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585B1 - 화분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585B1
KR101103585B1 KR1020110024914A KR20110024914A KR101103585B1 KR 101103585 B1 KR101103585 B1 KR 101103585B1 KR 1020110024914 A KR1020110024914 A KR 1020110024914A KR 20110024914 A KR20110024914 A KR 20110024914A KR 101103585 B1 KR101103585 B1 KR 101103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support
wick
p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하
김동욱
김영하
Original Assignee
김동욱
김인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욱, 김인하 filed Critical 김동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585B1/ko
Priority to JP201450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08538A/ja
Priority to PCT/KR2012/002019 priority patent/WO2012128550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바닥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를 갖는 상향 개구의 저수통과; 하단이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배수공을 통해 화분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뿔형태의 심지지지체와;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심지지지체의 외표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고깔형태의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화분의 내부 흙이 배수공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급수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바닥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화분에 심어 재배하는 경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화분에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종래 화분에 대한 물공급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해주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며, 그 방법 중의 하나로 저수통에 저장된 물을 흡수성 재질로 제작된 심지를 통해 공급하는 기술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3은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의 저수통(110)과, 저수통(110)의 상면에 설치된 요형(凹形)의 화분지지체(125)와, 화분지지체(125)의 바닥면에 설치된 수평심지(123)와, 저수통(110)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수평심지(123)에 연결된 수직심지(124)를 갖고 있다.
저수통(110)은 저수통바닥면부(111)와, 저수통바닥면부(11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112)를 갖고 있다.
저수통둘레벽부(112)는 상단에 2회 절곡된 형태의 지지턱(112a)이 형성되어 있다.
화분지지체(125)는 바닥면에 다수의 심지안내공(125a)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심지(123)는 한 쌍의 흡수층부(123a)사이에 근침투차단층부(123b)가 개재된 샌드위치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각 흡수층부(123a)는 부직포, 펠트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된다.
근침투차단층부(123b)는 UV처리된 합성수지재로 메쉬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근침투차단층부(123b)는 식물의 뿌리가 저수통(11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수직심지(124)는 부직포, 펠트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심지(124)는 심지안내공(125a)을 통과하여 저수통(11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분지지체(125), 수평심지(123) 및 수직심지(124)를 설치한다.
다음에 저수통(110)에 물을 채운다.
저수통(110)에 물이 채워지면 저수통(110)에 저장된 물은 수직심지(124)를 통해 수평심지(123)에 전달된다.
다음에 배수공(1201a)이 수평심지(123)에 인접하도록 화분(1201)을 지지턱(112a)에 설치한다.
화분(201)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심지(123)로 전달된 물은 화분의 배수공(201a)을 통해 화분 내부 흙에 흡수된 다음 식물의 뿌리에 흡수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따르면, 심지(123, 124)가 화분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저수통(110)과 화분 내부 흙 사이에는 장벽이 없기 때문에 외부충격시 화분의 내부 흙이 배수공(201a)을 통해 저수통(110)으로 낙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 내부로 진입하는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고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이 감소한다(뿌리가 일정영역에 집중됨)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화분의 내부 흙이 배수공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화분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분바닥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를 갖는 상향 개구의 저수통과; 하단이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배수공을 통해 화분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뿔형태의 심지지지체와;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심지지지체의 외표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고깔형태의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심지지지체를 통해 식물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는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고깔형태로 기립형성되고, 상단에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는 상기 심지지지체의 고깔개구에 연통하도록 바닥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통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를 저수통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하고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저수통설치면사이를 통해 상기 바닥면통기공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유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가 화분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화분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화분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지지지체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를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지지지체를 통해 식물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는 고깔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공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통기공을 통해 화분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체통기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는 측면에 요형의 공기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안내공은 상기 공기안내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가 화분의 내부에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수통과 화분 내부 흙 사이에는 심지지지체가 배치됨으로써, 외부충격시 화분의 내부 흙이 저수통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지지지체가 화분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분내부로 진입한 심지지지체에 의해 뿌리가 분산됨으로써,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이 증가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화분지지체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9는 도8에 도시된 심지지지체의 확대사시도,
도10은 도9의 A-A선 단면도,
도11은 도9의 B-B선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저수통(10)과, 저수통(10)의 바닥면으로부터 기립형성된 고깔형태의 심지지지체(21)와, 심지지지체(21)에 설치된 심지(22)와, 심지지지체(21)의 둘레영역에서 저수통(10)의 바닥면으로부터 기립형성된 화분지지체(25)를 갖고 있다.
