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489Y1 - 자가수분조절 화분 - Google Patents

자가수분조절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489Y1
KR200488489Y1 KR2020160007516U KR20160007516U KR200488489Y1 KR 200488489 Y1 KR200488489 Y1 KR 200488489Y1 KR 2020160007516 U KR2020160007516 U KR 2020160007516U KR 20160007516 U KR20160007516 U KR 20160007516U KR 200488489 Y1 KR200488489 Y1 KR 200488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ater
fixing plate
soil lay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7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002U (ko
Inventor
김연태
윤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고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고연
Priority to KR2020160007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489Y1/ko
Publication of KR20180002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4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가수분조절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 저부에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부; 저수부의 상부에 격리되게 구비되어 토양으로 채워지고 이 토양에는 식물의 뿌리가 심어져 생장되는 토양층; 토양층의 상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판; 및 고정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토양의 습도에 따라 저수부의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토양의 수분을 정화하여 저수부로 공급하는 모세관필터;를 포함하는 자가수분조절 화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가수분조절 화분{Self water control flowerpot}
본 고안은 자가수분조절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의 토양으로 수분을 자동 공급하고 배출하는 자가수분조절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이 수용되어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는 용기로서, 다양한 식물이 식재될 수 있으며, 식물이 생장할 수 있도록 수분과 함께 영양분을 공급한다.
이러한 화분에 심어지는 식물은 토양에 직접 심어진 식물들과 마찬가지로, 광합성을 통해서 영양분을 얻게 되는데, 광합성은 광량, 온도, 이산화탄소 등에 의존하게 되며, 수분이 부족할 경우 식물의 기공이 닫히게 되어 광합성 작용이 억제된다.
그러므로, 식물은 생장에 있어서 수분 공급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경우, 자연 환경으로부터 수분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주기적인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그러나, 화분에 대해 정기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물 주는 것을 잊어버리게 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에 어려움을 초래하며, 심지어는 식물이 고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여러 사람이 화분에 물을 각자 주게 됨으로써 식물이 수분 과다로 인해 죽게 되거나, 화분을 관리할 사람이 외출이나 여행 등으로 인해 화분에 물을 주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함으로써 식물의 고사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화분을 살펴보면, 한국 공개특허 제10-2007-0025178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는, 화분받침대에 물을 저장하고 화분지지대와 화분받침대를 밀착시켜 타이머 스위치로 원하는 시간에 맞추어 그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 및 차단하는 타이머 기능을 가진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0717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급수통; 상기 급수통내에 안착되어 화초구성물을 고정하는 수반; 상기 급수통과 연결되고, 상기 수반 위로 돌출되어 상기 급수통에 저장된 물을 흡입하여 화초 구성물로 분무시키는 자동분무수단; 및 상기 급수통과 함께 설치되어, 상기 수반 및 상기 자동분무수단을 내장하는 화분본체;를 포함하ㄴ는 자동분무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선행기술문헌2에는, 상기 급수통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급수호스; 상기 급수호스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급수될 물을 여과시키는 여과기;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물을 흡입하는 고압펌프; 상기 고압펌프와 결합되어 분무시간과 분무량을 조절할 수 있는 타이머; 및 상기 고압펌프에 연결되어 흡입된 물을 분무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노즐이 장착된 연결파이프;로 구성되는 자동분무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행기술문헌1,2에서는, 타이머에 예설정된 시간에 따라 물을 화분으로 공급하고 차단하도록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화분의 토양에 물이 많고 적음에 관계없이 일정시간마다 화분의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므로 토양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식물의 생장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선행기술문헌1,2에서는, 화분에 별도의 타이머와, 물을 공급하기 위한 펌프 등의 기계적 장치가 더 부가되어야 하므로, 화분의 크기와 부피가 불필요하게 비대해질 뿐 아니라 화분의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화분 및 이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분에 구비되는 토양의 습도에 따라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토양의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토양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자가수분조절 화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은, 내측 저부에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부; 저수부의 상부에 격리되게 구비되어 토양으로 채워지고 이 토양에는 식물의 뿌리가 심어져 생장되는 토양층; 토양층의 