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953U - 손잡이 일체형 화분 - Google Patents

손잡이 일체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953U
KR20180002953U KR2020170001704U KR20170001704U KR20180002953U KR 20180002953 U KR20180002953 U KR 20180002953U KR 2020170001704 U KR2020170001704 U KR 2020170001704U KR 20170001704 U KR20170001704 U KR 20170001704U KR 20180002953 U KR20180002953 U KR 201800029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handle
spaced apart
flowerpot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7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현
Original Assignee
김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현 filed Critical 김정현
Priority to KR20201700017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2953U/ko
Publication of KR20180002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5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상이며 직경이 상광하협으로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테두리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하부로 굴곡진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부손잡이부(2)와, 상기 몸체(1)의 상부외부 측면과 굴곡진 상부손잡이부(2)의 내측측면에 위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상부손잡이부보강대(3)와, 상기 몸체(1)의 내부 중간 하부에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몸체내부수직보강대(4)와,
상기 몸체(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판통공(6)이 구비된 바닥판(5)과, 상기 몸체(1)의 하부 끝단부를 형성하며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홈형상의 하부지지홈(8)이 다수개 구비된 하부지지부(7)와,
상기 몸체(1)의 바닥판(5)과, 하부지지부(7)사이에 공간부(10)로 구성된 손잡이 일체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 일체형 화분{Handle An integral flowerpot}
본 고안은 상부테두리에 공간부를 형성시켜 손을 공간부에 삽입시키도록 손잡이로 사용하여 화분의 운반을 용이하도록 파지와 힘의 분배가 적절히 이루어지는 손잡이 일체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분은, 꽃 등의 식물을 재배하는 화훼단지 등에서 화분을 토양과 접하도록 지면위에 놓은 후 물을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농장, 화원, 일반가정집에서 분갈이, 물주기, 자리 옮김 이사, 먼 곳으로 운송하기 위해 차에 싣을 때 등 무거운 화분(역 원뿔대형)을 들어 옮기는 일이 빈번한데 이때에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고는 작업이 쉽지 않다.
들다가 떨어지거나 텍크트럭에 실어 나르다가 진동으로 엎어져 사람이 다치거나 화분이 파손되고 식물이 손상되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화분 속에 스치로품을 넣어 화분무게를 가볍게 하는 몰지각한 사례도 있다. 특히 도자기로 된 대형화분은 표면이 미끄럽고 손잡이가 없는 관계로 더욱 숙련이 요구된다.
현재까지 출하된 화분은 상단 테두리에 외부로 돌출한 파지부인 외향단을 형성하여, 상기 외향단을 운반자가 잡은 후 들어 올린 상태로 중량체인 화분을 운반 하였다.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1633850000(1999.10.01.)호에는 화분(10)의 상단을 일정 두께를 갖도록 연장하여 대칭적으로 형성한 연장단(12)들을 구비함과 함께 이 연장단(12)들 각각에 일정 간격을 두고 통공된 한쌍의 인출공(14)들을 형성하고, 이 각 쌍의 인출공(14)들에 진입하여 출몰하는 지지봉(20)들을 구비함과 함께 이 지지봉(20)은 쌍을 이루어 그 상단이 연결된 손잡이(30)를 갖추며, 손잡이(30)가 구비된 지지봉(20)이 상승한 상태에서 손잡이(30)를 통해 화분(10)의 지지력이 제공되도록 지지봉(20)의 하측에 너트(40)가 체결됨과 함께 인출공(14)의 내경에 너트(40)를 지지하는 걸림턱(18)을 형성하고, 지지봉(20)과 인출공(14)의 내경에 지지봉(20)이 상승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대향지점에 상호 형합하는 고정홈(16) 및 고정돌기(24)를 형성한 가변식 손잡이 부착형 화분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063690000(2017.02.07.)호에는 배수공이 마련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일체로 성형되는 통형상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판으로 구성되는 베이스통; 화분의 테두리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통의 외주에 끼워져 상기 절곡판과 결합하는 링형상의 고정링체; 상기 베이스통과 상기 고정링체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조립식 화분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2020160004497(2016.12.28.)호에는 화분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구를 바닥면으로 부터 안쪽으로 돌출된 환형의 돌출부 측면에 형성하여 화훼하우스 등에서 화분 밑바닥면이 토양과 접하도록 지면위에 놓인 경우에도 배수 및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식물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배수구가 바닥면으로 부터 이격된 화분은, 화분 바닥면으로 부터 돌출되도록 안쪽으로 연장형성되는 환형의 돌출부와,
돌출부 측면에 원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형성되는 배수 및 통기용 관통공을 구비한 화분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341000000(1998.10.16.)호에는 화분의 내부에 분리가능한 바닥판을 구성하여 뿌리나 줄기에 손상을 주지 않고 분갈이를 할 수 있고 또 바닥판에 탄소판을 설치하여 흙의 성분을 정화시켜 식물의 성장이 촉진되도록 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의 바닥에 분리가능한 바닥판(2)을 안착시키고, 이 바닥판(2)의 양측에 상단이 상부로 노출되는 손잡이끈(4)을 연결시켜 분갈이시 외부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바닥판(2)의 상부에는 탄소성분이 다량 함유된 탄소판(3)을 설치하여 구성한 화분이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2001633850000(1999.10.01.)호 2.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7063690000(2017.02.07.)호 3. 국내실용신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2020160004497(2016.12.28.)호 4.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341000000(1998.10.16.)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화분의 상부테두리가 외부로 돌출되어 손가락으로 돌출된 부분에 힘을 가하여 화분을 들어 이동하였으나, 대형 화분의 경우 손가락으로만 대형 화분을 들거나, 들어서 이동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통형상이며 직경이 상광하협으로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테두리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하부로 굴곡진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부손잡이부(2)와, 상기 몸체(1)의 상부외부 측면과 굴곡진 상부손잡이부(2)의 내측측면에 위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상부손잡이부보강대(3)와, 상기 몸체(1)의 내부 중간 하부에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몸체내부수직보강대(4)와,
