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28550A2 - 화분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28550A2
WO2012128550A2 PCT/KR2012/002019 KR2012002019W WO2012128550A2 WO 2012128550 A2 WO2012128550 A2 WO 2012128550A2 KR 2012002019 W KR2012002019 W KR 2012002019W WO 2012128550 A2 WO2012128550 A2 WO 201212855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ck
reservoir
po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20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28550A3 (ko
Inventor
김인하
김동욱
Original Assignee
Kin In Ha
Kim Dong Woo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1002491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103585B1/ko
Application filed by Kin In Ha, Kim Dong Wook filed Critical Kin In Ha
Priority to JP201450099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08538A/ja
Publication of WO201212855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28550A2/ko
Publication of WO201212855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2855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tted plant in which the drain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pot.
  • one of the methods is a technology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a reservoir through a wick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otting water supply device.
  • the conventional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plants includes a reservoir 110 having an upward opening, a potted plant support 125 having a concave shap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110, and a potted plant support. It has a horizontal wick 123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125, and a vertical wick 124 connected to the horizontal wick 123 to reach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110.
  • the reservoir 110 has a reservoir bottom surface 111 and a reservoir circumferential wall 112 formed upright from the perimeter edge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111.
  • the water tank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112 has a support jaw 112a having a shape bent twice at an upper end thereof.
  • Pot support 12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wick guide hole (125a) on the bottom surface.
  • the horizontal wick 123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andwich in which a near-penetrating barrier layer portion 123b is interposed between a pair of absorbing layer portions 123a.
  • Each absorbent layer portion 123a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or felt.
  • the near-penetration barrier layer portion 123b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mesh of UV-treated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root barrier layer 123b having such a configuration serves to prevent the root of the plant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reservoir 110.
  • the vertical wick 124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nonwoven fabric or felt.
  • the vertical wick 124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installed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110 through the wick guide hole 125a.
  • the planter support 125, the horizontal wick 123 and the vertical wick 124 are installed.
  • the reservoir 110 is filled with water.
  • 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110 is transferred to the horizontal wick 123 through the vertical wick 124.
  • the pot 1201 is installed on the support jaw 112a so that the drain hole 1201a is adjacent to the horizontal wick 123.
  • the water delivered to the horizontal wick 123 in the state in which the pot 201 is installed is absorbed into the soil inside the pot through the drain hole 201a of the pot and then absorbed in the root of the pla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into the inner soil of the pot, to prevent the inner soil of the pot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drain hol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initial installation state of the pot and roots It is to provide potting water supplies that promote growth and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and nutrients absorbed from the soil by the roots.
  •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potted plant in which the drainage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otted plan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d the bottom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is formed standing around A reservoir passage of an upward opening having a reservoir passage wall portion; A horn-shaped wick support having a lower end disposed between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art and the potted bottom surface part and having an upper end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through the drain hole; Made by an absorbent material, it is achieved by a potting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wick in the form of a collar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ck support.
  • the wick support is erected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to support the plant roots through the wick supporter, and a support vent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 a bottom surface through-hole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opening of the wick support;
  • the reservoir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to support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with respect to the reservoir installation surface and to supply air to the bottom through-hole through between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and the reservoir installation surfac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a clearance protrusion.
  • the wick support further comprises a pot support installed inside the reservoir so as to support the load of the pot in the state entered into the pot.
  •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wick support against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to maintain the initial installation state of the wick support stably.
  • the wick support is preferably formed in a solid form.
  • the air guide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wick support, and the support vent hole is formed at the upper end so as to supply air to the plant root through the wick support.
  • the wick is preferably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upport hole in the upper side to prevent the pollen soil flows through the support hole.
  • the wick suppor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air guide groove of the conca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guide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guide groove It is preferable.
  • Watering device for a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tted plant comprising a planter bottom surface portion having at least one drain hole, and a planter peripheral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edge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portion, coupled to the drainage hole
  • the wick support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spa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and has a support vent hole at the top, supported by the wick support body to absorb moisture from the bottom of the pot bottom surface through the drain hole to supply to the top of the pot bottom surface
  • the wick and stores the moistur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o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servoir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wick.
  • the potted bottom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dge of the drain hole has a fixing protruding above or below the potted bottom surface portion.
  • the wick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mference becomes gradually narrower or wider shape in the protruding longitudinal direction.
  • the wick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air guide hole for ventilation.
  • the wick support comprises an air guide groove of the shap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air guide hole is located in the cut-out portion of the air guide groove do.
  • the wi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vent hole from above.
  • the reservoi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t least one water supply port for supplying water from the outside.
  •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plant is installed in the potted plant grown in the pot.
  • the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rim of the planter wall.
  • the wick enters the inside of the pot,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the soil inside the pot.
  • the wick support is disposed between the reservoir and the inner soil of the pot, the inner soil of the po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reservoir during the external impact.
  • the wick support enters the inside of the pot,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initial installation state of the pot.
  • the roots are dispersed by the wick support entering the pot,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roots and the amount of water and nutrients absorbed by the roots from the soil increases.
  • a support for the growth of plants can be a plant that grows stab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pot support body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wick support member shown in FIG. 8.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9;
  • FIG. 12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8;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8;
  • Figure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otting water supply device.
  • FIG.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irst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drawing of a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Potted water supply device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reservoir 10 of the upward opening, the wick support 21 standing up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10, and The wick 22 provided in the wick support 21 and the pollen support 25 standing up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10 in the circumferential area of the wick support 21 are included.
  • Reservoir 10 is a reservoi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the reservoi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12 standing up from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and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It has the protrusion 13.
  •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art 11 is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hole 11a so that it may communicate with the collar opening of the wick support body 21. As shown in FIG.
  • the clearance projection 13 is formed in a plurality of dispers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 the clearance projection 13 may support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with respect to the reservoir installation surface, and air may flow into the bottom cylinder hole 11a through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and the reservoir installation surface. Can be supplied.
  • the wick support 21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oli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outer surface such as a side of a horn shape such as a cone, a truncated cone, a square pyramid, a truncated square pyramid, and a truncated horn shape.
