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966A - 자동 수분 공급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수분 공급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966A
KR20160018966A KR1020140102217A KR20140102217A KR20160018966A KR 20160018966 A KR20160018966 A KR 20160018966A KR 1020140102217 A KR1020140102217 A KR 1020140102217A KR 20140102217 A KR20140102217 A KR 20140102217A KR 20160018966 A KR20160018966 A KR 20160018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water supply
supply device
water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빈
안준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원
Priority to KR102014010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8966A/ko
Publication of KR2016001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5Earth materials for agricultural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수분을 지중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즉, 태양 전지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지중으로 공급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에 관한 것으로,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화분으로 수집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수분 공급 화분{Automatic water supplied flower pot}
본 발명은 자동 수분 공급 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기 중의 수분을 지중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즉, 태양 전지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지중으로 공급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에 물을 공급하거나 가정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공급하는 방법이 개발되어왔다. 특히 에어컨에 사용하는 응축기의 원리를 이용하는 수분 공급 장치의 경우 가정용 급수 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또한, 펠티에 소자를 사용하면 공기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공급할 수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25500 호에서는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하여 식물이 심겨진 토양으로 물을 자동 공급하는 자동급수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급수 화분이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며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수단(20)과, 응축수단(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응축수단(20)으로 외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30)과, 응축수단(20)에 장착되어 응축수단(20)에 채워진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흙(50)으로 공급하는 세라믹 부재(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 경우 수분 공급이 되는 특수한 화분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 화분이나 정원의 모양과 관계 없이 수분을 공급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25500 호(2013.11.19)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중의 수분을 지중으로 공급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태양 전지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지중으로 공급하여 식물이 최적의 환경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화분으로 수집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분 공급 장치는 일면은 저온부 및 타면은 고온부로 구성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저온부에서 수집하여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모듈 및 일단은 지중에 장착되고 타단은 수분 공급 모듈의 고온부와 고정되어 수분 공급 모듈에서 발생되는 고온부의 열을 지중으로 전달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또한, 수분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 풍력 발전, 건전지, 무선 전력 수신, 및 태양 전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대는 열전달이 잘되는 알루미늄, 동, 열전도 합금, 히트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전도 재료를 사용하여 컴파운드, 나사, 케이스, 수축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분 공급 모듈과 연결한다.
또한, 수분 공급 장치는 지중의 온도를 파악하는 온도 센서, 지중의 수분의 양을 검출하는 수분 센서, 및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수분 공급 장치는 태양 전지에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한다.
또한, 수분 공급 장치는 지중의 수분 상태, 배터리 상태, 온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LED 표시 장치로 표시하거나 및 LED 표시 장치를 통해 서버로 보고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한편, 수분 공급 장치는 수분 공급 모듈에서 수집된 수분이 바람에 의해 증발되지 않도록 하는 방풍 케이스, 수분 공급 모듈에서 수집된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조, 및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집광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화분으로 수집된 수분을 공급하고 조명을 비추는 수분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분 공급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 및 태양 전지를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또한, 수분 공급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 태양 전지에서 공급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태양 전지 및 배터리 중 어느 하나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일면은 저온부 및 타면은 고온부로 구성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저온부에서 수집하여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모듈,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 태양 전지 및 배터리 중 어느 하나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비추는 LED 표시 장치, 및 일단은 지중에 장착되고 타단은 수분 공급 모듈의 고온부와 고정되어 수분 공급 모듈에서 발생되는 고온부의 열을 지중으로 전달하며 태양 전지, 배터리, 및 LED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 및 집광장치를 통해 전력 충전, 공기 중의 수분 수집, 수분의 공급, 및 LED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분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분 공급 장치는 주간에는 빛을 집광하고 야간에는 빛을 발광하는 집광 장치, 수집된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 케이스, 및 수분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또한, 수분 공급 장치는 수분 공급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대 및 고정대에 설치되어 조명을 밝히는 LED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공기 중의 수분을 지중으로 공급하는 장점이 있다.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태양 전지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지중으로 공급하여 식물이 최적의 환경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분 공급 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조립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분 공급 장치의 기능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수분 공급 장치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수분 공급 장치를 전면에서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수분 공급 장치를 옆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의 수분 공급 장치를 전면에서 나타낸 전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수분 공급 장치를 옆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구성도이며,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조립도, 블록도, 및 구성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400)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화분(400)으로 수집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장치(410)를 포함한다.
