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474B1 -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 Google Patents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474B1
KR102234474B1 KR1020180154795A KR20180154795A KR102234474B1 KR 102234474 B1 KR102234474 B1 KR 102234474B1 KR 1020180154795 A KR1020180154795 A KR 1020180154795A KR 20180154795 A KR20180154795 A KR 20180154795A KR 102234474 B1 KR102234474 B1 KR 102234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oling fins
planting space
fins
conden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686A (ko
Inventor
김재순
김경미
정순진
장혜숙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154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474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28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humid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01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using electro-caloric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응축수 생산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는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되,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재는 표면적의 가변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condensate production device and pots with it}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응축수를 생산하는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에 관한 것이다.
대기 중의 수분으로부터 응축수를 생산하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응축수 생산장치는 관수가 열악한 환경에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는 등 그 활용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951호는 공기 중의 수분을 이용하여 식물로 물을 공급하는 응축수 생산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에 개시된 응축수 생산시스템은 대기 중의 수분을 포집하는 구성과, 포집된 물을 저장하는 구성과, 저장된 물을 외부로 공급하는 구성 등이 각각 각각 별도로 마련된 대형 시스템으로써, 소규모의 응축수 생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88951호(2013.01.03)
소규모의 응축수 생산에 적용이 용이하고,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대응하여 응축수 생산효율을 조절할 있는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을 제공한다.
또 생산된 응축수의 공급을 촉진할 수 있는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는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되,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재는 표면적의 가변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냉각부재는, 냉각판; 상기 냉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은 표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판에는 상기 냉각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류별로 상기 냉각핀은 상기 결합부를 동일하게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의 면적이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는, 냉각판; 상기 냉각판의 저부로의 인출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냉각판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냉각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일측 냉각핀에서 타측 냉각핀 쪽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냉각핀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냉각핀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에에 따른 화분은 상기 응축수 생산장치;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식재공간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부가 관통부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응축수 생산장치는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부 바닥에는 상기 응축수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물을 상기 관통부 저부의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는 물공급홀이 마련된다.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물공급홀의 직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에 의하면, 열전소자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냉각부재의 표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소규모의 응축수 생산에 적용이 용이하면서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대응하여 응축수 생산효율을 조절할 수 있고, 생산된 응축수의 공급을 촉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의 냉각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의 냉각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의 냉각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를 구비하는 화분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에 있어서, 냉각부재의 연결대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대가 설치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의 냉각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의 냉각부재의 일 변형례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응축수 생산장치(10)는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소자(20)와, 열전소자(20)의 냉각부에 마련되는 냉각부재(30)와, 열전소자(20)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40)와, 방열부재(40)를 냉각시키는 냉각팬(50)을 포함한다.
열전소자(20)는 2종의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시키거나,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를 상호 접합시킨 소자로써, 이러한 열전소자(20)는 직류 전류 인가시 양 금속표면에 흡열반응과 발열반응이 일어나는 특성을 가진다. 흡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0)의 일측은 냉각부를 형성하고, 발열반응이 발생하는 열전소자(20)의 타측은 방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부재(30)와 방열부재(40)는 알루미늄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열전소자(20)의 냉각부와 방열부에 각각 부착되고, 냉각팬(50)은 방열부재(40)에 부착되어 구동시 방열부재(4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 생산장치(10)는 열전소자(20)와, 냉각부재(30) 및 방열부재(40)와, 냉각팬(50)이 상호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한 몸을 이룰 수 있다.