상부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판; 및 고정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토양의 습도에 따라 저수부의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토양의 수분을 정화하여 저수부로 공급하는 모세관필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세관필터는 고정판에 고정되어 토양층과 저수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 모세관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모세관필터는 토양층에 구비되어 다수의 수직 모세관필터를 연결하는 수평 모세관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화분에는 저수부와 토양층을 격리시키는 분리판이 구비되고, 분리판에는 다수의 수직 모세관필터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화분에는 고정판과 분리판에 관통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고, 지지대의 외측면에는 수직 모세관필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대에는 고정판에 관통 걸림되어 결합되는 후크부가 구비되고, 후크부에는 그 외경을 신축시킬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자가수분조절 화분에 따르면, 화분에 구비되는 모세관필터가 토양의 습도에 따라 즉 토양의 습도가 낮으면 화분의 저수부로부터 물을 빨아올려 토양으로 공급하고, 토양의 습도가 높으면 토양 내의 수분이 화분의 저수부로 배출됨으로써 토양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식물의 생장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자가수분조절 화분에 따르면, 모세관필터의 토양의 습도에 따라 토양으로 물을 공급하거나 토양으로부터 수분을 배출시킴으로써 화분이 컴팩트화되고, 화분의 가격을 저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의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의 설치상태를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가수분조절 화분(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측 저부에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부(110)와, 저수부(110)의 상부에 격리되게 구비되어 흙(이하 "토양"이라 한다)이 채워지는 토양층(120)과, 토양층(120) 및 저수부(110)에 구비되어 토양의 습도에 따라 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는 모세관필터(190)(191)를 포함한다.
저수부(110)는 그 바닥 중앙부에 저수부(11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수구(140)가 형성되고, 배수구(140)의 내주연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141)가 형성되며, 이 결합돌부(141)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배수구(140)에는 배수구(140)를 개폐시키는 배수캡(150)이 구비되되, 배수캡(150)은 그 중앙부가 배수구(140) 측으로 돌출된 돔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연부에는 배수구(140)의 결합돌부(141)에 대응되게 상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151)가 형성되며, 이 결합돌부(15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배수캡(150)은 배수구(140)에 서로 대응되는 양 결합돌부(141)(151)의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고, 이와 같이 고정되는 배수캡(150)의 내부에는 배수구(140)의 결합돌부(141)에 의해 가압되어 실링하는 O링(152)이 개재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저수부(110)와 토양층(120) 사이의 화분(100) 내측면에는 안착돌부(130)가 화분(100)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이 안착돌부(130)의 상면에는 분리판(160)이 안착되어 구비됨으로써 저수부(110)와 토양층(120)을 격리되게 한다.
그리고, 분리판(160)은 통상의 원판으로서, 다수의 관통공(161)이 분리판(16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공(161)은 후술될 지지대(180)의 외측면에 구비된 수직 모세관필터(190)의 외경에 대응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토양층(120)에 채워진 토양이 분리판(160)의 관통공(161)을 통해 하부의 저수부(11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리판(160)의 관통공(161)에는 "+"자 형상으로 절개된 고무막(미도시)이 형성되어, 관통공(16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수직 모세관필터(190)를 관통공(161)에 관통시켜도 "+"자 형상으로 절개된 각 고무막이 수직 모세관필터(190)의 외측면에 면밀착됨으로써 토양층(120)의 토양이 관통공(161)을 통해 하부의 저수부(110)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토양층(120)은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토양이 채워지는 부분으로서, 토양층(120)에는 식물의 뿌리가 심어져 구비된다.
이러한 토양층(120)의 상면에는 고정판(170)이 구비되고, 고정판(170)은 메쉬 형태의 판으로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고정판(170)은 그 중앙부에 식물의 뿌리 부위가 관통되는 중앙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토양층(120)으로 토양이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공급구(172)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공급구(172)와 중앙 구멍 사이에는 후술될 지지대(180)의 후크부(181)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171)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고정판(170)과 분리판(160)은 각 관통공(161)(171)에 관통 결합되는 후술될 지지대(180) 및 수직 모세관필터(190)에 의해서 화분(100) 내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정판(170)의 하부에는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모세관필터(190)(191)가 구비되어, 토양의 습도에 따라 저수부(110)의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토양의 수분을 저수부(11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모세관필터(190)(191)는 지지대(180)에 의해 화분(100) 내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 모세관필터(190)와, 고정판(170)의 하부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수평 모세관필터(191)로 구비된다.