저수통(10)은 저수통바닥면부(11)와,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12)와,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저면에 형성된 유격돌기(13)를 갖고 있다.
저수통바닥면부(11)에는 심지지지체(21)의 고깔개구에 연통하도록 바닥면통기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유격돌기(13)는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저면에 다수개 분산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격돌기(13)는 저수통바닥면부(11)를 저수통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고 저수통바닥면부(11)와 저수통설치면사이를 통해 바닥면통기공(11a)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심지지지체(21)는 고깔형태로 형성되는 데, 본 명세서에서 고깔형태란 원뿔, 절두된 원뿔, 사각뿔, 절두된 사각뿔 등과 같은 뿔형태와 절두된 뿔형태의 측면과 같은 외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심지지지체(21)는 화분이 상방향으로부터 저수통(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배수공(201a)을 통해 화분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저수통바닥면부(11)에 형성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는 상단에 지지체통기공(21c)이 형성되어 있고, 화분의 내부로 진입하는 영역에 요형(凹形)의 공기안내홈(21a)이 상단에 도달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은 상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의 바닥면에는 공기안내공(21b)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심지(22)는 고깔형태로 형성되고, 지지체통기공(21c)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심지(22)는 부직포, 펠트, 스폰지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심지지지체(21)의 외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화분지지체(25)는 심지지지체(21)의 둘레영역에서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화분지지체(25)의 높이는 화분이 화분지지체(25)의 상단에 설치될 때 심지지지체(21)가 배수공(201a)을 넘어 화분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지지지체(21)에 심지(22)를 설치한다.
다음에 저수통(10)에 물을 채운다.
다음에 화분지지체(25)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화분(201)을 설치한다.
저수통(10)에 물이 채워지면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은 심지(22)에 흡수된다.
심지(22)에 흡수된 물은 화분의 화분 내부 흙에 흡수된 다음 식물의 뿌리에 흡수된다.
그리고 바닥면통기공(11a)과 지지체통기공(21c)을 연결하는 경로, 바닥면통기공(11a), 공기안내공(21b), 공기안내홈(21a)과 심지(22)를 연결하는 경로, 바닥면통기공(11a), 공기안내공(21b), 공기안내홈(21a)과 지지체통기공(21c)을 연결하는 경로 및 화분(201)의 저면과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의 표면 사이공간, 공기안내홈(21a)과 심지(22)를 연결하는 경로를 통해 공기가 식물의 뿌리에 전달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분지지체(25)를 저수통(10)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지지체(25)를 저수통(10)과 분리하여 제작한 후 저수통바닥면부(11)에 설치하거나 또는 저수통둘레벽부(12)에 화분지지체(25)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5의 도면번호 25a는 저수통(10)에 물을 채울 때 물이 통과하는 통수공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심지지지체(21)를 고깔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나, 뿔형태로 심지지지체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뿔형태란 원뿔, 사각뿔 등 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뿔형태와 절두된 뿔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분지지체(25)를 저수통(10)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화분지지체를 저수통(10)과 분리 제작한 후 저수통(10)에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수통(10)에 지지되는 화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지면에 지지되는 화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심지지지체의 확대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A-A선 단면도이고, 도11은 도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화분(210')은 장방형상의 화분바닥면부(211')와, 화분바닥면부(211')의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화분둘레벽부(212')와, 화분바닥면부(211')의 네 모서리영역에서 화분둘레벽부(212')와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화분다리부(213')를 갖고 있다.
화분바닥면부(211')에는 배수공(2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분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저수통(10')과, 저수통(10')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고깔형태의 심지지지체(21')와, 심지지지체(21')에 설치된 심지(22')를 갖고 있다.
저수통(10')은 저수통바닥면부(11')와,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 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12')를 갖고 있다.
