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445A - 화분물받이 - Google Patents

화분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445A
KR20190050445A KR1020170145851A KR20170145851A KR20190050445A KR 20190050445 A KR20190050445 A KR 20190050445A KR 1020170145851 A KR1020170145851 A KR 1020170145851A KR 20170145851 A KR20170145851 A KR 20170145851A KR 20190050445 A KR20190050445 A KR 20190050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water
wick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순
한승원
정나라
김경미
정순진
장혜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7014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445A/ko
Priority to JP2020544720A priority patent/JP6967161B2/ja
Priority to PCT/KR2018/011664 priority patent/WO2019088461A1/ko
Priority to CN201880084259.5A priority patent/CN111970919A/zh
Priority to EP18872012.2A priority patent/EP3704932A4/en
Priority to US16/761,243 priority patent/US11490574B2/en
Publication of KR20190050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물받이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는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된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 둘레의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 내부로 전달하는 심지가 상기 화분이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분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심지를 지지하는 심지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물받이{flowerpot drain-pan}
화분의 관수를 위한 화분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생장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수분이다. 따라서 식물을 식재할 때는 관수설비를 미리 확보하여 식물의 생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화분물받이 중에는 상부에 지지되는 화분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화분의 관수 작업에 따른 시간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게 마련된 것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254369호에는 이러한 화분물받이의 일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화분물받이는 토양이 충진된 화분 내부의 식재공간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화분 저부의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펌프 및 노즐을 이용하여 다시 화분 내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화분물받이는 관수를 위한 물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나 관수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내부에 저장된 물을 펌프와 노즐을 이용하여 화분으로 전달하는 화분물받이는 상부에 화분을 안치한 상태에서도 노즐 등을 화분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화분의 관수와 관련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951호
화분의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화분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화분물받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는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된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 둘레의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 내부로 전달하는 심지가 상기 화분이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분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심지를 지지하는 심지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의 둘레의 상기 본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물받이는 상기 자급관수모듈을 상기 본체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자급관수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지 지지체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자급관수모듈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상부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 지지체는 상기 상부커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심지 지지체 둘레의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배수구멍 주변의 상기 화분 저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는 대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자급관수모듈이 본체에 일체로 설치되고, 자급관수모듈을 통해 생성된 물을 화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심지가 화분이 본체 상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화분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되므로, 화분의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화분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화분이 상부에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단면처리 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1)는 화분(2)으로 공급되었다가 화분(2) 저부의 배수구멍(2a)으로 배수되는 물을 받아내기 위한 것으로,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된 본체(10)와, 본체(10)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2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재질로는 플라스틱, 자기 등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자급관수모듈(20)은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바닥 중앙부에 고정되어 본체(10)와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자급관수모듈(20)은 열전소자(21)와, 열전소자(21)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22)와, 열전소자(21)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23)와, 방열부재(23)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전소자(21)는 2종의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시키거나,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상호 접합시킨 소자로써, 이러한 열전소자(21)는 직류 전류 인가시 양 금속표면에 흡열반응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특성을 가진다.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1)의 일측면은 냉각부를 형성하고, 발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1)의 타측면은 방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부재(22)와 방열부재(23)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열전소자(21)의 냉각부와 방열부에 각각 부착되고, 냉각팬(24)은 구동시 방열부재(23)를 냉각시키도록 방열부재(23)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급관수모듈(20)은 열전소자(21)와, 냉각부재(22) 및 방열부재(23)와, 냉각팬(24)이 상호 일체화된 상태로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미도시)이나 배터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냉각부재(22)는 열전소자(21)에 접촉하는 냉각판부(22a)와, 냉각판부(22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냉각핀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23)는 열전소자(21)에 부착되는 방열판부(23a)와, 방열판부(23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방열판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이 구동하게 되면,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흡열부에 의해 냉각부재(22)는 냉각되고, 이때 방열부재(23)는 냉각팬(24)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22)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냉각부재(22) 표면에 응축된 물은 상호 응집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냉각부재(22) 표면을 따라 저부로 안내되어 낙하함으로써, 본체(10) 저부에 고일 수 있게 된다.
냉각핀부(22b)는 냉각판부(22a)의 일면으로 돌출되되, 냉각부재(22)의 세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냉각판부(22a)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핀부(22b) 표면에 응집된 물은 그 자중에 의해 냉각핀부(22b) 표면을 따라 저부로 그대로 안내된 상태에서 본체(10) 바닥으로 낙하되어 본체(10) 저부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분물받이(1)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어려운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나 관수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화분(2)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자급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체(1)의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2)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자급관수모듈(20) 둘레의 본체(10)에는 지지부(11)가 마련된다.
