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544B1 - 화분물받이 - Google Patents

화분물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544B1
KR102248544B1 KR1020200055262A KR20200055262A KR102248544B1 KR 102248544 B1 KR102248544 B1 KR 102248544B1 KR 1020200055262 A KR1020200055262 A KR 1020200055262A KR 20200055262 A KR20200055262 A KR 20200055262A KR 102248544 B1 KR102248544 B1 KR 102248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flower pot
self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456A (ko
Inventor
김재순
김경미
정순진
한승원
장혜숙
정나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55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5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물받이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는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된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 둘레의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 내부로 전달하는 심지가 상기 화분이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분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심지를 지지하는 심지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분물받이{flowerpot drain-pan}
화분의 관수를 위한 화분물받이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생장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는 수분이다. 따라서 식물을 식재할 때는 관수설비를 미리 확보하여 식물의 생장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 화분물받이 중에는 상부에 지지되는 화분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화분의 관수 작업에 따른 시간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게 마련된 것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254369호에는 이러한 화분물받이의 일례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화분물받이는 토양이 충진된 화분 내부의 식재공간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화분 저부의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펌프 및 노즐을 이용하여 다시 화분 내부로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화분물받이는 관수를 위한 물을 외부로부터 공급받도록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나 관수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내부에 저장된 물을 펌프와 노즐을 이용하여 화분으로 전달하는 화분물받이는 상부에 화분을 안치한 상태에서도 노즐 등을 화분으로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화분의 관수와 관련하여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951호
화분의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화분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화분물받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는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된 본체;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상기 본체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 둘레의 본체에 마련된 지지부; 및 상기 본체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 내부로 전달하는 심지가 상기 화분이 상기 본체 상부로 안치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분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심지를 지지하는 심지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자급관수모듈의 둘레의 상기 본체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분물받이는 상기 자급관수모듈을 상기 본체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자급관수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심지 지지체는 상기 고정브래킷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자급관수모듈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상부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심지 지지체는 상기 상부커버부에 고정되고, 상기 심지 지지체 둘레의 상기 상부커버부는 상기 배수구멍 주변의 상기 화분 저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통기공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는 대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물을 생성하는 자급관수모듈이 본체에 일체로 설치되고, 자급관수모듈을 통해 생성된 물을 화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심지가 화분이 본체 상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화분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마련되므로, 화분의 관수를 자급적으로 해결할 수 있고, 화분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의 활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화분이 상부에 안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단면처리 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물받이(1)는 화분(2)으로 공급되었다가 화분(2) 저부의 배수구멍(2a)으로 배수되는 물을 받아내기 위한 것으로,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 형태로 마련된 본체(10)와, 본체(10) 바닥 중앙부에 설치되는 자급관수모듈(20)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10)의 재질로는 플라스틱, 자기 등의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자급관수모듈(20)은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의 바닥 중앙부에 고정되어 본체(10)와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자급관수모듈(20)은 열전소자(21)와, 열전소자(21)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22)와, 열전소자(21)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23)와, 방열부재(23)를 냉각시키는 냉각팬(24)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열전소자(21)는 2종의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시키거나,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상호 접합시킨 소자로써, 이러한 열전소자(21)는 직류 전류 인가시 양 금속표면에 흡열반응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특성을 가진다.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1)의 일측면은 냉각부를 형성하고, 발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1)의 타측면은 방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부재(22)와 방열부재(23)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열전소자(21)의 냉각부와 방열부에 각각 부착되고, 냉각팬(24)은 구동시 방열부재(23)를 냉각시키도록 방열부재(23)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자급관수모듈(20)은 열전소자(21)와, 냉각부재(22) 및 방열부재(23)와, 냉각팬(24)이 상호 일체화된 상태로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미도시)이나 배터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냉각부재(22)는 열전소자(21)에 접촉하는 냉각판부(22a)와, 냉각판부(22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냉각핀부(2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23)는 열전소자(21)에 부착되는 방열판부(23a)와, 방열판부(23a)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방열판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이 구동하게 되면,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흡열부에 의해 냉각부재(22)는 냉각되고, 이때 방열부재(23)는 냉각팬(24)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22)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냉각부재(22) 표면에 응축된 물은 상호 응집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냉각부재(22) 표면을 따라 저부로 안내되어 낙하함으로써, 본체(10) 저부에 고일 수 있게 된다.
