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063B1 -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Google Patents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5063B1 KR102265063B1 KR1020200188103A KR20200188103A KR102265063B1 KR 102265063 B1 KR102265063 B1 KR 102265063B1 KR 1020200188103 A KR1020200188103 A KR 1020200188103A KR 20200188103 A KR20200188103 A KR 20200188103A KR 102265063 B1 KR102265063 B1 KR 102265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x
- frame
- power
- flowerpot
- power lin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다양한 화분을 각각 수납하여 적층 및 배열 함으로써 다수의 화분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창출하고, 심미적 효과를 주며, 빛의 조사를 통해 식물의 생육 환경을 보조할 수 있는 화분 삽입용 박스 묘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화분을 수납하는 박스, 화분의 규격에 맞게 거치되는 홀(hole)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포함하여 다양한 화분을 각각 수납하고, 박스의 적층을 돕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박스의 적층 배치를 통해 공간활용을 돕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을 보관 또는 전시하는 방법은 별도의 수납장을 구비하여 화분을 단순 전시하거나 화분채로 바닥이나 창틀에 늘여놓듯 보관하는 것으로, 식물이 시들어버린 경우 화분을 버리거나 창고 바닥에 늘여놓듯 보관해왔다.
조명을 이용하여 채광량을 보완해주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1047호(2012.11.05.공개, 식물재배용 전등이 부착된 화분)를 예로 들 수 있다.
해당 문헌에서는, "식물 재배용 화분의 입구 주변에 자외선 빛을 발휘할 수 있는 전등을 매립설치 함으로 햇볕이 들지 안는 실내내부에서도 화분에 심기어져 있는 화초가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의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해당 문헌 등 종래의 기술에서는 해당 기술을 이용하기 위해 식물의 분갈이를 진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분갈이 중 식물의 뿌리나 줄기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다수의 화분에 적용할 경우 일일이 분갈이를 시도해야하며, 단순 늘어놓기식 진열방법은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자칫, 미관을 해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문헌의 전등은 화분을 위에서 아래 혹은 화분의 측면에서 빛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빛이 아래에서 위를 향하도록 화분의 날개에 천공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채광을 보조하는 기능이 부족하다.
특히, 식물이 시들어버린 경우, 해당 문헌 등 종래의 기술은 채광 기능의 재사용을 위해 내용물을 비우고 씻어서 다시 분갈이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의 화분을 조절 유닛을 통해 박스에 안정적으로 수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화분을 안정적으로 적층 배치하고, 박스의 미사용 시 쌓아올려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수납된 화분의 식물에 채광을 실시하여 생육을 돕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은 화분 수납을 위한 공간이 구비된 박스, 박스에 화분이 거치되는 홀(hole)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절 유닛 및 박스 간의 적층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을 포함하여 화분이 수납된 박스 간의 적층 배열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박스와 프레임에 각각 별도의 채광을 실시하는 채광부를 구성하여 실내에서의 식물 생육을 도우며, 박스와 프레임을 번갈아가며 적층하여 배치하는 경우 내부적으로 직렬연결되어 하나의 외부 전원으로 전체 구성에 전원 공급을 실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에 의하면,
첫째, 화분에 맞게 박스의 홀(hole)을 조절 유닛을 통해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종류 및 크기의 화분을 수납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박스와 프레임 간의 적층 배치가 가능하여 공간 활용도가 높다.
셋째, 하면 채광부 및 측면 채광부를 통해 박스에 수납된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실내 생육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넷째, 적층 구조시 박스와 프레임 간의 직렬연결이 가능하여, 하나의 외부 전원으로 전체 구조물에 전원 공급을 실시할 수 있다.
다섯째, 급배수부의 구성으로 급배수에 대한 번거로움을 줄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박스 내부 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구조 분리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구조 분리상태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조절 유닛이 별도의 조절 유닛들과 결합하는 상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구조 분리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구조 분리상태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조절 유닛이 별도의 조절 유닛들과 결합하는 상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박스 내부 구성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박스 100는 내부 하면에 화분 10에 급수 및 배수를 실시하는 급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급배수부는 박스 100 내부 하면에 안착되어 화분 10에 급수할 물을 공급하고 화분 10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121 및 일단이 화분 10바닥에 형성된 배수용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이 물탱크 121에 저장된 물에 닿아있는 급배수선 122을 포함하며, 급배수선 122은 물을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화분 10에 물을 주지 않아도 급배수선 122을 통해 물탱크 121에 저장된 물이 화분 10 내의 식물이 가진 뿌리의 흡수 작용으로 빨아올려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분 10에 물을 직접적으로 분사했을 때, 화분 10내의 흙이 과하게 물을 머금었다면 화분 10내의 물이 급배수선 122을 타고 물탱크 121로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화분 10은 변죽이 거치되어 박스 100의 내부적으로는 떠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물탱크 121와는 급배수선 122과의 연결 외엔 접촉이 없는 상태다.