이때, 수분 공급 장치(410)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화분(400)에 장착되어 화분(400)에 수분을 공급한다. 수분 공급 장치(410)의 설치는 화분(400)에 위치한 흙에 고정할 수 있으며, 흙 이외에 식물을 고정하는 오아시스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경우 그 재료에 함께 고정한다.
도 2는 도 1의 수분 공급 장치(410)를 상세히 나타낸 조립도이며, 수분 공급 장치(410)는 일면은 저온부 및 타면은 고온부로 구성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저온부에서 수집하여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모듈(100) 및 일단은 지중에 장착되고 타단은 수분 공급 모듈(100)의 고온부와 고정되어 수분 공급 모듈(100)에서 발생되는 고온부의 열을 지중으로 전달하는 고정대(200)를 포함한다.
또한, 수분 공급 장치(410)는 상용 전원, 풍력 발전, 건전지, 무선 전력 수신, 및 태양 전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고정대(200)는 열전달이 잘되는 알루미늄, 동, 열전도 합금, 히트파이프 등의 열전도 재료를 사용하여 컴파운드, 나사, 케이스, 수축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수분 공급 모듈(100)과 연결할 수 있다.
수분 공급 모듈(100)은 고온부 저온부로 나뉘며, 이때, 고온부를 고정대(200)와 접촉한다. 또한, 수분 공급 모듈(100)에서 발생된 수분은 직접 지면으로 떨어질 수 있고 고정대(200)를 따라 흐를 수 있으며 또는 저온부에서 발생된 수분이 고온부를 통해 흐를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저온부의 수분이 고온부로 흐를 경우 고온부의 온도가 저온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수분이 분리된다. 이때, 고온부의 수분이 오래 지속되어 증발되지 않도록 조속히 지중으로 흐르게 할 수 있다.
고정대(200)는 항상 지중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녹쓸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거나 녹슬지 않도록 코팅을 할 수 있다.
고정대(200)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 다수개의 축으로 지중에 접촉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수분 공급 장치(410)의 기능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며, 수분 공급 장치(410)는 지중의 온도를 파악하는 온도 센서(510), 지중의 수분의 양을 검출하는 수분 센서(520), 및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분 공급 장치(410)는 태양 전지(300)에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310) 및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8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분 공급 장치(410)는 지중의 수분 상태, 배터리 상태, 온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LED 표시 장치(600)로 표시하거나 및 LED 표시 장치(600)를 통해 서버로 보고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사물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써 원격으로 관리가 필요한 정원, 박물관 등 중요한 시설에 설치가 가능하며 서버 제어에 의해 강제 수분 공급 및 수분 공급 정지를 할 수 있다.
여기서, LED 표시 장치(600)는 경보의 표시로도 사용 가능하나 야간에 조명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때, 조명의 색깔이나 점등 방식에 따라 내부 환경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에는 파란색, 겨울에는 빨간색을 주로 표시하고 수분이 많을 경우 점등 유지 시간을 길게하고 수분이 적을 경우 점등 시간을 빨리하고 배터리가 충분할 경우 점등 시간을 길게 갖으며 배터리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점멸 시간을 길게 갖는 등 여러 가지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서버로의 보고는 요청에 의한 응답, 이벤트 발생시의 응답, 주기적인 보고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상태의 통계를 통해 운용이 어려울 경우 경보를 발생해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을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수분 공급 장치(410)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구성도이며, 수분 공급 장치(410)는 수분 공급 모듈(100)에서 수집된 수분이 바람에 의해 증발되지 않도록 하는 방풍 케이스(910), 수분 공급 모듈(100)에서 수집된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조(920), 및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집광 장치(9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수분 공급 모듈(100)에서 수집된 수분(S300)은 바람에 의해 쉽게 증발된다. 따라서 수분은 공급되며 바람을 막을 수 있도록 수분 공급 모듈(100) 주변에 방풍 케이스(91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화초의 종류에 따라 수분 량의 조절이 필요하므로 지중의 수분이 많을 경우 수분 공급을 중단하거나 수집된 수분(S300)을 수분 저장조(920)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다. 수분 저장조(920)는 빗물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제어기(800)에 의해 수분 공급을 조절해 수분(S400)을 지중에 공급할 수 있다.
