(2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봉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화분용기(110)의 하부 모서리 부분(100a)의 제2끼움구멍(117) 제2끼움돌기(212)를 끼워 결합하고, 하측의 화분용기(110)의 측벽부(113) 상측의 제1끼움구멍(115)에 제1끼움돌기(211)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호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에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20)와 지지유닛(220)을 구비한다.
상기 화분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되며, 서로 다른 사이즈로 복수가 구비된다. 상기 화분용기(120)는 평평한 바닥부(121)와, 바닥부(1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다각 기둥을 형성 및 바닥부(121)와의 사이에 식재공간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123)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부(121)에는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배수공이 더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용기의 바닥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하였으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 또는 오각이나 융각 형태로 형성된 구조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화분용기(12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유닛(220)은 화분용기(120)의 측벽부(123)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측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일부분을 진입시킬 수 있게 진입홈(221)을 형성하는 진입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진입부(222)는 하측의 화분용기(120)의 상부에 상측의 화분용기(120)를 엇갈리게 배치할 때, 상측의 화분용기(120)가 하측의 화분용기(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한 것으로서,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형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진입부(222)는 측벽부(123)의 내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모양과 대응되는 모양으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화분용기(120)의 모서리 부분(120a)이 진입할 수 있게 진입홈(221)이 형성된다.그리고, 진입부의 하부는 측벽부(123)에 의해 턱이 형성되어 즉, 진입부가 화분용기(120)의 상부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상측의 화분용기(120)가 하측의 화분용기(120) 내부로 완전히 진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30)와 지지유닛(230)을 구비한다.
상기 화분용기(13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며,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된 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장자리 측에는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화분용기(130)는 환 형상의 바닥부(131)와, 바닥부(131)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외측벽부(133a)와, 바닥부(131)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내측벽부(133b)를 구비한다.
상기 화분용기(13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벽부(133b)에는 화분용기(130)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후술하는 지지콘의 수용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게 화분용기(130)와 지지콘을 서로 연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연통구멍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유닛(230)은 화분용기(130)의 중공부를 관통하도록 삽입되고, 상부로 연장될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콘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콘은 내부에 흙 등을 수용할 수 있게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바닥이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콘은 상부가 일부 제거된 삼각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콘의 외주면에는 내측벽부(133b)에 형성된 연통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231)들이 형성된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5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40)와 지지유닛(240)을 구비한다.
상기 화분용기(14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형성된다. 화분용기(140)의 하부는 바닥부(141)에 의해 폐쇄되고, 바닥부(141)의 중앙에는 저수를 위한 융기부(14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145)는 화분용기(140)의 바닥부(141)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높이 융기되어, 측벽부(143)와 바닥부(141) 및 융기부(145) 사이에 저수를 위한 저수공간을 형성하며, 이 융기부(145)에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게 복수의 배수구가 형성된다. 화분용기(14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흐르는 물 중 일부는 융기부(145)에 마련된 배수구를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저수공간에 저장된다.
상기 화분용기(14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유닛(240)은 화분용기(140)의 외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140)와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화분용기(140)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24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리브(241)는 화분용기(140)의 상측 또는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며,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하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41)의 단부에는 하측의 화분용기(140)에 대해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하측의 화분용기(140)의 측벽부(143) 상단이 끼워질 수 있게 인입된 끼움홈(242)이 형성된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6시 예에 따른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분은 화분용기(150)와, 지지유닛(250)을 구비한다.
상기 화분용기(150)는 복수가 구비되며 각각 서로 다른 사이즈로 형성된다.
그리고, 화분용기(150)는 바닥부(151)와, 바닥부(15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및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측벽부(15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유닛(250)은 하측의 화분용기(150) 바닥으로부터 상측의 화분용기(150)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일 단이 하측 화분용기(150)의 바닥부(151)에 고정되며, 타 단이 상측 화분용기(150)의 바닥부(151)에 고정된다. 연결부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화분용기(150)와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플랜지(25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하측의 화분용기(150)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150)를 일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길이는 상측의 화분용기(150)가 하측의 화분용기(150)와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는 상측 화분용기(150)의 물이 하측 화분용기(150)로 이동할 수 있게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부(252)가 형성되며, 중공부를 따라 흐르는 물이 화분용기(150)의 식재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배출구멍(253)들이 다수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화분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화분용기
100a : 모서리 부분
101 : 바닥부
103 : 측벽부
113 : 제1끼움구멍
115 : 제2끼움구멍
133a : 외측벽부
133b : 내측벽부
145 : 융기부
210 : 지지유닛
211 : 제1끼움돌기
212 : 제2끼움돌기
213 : 확장부
221 : 진입홈