  • a horn shape such as a cone, a truncated cone, a square pyramid, a truncated square pyramid, and a truncated horn shape.
  • the wick support 21 is formed in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11 to enter the inside of the pot through the drain hole 201a when the pot enters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10 from the upper direction.
  • the wick support 21 has a support vent hole 21c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air guide groove 21a of the concave shape reaches the upper end in the region entering the inside of the flower pot. Formed.
  • the air guide groove 21a is formed to reach the top.
  • An air guide hole 21b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guide groove 21a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wick 22 is formed in a solid shape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vent hole 21c from above.
  • the wick 2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a felt, or a sponge, and is install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ick support 21.
  • the pollen support 25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ross in the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wick support 21.
  • the height of the pot support 25 is selected so that the wick support 21 enters the inside of the pot beyond the drain hole 201a when the pot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pot support 25.
  • a method of u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as follows.
  • the wick 22 is installed on the wick support 21.
  • the reservoir 10 is filled with water.
  • the flower pot 201 is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flower pot support 25.
  • the water absorbed in the wick 22 is absorbed into the soil inside the potted plant and then to the root of the plant.
  • the pollen support 2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servoir 10, but the pollen support 25 is separated from the reservoir 10 as shown in FIG. The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installing the pot support 25 on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or on the reservoi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12.
  • Reference numeral 25a of FIG. 5 denotes a water passage through which water passes when filling the reservoir 10 with water.
  • the wick support 21 is formed in a solid shape, but the wick support may be formed in a horn shape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rn shape is used as a meaning including both a horn shape and a truncated horn shape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a side such as a cone, a square pyramid, and the like.
  • the pollen support 25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servoir 10, but the pollen support is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reservoir 10 and then coupled to the reservoir 10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 FIG. 6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and Figure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FIG. 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wick support shown in FIG. 8
  •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9, and
  • 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 the potted plant 210 'shown in FIG. 6 has a rectangular potted planter bottom portion 211', a plan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212 'formed upright from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potted planter bottom portion 211', and a potted planter bottom portion 211 '. It has a potted leg portion 213 'exte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lan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212' in the four corner regions.
  • the drainage hole 211'a is formed in the planter bottom surface 211 '.
  • the reservoir 10 'of the upward opening and the reservoir 10' is installed It has a support frame 30 ', a wick support 21' of a solid shape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support frame 30 ', and a wick 22' provided at the wick support 21 '.
  • the reservoir 10 ' has a reservoir bottom 11' and a reservoir 12 'standing up from the perimeter edge of the reservoir bottom 11'.
  •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 the water contain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12 ′ is formed to have a height section lower than the flower pot bottom surface portion 211 ′ when the water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 is aligned with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leg 213 ′.
  • the wick support 21 ′ is formed in a solid shape, and may have an outer surface such as a horn shape such as a cone, a truncated cone, a square pyramid, a truncated square pyramid, and a side of a truncated horn shape. .
  • the wick support 21 ′ may protrude beyond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211 ′ through the drain hole 211 ′ when supported by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 through the support frame 30 ′. It is formed to have a length section.
  • the wick support 21 ' is formed with a support vent hole 21'c at the upper end, and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air guide groove 21'a of the concave shape reaches the upper end at the side. It is.
  • the air guide groove 21'a is formed to reach the top.
  • Air guide holes 21'b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guide groove 21'a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air guide hole 21'b is formed at least in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between the top of the reservoir wall portion 12 'and the planter bottom surface 211'.
  • the wick support body 21 ' having such a structure is install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late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31' described later in a stat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34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core supporting member 21 'is supported by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through the support frame 30 '.
  • the wick 22 ' is formed in a solid shape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vent hole 21'c from above.
  • the wick 22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made of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a felt or a sponge, and is install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wick support 2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34 'described later.
  • the support frame 30 '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late 31' and a pair of support rings 32 'arranged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support plate 31', and between the support ring 32 'and the support plate 31'. It has a connecting bar 33 'for connecting and a support column 34' standing up in the center region of the support plate 31 '.
  • the support frame 30 ' is installed such th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31' contacts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
  • the wick 22 ' is installed on the wick support 21'.
  • the support frame 30 '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servoir bottom surface portion 11'.
  • the wick 22 ' is coupled to the support pillar 34' such that the wick support 21 'protrudes beyond the upper surface of the pot bottom surface 211' by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211'a.
  • the water absorbed in the wick 22 ' is absorbed into the soil inside the potted plant and then to the root of the plant.
  • Air is delivered to the root of the plant through a path connecting the air guide hole 21'b, the inner space of the wick support 21 ', and the support vent hole 21'c.
  • the wick 22 enters the inside of the pot,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absorbed by the soil inside the pot.
  • the wick support 21 is disposed between the reservoir 10 and the soil inside the pot, thereby preventing the inner soil of the pot from falling to the reservoir 10 when the external impact.
  • the roots are dispersed by the wick support 21 that enters the inner pot, thereby promoting the growth of the roots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and nutrients absorbed from the soil by the roots.
  •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plant roots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bottom of the pot can flow down the water reservoirs (10, 10 ') along the air guide grooves (21a, 21'a) in a natural dropping manner. do. In this way,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bottom of the plant can flow down the reservoirs 10 and 10 'along the air guide grooves 21a and 21'a to prevent the roots from being damaged.
  • FIG 13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5 is a fourth Sectional drawing of a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t 410, a wick support 420, a wick 430, and a reservoir 440.
  • the flower pot 410 is a kind of bowl used for planting plants containing soil, and includes a flower pot bottom portion 411 and a flower pot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412.
  • the pot bottom surface 411 has at least one drain hole for supplying the water of the reservoir 440 into the pot 410 using the wick 430.
  • Plan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412 is projected upward from the border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 the potted wall portion 412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potted bottom surface 411.
  • the wick support 420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located in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serves to support the wick 430, the wick support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planter circumferential wall portion 412 in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space between.
  • the wick support 420 has a support vent hole 421 for ventilation at the top.
  • the wick support 420 may have at least one air guide hole 422 for ventilation in portions other than the upper end.