상기 몸체(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판통공(6)이 구비된 바닥판(5)과, 상기 몸체(1)의 하부 끝단부를 형성하며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홈형상의 하부지지홈(8)이 다수개 구비된 하부지지부(7)와,
상기 몸체(1)의 바닥판(5)과, 하부지지부(7)사이에 공간부(10)로 구성된 손잡이 일체형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 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고안은 무거운 화분을 숙련자가 아닌 보통사람도 쉽게 들고 옮기며 사람이 다치거나 화분의 파손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이 수행할 수 있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화분의 상부 테두리에 외부로 연장되어 설치된 홈에 손을 삽입시켜 파지의 힘이 적절히 분배시켜 누구나 용이하게 화분을 들거나 운반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전체도
도2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상세도
도3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정단면 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평면 상세도
도5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저면 상세도
본 고안은 원통형상이며 직경이 상광하협으로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테두리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하부로 굴곡진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부손잡이부(2)와, 상기 몸체(1)의 상부외부 측면과 굴곡진 상부손잡이부(2)의 내측측면에 위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상부손잡이부보강대(3)와, 상기 몸체(1)의 내부 중간 하부에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몸체내부수직보강대(4)와,
상기 몸체(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판통공(6)이 구비된 바닥판(5)과, 상기 몸체(1)의 하부 끝단부를 형성하며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홈형상의 하부지지홈(8)이 다수개 구비된 하부지지부(7)와,
상기 몸체(1)의 바닥판(5)과, 하부지지부(7)사이에 공간부(10)로 구성된 손잡이 일체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재질은 합성수지로 압출 또는 사출성형으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몸체(1)는 일반적인 원통형상이지만 사각통체로도 설치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몸체(1)는 상광하협의 원통형 형상으로, 꽃이나 나무를 식재하며, 흙이 안치되는 내부공간부가 구비되며,
본 고안의 상부손잡이부(2)는 몸체(1)의 상부테두리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하부로 굴곡져 몸체와 일정간격 외부로 이격되어 굴곡진 사이에 홈이 형성되며, 그 사이로 손바닥부분을 삽입시켜 화분을 잡아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몸체(1)의 상부외부 측면과 굴곡진 상부손잡이부(2)의 내측측면에 위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상부손잡이부보강대(3)를 설치하여, 상부손잡이부(2)의 파손을 방지하였다.
또한 몸체(1)의 내부 중간 하부에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몸체내부수직보강대(4)를 설치하여 흙과 나무가 삽입되는 몸체(1)의 강도를 보강하였다.
이때 몸체내부수직보강대(4)는 3개가 한 쌍으로 전, 후, 좌, 우 네 곳에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닥판(5)은 몸체(1)의 하부끝단부 보다 일정간격 상부 내측에 설치되며, 다수개의 통공(6)이 구비되어 몸체(1)에 주입되는 물을 배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몸체(1)의 바닥판(5)과, 바닥판(5)의 하부까지 연장된 몸체(1)의 끝단부를 형성하는 하부지지부(7)사이에 공간부(10)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지지부(7)에는 다수개의 홈이 일정간격 이격된 하부지지홈(8)이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10)로 배수되는 물을 배출하거나,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전체도, 도2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상세도, 도3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정단면 상세도, 도4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평면 상세도, 도5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 저면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몸체(1), 상부손잡이부(2), 상부손잡이부보강대(3), 몸체내부수직보강대(4), 바닥판(5), 바닥판통공(6), 하부지지부(7), 하부지지부절곡부(8), 공간부(10)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손잡이 일체형 화분은 도 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이며 직경이 상광하협으로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테두리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하부로 굴곡진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부손잡이부(2)와, 상기 몸체(1)의 상부외부 측면과 굴곡진 상부손잡이부(2)의 내측측면에 위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상부손잡이부보강대(3)와,
상기 몸체(1)의 내부 중간 하부에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몸체내부수직보강대(4)와,
상기 몸체(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바닥판통공(6)이 구비된 바닥판(5)과, 상기 몸체(1)의 하부 끝단부를 형성하며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홈형상의 하부지지홈(8)이 다수개 구비된 하부지지부(7)와,
상기 몸체(1)의 바닥판(5)과, 하부지지부(7)사이에 공간부(10)로 구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몸체내부수직보강대(4)는 몸체(1)의 내측 중간 하부에 3개가 한 쌍으로 전, 후, 좌, 우 네 곳에 설치할 수도 있다.
사용상태는 몸통(1) 내부에 흙을 채우고 나무나 꽃을 식재한 후, 물을 뿌려 나무나 꽃을 재배하는 방법이고,
이때 화분 내부로 투입된 물은 바닥판(5)의 바닥판통공(6)을 통해 공간부(10)로 낙하하며, 하부지지홈(8)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며,
공간부(10)의 하부에 위치한 토양 속으로도 배수될 수도 있다.
이동시 상부손잡이부(2)의 홈에 손을 깊숙이 넣은 다음, 견고하게 손으로 상부손잡이부(2)를 잡은 다음,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재배하는 방법인 것이다.
몸체(1), 상부손잡이부(2), 상부손잡이부보강대(3), 몸체내부수직보강대(4), 바닥판(5), 바닥판통공(6), 하부지지부(7), 하부지지홈(8), 공간부(10),