추가로, 박스 100는 물탱크 121를 박스 100 밖으로 꺼낼 수 있는 구멍 혹은 수납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급배수부는 화분 10의 배수구멍으로부터 떨어진 이물질을 걸러내어 물탱크 121의 오염을 막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화분 10의 바닥을 감싸거나 물탱크의 천장을 형성하는 식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프레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구조 분리상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구조 분리상태의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두 개의 박스 100a, 100b를 적층하기 위한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100a와 박스 100b 사이에 프레임 300을 두어 아래층 박스 100b로부터 위층 박스 100a의 무게를 프레임 300이 지지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구조로, 위층 박스 100a와 아래층 박스 100b가 프레임 300에 의해 이격됨으로써 아래층 박스 100b에도 화분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적층 구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면에 형성된 홀(hole)에 화분 10의 변죽을 거치하여 내부에 화분 10을 수납하는 박스 100는, 상면의 홀(hole)에 단차를 형성하여 화분 10의 변죽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는 제 1 걸림턱 11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300은 다수의 박스 100a, 100b를 적층 구성할 때, 박스 100a, 100b간에 서로 이격되어 쌓이도록 하며, 이를 위해, 프레임 300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되 아래층 박스 100b 상면의 홀(hole)을 가리지 않는 박스지지부 310a, 310b, 두 개의 박스지지부 310a, 310b를 연결하기 위하여, 일측이 위쪽 박스지지부 310a와 결합하고 타측이 아래쪽 박스지지부 310b와 결합하여 프레임 300 내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지지부 320 및 두 개의 박스지지부 310a, 310b의 가장자리에 각각 돌출형성되어 위층 박스 100a의 하부 가장자리가 위쪽 박스지지부 310a내에 고정되고 아래층 박스 100b의 상부 가장자리가 아래쪽 박스지지부 310b 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3 걸림턱 33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상태에서 위층 박스 100a가 아래층 박스 100b에 거치될 화분 10으로 채광을 실시할 수 있는 하면 채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면 채광부의 기능을 돕기 위하여 프레임 300에 측면 채광부를 더 구성할 수 있다.
하면 채광부는 광원이 되는 제 1 조명 131, 제 1 조명이 탈부착될 수 있도록 박스 100a, 100b의 외부 하면에 오목형성된 제 1 조명틀 132, 박스 100a, 100b 내부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하여 제 1 조명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 1 전력선 133, 박스 100a, 100b 외부의 상면 일측 모서리 안쪽에 위치하며 박스 100a, 100b 내부로는 제 1 전력선 133의 일측과 연결된 제 1 전원 커넥터 134 및 박스 100a, 100b 외부의 하면 일측 모서리 안쪽에 위치하며 박스 100a, 100b 내부로는 제 1 전력선 133의 타측과 연결된 제 2 전원 커넥터 135를 포함한다. 이때, 박스 100a, 100b는 전원 접속단자 136을 박스 100a, 100b의 외부 측면에 형성하여 제 1 전력선 13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그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137를 포함한다.
측면 채광부는 광원이 되는 제 2 조명 341, 제 2 조명이 탈부착되도록, 프레임 300 상부의 박스지지부 310a 하면, 즉, 위쪽 박스지지부 310a의 바로 밑에 위치하되 이격지지부 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 2 조명틀 342, 이격지지부 320 내측에 형성되어 제 2 조명 341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 2 전력선 343, 위쪽 박스지지부 310a의 상면에 형성되어 제 2 전원 커넥터 135와 결합할 수 있고 프레임 300 내부로는 제 2 전력선 343의 일측과 연결된 제 3 전원 커넥터 344 및 아래쪽 박스지지부 310b의 하면에 형성되어 제 1 전원 커넥터134 와 결합할 수 있고 프레임 300 내부로는 제 2 전력선 343의 타측과 연결된 제 4 전원 커넥터 345를 포함한다.