  • the wick support 4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ir guide groove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or example, the air guide groove 423 may have a concave shape, in this case for ventilation Air guide hole 422 may be located in the cut-out portion of the air guide groove 423.
  • the wick support 42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ircumference becomes gradually narrower or wider in the entire section or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protruding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 cone, a truncated cone, a triangular pyramid, a square pyramid, or the like. It can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pyramid, a truncated pyramid, and a horn having a star cross section.
  • the wick 430 is supported by the wick support 420 to absorb water from the water reservoir 44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ot bottom surface 411 to serve as an upper portion of the pot bottom surface 411.
  • the wick 430 may include an absorbent material such as a nonwoven fabric, felt, or sponge.
  • the wick 4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vent hole 421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wick support 420, through which the soil in the planter 410 is a support vent hole ( 421 may be blocked or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reservoir 440.
  • Reservoir 440 is a reservoir for storing moisture, and serves to supply moisture to the wick 430 i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pot (410).
  • the reservoir 440 has at least one water supply port so as to receive water from the outside even when combined with the pot.
  • the water inlet of the reservoir 44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440 is bent to the outside.
  • the pot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form separated into a pot 410, the wick support 420 and the wick 430, the reservoir 440.
  • the wick support 420 supporting the wick 430 may be coupled in a form inserted through the drain hole 413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 wick support 420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located in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and supports the reservoir 440 that stores the moistur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planter (410).
  • the water supply port 441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reservoir 440 from the outside even when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pla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hrough which the user can receive the water reservoir. It is possible to check the water capacity of 440 and supply water whenever necessary.
  • the water inlet 441 may have, for example, a shape in which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reservoir 440 is bent to the outside.
  • the pot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m in which the bottom of the pot 410 and the reservoir 440 is coupled, the reservoir 440 is filled with water (1).
  • the water (1) of the reservoir 440 may be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441 after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 the reservoir 44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ot support 442 for supporting the pot 410, and the pot support 442 may have a form coupled to the bottom or side surface of the reservoir 440. It may have a form physically separated from the reservoir 440.
  • the wick support 420 coupled to the drainage hole 413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in FIG. 15 to support the wick 430 is a support vent hole 421 located at an upper end of the at least one air guide hole. 422 and the air guide groove 423 cut into a concav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support vent 421, the air guide 422 and the air guide groove 423 is the air exchange between the air inside the pot 410, the air inside the core support 420, the outside air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acts as a passage for, through which, the wick 430 to absorb the water in the reservoir 440 and supply it into the flower pot is active evaporation of water occurs, as a result of the pollen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icient water supply to the soil inside the pot (410).
  • the air guide hole 422 may be located in the cut-out portion of the air guide groove 423.
  • the wick 43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support vent hole 421 from above, through which the support vent hole 421 is blocked by soil inside the pot, or inside the pot. Soil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reservoir 440 through the support hole 421.
  • the wick 430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of the wick support 420, the air guide ball 422 is blocked by the soil inside the pot, or the soil inside the pot air guide hole Falling to the reservoir 440 through 422 may be prevented.
  •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ethod of using a water supply device for a p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6 shows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and air to the plant cultivated in the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tual pot.
  • the solid arrow indicates the flow of air.
  • Air outside the pot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nters the space between the pollen bottom surface 411 and the water (1) stored in the reservoir 440, the inner space of the wick support 420 and the air guide groove 423 It is passed through the soil inside the pots.
  • dotted arrows indicate the flow of moisture.
  • Water (1) stored in the reservoir 440 is absorbed by the wick 430 and climbs into the pot 410 along the wick 430 supported by the wick support 420 to evaporate.
  •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t 41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rainage hole 413 exists in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and an edge of the drainage hole 413 protrudes upward in the planter bottom surface portion 411 to form a fixing stand 414.
  • the wick support 420 is coupl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drain hole 413, the fixing rod 414 is such that the wick support 420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413 It is fixed to prevent movement.
  • the fixing stand 414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pot 411 at the edge of the drain hole 413,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xing stand 414 may protrude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or protrude in both directions above and below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upply device for pot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ck 430 and the wick support 420 were expressed in a separate form from each other, and the wick support 420 was separated from the drain hole 413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 the wick support 420 has a support vent hole 421 at the top, and has an air guide groove 423 cut out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ir guide hole 422 is concave of the air guide groove 423 It is located in the cut out shape.
  • the core support 420 has a constant shape in a certain section, bu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s constant over the whole or a certain section, or gradually becomes narrower or wider as you go from the bottom to the top, or the circumference of each part is different, or gradually narrows or widens only in a certain section of the top or bottom
  • the wick support 420 can be employed.
  •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ick support 420 has a wider shape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through which the wick support 420 is connected to the drain hole 413 from the bottom of the planter bottom surface 411.
  • the bonding becomes easier.
  •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m, the wick support 420 can be produced in the form coupled to the drain hole 413 from the beginn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ardiac support 420 planter bottom surface portion It may be coupl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of 411.
  • the wick 430 supported by the wick support 420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vent 421 and the air guide hole 422, through which the support vent ( 421 or the air guide hole 422 may be blocked by the soil, or the soil in the pot 410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reservoir 440.
  • the wick 430 supported by the wick support 420 may be coupled to the wick support 420 in such a manner that the upper end of the wick support 420 is inserted into a lower end thereof.
  • a cross section of the wick support 4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8.
  • an air guide hole 422 for venting is positioned at a portion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ck support 420.
  •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some embodiments, the air guide hole 422 may be located at any portion of the wick support 420.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18.
  • the air guide groove 423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ck support 420.
  •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air guide groove 423 may take any form of space through which air passes.
  • 2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potting wat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1 shows a form in which the supporter 450 is coupled to the potting water supply device of the embodiment of FIG. 1.
  • Support 45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pot 410 serves to support the plants grown in the pot 410.
  • the plant cultivated in the potted plant 410 equipped with a potting water suppl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upport 450, it can help to grow the plant.