태양 전지(300)는 태양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원칙이나 주변 환경이나 먼지 등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주변의 광원(S100)을 집광하여 태양 전지(300)로 집광된 광원(S200)을 보내는 집광 장치(930)를 사용함으로써 태양 전지(300)의 전력 발생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구성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도 5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400)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화분(400)으로 수집된 수분을 공급하고 조명을 비추는 수분 공급 장치(420)를 포함한다.
수분 공급 장치(420)는 화분(400)의 크기에 따라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야간에 화분(400)의 중앙을 비출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수분 공급 장치(420)를 전면에서 나타낸 전면도이며, 수분 공급 장치(420)는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300) 및 태양 전지(300)를 지지하는 고정대(200)를 포함한다.
태양 전지(300)의 크기는 화분(40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도록 하늘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수분 공급 장치(420)를 옆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며, 수분 공급 장치(420)는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300), 태양 전지(300)에서 공급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310), 태양 전지(300) 및 배터리(310) 중 어느 하나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일면은 저온부 및 타면은 고온부로 구성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저온부에서 수집하여 지중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모듈(100),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 태양 전지(300) 및 배터리(310) 중 어느 하나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비추는 LED 표시 장치(600), 및 일단은 지중에 장착되고 타단은 수분 공급 모듈(100)의 고온부와 고정되어 수분 공급 모듈(100)에서 발생되는 고온부의 열을 지중으로 전달하며 태양 전지(300), 배터리(310), 및 LED 표시 장치(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고정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태양 전지(300),배터리(310),수분 공급 모듈(100), 및 LED 표시 장치(600)는 적측 순서가 바뀔 수 있으며, 한 평면에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수분 센서(520)를 설치하여 화분(400)에 수분량이 많을 경우 수분 공급을 중단하고 태양 전지(300)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310)에 저장하여 야간에 LED 표시 장치(600)를 통해 조명을 비출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510)를 설치하여 온도가 영하일 경우 수분 공급을 중단하고 태양 전지(300)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310)에 저장하여 야간에 LED 표시 장치(600)를 통해 조명을 비출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530)를 설치하여 주간에는 조명을 비추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통신 모듈(700)을 설치하여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온도 센서(510), 수분 센서(520), 및 조도 센서(530)의 각종 상태를 서버로 보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구성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을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400) 및 집광장치를 통해 전력 충전, 공기 중의 수분 수집, 수분의 공급, 및 LED 조명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분 공급 장치(430)를 포함한다.
수분 공급 장치(430)는 화분(400)의 중앙에 위치하고 야간에 조명을 비출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수분 공급 장치(430)를 전면에서 나타낸 전면도이며, 수분 공급 장치(430)는 주간에는 빛을 집광하고 야간에는 빛을 발광하는 집광 장치(930), 수집된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 케이스(910), 및 수분 공급 장치(430)를 지지하는 고정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방풍 케이스(910) 대신에 태양 전지(300) 또는 LED 표시 장치(60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집광 장치(930) 대신에 태양 전지(300) 또는 LED 표시 장치(6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8의 수분 공급 장치(430)를 옆면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며, 수분 공급 장치(430)는 수분 공급 장치(430)를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고정대(200) 및 고정대(200)에 설치되어 조명을 밝히는 LED 표시 장치(600)를 포함한다.
또한, 수분 센서(520)를 설치하여 화분(400)에 수분량이 많을 경우 수분 공급을 중단하고 태양 전지(300)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310)에 저장하여 야간에 LED 표시 장치(600)를 통해 조명을 비출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510)를 설치하여 온도가 영하일 경우 수분 공급을 중단하고 태양 전지(300)에서 생산된 전력을 배터리(310)에 저장하여 야간에 LED 표시 장치(600)를 통해 조명을 비출 수 있다.