지지부(11)는 본체(10)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리브(12)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각 지지리브(12)는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자급관수모듈(20)의 둘레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리브(12)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2)은 저부 둘레가 복수의 지지리브(12)에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자급관수모듈(10)은 화분(2)의 하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리브(12)가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에서는 저부의 직경 사이즈가 다양한 화분(2)이 본체(10)의 지지부(11)에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되도록 하기에 유리하게 된다.
본체(10) 상부의 개구가 화분(2)에 의해 대부분 가려진 상태에서도 자급관수모듈(20) 쪽으로 대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측면에는 통기공(13)이 마련될 수 있다.
통기공(13)은 본체(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급관수모듈(20)을 통해 생성되는 물이 통기공(13)을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본체(10) 저부에 저장될 수 있게 본체(10)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 자급관수모듈(20)을 통해 생성되어 본체(10) 내측 저부로 안내된 물은 심지(30)를 통해 흡수된 상태에서 화분(2) 내부로 전달되고, 화분물받이(1)는 화분(2)이 본체(10) 상부로 안치되는 과정에서 화분(2)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2a)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심지(30)를 지지하는 심지 지지체(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심지 지지체(40)는 화분(2)이 본체(10) 상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심지(30)가 화분(2) 저부의 배수구멍(2a)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10) 저부로부터 화분(2)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구조를 최대한 간소화시킬 수 있다.
자급관수모듈(20)은 고정브래킷(50)을 통해 본체(10) 바닥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브래킷(50)은 자급관수모듈(20)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심지 지지체(40)는 고정브래킷(5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50)은 자급관수모듈(20)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상부커버부(51)와, 자금관수모듈(20)의 양측에 지지되도록 상부커버부(51)와 본체(10) 바닥 사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바닥지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브래킷(50)은 바닥지지부(51)의 끝단이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본체(10) 바닥에 고정됨에 따라 자급관수모듈(20)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커버부(51)는 지지리브(12)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심지 지지체(40)는 상부커버부(51)의 중앙부에 세워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 지지체(40)가 화분(2)의 배수구멍(2a)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심지 지지체(40) 주변의 상부커버부(51)는 배수구멍(2a) 주변의 화분(2) 저부를 지지함으로써, 화분(2)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2)의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심지 지지체(40)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부(41)를 통해 절개되고 상부가 개방된 막대 형태로 마련되어 바르게 세워진 자세가 되도록 상부커버부(5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심지(30)는 일단부 쪽이 심지 지지체(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심지 지지체(40)와 함께 배수구멍(2a)을 통해 화분(2)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부 쪽이 본체(10) 저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본체(10)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화분(2) 내부의 토양 속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심지 지지체(40)는 본 실시예와 달리 둘레에 심지(30)가 걸리도록 후크를 구비하는 막대 형태로 마련되는 등 심지(30)를 지지한 상태에서 배수구멍(2a)을 통해 화분(2)의 토양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물받이(1)에 화분(2)을 관수가 가능한 상태로 안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심지(30)의 일단부를 심지 지지체(40)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심지(30)의 타단부가 본체(10) 바닥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토양(3)이 충진된 상태에서 식물(4)이 식재된 화분(2)의 저부 둘레가 지지리브(12)에 지지되도록 화분(2)을 본체(10) 상부에 안치되도록 하는데, 이때는 심지 지지체(40)가 화분(2)의 배수구멍(2a)을 통해 화분(2) 내부의 토양(3) 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심지(30)의 일단부가 화분(2)의 토양(3) 내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급관수모듈(20)을 구동시키면,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이 구동되면서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흡열부에 의해 냉각부재(22)가 냉각된다.
이때 방열부재(23)는 냉각팬(24)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22)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된다.
냉각부재(22) 표면에 생성된 물은 상호 응집된 상태로 냉각핀부(22b) 표면을 따라 저부로 안내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본체(10) 내측 저부로 저장되고, 본체(10) 저부에 저장된 물은 심지(30)의 흡수작용을 통해 화분(2)의 토양(3) 속으로 전달되어 식물(4)의 뿌리를 통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1: 화분물받이 2: 화분
10: 본체 11: 지지부
12: 지지리브 13: 통기공
20: 자급관수모듈 21: 열전소자
22: 냉각부재 23: 방열부재
24: 냉각팬 30: 심지
40: 심지 지지체 50: 고정브래킷

Claims (6)

  1.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된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 둘레의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 내부로 전달하는 심지가 상기 화분이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분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심지를 지지하는 심지 지지체;를 포함하는 화분물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의 둘레의 상기 본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화분물받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급관수모듈을 상기 본체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자급관수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지 지지체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체로 고정된 화분물받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자급관수모듈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상부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 지지체는 상기 상부커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심지 지지체 둘레의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배수구멍 주변의 상기 화분 저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된 화분물받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마련된 화분물받이.