  • the support 450 may be fixed to the edge of the pot circumference wall portion 412 as shown in FI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갖는 화분바닥면부 및 화분바닥면부의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화분둘레벽부를 포함하는 화분과, 배수공에 결합되고 화분둘레벽부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었으며 상단에 지지체통기공을 갖는 심지지지체와, 심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배수공을 통해 화분바닥면부의 하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화분바닥면부의 상부로 공급하는 심지와, 수분을 저장하고 화분의 하부에 결합되어 심지로 수분을 공급하는 저수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가 화분의 내부에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급수장치
본 발명은 화분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분바닥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물을 화분에 심어 재배하는 경우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화분에 물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종래 화분에 대한 물공급작업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해주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으며, 그 방법 중의 하나로 저수통에 저장된 물을 흡수성 재질로 제작된 심지를 통해 공급하는 기술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22는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개구의 저수통(110)과, 저수통(110)의 상면에 설치된 요형(凹形)의 화분지지체(125)와, 화분지지체(125)의 바닥면에 설치된 수평심지(123)와, 저수통(110)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수평심지(123)에 연결된 수직심지(124)를 갖고 있다.
저수통(110)은 저수통바닥면부(111)와, 저수통바닥면부(11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112)를 갖고 있다.
저수통둘레벽부(112)는 상단에 2회 절곡된 형태의 지지턱(112a)이 형성되어 있다.
화분지지체(125)는 바닥면에 다수의 심지안내공(125a)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심지(123)는 한 쌍의 흡수층부(123a)사이에 근침투차단층부(123b)가 개재된 샌드위치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각 흡수층부(123a)는 부직포, 펠트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된다.
근침투차단층부(123b)는 UV처리된 합성수지재로 메쉬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근침투차단층부(123b)는 식물의 뿌리가 저수통(110)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수직심지(124)는 부직포, 펠트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심지(124)는 심지안내공(125a)을 통과하여 저수통(110)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분지지체(125), 수평심지(123) 및 수직심지(124)를 설치한다.
다음에 저수통(110)에 물을 채운다.
저수통(110)에 물이 채워지면 저수통(110)에 저장된 물은 수직심지(124)를 통해 수평심지(123)에 전달된다.
다음에 배수공(1201a)이 수평심지(123)에 인접하도록 화분(1201)을 지지턱(112a)에 설치한다.
화분(201)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심지(123)로 전달된 물은 화분의 배수공(201a)을 통해 화분 내부 흙에 흡수된 다음 식물의 뿌리에 흡수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따르면, 심지(123, 124)가 화분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저수통(110)과 화분 내부 흙 사이에는 장벽이 없기 때문에 외부충격시 화분의 내부 흙이 배수공(201a)을 통해 저수통(110)으로 낙하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분 내부로 진입하는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없고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이 감소한다(뿌리가 일정영역에 집중됨)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고, 화분의 내부 흙이 배수공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화분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분바닥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를 갖는 상향 개구의 저수통과; 하단이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배수공을 통해 화분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뿔형태의 심지지지체와;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심지지지체의 외표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고깔형태의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심지지지체를 통해 식물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는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형성되고, 상단에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는 상기 심지지지체의 개구에 연통하도록 바닥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통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를 저수통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하고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저수통설치면사이를 통해 상기 바닥면통기공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유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가 화분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화분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화분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지지지체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를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심지지지체는 고깔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심지지지체를 통해 식물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의 측면에는 공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통기공을 통해 화분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체통기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심지지지체는 측면에 요형의 공기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안내공은 상기 공기안내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갖는 화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화분둘레벽부를 포함하는 화분, 상기 배수공에 결합되고 상기 화분둘레벽부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었으며 상단에 지지체통기공을 갖는 심지지지체, 상기 심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하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부로 공급하는 심지, 및 수분을 저장하고 상기 화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심지로 수분을 공급하는 저수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분바닥면부는 상기 배수공의 테두리가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위 또는 아래로 돌출된 고정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돌출된 길이 방향으로 둘레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 또는 넓어지는 형상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통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길이 방향으로 잘라낸 형상의 공기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안내공은 상기 공기안내홈의 상기 잘라낸 형상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체통기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은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지탱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화분둘레벽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심지가 화분의 내부에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저수통과 화분 내부 흙 사이에는 심지지지체가 배치됨으로써, 외부충격시 화분의 내부 흙이 저수통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심지지지체의 구조를 이용하여 공기의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수분의 화분 내부에 좀 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심지지지체가 화분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화분내부로 진입한 심지지지체에 의해 뿌리가 분산됨으로써,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이 증가한다.
또한 식물의 생장을 위한 지지대를 이용하여 식물이 안정적으로 자라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화분지지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심지지지체의 확대사시도,
도 10은 도9의 A-A선 단면도,
도 11은 도9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A-A'선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B-B'선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22는 종래의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저수통(10)과, 저수통(10)의 바닥면으로부터 기립형성된 심지지지체(21)와, 심지지지체(21)에 설치된 심지(22)와, 심지지지체(21)의 둘레영역에서 저수통(10)의 바닥면으로부터 기립형성된 화분지지체(25)를 갖고 있다.
저수통(10)은 저수통바닥면부(11)와,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12)와,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저면에 형성된 유격돌기(13)를 갖고 있다.
저수통바닥면부(11)에는 심지지지체(21)의 고깔개구에 연통하도록 바닥면통기공(11a)이 형성되어 있다.
유격돌기(13)는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저면에 다수개 분산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격돌기(13)는 저수통바닥면부(11)를 저수통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고 저수통바닥면부(11)와 저수통설치면사이를 통해 바닥면통기공(11a)에 공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심지지지체(21)는 예를 들어, 고깔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고깔형태란 원뿔, 절두된 원뿔, 사각뿔, 절두된 사각뿔 등과 같은 뿔형태와 절두된 뿔형태의 측면과 같은 외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심지지지체(21)는 화분이 상방향으로부터 저수통(10)의 내부로 진입할 때 배수공(201a)을 통해 화분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저수통바닥면부(11)에 형성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는 상단에 지지체통기공(21c)이 형성되어 있고, 화분의 내부로 진입하는 영역에 요형(凹形)의 공기안내홈(21a)이 상단에 도달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은 상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의 바닥면에는 공기안내공(21b)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심지(22)는 고깔형태로 형성되고, 지지체통기공(21c)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심지(22)는 부직포, 펠트, 스폰지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심지지지체(21)의 외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화분지지체(25)는 심지지지체(21)의 둘레영역에서 십자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화분지지체(25)의 높이는 화분이 화분지지체(25)의 상단에 설치될 때 심지지지체(21)가 배수공(201a)을 넘어 화분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지지지체(21)에 심지(22)를 설치한다.