열전소자(20)와, 냉각팬(50)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케이블(미도시)이나 배터리(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냉각부재(30)는 열전소자(20)에 접촉하는 냉각판(31)과, 냉각판(31)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냉각핀(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열부재(40)는 열전소자(20)에 부착되는 방열판(41)와, 방열판(41)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방열핀(42)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냉각핀(32)과, 복수의 방열핀(42)은 평행하게 상호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열전소자(20)와 냉각팬(50)이 구동하게 되면,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열전소자(20)의 냉각부에 의해 냉각부재(30)는 냉각되고, 이때 방열부재(40)는 냉각팬(50)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30)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냉각부재(30) 표면에 응축된 물은 응집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냉각부재(30) 표면을 따라 저부로 이동하다가 냉각부재(30) 저부로 낙하면서 냉각부재(30)로부터 분리되어 냉각부재(30) 저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냉각부재(30)는 온도 및 습도 변화에 대응하여 응축수 생산효율을 조정할 있도록 표면적의 가변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냉각부재(30)의 냉각핀(32)은 냉각판(3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고, 냉각핀(32)은 표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종류로 구분되며, 냉각부재(30)는 냉각판(31)에 결합하는 냉각핀(32)의 종류에 따라 표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판(31)에는 냉각핀(32)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31a)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핀(32)은 결합홈(31a)에 결합하는 결합부(32a)와, 결합부(32a)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32b,32c)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냉각핀(32)은 종류별로 결합부(32a)를 동일하게 구비한 상태에서 연장부(32b,32c)의 면적이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부재(30)는 냉각판(31)에 결합하는 냉각핀(32)의 종류에 표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냉각핀(32)은 연장부(32b)의 폭이 짧게 마련된 제1냉각핀(32A)과, 연장부(32c)의 폭이 길게 마련된 제2냉각핀(32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각부재(30)는 온도가 낮고 건조한 조건에서는 표면적을 줄이고, 온도가 높고 높고 습한 조건에서는 표면적이 증가하도록 냉각판(31)에 결합하는 냉각핀(32)의 종류를 교체하는 방식을 통해 응축수 생산효율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핀(32)은 결합부(32)를 통해 냉각판(31)의 결합홈(31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냉각판(31) 저부로 인출되는 인출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판(31) 저부로 냉각핀(32)의 인출길이가 조절되는 냉각부재(30)는 저부로 이동하는 물방울의 유동성을 향상시켜 저부로 이루어지는 응축수의 공급동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판(31) 저부로 소정 길이 인출된 냉각핀(32)은 인출전 상태와 비교하여 결합부(32a) 쪽 후방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냉각판(31)에 대한 냉각핀(32)의 인출구조는 냉각부재(30)의 표면적이 가변되도록 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결합홈(31a)은 냉각판(31)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전방의 입구로부터 후방 쪽으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마련되고, 결합부(32a)는 결합홈(31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결합홈(31a)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핀(32)은 냉각판(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은 허용되면서 냉각판(31) 전방으로 이탈될 우려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응축수 생산장치(10)는 화분(100)에 일체로 설치되어 화분(100)의 자급관수에 기여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은 식물의 식재를 위해 토양이 담기는 본체(110)를 구비할 수 있다.
본체(110)는 상부가 개구를 통해 개방되고 중앙부가 관통부(120)를 통해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식재공간(130)을 제공한다.
본체(110)는 전면 및 후면과, 전면과 후면 사이의 양 측면과, 전면과 후면 사이의 저면이 폐쇄된 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120)는 본체(110)의 전면과 후면의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관통부(120) 둘레는 폐쇄처리 되고, 이에 따라 관통부(120) 내부는 식재공간(130)과 구획된 상태에서 본체(110) 외부와 연통될 수 있게 된다.
식재공간(130)은 관통부(120)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1)과, 관통부(121)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측방식재공간(132)과, 관통부(120) 하부의 하부식재공간(133)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대략 'ㅁ'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ㅁ'자 형태로 마련되는 식재공간(130)의 형태를 감안했을 때, 식재공간(130)으로 식재되는 식물(1)의 뿌리(1a)가 식재공간(130) 전체에 걸쳐 고르게 자랄 수 있도록 관통부(120)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1)의 바닥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부식재공간(131)의 바닥이 아치형태로 마련된 상태에서는 상부식재공간(131)으로 식재된 식물(1)의 뿌리(1a)가 아치형의 상부식재공간(131) 바닥에 의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2)으로 나뉘어지면서 자라게 되므로, 'ㅁ'자 형태로 마련된 식재공간(130)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부식재공간(131)의 바닥의 모양이 아치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부식재공간(131)으로 식재된 식물(1)의 뿌리(1a)를 양쪽의 측방식재공간(132)의 저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관통부(120) 상부의 상부식재공간(131)의 바닥은 중앙부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응축수 생산장치(10)는 대기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관통부(120)에 본체(110)와 한 몸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생산된 응축수를 식재공간(130)으로 공급할 수 있다.
관통부(120) 바닥에는 응축수 생산장치(10)를 통해 생산된 물이 관통부(120) 저부의 하부식재공간(133)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물공급홀(140)이 마련될 수 있다.