냉각핀부(22b)는 냉각판부(22a)의 일면으로 돌출되되, 냉각부재(22)의 세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복수개가 냉각판부(22a)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핀부(22b) 표면에 응집된 물은 그 자중에 의해 냉각핀부(22b) 표면을 따라 저부로 그대로 안내된 상태에서 본체(10) 바닥으로 낙하되어 본체(10) 저부에 저장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분물받이(1)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어려운 강수량이 적은 지역이나 관수설비를 갖추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화분(2)으로 공급하기 위한 물을 자급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체(1)의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2)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자급관수모듈(20) 둘레의 본체(10)에는 지지부(11)가 마련된다.
지지부(11)는 본체(10)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리브(12)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각 지지리브(12)는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자급관수모듈(20)의 둘레에 배치되고, 복수의 지지리브(12)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 상부로 안치되는 화분(2)은 저부 둘레가 복수의 지지리브(12)에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되고, 자급관수모듈(10)은 화분(2)의 하중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복수의 지지리브(12)가 반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구조에서는 저부의 직경 사이즈가 다양한 화분(2)이 본체(10)의 지지부(11)에 안정적인 자세로 지지되도록 하기에 유리하게 된다.
본체(10) 상부의 개구가 화분(2)에 의해 대부분 가려진 상태에서도 자급관수모듈(20) 쪽으로 대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측면에는 통기공(13)이 마련될 수 있다.
통기공(13)은 본체(10)의 측면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자급관수모듈(20)을 통해 생성되는 물이 통기공(13)을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본체(10) 저부에 저장될 수 있게 본체(10)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 자급관수모듈(20)을 통해 생성되어 본체(10) 내측 저부로 안내된 물은 심지(30)를 통해 흡수된 상태에서 화분(2) 내부로 전달되고, 화분물받이(1)는 화분(2)이 본체(10) 상부로 안치되는 과정에서 화분(2)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2a)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심지(30)를 지지하는 심지 지지체(4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심지 지지체(40)는 화분(2)이 본체(10) 상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심지(30)가 화분(2) 저부의 배수구멍(2a)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10) 저부로부터 화분(2)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구조를 최대한 간소화시킬 수 있다.
자급관수모듈(20)은 고정브래킷(50)을 통해 본체(10) 바닥에 고정될 수 있고, 고정브래킷(50)은 자급관수모듈(20)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심지 지지체(40)는 고정브래킷(50)에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브래킷(50)은 자급관수모듈(20) 상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 가리는 상부커버부(51)와, 자금관수모듈(20)의 양측에 지지되도록 상부커버부(51)와 본체(10) 바닥 사이를 지지하는 한 쌍의 바닥지지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브래킷(50)은 바닥지지부(51)의 끝단이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본체(10) 바닥에 고정됨에 따라 자급관수모듈(20)이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커버부(51)는 지지리브(12)의 상단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고, 심지 지지체(40)는 상부커버부(51)의 중앙부에 세워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심지 지지체(40)가 화분(2)의 배수구멍(2a)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심지 지지체(40) 주변의 상부커버부(51)는 배수구멍(2a) 주변의 화분(2) 저부를 지지함으로써, 화분(2)을 지지하는 지지리브(12)의 지지력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심지 지지체(40)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부(41)를 통해 절개되고 상부가 개방된 막대 형태로 마련되어 바르게 세워진 자세가 되도록 상부커버부(5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심지(30)는 일단부 쪽이 심지 지지체(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심지 지지체(40)와 함께 배수구멍(2a)을 통해 화분(2)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부 쪽이 본체(10) 저부로 연장된 상태에서 본체(10)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화분(2) 내부의 토양 속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심지 지지체(40)는 본 실시예와 달리 둘레에 심지(30)가 걸리도록 후크를 구비하는 막대 형태로 마련되는 등 심지(30)를 지지한 상태에서 배수구멍(2a)을 통해 화분(2)의 토양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물받이(1)에 화분(2)을 관수가 가능한 상태로 안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심지(30)의 일단부를 심지 지지체(40)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심지(30)의 타단부가 본체(10) 바닥에 위치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토양(3)이 충진된 상태에서 식물(4)이 식재된 화분(2)의 저부 둘레가 지지리브(12)에 지지되도록 화분(2)을 본체(10) 상부에 안치되도록 하는데, 이때는 심지 지지체(40)가 화분(2)의 배수구멍(2a)을 통해 화분(2) 내부의 토양(3) 속으로 삽입됨에 따라 심지(30)의 일단부가 화분(2)의 토양(3) 내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자급관수모듈(20)을 구동시키면, 열전소자(21)와 냉각팬(24)이 구동되면서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흡열부에 의해 냉각부재(22)가 냉각된다.
이때 방열부재(23)는 냉각팬(24)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22)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된다.
냉각부재(22) 표면에 생성된 물은 상호 응집된 상태로 냉각핀부(22b) 표면을 따라 저부로 안내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본체(10) 내측 저부로 저장되고, 본체(10) 저부에 저장된 물은 심지(30)의 흡수작용을 통해 화분(2)의 토양(3) 속으로 전달되어 식물(4)의 뿌리를 통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1: 화분물받이 2: 화분
10: 본체 11: 지지부
12: 지지리브 13: 통기공
20: 자급관수모듈 21: 열전소자
22: 냉각부재 23: 방열부재
24: 냉각팬 30: 심지
40: 심지 지지체 50: 고정브래킷