다음에 저수통(10)에 물을 채운다.
다음에 화분지지체(25)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화분(201)을 설치한다.
저수통(10)에 물이 채워지면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은 심지(22)에 흡수된다.
심지(22)에 흡수된 물은 화분의 화분 내부 흙에 흡수된 다음 식물의 뿌리에 흡수된다.
그리고 바닥면통기공(11a)과 지지체통기공(21c)을 연결하는 경로, 바닥면통기공(11a), 공기안내공(21b), 공기안내홈(21a)과 심지(22)를 연결하는 경로, 바닥면통기공(11a), 공기안내공(21b), 공기안내홈(21a)과 지지체통기공(21c)을 연결하는 경로 및 화분(201)의 저면과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의 표면 사이공간, 공기안내홈(21a)과 심지(22)를 연결하는 경로를 통해 공기가 식물의 뿌리에 전달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분지지체(25)를 저수통(10)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도5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같이 화분지지체(25)를 저수통(10)과 분리하여 제작한 후 저수통바닥면부(11)에 설치하거나 또는 저수통둘레벽부(12)에 화분지지체(25)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5의 도면번호 25a는 저수통(10)에 물을 채울 때 물이 통과하는 통수공이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심지지지체(21)를 고깔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나, 뿔형태로 심지지지체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뿔형태란 원뿔, 사각뿔 등 측면에 경사면을 갖는 뿔형태와 절두된 뿔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화분지지체(25)를 저수통(10)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나, 화분지지체를 저수통(10)과 분리 제작한 후 저수통(10)에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수통(10)에 지지되는 화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지면에 지지되는 화분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9는 도8에 도시된 심지지지체의 확대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A-A선 단면도이고, 도11은 도9의 B-B선 단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화분(210')은 장방형상의 화분바닥면부(211')와, 화분바닥면부(211')의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화분둘레벽부(212')와, 화분바닥면부(211')의 네 모서리영역에서 화분둘레벽부(212')와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화분다리부(213')를 갖고 있다.
화분바닥면부(211')에는 배수공(2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분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개구의 저수통(10')과, 저수통(10')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3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고깔형태의 심지지지체(21')와, 심지지지체(21')에 설치된 심지(22')를 갖고 있다.
저수통(10')은 저수통바닥면부(11')와, 저수통바닥면부(11')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 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12')를 갖고 있다.
저수통바닥면부(11')는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수통둘레벽부(12')는 저수통바닥면부(11')가 화분다리부(213')의 하단에 정렬될 때 화분바닥면부(211')보다 낮은 높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심지지지체(21')는 고깔형태로 형성되는 데, 본 명세서에서 고깔형태란 원뿔, 절두된 원뿔, 사각뿔, 절두된 사각뿔 등과 같은 뿔형태와 절두된 뿔형태의 측면과 같은 외표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심지지지체(21')는 지지프레임(30')을 통해 저수통바닥면부(11')에 지지될 때 배수공(211'a)을 통해 화분바닥면부(211')의 상면을 넘어 돌출될 수 있는 길이구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는 상단에 지지체통기공(21'c)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요형(凹形)의 공기안내홈(21'a)이 상단에 도달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은 상단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공기안내홈(21'a)의 바닥면에는 공기안내공(21'b)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공기안내공(21'b)은 최소한 저수통둘레벽부(12')의 상단과 화분바닥면부(211') 사이 영역에 대응하는 구간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심지지지체(21')는 저면이 후술하는 지지기둥(34')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지지판(31')의 판면에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심지지지체(21')는 지지프레임(30')을 통해 저수통바닥면부(11')에 지지된다.
심지(22')는 고깔형태로 형성되고, 지지체통기공(21'c)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심지(22')는 부직포, 펠트, 스폰지 등의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심지지지체(21')의 외표면과 후술하는 지지기둥(34')의 외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지지프레임(30')은 지지판(31')과, 지지판(31')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지지링(32')과, 지지링(32')과 지지판(3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바(33')와, 지지판(31')의 중앙영역에 기립형성된 지지기둥(34')을 갖고 있다.
지지프레임(30')은 지지판(31')의 저면이 저수통바닥면부(11')에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심지지지체(21')에 심지(22')를 설치한다.
다음에 저수통(10')을 화분다리부(213')사이로 밀어 넣는다.
다음에 지지프레임(30')을 저수통바닥면부(11')의 상면에 설치한다.
다음에 심지지지체(21')가 배수공(211'a)을 통과하여 화분바닥면부(211')의 상면을 넘어 돌출하도록 심지(22')를 지지기둥(34')에 결합한다.
다음에 저수통(10')에 물을 채운다.
저수통(10')에 물이 채워지면 저수통(10')에 저장된 물은 심지(22')에 흡수된다.
심지(22')에 흡수된 물은 화분의 화분 내부 흙에 흡수된 다음 식물의 뿌리에 흡수된다.
그리고 공기안내공(21'b), 심지지지체(21')의 내부공간 및 지지체통기공(21'c)을 연결하는 경로를 통해 공기가 식물의 뿌리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심지(22)가 화분의 내부에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내부 흙에 흡수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수통(10)과 화분 내부 흙 사이에 심지지지체(21)가 배치됨으로써, 외부충격시 화분의 내부 흙이 저수통(1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가 화분 내부로 진입함으로써, 화분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화분내부로 진입한 심지지지체에 의해 화분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음).