응축수 생산장치(10)는 냉각부재(30)가 물공급홀(140)의 직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냉각부재(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을 통해 관통부(120) 바닥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상태의 응축수 생산장치(10)는 고정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나, 접착제 등을 통해 관통부(120)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냉각부재(30) 표면에 응축된 물은 응집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저부로 낙하하여 물공급홀(140)을 통해 하부식재공간(133)으로 안내되고, 하부식재공간(133)으로 안내된 물은 식재공간(130)에 충진된 전체 토양(2)으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ㅁ'자 형태로 마련되는 식재공간(130)의 모양을 감안하면, 식재공간(130) 상부로부터 내부로 충진되는 토양(3)은 하부식재공간(133)보다는 주로 측방식재공간(132)과 상부식재공간(131)으로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식재공간(133)으로 공급된 물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2)으로 안내되기 용이하도록 관통부(120) 저부의 하부식재공간(133)의 바닥은 중앙부가 아치형태를 이루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식재공간(133) 바닥의 중앙부의 모양이 아치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부식재공간(133)으로 안내된 물을 양측에 있는 측방식재공간(132)의 저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관통부(120) 저부가 관통부(120) 저부 양측보다 높게 마련되는 범위 내에서 하부식재공간(133)의 바닥 형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물공급홀(140)을 통해 하부식재공간(133)으로 안내된 물은 아치형태로 마련되는 하부식재공간(133)의 바닥에 의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2)의 저부로 안내되어 토양(2)에 흡수되고, 측방식재공간(132)으로 공급된 물은 토양(2)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부식재공간(131)까지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화분(100)은 식재공간(130)에 토양(2)을 충진하고, 식물(1)을 식재한 상태에서 응축수 생산장치(10)을 구동시킴에 따라, 열전소자(20)와 냉각팬(50)이 구동되면서 흡열반응이 이루어지는 냉각부에 의해 냉각부재(30)가 냉각된다. 이때 방열부재(40)는 냉각팬(50)에 의해 냉각되면서 열을 방출하며, 이에 따라 냉각부재(30) 표면에서는 대기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물이 형성된다.
냉각부재(30) 표면에 생성된 물은 상호 응집된 상태로 냉각핀부(32) 표면을 따라 저부로 안내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물공급홀(140)로 낙하되어 하부식재공간(133)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계속해서 물은 아치형태로 마련된 하부식재공간(133)의 바닥에 의해 양측의 측방식재공간(132) 저부로 안내되어 토양(2) 속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토양(2)의 모세관 현상에 의해 측방식재공간(132) 상부와 상부식재공간(131)까지 전달되면서 식물(1)의 뿌리(1a)를 통해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화분(100)의 이용과정에서 이용자는 냉각부재(30)의 냉각판(31)에 결합하는 냉각핀(32)을 화분(100)이 설치되는 주변의 온도 및 습도 조건에 알맞은 표면적을 갖는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응축수의 생산효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때는 냉각핀(32)이 냉각판(31) 저부로 인출되도록 냉각핀(32)을 냉각판(31)에 대해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냉각부재(30)에 응축된 물이 식재공간(130)으로 보다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핀(32)을 저부로 슬라이딩 시키면, 냉각핀(32) 저부는 물공급홀(140) 안쪽으로 진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 냉각핀(32) 표면의 물방울은 냉각핀(32)으로부터 낙하되어 분리될 필요 없이 냉각핀(32) 표면을 따라 저부로 유동하는 과정에서 바로 식재공간(130)의 토양(2)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부재(30)는 냉각핀(3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33)를 더 구비하고, 연결대(33)는 일측 냉각핀(32)에서 타측 냉각핀(32) 쪽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냉각핀(32)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대(33)의 설치유무에 따라 냉각부재(30)의 열교환 면적이 효과적으로 가변될 수 있게 연결대(33)는 냉각부재(30)와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연결대(33)는 냉각핀(32)의 조립을 위한 복수의 조립홈(33a)을 구비하고, 조립홈(33a)은 냉각핀(32)이 내측으로 끼워져 조립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립홈(33a)은 연결대(33)의 길이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이에 따라 연결대(33)는 서로 평행하게 마련되어 인접하는 냉각핀(32) 사이를 경사진 상태에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냉각판(31)에 대한 냉각핀(32)들의 인출길이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한 상태에서 복수의 냉각핀(32) 사이를 복수의 연결대(33)를 사용하여 연결하게 되면, 일측 냉각핀(32)의 물방울이 경사진 연결대(33)를 따라 타측 냉각핀(32)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복수의 냉각핀(32) 표면의 물방울들은 어느 한 쪽의 냉각핀(32)으로 집중되어 모아질 수 있고, 이때는 물방울의 응집속도가 커지게 되면서 냉각부재(30) 저부로 공급되기 위해 냉각부재(30)로부터 분리되는 물방울의 분리동작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변형례에서 냉각부재(30´)는 냉각핀(60)이 상하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몸체(61,6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61,62)는 냉각판(3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몸체(61)와, 제1몸체(61)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몸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몸체(61)와 제2몸체(62)는 각각 전후방으로 결합홈부(61a,62a)와 결합부(61b,62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몸체(61)는 결합부(61b)를 통해 냉각판(31)의 결합홈(3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제2몸체(62)는 결합부(62b)를 통해 제1몸체(61)의 결합홈부(6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며, 제2몸체(62) 전방의 결합홈부(62a)에는 다른 제2몸체(62)가 같은 방식으로 더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냉각부재(30´)는 냉각판(31)에 대한 냉각핀(60)의 슬라이딩 구조와, 냉각핀(60)을 구성하는 몸체(61,62) 상호 간의 슬라이딩 구조를 통해 냉각핀(60)의 인출동작이 다단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냉각판(31) 저부로 인출되는 냉각핀(60)의 인출 길이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10: 응축수 생산장치 20: 열전소자
30: 냉각부재 40: 방열부재
50: 냉각팬 31: 냉각판
31a: 결합홈 32: 냉각핀
32a: 결합부 32b: 연장부
100: 화분 110: 본체
120: 관통부 130: 식재공간

Claims (8)

  1. 대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물을 생성하도록 마련되되,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냉각부에 마련되며, 표면적의 가변이 가능한 냉각부재;
    상기 열전소자의 방열부에 마련되는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부재는,
    냉각판;
    상기 냉각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냉각핀;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핀은 표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종류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판의 저부로의 인출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냉각판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응축수 생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에는 상기 냉각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이 마련되고,
    상기 냉각핀은,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종류별로 상기 냉각핀은 상기 결합부를 동일하게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의 면적이 다르게 마련된 응축수 생산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냉각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대는 일측 냉각핀에서 타측 냉각핀 쪽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냉각핀 사이를 연결하는 응축수 생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핀은 상하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복수의 몸체를 포함하는 응축수 생산장치.