KR1020170145851A 2017-11-03 2017-11-03 화분물받이 KR20190050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51A KR20190050445A (ko) 2017-11-03 2017-11-03 화분물받이
JP2020544720A JP6967161B2 (ja) 2017-11-03 2018-10-01 鉢水受け皿
PCT/KR2018/011664 WO2019088461A1 (ko) 2017-11-03 2018-10-01 화분물받이
CN201880084259.5A CN111970919A (zh) 2017-11-03 2018-10-01 花盆接水托盘
EP18872012.2A EP3704932A4 (en) 2017-11-03 2018-10-01 FLOWER POT WATER RECEIVER
US16/761,243 US11490574B2 (en) 2017-11-03 2018-10-01 Flower water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51A KR20190050445A (ko) 2017-11-03 2017-11-03 화분물받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262A Division KR102248544B1 (ko) 2020-05-08 2020-05-08 화분물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445A true KR20190050445A (ko) 2019-05-13

Family

ID=66333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851A KR20190050445A (ko) 2017-11-03 2017-11-03 화분물받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0574B2 (ko)
EP (1) EP3704932A4 (ko)
JP (1) JP6967161B2 (ko)
KR (1) KR20190050445A (ko)
CN (1) CN111970919A (ko)
WO (1) WO20190884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445A (ko)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US20210251162A1 (en) * 2019-01-25 2021-08-19 Kionna Harris Wells Closed loop self-watering sub-irrigation planter
CN114287264A (zh) * 2021-12-29 2022-04-08 江阴润中智能科技有限公司 高端智能花盆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1B1 (ko)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1353A (en) * 1920-08-21 1921-09-20 Russell D Wells Flowerpot or other vessel
US3783555A (en) * 1972-01-03 1974-01-08 Universal Prod Dev Corp Self-watering flower pot
US3769748A (en) * 1972-03-27 1973-11-06 Argo Int Plant watering device
NL7607320A (en) 1975-07-03 1977-01-05 Den Hoek Van Herwijnen B V Flowerpot mounting with supporting surface - wick holder extends upwards into earth supplying moisture by capillary action
US4109415A (en) * 1976-08-19 1978-08-29 Hall Bruce John Plant care apparatus
JPS63160527A (ja) * 1986-12-24 1988-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植物の栽培装置
JPH05219845A (ja) * 1992-02-07 1993-08-31 Isao Shirohata 栽培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用具
US5341596A (en) * 1993-03-30 1994-08-30 Kao Hsin Lin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for potted plants
JPH07147851A (ja) 1993-11-30 1995-06-13 Kajima Corp 鉢植え植物への給水装置
US6125580A (en) * 1998-07-20 2000-10-03 Fan; Jian-Hua Self watering tray
US6131334A (en) * 1998-07-20 2000-10-17 Fan; Jianhua Self-watering tray
KR100316084B1 (ko) 1999-05-20 2001-12-12 학 보 심 가습기능 및 온도 조절 기능을 구비한 화분
US6345470B1 (en) * 1999-11-11 2002-02-12 Fashion Nails, Inc. Self-contained automatic watering system for indoor or outdoor plants
DE10010155C1 (de) * 2000-03-04 2001-08-16 Elke Petra Vorrichtung zur Langzeitbefeuchtung des Wurzelballens von Topfpflanzen
CN2464062Y (zh) * 2000-12-08 2001-12-12 张征宇 半导体滴灌花盆
KR200238318Y1 (ko) * 2001-04-21 2001-10-12 정화석 물과공기 공급 기능을 갖는 요철형 화분받침
KR200254369Y1 (ko) 2001-08-23 2001-11-24 진방호 자동 관수용 화분 받침대
JP2003287316A (ja) * 2002-03-28 2003-10-10 Matsushita Refrig Co Ltd 水分供給装置
US6584730B1 (en) * 2002-12-03 2003-07-01 Chuan-Liang Mai Flowerpot
JP4016934B2 (ja) * 2003-10-30 2007-12-05 松下電工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
JP2009503293A (ja) * 2005-07-29 2009-01-29 フリーダム ウォー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水凝縮器
US20090064576A1 (en) * 2007-09-10 2009-03-12 Steven Lee Sugarek Sugarek Potted plant watering system
CN201185584Y (zh) * 2007-12-03 2009-01-28 帅建君 循环自供水花盆
US20090229180A1 (en) * 2008-03-13 2009-09-17 Rich Christopher T Plant stand with rotating trivet and saucer
US8065834B2 (en) * 2009-02-27 2011-11-29 Karl Eckert Two piece plant container with water reservoir
MX2011013212A (es) * 2009-06-08 2012-04-11 Humano Water Corp Generador de agua atmosferica.