또한 화분내부로 진입한 심지지지체(21)에 의해 뿌리가 분산됨으로써, 뿌리의 성장을 촉진하고 흙으로부터 뿌리에 흡수되는 물과 영양분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저수통바닥면부(11)에 바닥면통기공(11a)을 형성하고 심지지지체(21)는 지지체통기공(21c)을 형성함으로써, 심지(22)를 통해 식물 뿌리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 21')에 공기안내공(21b, 21'b)을 형성함으로써, 식물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심지지지체(21, 21')에 공기안내홈(21a, 21'a)을 형성하고 공기안내홈(21a, 21'a)의 바닥면에 공기안내공(21b, 21'b)을 형성함으로써, 식물 뿌리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더욱더 증가시킬 수 있고 화분바닥에 고여 있는 물을 공기안내홈(21a, 21'a)을 따라 저수통(10, 10')으로 자연낙하방식으로 흘러내리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화분바닥에 고여 있는 물이 공기안내홈(21a, 21'a)을 따라 저수통(10, 10')으로 흘러내리게 되면 뿌리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수통(10)의 내부에 화분지지체(25)를 설치함으로써, 화분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프레임(30')을 추가함으로써, 심지지지체(21')의 초기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체통기공(21c, 21'c)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심지(22, 22')를 형성함으로써, 지지체통기공(21c, 21'c)을 통해 화분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분용 급수장치는 화분(410), 심지지지체(420), 심지(430) 및 저수통(440)을 포함한다.
화분(410)은 흙을 담고 식물을 심어 가꾸는데 이용되는 그릇의 일종으로서, 화분바닥면부(411)와 화분둘레벽부(412)를 포함한다.
화분바닥면부(411)는 심지(430)를 이용하여 저수통(440)의 수분을 화분(41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가진다.
화분둘레벽부(412)는 화분바닥면부(411)의 테두리에서 위로 돌출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화분둘레벽부(412)는 화분바닥면부(411)의 테두리에서 아래로도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심지지지체(420)는 화분바닥면부(411)에 위치한 배수공에 결합되어 심지(4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심지지지체(420)는 화분바닥면부(411)에서 화분둘레벽부(412)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된다.
심지지지체(420)는 상단에 통풍을 위한 지지체통기공(421)을 가진다.
또한, 심지지지체(420)는 상단을 제외한 부분에 통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안내공(422)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심지지지체(420)는 실시예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잘라낸 형상의 공기안내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공기안내홈(423)은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통풍을 위한 공기안내공(422)은 공기안내홈(423)의 잘라낸 형상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심지지지체(420)는 돌출된 길이 방향으로 전체 구간 또는 그 중 일정 구간에서 둘레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 또는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뿔, 끝을 잘라낸 원뿔, 삼각뿔이나 사각뿔 등의 각뿔, 끝을 잘라낸 각뿔, 단면이 별 형태인 뿔 등 다양한 형상를 가질 수 있다.
심지(430)는 심지지지체(420)에 의해 지지되어 화분바닥면부(411)의 하부에 위치한 저수통(440)의 수분을 흡수하여 화분바닥면부(411)의 상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심지(430)는 부직포, 펠트, 스폰지 등의 흡수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지(430)는 심지지지체(420)의 상단에 위치한 지지체통기공(421)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분(410) 내의 흙이 지지체통기공(421)을 막거나 저수통(44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저수통(440)은 수분을 저장하는 저장소로서, 화분(410)의 하부에 결합하여 심지(430)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저수통(440)은 화분과 결합한 상태에서도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급수구를 가진다.
예를 들어, 저수통(440)의 급수구는 저수통(440)의 측면 벽 상단이 외부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가 화분(410), 심지지지체(420) 및 심지(430), 저수통(440)으로 분리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심지(430)를 지지하는 심지지지체(420)는 화분바닥면부(411)의 배수공(413)을 통해 삽입되는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화분바닥면부(411)에 위치한 배수공에 심지지지체(420)가 결합되면, 화분(410)의 하부에 수분을 저장한 저수통(440)을 받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화분(410)의 하부에 수분이 없는 저수통(440)를 받친 후, 급수구(441)를 통해 저수통(440)에 수분을 공급한다.
즉, 본 발명의 급수구(441)는,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가 결합된 상태에 있어도, 외부에서 저수통(440)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저수통(440)의 수분 용량을 확인하며 필요시마다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구(441)는, 예를 들어, 저수통(440) 측면 벽 상단이 외부로 구부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는 화분(410)의 하단과 저수통(440)이 결합된 형태를 가지고, 저수통(440)는 수분(1)이 채워져 있다.
이때, 저수통(440)의 수분(1)은 본 실시예의 화분용 급수장치가 결합된 후 급수구(441)를 통해 공급된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저수통(440)은 화분(410)를 지탱하기 위한 화분지지체(442)를 포함하고 있으며, 화분지지체(442)는 저수통(440)의 바닥면이나 옆면 등과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저수통(440)과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15에서 화분바닥면부(411)의 배수공(413)을 통해 결합되어 심지(430)를 지지하는 심지지지체(420)는, 상단에 위치한 지지체통기공(421), 산재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안내공(422)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태로 잘라낸 공기안내홈(423)을 포함한다.
지지체통기공(421), 공기안내공(422) 및 공기안내홈(423)은 화분(410) 내부 공기, 심지지지체(420) 내부의 공기, 본 발명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 외부 공기 간의 공기 교환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하고, 이를 통해, 저수통(440)의 수분을 흡수하여 화분 내부로 공급하는 심지(430)에서 수분의 증발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게 되며, 그 결과 본 발명의 화분용 수분공급장치는 좀 더 효율적으로 화분(410) 내부의 흙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공기안내공(422)은 공기안내홈(423)의 잘라낸 형상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지(430)는, 지지체통기공(421)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체통기공(421)이 화분 내부의 흙에 의해 막히거나, 화분 내부의 흙이 지지체통기공(421)을 통하여 저수통(44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심지(430)는, 심지지지체(42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공기안내공(422)이 화분 내부의 흙에 의해 막히거나, 화분 내부의 흙이 공기안내공(422)을 통하여 저수통(44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가 실제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에 수분 및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실선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 외부의 공기는 화분바닥면부(411)와 저수통(440)에 저장된 수분(1)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와 심지지지체(420)의 내부 공간 및 공기안내홈(423)을 통해 화분 내부의 흙으로 전달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점선 화살표는 수분의 흐름을 나타낸다.