  7. 제 1항, 제 3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응축수 생산장치;
    식재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식재공간은 상부가 개방되고 중앙부가 관통부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응축수 생산장치는 상기 관통부에 설치되며,
    상기 관통부 바닥에는 상기 응축수 생산장치를 통해 생산된 물을 상기 관통부 저부의 식재공간으로 안내하는 물공급홀이 마련된 화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재는 상기 물공급홀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화분.
KR1020180154795A 2018-12-04 2018-12-04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KR102234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95A KR102234474B1 (ko) 2018-12-04 2018-12-04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95A KR102234474B1 (ko) 2018-12-04 2018-12-04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86A KR20200067686A (ko) 2020-06-12
KR102234474B1 true KR102234474B1 (ko) 2021-03-31

Family

ID=71088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95A KR102234474B1 (ko) 2018-12-04 2018-12-04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4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98B1 (ko) * 2009-03-09 2011-05-04 (주)디엑스엠 냉각장치
KR101214065B1 (ko) * 2012-07-26 2012-12-20 에스지디지털주식회사 가변형 등기구
KR101398536B1 (ko) * 2012-05-09 2014-05-27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389A (ko) * 2011-04-05 2012-10-15 안영후 자동급수장치
KR101388951B1 (ko) 2011-06-24 2014-04-25 경기도 공중 수분을 이용한 식물 관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498B1 (ko) * 2009-03-09 2011-05-04 (주)디엑스엠 냉각장치
KR101398536B1 (ko) * 2012-05-09 2014-05-27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KR101214065B1 (ko) * 2012-07-26 2012-12-20 에스지디지털주식회사 가변형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86A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4675B2 (ja) 植物栽培施設内の条件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KR101922439B1 (ko) 수직녹화화분
WO1981001495A1 (en) Arrangement for greenhouses or growth rooms for enhancing the growth of plants or the germination of seeds
US11559007B2 (en) Flowerpot
BR112013001105A2 (pt) aparelho para cultivar plantas, módulo, kit de partes para montagem em aparelho, método para cultivar plantas, sistema para fornecer ar aquecido ou resfriado para plantas
KR102234474B1 (ko) 응축수 생산장치 및 이를 갖춘 화분
US113465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eat sink
JP6967161B2 (ja) 鉢水受け皿
WO2018062988A3 (en) Assimilation lamp device
KR101911732B1 (ko) 식물 재배용 근권부 난방장치
CN210695139U (zh) 一种智能滴灌式花盆
CN203537955U (zh) 一种保温花盆
EP2078454A1 (en) Radiant heating system for greenhouses used for the ground cultivation of crops
KR102387406B1 (ko) 자급 관수형 화분용 응축수 공급장치 및 자급 관수형 화분
JP2003116355A (ja) 植物栽培容器
KR102248544B1 (ko) 화분물받이
KR20150112206A (ko) 열기공급형 관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KR101179647B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생육장치
KR200212724Y1 (ko) 작물재배를 위한 온실 냉난방용 열교환기
US20220369581A1 (en) Multi-purposed solid state thermoelectric multi-stage root chamber and interface electromagnetically powered plant growing device
JP2014200184A (ja) マンゴーの栽培容器
TWI510184B (zh) Method of Adjusting Temperature of Planting Medium and Planting Bed
TWM563745U (zh) 發光二極體燈座
CN217136210U (zh) 一种水循环利用型温室
KR101509317B1 (ko) 과수 재배상자용 열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