Claims (1)

  1. 물을 저장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 저부의 물을 흡수하여 상기 본체에 안치되는 화분 내부로 전달하는 심지를 지지하는 심지지지체와,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는 자급관수모듈을 구비하는 화분물받이에 있어서,
    상기 심지지지체는 상기 본체의 상부 내측으로 안치되는 상기 화분의 저부 중앙의 배수구멍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 내측에 세워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 저부의 내주 둘레에는 상기 화분의 저부 둘레를 지지하도록 복수의 지지리브가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자급관수모듈은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를 형성하는 일측면에 부착되는 냉각부재와,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를 형성하는 타측면에 부착되는 방열부재와,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상기 열전소자가 상기 본체의 저부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리브 사이의 상기 본체 저부에 배치되며,
    상기 화분의 바닥 중앙부를 지지하면서 상기 자급관수모듈을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브래킷은,
    상기 심지지지체가 중앙부 상면에 결합되어 세워지고, 상기 냉각부재와 방열부재 사이의 상기 열전소자의 상부를 덮어 가리는 상부커버부;
    상기 상부커버부와 상기 본체의 바닥 사이를 지지하도록 상기 냉각부재와 방열부재 사이의 상기 열전소자 양측을 덮어 가리는 한 쌍의 바닥지지부;를 포함하는 화분물받이.
KR1020200055262A 2020-05-08 2020-05-08 화분물받이 KR102248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62A KR102248544B1 (ko) 2020-05-08 2020-05-08 화분물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262A KR102248544B1 (ko) 2020-05-08 2020-05-08 화분물받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851A Division KR20190050445A (ko) 2017-11-03 2017-11-03 화분물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456A KR20200053456A (ko) 2020-05-18
KR102248544B1 true KR102248544B1 (ko) 2021-05-06

Family

ID=7091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262A KR102248544B1 (ko) 2020-05-08 2020-05-08 화분물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54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8538A (ja) * 2011-03-21 2014-04-10 ハ キン、イン 植木鉢用給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51B1 (ko)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KR101361448B1 (ko) * 2012-05-02 2014-02-12 조계성 다용도 화분받침
KR20170025051A (ko) * 2015-08-27 2017-03-08 김현우 화분 자동 급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8538A (ja) * 2011-03-21 2014-04-10 ハ キン、イン 植木鉢用給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456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0574B2 (en) Flower water receiver
JP4845984B2 (ja) 栽培装置
BR112013001105A2 (pt) aparelho para cultivar plantas, módulo, kit de partes para montagem em aparelho, método para cultivar plantas, sistema para fornecer ar aquecido ou resfriado para plantas
KR102248544B1 (ko) 화분물받이
KR20180056434A (ko) 수직녹화화분
US11559007B2 (en) Flowerpot
KR102568975B1 (ko) 수분 분사 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 장치
US6640491B1 (en) Gardening device
JP5639538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冷却構造
KR101920061B1 (ko) 무동력 천정 녹화 장치
JP5039241B1 (ja) 太陽熱利用のプランター
JP4950697B2 (ja) 高設栽培装置
KR101578905B1 (ko) 히트파이프를 구비하는 난방패널
KR102234474B1 (ko)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KR102568970B1 (ko) 공기 송풍 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 장치
KR102568968B1 (ko) 광 조사 기능을 갖는 식물 재배 장치
JP3142239U (ja) 植木鉢用受け台
KR101509317B1 (ko) 과수 재배상자용 열원공급장치
JP5143813B2 (ja) 薬液加熱殺虫装置の屋外設置装置
JP2007508221A (ja) 装飾的庭用ホース収納デバイス
JPH0750920Y2 (ja) 地熱利用茶園凍霜害防止装置
JP3279492B2 (ja) 高設栽培装置
KR20230088984A (ko) 방열 일체형 물만든 화분
JP2000152725A (ja) 植木鉢
JP2023104460A (ja) 栽培用冷却装置及び栽培用冷却装置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