저수통(440)에 저장된 수분(1)은 심지(430)에 흡수되고 심지지지체(420)에 지지된 심지(430)를 따라 화분(410) 내부로 올라가 증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수통(440)의 수분(1)을 화분 내부 깁숙한 곳까지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410)의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화분바닥면부(411)에는 배수공(413)이 존재하고, 배수공(413)의 테두리가 화분바닥면부(411)의 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대(414)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지지지체(420)는 예를 들어, 배수공(413)에 삽입되는 형태 등으로 결합되는데, 고정대(414)는 이렇게 배수공(413)에 결합되는 심지지지체(420)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 고정대(414)는 배수공(413)의 테두리에서 화분바닥면부(411)의 위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대(414)가 화분바닥면부(411)의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화분바닥면부(411)의 위, 아래 양 방향으로 각각 돌출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분해사시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심지(430)와 심지지지체(420)는 서로 분리된 형태로 표현되었으며, 심지지지체(420)는 화분바닥면부(411)의 배수공(413)으로부터 분리되어 표현되었다.
심지지지체(420)는 상단에 지지체통기공(421)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잘라낸 형상의 공기안내홈(423)을 가지며, 공기안내공(422)은 공기안내홈(423)의 오목하게 잘라낸 형상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심지지지체(420)는 일정 구간에서 그 둘레가 일정한 형상을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에 따라 원기둥이나 각기둥 처럼 길이 방향으로 그 둘레가 전체 또는 일정 구간에서 일정하거나, 하단부터 상단으로 갈 수록 그 둘레가 점차 좁아지거나 또는 점차 넓어지거나, 각 부분의 둘레가 서로 다르거나, 상단 또는 하단의 일정 구간에서만 점차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의 심지지지체(420)를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심지지지체(420)의 하단 부분의 둘레는 상단 부분의 둘레에 비해 더 넓은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분바닥면부(411)의 하단으로부터 심지지지체(420)가 배수공(413)에 결합되는 경우 결합이 더 용이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심지지지체(420)는 처음부터 배수공(413)에 결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심시지지체(420)의 형태에 따라 화분바닥면부(411)의 상단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심지지지체(420)에 의해 지지되는 심지(430)는 지지체통기공(421)의 상단부와 공기안내공(422)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지체통기공(421) 또는 공기안내공(422)이 흙에 의해 막히거나, 화분(410) 내 흙이 저수통(44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심지지지체(420)에 의해 지지되는 심지(430)는, 그 하단부에 심지지지체(420)의 상단부를 끼워넣는 형태로 심지지지체(420)와 결합할 수 있다.
심지지지체(420)의 단면에 대해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도 1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심지지지체(420)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통기를 위한 공기안내공(422)이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공기안내공(422)은 심지지지체(420)의 어느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다.
도 20은 도 18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심지지지체(420)의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인 공기안내홈(423)이 존재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공기안내홈(423)은 공기가 통과하는 어떠한 모양의 공간 형태도 취할 수 있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화분용 급수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1는 도 1의 실시예의 화분용 급수장치에 지지대(450)를 결합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지지대(450)는 화분(410)에 결합되어 화분(410)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화분용 급수장치가 설비된 화분(410)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지지대(450)에 묶어, 해당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화분(410)의 흙에 식물을 묶을 수 있는 막대기 등을 박고, 해당 막대기를 지지대(450)로 고정한 후, 다시 막대기에 식물을 묶는 방식으로, 해당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이때, 지지대(450)는, 도 2와 같이 화분둘레벽부(412)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배수공을 갖는 화분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된 화분둘레벽부를 포함하는 화분;
    상기 배수공에 결합되고 상기 화분둘레벽부 사이 공간으로 돌출 형성되었으며 상단에 지지체통기공을 갖는 심지지지체;
    상기 심지지지체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수공을 통해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하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상부로 공급하는 심지; 및
    수분을 저장하고 상기 화분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심지로 수분을 공급하는 저수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바닥면부는 상기 배수공의 테두리가 상기 화분바닥면부의 위 또는 아래로 돌출된 고정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돌출된 길이 방향으로 둘레가 점차 좁아지는 형상 또는 넓어지는 형상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통풍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기안내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길이 방향으로 잘라낸 형상의 공기안내홈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안내공은 상기 공기안내홈의 상기 잘라낸 형상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체통기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통은 외부에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급수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 설치되어 상기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을 지탱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화분둘레벽부의 테두리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10. 화분바닥면부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고,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전 둘레연부로부터 기립형성된 저수통둘레벽부를 갖는 상향 개구의 저수통과 하단이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상기 화분바닥면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배수공을 통해 화분의 내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뿔형태의 심지지지체와 흡수성 재질로 제작되고 상기 심지지지체의 외표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형태의 심지를 갖는 화분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상면으로부터 고깔형태로 기립형성되고, 상단에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는 상기 심지지지체의 개구에 연통하도록 바닥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수통은 상기 저수통바닥면부를 저수통설치면에 대하여 지지하고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와 저수통설치면사이를 통해 상기 바닥면통기공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상기 저수통바닥면부의 저면에 돌출 형성된 유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가 화분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화분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상기 저수통의 내부에 설치된 화분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고깔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의 측면에는 공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지지체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상기 지지체통기공을 상측에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측면에 요형의 공기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안내공은 상기 공기안내홈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급수장치.
