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44Y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44Y1
KR200490244Y1 KR2020190001191U KR20190001191U KR200490244Y1 KR 200490244 Y1 KR200490244 Y1 KR 200490244Y1 KR 2020190001191 U KR2020190001191 U KR 2020190001191U KR 20190001191 U KR20190001191 U KR 20190001191U KR 200490244 Y1 KR200490244 Y1 KR 200490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outside
polyhedral
receiving po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태
Original Assignee
이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태 filed Critical 이진태
Priority to KR2020190001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측이 육각형 등의 다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에는 화초를 심는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며, 분갈이가 쉽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화분(10)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화분(10)은, 내측에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된 배수공(120)이 개방 형성되며, 외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부(130)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화분{A Pot}
본 고안은 화분(10)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는 원통형 형상으로 개방 형성되고, 외측은 다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로 이루어져, 외측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으며, 제조가 용이하고, 분갈이가 편리한 화분(10)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배양토를 담아 꽃이나 나무와 같은 식물을 심거나 물과 꽃을 담아 꽃꽂이를 하는 그릇의 일종이다.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실내외에 배치함으로써 공기 청정, 향기, 정서적 안정감을 주며,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일반적인 화분은 내부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구멍(배수공(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분의 내부에는 식물을 심기 위한 배양토가 채워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화분에 배양토를 채우고 식물을 식재하는 경우에 배양토에 식물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배양토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배양토 내에 함유된 물은 아래로 빠져나가 배수공으로 배출되거나 물의 증발이 일어나기 때문에 배양토에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해 주어야 한다.
한편,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재되는 식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화분은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는 가정의 실내외, 사무용 시설의 실내외, 공공시설의 실내외 등에 관상용 또는 특수목적용 등으로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관상용에 있어서 화분의 외관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데, 종래의 화분은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한정되어 있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45650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측이 육각형 등의 다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에는 화초를 심는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며, 분갈이가 쉽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화분(10)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화분(10)은, 내측에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된 배수공(120)이 개방 형성되며, 외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부(130)가 형성된다.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면체부(130)는 단면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내부에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배수공(120)이 형성된 제1본체(150); 상기 제1본체(150)가 삽입되도록 상하 관통된 삽입부(161)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다면체부(130)가 형성되는 제2본체(160); 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본체(160)의 하단에는 상기 제1본체(150)의 하단을 지지하여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62)가 형성된다.
상기 제1본체(150)의 하단에는 결합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16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15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본체(150)를 상기 제2본체(160)에 결합시키는 탄성결합부재(170)가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화분(10)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측이 육각형 등의 다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에는 화초를 심는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며, 분갈이가 쉽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내측에 원통형의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외측에 다수의 면을 갖는 상기 다면체부(130)가 형성됨으로써, 모서리 부분의 하중을 내측에서 분산시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갈이시 흙이 골고루 분포되어 분갈이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다면체로 화분 제작시 열을 가하는 과정에 표면이 우그러지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지만 내부를 원형으로 하게되면 제작시 틀어짐이 방지되어 형태(모양)보존이 쉽고 분갈이시 작업도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의 작동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0)은, 상단이 개방되어 내부에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110)는 화초를 심는 부분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토사를 넣을 때에 토사가 골고루 분포된다.
또한, 상기 화분(10)의 하단 중심에는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되어 통하는 배수공(120)이 상하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20)은 상기 화분(10)에 물을 주었을 때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또한, 상기 화분(10)의 외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다면체부(130)는 단면이 육각형 형태로 형성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6개의 면이 이웃하게 배치된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다면체부(130)는 오각형이나 팔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화초가 담기는 상기 수용부(1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측은 육각형 형태의 상기 다면체부(130)로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의 원형이나 사각 형태의 흔한 디자인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형태를 연출할 수 있이는 효과를 갖는다.