하면 채광부와 측면 채광부의 구성에 의하여, 프레임 300을 중앙에 두고 위층 박스 100a와 아래층 박스 100b를 적층하면, 제 3 전원 커넥터 344는 위층 박스 100a의 제 2 전원 커넥터 135와 결합하고, 제 4 전원 커넥터 345는 아래층 박스 100b의 제 1 전원 커넥터 134와 결합하여 위층 박스 100a의 제 1 전력선 133과 프레임의 제 2 전력선 343 및 아래층 박스 100b의 제 1 전력선 133이 직렬연결된다. 이로인해 위층 박스 100a 혹은 아래층 박스 100b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접속단자 136에 외부 전원을 인가하면 위층 박스 100a와 아래층 박스 100b의 하면 채광부 13 및 프레임의 측면 채광부가, 외부 전원이 인가된 박스 100a, 100b의 스위치 137의 동작에 의해 동작한다.
이때, 제 1 조명 131 및 제 2 조명 341은 LED 광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LED 광원의 파장은 식물생장에 도움을 주기 위해, 400~500nm의 청색광 또는 620~780nm의 적색광이 될 수 있다. 혹은, 식물의 생육을 위한 용도가 아닌, 심미적 안정감과 즐거움을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스위치 137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제어부는 식물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제 1 조명 131 및 제 2 조명 341의 동작 시간을 낮시간에 한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작시간을 조정할 수 있고, 외부 전원은 스마트폰 충전기, usb 커넥터, 건전지 등의 다양한 수단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적층 상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의 조절 유닛이 별도의 조절 유닛들과 결합하는 상태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유닛 200은 박스 100 상면의 홀(hole)의 지름이 화분 10의 변죽의 바깥지름보다 큰 경우 그 홀(hole)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조절 유닛 200은 화분 10의 변죽이 거치되는 제 2 걸림턱 210 및 박스 100의 제 1 걸림턱 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 1 걸림턱 110에 결합되어 박스 100에 조절 유닛 200을 고정하는 걸림부 220를 포함한다.
이때, 조절 유닛 200은 제 2 걸림턱 210의 형상을 제 1 걸림턱 110과 같이 단차를 두어 화분 10의 변죽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조절 유닛 200만으로는 화분 10의 거치가 어려운 경우, 화분 10의 단면적에 맞게, 조절 유닛 200과 동일한 형상이되 크기가 더 작은 중형 조절 유닛 200a과 소형 조절 유닛 200b과 같이 여러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중형 및 소형 조절 유닛 200a, 200b는 바깥쪽에 위치할 조절 유닛 200의 제 2 걸림턱 21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중형 조절 유닛 200a의 중형 걸림부가 상기 중형 조절 유닛 200a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조절 유닛 200의 제 2 걸림턱 2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소형 조절 유닛 200b의 소형 걸림부는 상기 소형 조절 유닛 200b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 중형 조절 유닛 200a에 형성된 제 2 걸림턱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분 10의 변죽이 거치된 부분과 밀접 접촉하여 사용자가 화분 10을 박스 100로 부터 꺼내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첫째, 조절 유닛 200은 사용자가 조절 유닛 200에 거치된 화분 10을 조절 유닛 200채로 들어올려 박스 100로부터 꺼내는 것을 수월하도록 하는 손잡이, 혹은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홈을 더 포함한다.
둘째, 박스 100 상면에 형성된 홀(hole)에 홈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화분 10의 변죽을 들어올릴 때, 홈에 손가락을 넣어 변죽의 아래에 손가락이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박스 100로부터 화분 10을 꺼내기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제 1 걸림턱 110, 제 1 걸림턱에 결합되는 걸림부 200 및 제 2 걸림턱 210을 단차를 일방향으로 향하면서 단차가 크게 발생하도록 하여, 제 1 걸림턱 100에 결합된 조절 유닛 200을 회전하면 제 1 걸림턱 110의 단차가 적은 부분에 걸림부 220의 단차가 큰 부분이 향하게 되면서 조절 유닛 200과 제 1 걸림턱 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조절 유닛 200채로 화분 10을 박스 100로부터 꺼내는 것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추가로, 프레임 300의 형태는 육면체 외에도, 원통형, 사다리뿔, 원뿔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 3 걸림턱 330은 박스지지부 310a, 310b의 가장자리가 아닌, 위층 박스 100a와 아래층 박스 100b를 고정하여 수용 가능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화분 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박스 100 상면의 홀(hole)은 원형, 사각형, 사다리꼴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조절 유닛 200, 200a, 200b도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토양 습토 센서를 더 포함하여, 화분 10의 토양이 마른 상태에서 급배수부에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화분 10의 식물이 말라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면 채광부나 측면 채광부에서 빛의 색을 변하도록 하거나 빛을 깜빡이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배수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화분 : 10