저수통바닥면부(11')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수통둘레벽부(12')는 저수통바닥면부(11')가 화분다리부(213')의 하단에 정렬될 때 화분바닥면부(211')보다 낮은 높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심지지지체(21')는 고깔형태로 형성되는 데, 본 명세서에서 고깔형태란 원뿔, 절두된 원뿔, 사각뿔, 절두된 사각뿔 등과 같은 뿔형태와 절두된 뿔형태의 측면과 같은 외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심지지지체(21')는 지지프레임(30')을 통해 저수통바닥면부(11')에 지지될 때 배수공(211'a)을 통해 화분바닥면부(211')의 상면을 넘어 돌출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는 상단에 지지체통기공(21'c)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요형(凹形)의 공기안내홈(21'a)이 상단에 도달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은 상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의 바닥면에는 공기안내공(21'b)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안내공(21'b)은 최소한 저수통둘레벽부(12')의 상단과 화분바닥면부(211') 사이 영역에 대응하는 구간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심지지지체(21')는 저면이 후술하는 지지기둥(34')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지지판(31')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심지지지체(21')는 지지프레임(30')을 통해 저수통바닥면부(11')에 지지된다.
심지(22')는 고깔형태로 형성되고, 지지체통기공(21'c)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심지(22')는 부직포, 펠트, 스폰지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심지지지체(21')의 외표면과 후술하는 지지기둥(34')의 외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지지프레임(30')은 지지판(31')과, 지지판(31')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링(32')과, 지지링(32')과 지지판(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33')와, 지지판(31')의 중앙영역에 기립형성된 지지기둥(34')을 갖고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지지판(31')의 저면이 저수통바닥면부(11')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지지지체(21')에 심지(22')를 설치한다.
다음에 저수통(10')을 화분다리부(213')사이로 밀어 넣는다.
다음에 지지프레임(30')을 저수통바닥면부(11')의 상면에 설치한다.
다음에 심지지지체(21')가 배수공(211'a)을 통과하여 화분바닥면부(211')의 상면을 넘어 돌출하도록 심지(22')를 지지기둥(34')에 결합한다.
다음에 저수통(10')에 물을 채운다.
저수통(10')에 물이 채워지면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은 심지(22')에 흡수된다.
심지(22')에 흡수된 물은 화분의 화분 내부 흙에 흡수된 다음 식물의 뿌리에 흡수된다.
그리고 공기안내공(21'b), 심지지지체(21')의 내부공간 및 지지체통기공(21'c)을 연결하는 경로를 통해 공기가 식물의 뿌리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지(22)가 화분의 내부에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수통(10)과 화분 내부 흙 사이에 심지지지체(21)가 배치됨으로써, 외부충격시 화분의 내부 흙이 저수통(1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가 화분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화분내부로 진입한 심지지지체에 의해 화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음).
또한 화분내부로 진입한 심지지지체(21)에 의해 뿌리가 분산됨으로써,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저수통바닥면부(11)에 바닥면통기공(11a)을 형성하고 심지지지체(21)는 지지체통기공(21c)을 형성함으로써, 심지(22)를 통해 식물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 21')에 공기안내공(21b, 21'b)을 형성함으로써, 식물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 21')에 공기안내홈(21a, 21'a)을 형성하고 공기안내홈(21a, 21'a)의 바닥면에 공기안내공(21b, 21'b)을 형성함으로써, 식물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고 화분바닥에 고여 있는 물을 공기안내홈(21a, 21'a)을 따라 저수통(10, 10')으로 자연낙하방식으로 흘러내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화분바닥에 고여 있는 물이 공기안내홈(21a, 21'a)을 따라 저수통(10, 10')으로 흘러내리게 되면 뿌리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수통(10)의 내부에 화분지지체(25)를 설치함으로써, 화분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30')을 추가함으로써, 심지지지체(21')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체통기공(21c, 21'c)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심지(22, 22')를 형성함으로써, 지지체통기공(21c, 21'c)을 통해 화분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110 : 저수통 11, 11', 111 : 저수통바닥면부
12, 12', 112 : 저수통둘레벽부 13 : 유격돌기
21, 21' : 심지지지체 22, 22' : 심지
25, 125 : 화분지지체 30' : 지지프레임
123 : 수평심지 124 : 수직심지
201, 210' : 화분

Claims (7)

  1. 삭제