물론 종래에도 육각형 형태의 화분(10)이 제작되었으나, 종래의 육각 화분(10)은 내측과 외측이 모두 육각형태로 형성되었고, 각진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갖고 있었다. 또한, 내측이 각지게 형성되어 분갈이를 할 때에 흙이 골고루 분포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분(10)은, 내측에 원통형의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외측에 다수의 면을 갖는 상기 다면체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갈이시 흙이 골고루 분포되어 분갈이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화분(10)은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백색의 광택이 나도록 코팅층이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화분(10)은 합성수지,시멘트, 토사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분(10)은 다공성 세라믹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코팅층은 상단 및 외주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화분(10)은 코팅층이 없는 하단을 통해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물마름이 잘 이루어져 습기에 약한 식물도 잘 자라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경우에 따라 상기 화분(10)은 내측과 외측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10)은 제1본체(150), 제2본체(160) 및 탄성결합부재(1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본체(15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원통형의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배수공(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본체(160)는 내부에 상기 제1본체(150)가 삽입되도록 상하 관통된 삽입부(161)가 형성되고, 외측에 육각형 형태의 상기 다면체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61)는 상기 제1본체(150)의 외측에 일치되도록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하단에는 걸림돌기(16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62)는 상기 삽입부(161)에 삽입된 상기 제1본체(150)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제1본체(150)가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화분(10)이 원통형 형상의 제1본체(150)와, 상기 제1본체(150)가 내부에 수용되며 외측에 상기 다면체부(130)가 형성된 제2본체(160)로 이루어짐으로써, 화초를 상기 제1본체(150)에서 꺼내서 분갈이 할 필요 없이, 상기 제1본체(150)를 상기 제2본체(160)에서 분리한 후 다른 디자인의 상기 제2본체(160)로 교체하여 화분(10) 교체 작업을 편리하게 하며, 잦은 분갈이로 인해 화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1본체(150)의 하단에는 결합공(151)이 상하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공(151)에는 상기 탄성결합부재(170)가 삽입되어 상기 제1본체(150)가 상기 제2본체(160)에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결합부재(170)는 탄성력을 갖는 납작한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지며, 고정부(171), 접촉부(172), 걸림부(173), 연결부(174) 및 작동부(175)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171)는 일단이 상기 제1본체(15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방향으로 세워지게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72)는 상기 고정부(171)의 타단, 즉 상단에서 상기 고정부(171)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접촉부(172)는, 상기 삽입부(161)에 상기 제2본체(160)가 삽입될 때, 상기 결합공(151)의 내주면과 접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접촉부(172)는 우측으로 압축되었다가 상기 제1본체(150)의 내부, 즉 상기 수용부(110)에 삽입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게 된다.
상기 걸림부(173)는 상기 접촉부(172)의 하단에서 상기 고정부(171)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걸림부(173)는 상기 접촉부(172)가 상기 수용부(110)에 삽입되어 팽창되었을 때 상기 제1본체(150)의 하단 내측면과 접하여 상기 제1본체(15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저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174)는 상기 걸림부(173)의 우측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174)는 상기 걸림부(173)가 상기 수용부(110)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공(151)을 통해 하부로 길게 배치된다.
상기 작동부(175)는 상기 연결부(174)의 하단에서 상기 제2본체(16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작동부(175)는 상기 제2본체(160)의 하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우측단은 상기 제2본체(160)를 관통하여 외측에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작동부(17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접촉부(172), 걸림부(173) 및 연결부(174)가 함께 우측으로 이동 및 압축되고, 이때 상기 제1본체(150)를 들어 올려 상기 제2본체(16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본체(150)를 상기 제2본체(160)에 결합시키는 상기 탄성결합부재(17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150)가 상기 제2본체(160)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간단한 조작으로 상기 제1본체(150)를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분(10)은, 외측이 육각형 등의 다면체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내부에는 화초를 심는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개방 형성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며, 분갈이가 쉽고,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내측에 원통형의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외측에 다수의 면을 갖는 상기 다면체부(130)가 형성됨으로써, 모서리 부분의 하중을 내측에서 분산시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분갈이시 흙이 골고루 분포되어 분갈이를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화분 110 : 수용부