PCT/KR2012/002019 2011-03-21 2012-03-21 화분용 급수장치 WO2012128550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500999A JP2014508538A (ja) 2011-03-21 2012-03-21 植木鉢用給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14A KR101103585B1 (ko) 2010-07-08 2011-03-21 화분용 급수장치
KR10-2011-0024914 2011-03-21
KR1020120028564A KR20130106913A (ko) 2012-03-21 2012-03-21 화분용 급수장치
KR10-2012-0028564 2012-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28550A2 true WO2012128550A2 (ko) 2012-09-27
WO2012128550A3 WO2012128550A3 (ko) 2013-01-03

Family

ID=4687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2019 WO2012128550A2 (ko) 2011-03-21 2012-03-21 화분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4508538A (ko)
KR (1) KR20130106913A (ko)
WO (1) WO2012128550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2071A (zh) * 2015-02-05 2015-04-29 周建伟 花盆
CN105101783A (zh) * 2013-01-24 2015-11-25 马克·兰德尔·普雷斯科特 用于竖直和水平栽培系统的加压种植空气系统
TWI510185B (ko) * 2014-05-08 2015-12-01
CN105532290A (zh) * 2016-01-22 2016-05-04 刘乐凝 一种带有储水器的花盆
WO2019020212A1 (de) * 2017-07-25 2019-01-31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Pflanzenbehälter mit wasserspeic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621B1 (ko) 2015-04-07 2016-10-26 이기환 화분용 급수장치
KR101638289B1 (ko) * 2015-07-27 2016-07-08 에스씨이엔지주식회사 습기 자동 조절형 식물활성화가 가능한 다용도 화분
KR200481380Y1 (ko) * 2016-04-28 2016-09-23 김인하 식물식재장치
KR102069131B1 (ko) 2017-11-03 2020-01-22 대한민국 화분
KR20190050445A (ko)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KR102248544B1 (ko) * 2020-05-08 2021-05-06 대한민국 화분물받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372A (ko) * 2000-07-07 2001-11-09 정화석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95062Y1 (ko) * 2002-08-14 2002-11-18 조미정 화분
KR20040095527A (ko) * 2003-05-09 2004-11-15 호명철 난초 화분용 받침대
KR20050110828A (ko) * 2004-05-19 2005-11-24 강희광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7648Y2 (ko) * 1975-06-04 1979-07-06
JPS53139947U (ko) * 1977-04-11 1978-11-06
JPH01502075A (ja) * 1985-11-19 1989-07-27 レンケ ミカエル ミニチュア植物のための植木鉢
JPS62130452U (ko) * 1986-02-14 1987-08-18
JPH026439U (ko) * 1988-06-23 1990-01-17
JP3000103B2 (ja) * 1989-12-15 2000-01-17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時計の時刻自動修正方法
JP3032652B2 (ja) * 1992-10-22 2000-04-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水噴射式織機の緯糸検知装置
JPH075345U (ja) * 1993-06-22 1995-01-27 淳子 松本 植木鉢用水採取台
JPH07147851A (ja) * 1993-11-30 1995-06-13 Kajima Corp 鉢植え植物への給水装置
JPH09205893A (ja) * 1996-02-08 1997-08-12 Hiroyasu Morita 給水補水タンクを設けた一体型園芸鉢
JP2001078580A (ja) * 1999-09-16 2001-03-27 Takako Nakamura 外周に空間部をもち支柱固定装置を設けた植木鉢
JP2002027854A (ja) * 2000-05-10 2002-01-29 Kunio Takagi 植木鉢の給水装置
GB2367733B (en) * 2000-10-10 2004-01-14 Yuan-Song Lai Flower pot
EP1339275B1 (de) * 2000-12-04 2005-03-02 Iup Institut Für Umweltpflege Ag Formkörper zur verbesserung der kultivierungsbedingungen von pflanzen
JP2003235360A (ja) * 2002-02-18 2003-08-26 Narita Yuichi 水面上に空間のある底面給水の植木鉢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372A (ko) * 2000-07-07 2001-11-09 정화석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95062Y1 (ko) * 2002-08-14 2002-11-18 조미정 화분
KR20040095527A (ko) * 2003-05-09 2004-11-15 호명철 난초 화분용 받침대
KR20050110828A (ko) * 2004-05-19 2005-11-24 강희광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1783A (zh) * 2013-01-24 2015-11-25 马克·兰德尔·普雷斯科特 用于竖直和水平栽培系统的加压种植空气系统
TWI510185B (ko) * 2014-05-08 2015-12-01
CN104542071A (zh) * 2015-02-05 2015-04-29 周建伟 花盆
CN105532290A (zh) * 2016-01-22 2016-05-04 刘乐凝 一种带有储水器的花盆
WO2019020212A1 (de) * 2017-07-25 2019-01-31 Pöppelmann Holding GmbH & Co. KG Pflanzenbehälter mit wasserspeic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8538A (ja) 2014-04-10
KR20130106913A (ko) 2013-10-01
WO2012128550A3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28550A2 (ko) 화분용 급수장치
WO2012033259A1 (ko)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육묘구조물
WO2012067356A2 (ko) 수직벽용 포트 및 이에 사용되는 멀티필터 및 포트지지틀
WO2017074136A1 (ko) 가습청정장치
ES2108887T3 (es) Bandeja de cultivo para crecimiento de plantones.
KR101103585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0630503B1 (ko) 조경용 울타리
WO2014098434A1 (ko) 낙수방지 및 압력보정 기능을 갖는 스프링클러
WO2019088461A1 (ko) 화분물받이
WO2019209053A1 (ko) 조립식 식생 수로
US5172516A (en) Device for horticulture
WO2022092866A1 (ko) 식물 재배 장치
DE69502252D1 (de) Modulare Stütze für verpflanzte Pflanzen
WO2020071579A1 (ko) 수경 재배 용기
JP4226174B2 (ja) 育苗容器と植物苗の植えつけ構造ならびに前記育苗容器による植物苗を植えつけた植栽装置。
KR100933250B1 (ko) 다리 난간용 화분
WO2018101582A1 (ko)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WO2023096464A1 (ko) 식물재배장치
WO2018070650A1 (ko) 수경 재배 시스템
DK577586D0 (da) Indretning til mejetaersker til spredning af avner
WO2021080306A1 (ko) 스프링클러용 높이 조절 장치
JP3288583B2 (ja) マット状苗形成用容器
WO2014178612A1 (ko) 드립 커피 제조기
WO2012077937A2 (ko) 종자 파종기
WO2022086242A2 (ko)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이를 위한 배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602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00999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602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