박스 : 100, 100a, 100b
제 1 걸림턱 : 110
물탱크 : 121
급배수선 : 122
제 1 조명 : 131
제 1 조명틀 : 132
제 1 전력선 : 133
제 1 전원 커넥터 : 134
제 2 전원 커넥터 : 135
전원 접속단자 : 136
스위치 : 137
조절 유닛 : 200, 200a, 200b
제 2 걸림턱 : 210
걸림부 : 220
프레임 : 300
박스지지부 : 310a, 310b
이격지지부 : 320
제 3 걸림턱 : 330
제 2 조명 : 341
제 2 조명틀 : 342
제 2 전력선 : 343
제 3 전원 커넥터 : 344
제 4 전원 커넥터 : 345
박스 : 100, 100a, 100b
제 1 걸림턱 : 110
물탱크 : 121
급배수선 : 122
제 1 조명 : 131
제 1 조명틀 : 132
제 1 전력선 : 133
제 1 전원 커넥터 : 134
제 2 전원 커넥터 : 135
전원 접속단자 : 136
스위치 : 137
조절 유닛 : 200, 200a, 200b
제 2 걸림턱 : 210
걸림부 : 220
프레임 : 300
박스지지부 : 310a, 310b
이격지지부 : 320
제 3 걸림턱 : 330
제 2 조명 : 341
제 2 조명틀 : 342
제 2 전력선 : 343
제 3 전원 커넥터 : 344
제 4 전원 커넥터 : 345
Claims (8)
- 화분을 거치하는 박스 모듈에 있어서,
상면에 형성된 홀(hole)에 상기 화분의 변죽을 거치함으로써 상기 화분을 내부에 수납하는 박스;
상기 상면의 홀(hole) 크기를 상기 화분에 맞게 조절하기 위한 조절 유닛; 및
다수의 박스를 적층 구성할 때, 상기 다수의 박스가 서로 이격되어 쌓이도록 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박스는,
상기 박스 상면에 상기 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차가 형성하여 상기 조절유닛이 거치되는 제 1 걸림턱; 및
상기 박스의 내부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화분에 급수 및 배수를 실시하는 급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화분의 변죽이 거치되는 제 2 걸림턱; 및
상기 제 1 걸림턱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박스에 상기 조절 유닛을 고정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상면 및 하면을 형성하되, 상기 프레임의 아래층 박스 상면의 홀(hole)을 가리지 않는 박스지지부;
두 개의 상기 박스지지부를 연결하는데 있어서, 일측과 타측에 각각의 상기 박스지지부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 내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지지부; 및
상기 박스지지부의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위층 박스 및 상기 아래층 박스가 각각 상기 프레임의 상부 박스지지부 및 하부 박스지지부 내에 고정 되도록 하는 제 3 걸림턱;을 포함하여,
상기 다수의 박스를 적층 구성하는 경우, 상기 위층 박스와 상기 아래층 박스 사이에 상기 프레임을 적층하여, 상기 위층 박스의 하부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제 3 걸림턱 내에 고정결합되고, 상기 아래층 박스의 상부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 3 걸림턱 내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배수부는,
상기 박스의 내부 하면에 안착되어 상기 화분에 급수할 물과 상기 화분으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 및
일단이 상기 화분 바닥에 형성된 배수용 구멍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상기 물에 닿아있는 급배수선;을 포함하며,
상기 급배수선은 상기 물을 흡수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화분의 단면적에 맞는 제 2 걸림턱의 지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조절 유닛의 상기 제 2 걸림턱에 결합되는 크기의 중형 걸림부를 갖는 중형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박스의 외부 하면에 위치하여 빛을 조사하는 하면 채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측면 채광부;를 포함하여,
다수의 상기 박스를 적층 구성하는 경우, 상기 하면 채광부 및 상기 측면 채광부가 상기 아래층 박스에 거치된 화분의 식물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채광부는,
상기 하면 채광부의 광원이 되는 제 1 조명;
상기 박스의 외부 하면에 오목형성되어 상기 제 1 조명이 탈부착되는 제 1 조명틀;
상기 박스의 내부,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조명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 1 전력선;
상기 박스의 외부 상면 일측 모서리 안쪽에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내부로는 상기 제 1 전력선의 일측과 연결된 제 1 전원 커넥터;
상기 박스의 외부 하면 일측 모서리 안쪽에 상기 제 1 전원 커넥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박스의 내부로는 상기 제 1 전력선의 타측과 연결된 제 2 전원 커넥터;
상기 박스 외부 측면에 형성되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제 1 전력선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접속단자; 및
상기 전원 접속단자에 외부 전원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전력선으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채광부는,
상기 측면 채광부의 광원이 되는 제 2 조명;
상기 프레임 상부의 상기 박스지지부 하면, 상기 이격지지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조명이 탈부착되는 제 2 조명틀;
상기 이격지지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조명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 2 전력선;