120 : 배수공 130 : 다면체부
150 : 제1본체 151 : 결합공
160 : 제2본체 161 : 삽입부
162 : 걸림돌기 170 : 탄성결합부재
171 : 고정부 172 : 접촉부
173 : 걸림부 174 : 연결부
175 : 작동부

Claims (5)

  1. 내측에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수용부(110)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상기 수용부(110)와 연결된 배수공(120)이 개방 형성되며,
    외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면을 갖는 다면체부(130)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부(1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배수공(120)이 형성된 제1본체(150); 및
    상기 제1본체(150)가 삽입되도록 상하 관통된 삽입부(161)가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다면체부(130)가 형성되는 제2본체(160)를 포함하되,
    상기 제2본체(160)의 하단에는 상기 제1본체(150)의 하단을 지지하여 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돌기(162)가 형성되며,
    상기 제1본체(150)의 하단에는 결합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본체(16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공(151)에 삽입되어 상기 제1본체(150)를 상기 제2본체(160)에 결합시키는 납작한 합성수지 판재로 이루어진 탄성결합부재(170)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결합부재(170)는,
    일단이 상기 제1본체(150)의 내측 바닥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방향으로 세워지게 절곡 형성되는 고정부(171);
    상기 고정부(171)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부(171)의 반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접촉부(172);
    상기 접촉부(172)의 하단에서 상기 고정부(171)의 타단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173);
    상기 걸림부(173)의 우측단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174); 및
    상기 연결부(174)의 하단에서 상기 제2본체(16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작동부(175)를 포함하되,
    상기 작동부(175)는 상기 제2본체(160)의 하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우측단은 상기 제2본체(160)를 관통하여 외측에 돌출되게 배치되고, 수동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접촉부(172), 걸림부(173) 및 연결부(174)가 함께 우측으로 이동 및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150)를 들어 올려 상기 제2본체(160)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10).
  2. 제 1 항에 있어서,
    세라믹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부(130)는 단면이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10),
  4. 삭제
  5. 삭제
KR2020190001191U 2019-03-22 2019-03-22 화분 KR200490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91U KR200490244Y1 (ko) 2019-03-22 2019-03-22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191U KR200490244Y1 (ko) 2019-03-22 2019-03-22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244Y1 true KR200490244Y1 (ko) 2019-10-17

Family

ID=68381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191U KR200490244Y1 (ko) 2019-03-22 2019-03-22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120U (ko) 2022-04-28 2023-11-06 박병석 화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08U (ko) * 1989-05-30 1991-01-11
KR200297338Y1 (ko) * 2002-08-31 2002-12-11 한준희 분갈이가 용이한 화분
KR200369971Y1 (ko) * 2004-09-10 2004-12-09 최성예 이중화분
KR200378789Y1 (ko) * 2004-12-28 2005-03-18 (주)미도월드시스템 이동 가능한 철제 화분
KR200445650Y1 (ko) 2007-10-23 2009-08-20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분리형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08U (ko) * 1989-05-30 1991-01-11
KR200297338Y1 (ko) * 2002-08-31 2002-12-11 한준희 분갈이가 용이한 화분
KR200369971Y1 (ko) * 2004-09-10 2004-12-09 최성예 이중화분
KR200378789Y1 (ko) * 2004-12-28 2005-03-18 (주)미도월드시스템 이동 가능한 철제 화분
KR200445650Y1 (ko) 2007-10-23 2009-08-20 주식회사 에카디자인 분리형 화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02708U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2120U (ko) 2022-04-28 2023-11-06 박병석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05303A (en) Flowerpot for water-cultured plants
USRE21820E (en) Flowerpot fob water-cultured
KR200490244Y1 (ko) 화분
KR101249978B1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20080004675U (ko) 통기성이 우수한 난 재배용 화분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US3841021A (en) Cultivation pot for seedlings and plants
KR101884366B1 (ko) 화분
TWI743999B (zh) 花卉集成組裝固定結構(一)
KR102320508B1 (ko) 적층식 화분
KR100909821B1 (ko) 연꽃재배장치
JP7182293B2 (ja) 観賞用植物の給水鉢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US7743554B2 (en) Potted plant soil retainer
KR200182370Y1 (ko) 다방향 식재가 가능한 장식용 화분
KR20190125730A (ko) 기능성 화분
US20170188529A1 (en) Sustained release irrigation apparatus with pivoting cap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JP3076746U (ja) 園芸用トレー
KR20110114765A (ko) 다단식 수경재배장치
KR200359279Y1 (ko) 식재용 인조석
KR200417567Y1 (ko) 다단 화분틀
JP3012673U (ja) 植物鉢受け皿
KR200488489Y1 (ko) 자가수분조절 화분
KR101968815B1 (ko) 패각류를 이용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