CN201491546U (zh) * 2009-09-04 2010-06-02 重庆真好科技有限公司 分体式环保节能花盆
WO2011047687A1 (en) * 2009-10-20 2011-04-28 Hansen Joern Self-watering system for a potted plant
KR101193733B1 (ko) * 2010-06-11 2012-10-22 조계성 다용도 화분
KR20130106913A (ko) * 2012-03-21 2013-10-01 김인하 화분용 급수장치
CN202085530U (zh) * 2011-05-23 2011-12-28 胡海明 一种空气取水自动供养植物的栽种容器
KR101361448B1 (ko) * 2012-05-02 2014-02-12 조계성 다용도 화분받침
KR101398536B1 (ko) * 2012-05-09 2014-05-27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ITBS20120156A1 (it) * 2012-11-02 2014-05-03 Simone Costanzo Vaso per fiori e piante con sistema automatico di produzione ed irrigazione dell'acqua
US9010021B1 (en) * 2013-02-07 2015-04-21 II Robert E. Rettger Adjustable water retention device for a plant pot
US9392756B1 (en) * 2013-06-18 2016-07-19 WaterWell Planters, Inc. Self-watering planter assembly
US9439370B2 (en) * 2013-11-27 2016-09-13 Suncast Technologies, Llc Wicking planter system
KR20160018966A (ko) * 2014-08-08 2016-02-18 주식회사 케이비원 자동 수분 공급 화분
US9920505B2 (en) * 2014-10-10 2018-03-20 Rajah Vijay Kumar Confined Hypersonic Evaprotranspiration Chamber and a method of extraction of water
CN105724200A (zh) * 2014-12-10 2016-07-06 西安天动数字科技有限公司 一种自循环浇水装置
KR20170025051A (ko) * 2015-08-27 2017-03-08 김현우 화분 자동 급수 장치
NL2016515B1 (en) * 2016-03-31 2017-10-17 Waterwick B V Patio pot.
CN205830486U (zh) * 2016-05-05 2016-12-28 台州市盛尔达塑业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花盆
CN205830487U (zh) * 2016-05-05 2016-12-28 台州市盛尔达塑业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型花盆
US9930840B1 (en) * 2016-10-05 2018-04-03 Franc Gergek Potted plant system
KR20190050445A (ko) * 2017-11-03 2019-05-1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US11484828B2 (en) * 2019-04-04 2022-11-01 Lonnie Johnson Ambient water condense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1B1 (ko)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67161B2 (ja) 2021-11-17
US20200352110A1 (en) 2020-11-12
JP2021503298A (ja) 2021-02-12
WO2019088461A1 (ko) 2019-05-09
EP3704932A1 (en) 2020-09-09
US11490574B2 (en) 2022-11-08
CN111970919A (zh) 2020-11-20
EP3704932A4 (en)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4890B2 (en) Apparatus for aeroponically growing and developing plants
KR20190050445A (ko) 화분물받이
ES2902368T3 (es) Método y sistema de riego de plantas
US9113600B2 (en) Environment-friendly water-saving plant pot structure
JP3139768U (ja) 植物栽培プランターの構造
KR20130106913A (ko) 화분용 급수장치
US20170359964A1 (en) Base tray for a planter
WO2017203543A1 (en) Plant grow system
KR102248544B1 (ko) 화분물받이
CN112055534A (zh) 花盆
KR102568975B1 (ko) 수분 분사 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 장치
JP4950697B2 (ja) 高設栽培装置
US6640491B1 (en) Gardening device
US7237357B2 (en) Plant pot
KR200486572Y1 (ko) 화분
JP5143813B2 (ja) 薬液加熱殺虫装置の屋外設置装置
KR101895954B1 (ko) 실내외 겸용 묘목트레이 거치대
KR102568970B1 (ko) 공기 송풍 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 장치
KR102568963B1 (ko) 식물 재배 장치
JP3142239U (ja) 植木鉢用受け台
JP3167907U (ja) 植木鉢および栽培セット
KR101194869B1 (ko) 자동 수분공급기능을 갖는 화분
JP2007508221A (ja) 装飾的庭用ホース収納デバイス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170000082U (ko) 가로용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