Claims (2)

  1. 손잡이 일체형 화분에 있어서,
    원통형상이며 직경이 상광하협으로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상부테두리부가 외부로 연장되어 하부로 굴곡진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는 상부손잡이부(2)와, 상기 몸체(1)의 상부외부 측면과 굴곡진 상부손잡이부(2)의 내측측면에 위치되어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상부손잡이부보강대(3)와, 상기 몸체(1)의 내부 중간 하부에 일정길이로 수직으로 돌출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몸체내부수직보강대(4)와,
    상기 몸체(1)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바닥판통공(6)이 구비된 바닥판(5)과, 상기 몸체(1)의 하부 끝단부를 형성하며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홈형상의 하부지지홈(8)이 다수개 구비된 하부지지부(7)와,
    상기 몸체(1)의 바닥판(5)과, 하부지지부(7)사이에 공간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일체형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내부수직보강대(4)는 몸체(1)의 내측 중간 하부에 3개가 한 쌍으로 전, 후, 좌, 우 네 곳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일체형 화분.
KR2020170001704U 2017-04-06 2017-04-06 손잡이 일체형 화분 KR201800029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04U KR20180002953U (ko) 2017-04-06 2017-04-06 손잡이 일체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704U KR20180002953U (ko) 2017-04-06 2017-04-06 손잡이 일체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53U true KR20180002953U (ko) 2018-10-16

Family

ID=6404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704U KR20180002953U (ko) 2017-04-06 2017-04-06 손잡이 일체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295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535B1 (ko) * 2023-05-24 2023-09-19 황우성 플라스틱 화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385Y1 (ko) 1999-07-06 2000-02-15 정현수 가변식손잡이부착형화분
JP2001341000A (ja) 2000-05-31 2001-12-11 Komatsu Ltd 光線式安全装置の位置設定方法及びその設定装置
KR20160004497U (ko) 2015-06-19 2016-12-28 박춘서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101706369B1 (ko) 2016-05-24 2017-02-13 강환준 조립식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385Y1 (ko) 1999-07-06 2000-02-15 정현수 가변식손잡이부착형화분
JP2001341000A (ja) 2000-05-31 2001-12-11 Komatsu Ltd 光線式安全装置の位置設定方法及びその設定装置
KR20160004497U (ko) 2015-06-19 2016-12-28 박춘서 기능성 등받이 목베개
KR101706369B1 (ko) 2016-05-24 2017-02-13 강환준 조립식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535B1 (ko) * 2023-05-24 2023-09-19 황우성 플라스틱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42129A1 (en) Plant pot assembly
US20150334928A1 (en) Trellis system support member and hydroponic trellis system including same
US20160135386A1 (en) Plant growth support pot
US4236351A (en) Planter with tubular air hole member
US20170359964A1 (en) Base tray for a planter
US20100077660A1 (en) Suspended planting platform for a plant container
US20210092909A1 (en)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KR20180002953U (ko) 손잡이 일체형 화분
US20020121048A1 (en) High density planter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200424597Y1 (ko) 채소재배를 위한 화분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101884366B1 (ko) 화분
US20110289837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KR101914112B1 (ko) 화분
US20090173003A1 (en) Plant care device
RU11443U1 (ru) Емкость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KR102260430B1 (ko) 외장구조체를 이용한 도로조경용 화분
KR101835770B1 (ko) 화분조립체
KR102334901B1 (ko) 조립식 화분
RU2755277C1 (ru) Цветочное кашпо
CN215011949U (zh) 一种园艺用固定爪台
KR100336631B1 (ko) 고설 재배용 용기
KR200456170Y1 (ko) 걸이형 화분
JP6630124B2 (ja) プラン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