한편, 지지대(180)는 고정판(170)의 관통공(171)과 분리판(160)의 관통공(161)에 관통 결합되어 화분(100) 내에 고정판(170)과 분리판(160)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지지대(180)의 상단부에는 고정판(170)의 관통공(171)에 관통되어 걸림되는 후크부(181)가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181)는 지지대(180)와의 사이에 고정판(170)의 관통공(171)에 걸림될 수 있는 단차진 걸림홈(183)이 형성되고, 후크부(181)에는 외력의 작용 여부에 따라 후크부(181)의 외경을 신축시킬 수 있는 절개부(182)가 후크부(181)의 종방향(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부(181)는 외력(후크부(181)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누르는 힘)의 작용시는 외경이 축소되었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후크부(181)가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후크부(181)에 의해 지지대(180)는 고정판(170)에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이와 같은 지지대(180)의 외측면에 감김되어 구비되는 수직 모세관필터(190)는 지지대(180)와 더불어서 토양층(120) 상단부에서부터 저수부(110) 바닥면까지에 걸쳐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수직 모세관필터(190)는 토양의 습도가 낮을 경우에는 모세관현상으로 저수부(110)의 물을 흡수하여 토양으로 공급하고, 토양의 습도가 높을 경우에는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수직 모세관필터(190)를 통해 중력 작용으로 아래로 흘러 저수부(110)로 자동 공급된다. 특히, 저수부(110)로 공급되는 토양의 수분은 수평 모세관필터(191)와 수직 모세관필터(190)에 의해 정화되어 공급됨으로써 저수부(110)의 물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평 모세관필터(191)는 고정판(170)의 하부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다수의 수직 모세관필터(190)를 연결한다. 따라서, 수직 모세관필터(190)의 모세관현상으로 저수부(110)의 물이 토양으로 공급될 시 물이 수평 모세관필터(191)를 통해서 토양층(120) 전체로 확산되어 공급될 수 있고, 반대로 토양층(120) 전체의 수분이 수평 모세관필터(191)에 의해서 수직 모세관필터(190)로 모아져 저수부(110)로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수평 모세관필터(191)는 고정판(170)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판(170)과 마찬가지로, 그 중앙부에는 식물의 뿌리 부위가 관통되는 중앙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는 토양층(120)으로 토양이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공급구(193)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공급구(193)와 중앙 구멍 사이에는 지지대(180)의 후크부(181)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192)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본 실시예의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메쉬 형태의 고정판(170) 하부에서 띠 형상의 수평 모세관필터가 메쉬의 각 라인을 따라 여러 열로 나열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모세관필터(190)(191)가 구비되는 화분(100)은 토양의 습도가 낮은 경우에는 지지대(180)의 외측면에 감싸져 구비되는 수직 모세관필터(190)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저수부(110)의 물이 수직 모세관필터(190)로 흡수되어 상부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물은 수직 모세관필터(190)의 상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평 모세관필터(191)를 통해서 수평 이동되어 토양층(120) 전체로 확산 공급됨으로써 토양층(120)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토양층(120)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토양층(120)에 수평하게 구비되는 수평 모세관필터(191)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토양층(120)의 수분이 수평 모세관필터(191)로 흡수되고, 흡수된 수분은 수평 모세관필터(191)와 수직하게 연결된 수직 모세관필터(190)를 통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저수부(110)로 자동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토양의 습도에 따라 저수부(110)의 물을 토양으로 자동 공급하거나 또는 토양의 수분을 저수부(110)로 자동 공급함으로써 토양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분(100)의 식물이 수분 부족이나 과다로 인해 생장하지 못하거나 고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분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은 화분(100)에는 조명장치(2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조명장치(200)는 화분(100)의 테두리부(101)에 걸림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화분(100)의 내부에 위치되는 고정블럭(210)과, 다수의 조명 기판 등이 내장되는 안정기(220)를 포함할 수 있고, 고정블럭(210)과 안정기(220) 사이에 단차진 홈부가 화분(100)의 테두리부(101)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러한 조명장치(200)의 고정블럭(210)에는 식물의 생장을 돕기 위한 조명기구가 설치되되, 이 조명기구는 고정블럭(210)에서 인출되어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한 케이블(250)과, 케이블(250)의 단부에 구비되어 안정기(220) 내의 조명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252)와, 케이블(250)의 단부에 구비되어 LED(252)를 감싸 LED(252)에서 발광되는 빛을 식물 측으로 반사시켜 조사하는 반사갓(251)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LED(252)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다양한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화분(100)의 식물이 생장하는데 필요한 광합성 작용과 엽록소 작용이 가장 효과적으로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외출이나 여행시에도 식물의 생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화분 101 : 테두리부