Claims (8)

  1.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화분용기와;
    상기 화분용기들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화분용기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기둥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하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에 상측의 화분용기의 측벽부 하단이 안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화분용기는 측벽부의 상단에 하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1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측벽부의 하단에 상방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고 상기 측벽부를 따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제2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측벽부의 제1끼움구멍에 하부가 삽입되고 상기 측벽부의 제2끼움구멍에 상부가 삽입되는 지지봉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하측의 화분용기의 제1끼움구멍에 삽입되는 제1끼움돌기와, 상측의 화분용기의 제2끼움구멍에 삽입되는 제2끼움돌기와, 제1끼움돌기와 제2끼움돌기를 연결하고 제1끼움돌기와 제2끼움돌기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를 소정간격 이격시키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충격을 완충하기 위해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와셔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하측의 화분용기 바닥으로부터 상측의 화분용기의 바닥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삭제
  7. 삭제
  8.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재공간부가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화분용기와;
    상기 화분용기들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측의 화분용기에 대해 상측의 화분용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화분용기의 바닥부 중앙에는 화분용기의 바닥부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높이 융기되어 저수를 위한 저수공간을 형성하는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으로부터 화분용기와 멀어지게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화분용기의 외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리브는 화분용기의 상측 또는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고, 끝 지점으로 갈수록 상하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단부에는 하측 화분용기에 대해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측 화분용기의 측벽부 상단이 끼워질 수 있게 끼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20160153842A 2016-11-18 2016-11-18 화분 KR10188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42A KR101884366B1 (ko) 2016-11-18 2016-11-18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842A KR101884366B1 (ko) 2016-11-18 2016-11-18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74A KR20180056074A (ko) 2018-05-28
KR101884366B1 true KR101884366B1 (ko) 2018-08-02

Family

ID=6245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842A KR101884366B1 (ko) 2016-11-18 2016-11-18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4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4349B2 (en) * 2018-06-26 2022-10-11 Zona Productions, Llc Transportable pla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482B1 (ko) * 2019-07-23 2020-08-28 황호성 캠핑용 화로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46Y1 (ko) * 2013-12-03 2014-05-19 박상원 식물 재배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46Y1 (ko) * 2013-12-03 2014-05-19 박상원 식물 재배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4349B2 (en) * 2018-06-26 2022-10-11 Zona Productions, Llc Transportable pla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074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2367B2 (en) Container for growing plants
US20160135386A1 (en) Plant growth support pot
US6125579A (en) Drainage disk and reservoir system for a planter
US5501038A (en) Planted pot self-positioning plant support device
KR101884366B1 (ko) 화분
CN109475093A (zh) 改进花盆
KR101343379B1 (ko) 화분
KR101249978B1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US20170064915A1 (en) Systems for cultivating plants with aerial roots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KR101460852B1 (ko) 사계절용 식물재배 용기
KR101826930B1 (ko) 식물재배용 적층가능한 화분 조립체
KR200490244Y1 (ko) 화분
KR102076813B1 (ko) 기능성 화분
KR200186528Y1 (ko) 회전가능한 다단화분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US20110179707A1 (en) Sloped Slot Pot
KR200470118Y1 (ko) 실내 텃밭용 재배용기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102106693B1 (ko) 화분
KR20110114765A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20180002953U (ko) 손잡이 일체형 화분
KR200466079Y1 (ko) 덩굴류 조경수 재배 용기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