상기 프레임 상부의 상기 박스지지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전원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는 상기 제 2 전력선의 일측과 연결된 제 3 전원 커넥터; 및
상기 프레임 하부의 상기 박스지지부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원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의 내부로는 상기 제 2 전력선의 타측과 연결된 제 4 전원 커넥터;를 포함하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제 6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중앙에 두고 상기 프레임의 위 아래로 상기 박스를 적층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의 제 3 전원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의 위층 박스의 제 2 전원 커넥터와 결합하고, 상기 프레임의 제 4 전원 커넥터는 상기 프레임의 아래층 박스의 제 1 전원 커넥터와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의 제 2 전력선과 상기 위층 박스의 제 1 전력선 및 상기 아래층 박스의 제 1 전력선이 직렬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위층 혹은 아래층 박스의 전원 접속단자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면 적층 구성된 다른 박스의 제 1 전력선 및 상기 프레임의 제 2 전력선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8103A KR102265063B1 (ko) | 2020-12-30 | 2020-12-30 |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8103A KR102265063B1 (ko) | 2020-12-30 | 2020-12-30 |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5063B1 true KR102265063B1 (ko) | 2021-06-15 |
Family
ID=7641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8103A KR102265063B1 (ko) | 2020-12-30 | 2020-12-30 |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506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21047A (ko) | 2011-04-26 | 2012-11-05 | 서영철 | 식물재배용 전등이 부착된 화분 |
JP2015139695A (ja) * | 2014-01-28 | 2015-08-03 | 正幸 三谷 | 装飾屏風 |
KR101845516B1 (ko) * | 2015-11-26 | 2018-04-05 |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생육과 안내기능을 겸비하는 친환경 화분 |
KR20200021181A (ko) * | 2018-08-20 | 2020-02-28 | 박재용 | 수족관 겸용 조립식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파티션 형성방법 |
-
2020
- 2020-12-30 KR KR1020200188103A patent/KR102265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21047A (ko) | 2011-04-26 | 2012-11-05 | 서영철 | 식물재배용 전등이 부착된 화분 |
JP2015139695A (ja) * | 2014-01-28 | 2015-08-03 | 正幸 三谷 | 装飾屏風 |
KR101845516B1 (ko) * | 2015-11-26 | 2018-04-05 | 동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생육과 안내기능을 겸비하는 친환경 화분 |
KR20200021181A (ko) * | 2018-08-20 | 2020-02-28 | 박재용 | 수족관 겸용 조립식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파티션 형성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86196Y1 (ko) | 화분용 조명장치 | |
KR20130009505A (ko) | 이중 플레이트 구조의 재배 베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기 | |
JP2011055738A (ja) | 植物栽培用ラック | |
KR20110064915A (ko) | 친환경 엘이디 조명 | |
JP2022547399A (ja) | 垂直に分布される光源を有する植物エンクロージャ | |
US10285336B2 (en) | Plant container assembly with nested growth substrates | |
KR102265063B1 (ko) | 화분 삽입용 박스 모듈 | |
KR20150103390A (ko) | 무동력 관수 화분 | |
US20070007275A1 (en) | Plant shade | |
RU88246U1 (ru) | Лоток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аэро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 |
KR20100129974A (ko) |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 |
KR101561658B1 (ko) | 녹색 두채류를 포함한 새싹 재배장치 | |
RU156472U1 (ru) | Фитомодуль для размещения растений и вертикального озеленения | |
CN116782760A (zh) | 用于在室内使用的模块化水培系统 | |
CN208248934U (zh) | 一种花卉运输用周转箱 | |
KR20140101618A (ko) | 엘이디가 구비된 미니화분 | |
KR20210079656A (ko) | 분리형 화분 | |
KR200488489Y1 (ko) | 자가수분조절 화분 | |
KR102538925B1 (ko) | 저면급수 화분 | |
CN210900541U (zh) | 一种新型的控根组合花盆 | |
KR20180002505U (ko) |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 |
CN202232287U (zh) | 一种可拆卸的花盆灯 | |
KR200478065Y1 (ko) | 다층 화분 조립체 | |
KR20190125730A (ko) | 기능성 화분 | |
KR20000000712A (ko) | 콩나물의 자동재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