110 : 저수부 120 : 토양층
130 : 안착돌부 140 : 배수구
141 : 결합돌부 150 : 배수캡
151 : 결합돌부 152 : O링
160 : 분리판 161 : 관통공
170 : 고정판 171 : 관통공
172 : 공급구 180 : 지지대
181 : 후크부 182 : 절개부
183 : 걸림홈 190,191 : 모세관필터
192 : 관통공 193 : 공급구
200 : 조명장치

Claims (6)

  1. 내측 저부에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저수부; 저수부의 상부에 격리되게 구비되어 토양으로 채워지고 이 토양에는 식물의 뿌리가 심어져 생장되는 토양층; 상기 저수부와 토양층의 사이에 위치하여 저수부와 토양층을 격리시키는 분리판; 토양층의 최상부 면에 구비되는 고정판; 및 고정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토양의 습도에 따라 저수부의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토양의 수분을 정화하여 저수부로 공급하는 모세관필터;를 포함하는 자가수분조절 화분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분리판에 관통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는 원기둥 형상의 복수의 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은 중앙부에 식물의 뿌리 부위가 관통되는 중앙 구멍이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토양층으로 토양이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공급구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급구와 중앙 구멍 사이에는 상기 지지대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형성된 원판 형태이고,
    상기 모세관필터는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구비되어 토양층, 분리판 및 저수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수직 모세관필터 및 상기 고정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의 밑면에 부착되어 상기 다수의 수직 모세관필터의 고정판 쪽 단부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 모세관필터로 이루어져 있는 자가수분조절 화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대에는 고정판에 관통 걸림되어 결합되는 후크부가 구비되고, 후크부에는 그 외경을 신축시킬 수 있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자가수분조절 화분.
KR2020160007516U 2016-12-23 2016-12-23 자가수분조절 화분 KR200488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16U KR200488489Y1 (ko) 2016-12-23 2016-12-23 자가수분조절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7516U KR200488489Y1 (ko) 2016-12-23 2016-12-23 자가수분조절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02U KR20180002002U (ko) 2018-07-03
KR200488489Y1 true KR200488489Y1 (ko) 2019-02-13

Family

ID=6290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7516U KR200488489Y1 (ko) 2016-12-23 2016-12-23 자가수분조절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489Y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511A (ko) * 2001-11-15 2001-12-10 최재준 조경용 화분
KR20130052118A (ko) * 2011-11-11 2013-05-22 최원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101720853B1 (ko) * 2015-02-13 2017-03-28 함재영 물 저장 및 가습형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02U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934B1 (ko)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200486196Y1 (ko) 화분용 조명장치
KR101276699B1 (ko) 이중 플레이트 구조의 재배 베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기
CA2126631A1 (en) Plant growing apparatus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KR20150141308A (ko)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0488489Y1 (ko) 자가수분조절 화분
KR101502280B1 (ko) 자동 급수 제어 기능을 갖춘 화분
KR101519965B1 (ko) 식물 재배용 친환경 양변기 물탱크 덮개
US20170000049A1 (en) Garden plant watering device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1638289B1 (ko)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101231973B1 (ko) 실내 재배기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490244Y1 (ko) 화분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288854Y1 (ko) 조명장치가 설치된 실내용 자동급수화분
KR101976380B1 (ko) 화분용 뚜껑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190125730A (ko) 기능성 화분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US20080236039A1 (en)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KR102265063B1 (ko)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