  2. 화분바닥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를 갖는 상향 개구의 저수통과 하단이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배수공을 통해 화분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뿔형태의 심지지지체와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심지지지체의 외표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고깔형태의 심지를 갖는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고깔형태로 기립형성되고, 상단에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는 상기 심지지지체의 고깔개구에 연통하도록 바닥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통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를 저수통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하고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저수통설치면사이를 통해 상기 바닥면통기공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유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가 화분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화분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화분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고깔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공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체통기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측면에 요형의 공기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안내공은 상기 공기안내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KR1020110024914A 2010-07-08 2011-03-21 화분용 급수장치 KR101103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00999A JP2014508538A (ja) 2011-03-21 2012-03-21 植木鉢用給水装置
PCT/KR2012/002019 WO2012128550A2 (ko) 2011-03-21 2012-03-21 화분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5712 2010-07-08
KR1020100065712 2010-07-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3585B1 true KR101103585B1 (ko) 2012-01-09

Family

ID=4561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914A KR101103585B1 (ko) 2010-07-08 2011-03-21 화분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35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642A1 (ko) * 2013-09-26 2015-04-0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경사면 및 옥상녹화에 이용가능한 녹화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N105961070A (zh) * 2016-07-04 2016-09-28 胡玥 一种花盆组件
KR20160120123A (ko) 2015-04-07 2016-10-17 이기환 화분용 급수장치
CN108566843A (zh) * 2018-06-21 2018-09-25 程德成 透气储水控水花盆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KR102476298B1 (ko) * 2022-06-27 2022-12-08 송상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851A (ja) * 1993-11-30 1995-06-13 Kajima Corp 鉢植え植物への給水装置
KR200295062Y1 (ko) * 2002-08-14 2002-11-18 조미정 화분
KR20020095062A (ko) * 2001-06-06 2002-12-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접이형 전자기기와 그 가요성 기판
KR20040095527A (ko) * 2003-05-09 2004-11-15 호명철 난초 화분용 받침대
KR20050110828A (ko) * 2004-05-19 2005-11-24 강희광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7851A (ja) * 1993-11-30 1995-06-13 Kajima Corp 鉢植え植物への給水装置
KR20020095062A (ko) * 2001-06-06 2002-12-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접이형 전자기기와 그 가요성 기판
KR200295062Y1 (ko) * 2002-08-14 2002-11-18 조미정 화분
KR20040095527A (ko) * 2003-05-09 2004-11-15 호명철 난초 화분용 받침대
KR20050110828A (ko) * 2004-05-19 2005-11-24 강희광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6642A1 (ko) * 2013-09-26 2015-04-02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경사면 및 옥상녹화에 이용가능한 녹화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20160120123A (ko) 2015-04-07 2016-10-17 이기환 화분용 급수장치
CN105961070A (zh) * 2016-07-04 2016-09-28 胡玥 一种花盆组件
CN108566843A (zh) * 2018-06-21 2018-09-25 程德成 透气储水控水花盆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KR102476298B1 (ko) * 2022-06-27 2022-12-08 송상호 다단의 적층 보관이 가능한 기능성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585B1 (ko) 화분용 급수장치
JP2014508538A (ja) 植木鉢用給水装置
US8381441B2 (en) Insertable plant watering device and reservoir with inlet pipe
US20210307260A1 (en)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JP3139768U (ja) 植物栽培プランターの構造
KR101225181B1 (ko) 다공성 경량 소결체를 이용한 식생구조체
US20190261586A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method
JP2004261016A (ja) 緑化体
KR102039792B1 (ko) 화분 받침대
JP6648066B2 (ja) 植栽容器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CN203181703U (zh) 花盆供水装置
KR20200086831A (ko) 자동 관수 화분
CN205071766U (zh) 一种缓释肥景观花坛
JP2002051643A (ja) 植栽用ボックス
US20080236039A1 (en)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KR102281032B1 (ko)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KR20130077304A (ko) 심지관수식 식물 재배방법
NL2018076B1 (en) A plate-shaped structure, a reservoir and a method
KR20110087721A (ko) 거리 경관용 화분
KR20240000031U (ko) 우수한 통풍성을 갖는 화분
KR200475800Y1 (ko) 화분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