또한, 조도 센서(530)를 설치하여 주간에는 조명을 비추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통신 모듈(700)을 설치하여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온도 센서(510), 수분 센서(520), 및 조도 센서(530)의 각종 상태를 서버로 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은 공기 중의 수분을 지중으로 공급하는 장점이 있으며, 태양 전지를 통해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지중으로 공급하여 식물이 최적의 환경으로 자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상기 화분으로 수집된 상기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일면은 저온부 및 타면은 고온부로 구성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저온부에서 수집하여 지중으로 상기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모듈; 및
    일단은 지중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수분 공급 모듈의 고온부와 고정되어 상기 수분 공급 모듈에서 발생되는 고온부의 열을 지중으로 전달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상용 전원, 풍력 발전, 건전지, 무선 전력 수신, 및 태양 전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열전달이 잘되는 알루미늄, 동, 열전도 합금, 히트파이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전도 재료를 사용하여 컴파운드, 나사, 케이스, 수축 튜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상기 수분 공급 모듈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지중의 온도를 파악하는 온도 센서, 지중의 수분의 양을 검출하는 수분 센서, 및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상기 태양 전지에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및 자동 수분 공급 화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지중의 수분 상태, 배터리 상태, 온도 상태 중 어느 하나를 LED 표시 장치로 표시하거나 및 상기 LED 표시 장치를 통해 서버로 보고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상기 수분 공급 모듈에서 수집된 수분이 바람에 의해 증발되지 않도록 하는 방풍 케이스, 상기 수분 공급 모듈에서 수집된 수분을 저장하는 수분 저장조, 및 태양광의 집광효율을 높이기 위한 집광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9.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 및
    공기 중의 수분을 수집하여 상기 화분으로 수집된 상기 수분을 공급하고 조명을 비추는 수분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태양 전지; 및
    상기 태양 전지를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에서 공급된 전원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태양 전지 및 상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일면은 저온부 및 타면은 고온부로 구성되어 공기 중의 수분을 저온부에서 수집하여 지중으로 상기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 모듈;
    조명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태양 전지 및 상기 배터리 중 어느 하나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비추는 LED 표시 장치; 및
    일단은 지중에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수분 공급 모듈의 고온부와 고정되어 상기 수분 공급 모듈에서 발생되는 고온부의 열을 지중으로 전달하며 상기 태양 전지, 상기 배터리, 및 상기 LED 표시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정하는 상기 고정대;를 포함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12.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케이스로 구성된 화분; 및
    집광장치를 통해 전력 충전, 공기 중의 수분 수집, 수분의 공급, 및 LED 조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분 공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주간에는 빛을 집광하고 야간에는 빛을 발광하는 집광 장치;
    수집된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바람을 막아주는 방풍 케이스; 및
    상기 수분 공급 장치를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 장치는,
    상기 수분 공급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설치되어 조명을 밝히는 LED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KR1020140102217A 2014-08-08 2014-08-08 자동 수분 공급 화분 KR20160018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17A KR20160018966A (ko) 2014-08-08 2014-08-08 자동 수분 공급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217A KR20160018966A (ko) 2014-08-08 2014-08-08 자동 수분 공급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66A true KR20160018966A (ko) 2016-02-18

Family

ID=5545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217A KR20160018966A (ko) 2014-08-08 2014-08-08 자동 수분 공급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89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61A1 (ko) *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CN110983965A (zh) * 2019-12-25 2020-04-10 蔡路 一种城市高架桥护栏用生态盆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500A (ko) 2012-05-09 2013-11-19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5500A (ko) 2012-05-09 2013-11-19 안영후 자동급수 화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461A1 (ko) * 2017-11-03 2019-05-0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화분물받이
US11490574B2 (en) 2017-11-03 2022-11-08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lower water receiver
CN110983965A (zh) * 2019-12-25 2020-04-10 蔡路 一种城市高架桥护栏用生态盆栽
CN110983965B (zh) * 2019-12-25 2021-06-22 绍兴盛坤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城市高架桥护栏用生态盆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330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식물공장 시스템
KR101436440B1 (ko) 온실 및 수경재배용 축열식 히트펌프 냉,난방시스템
JP2018509892A (ja) 環境に優しい屋内栽培
WO2012136853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oadway and street lighting apparatus and arrangement
KR101132244B1 (ko)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4736B1 (ko) 태양광을 이용하여 식수 생산이 가능한 이동가옥
CN204206850U (zh) 一种空气集热器
KR20060089428A (ko) 태양열 및 지열을 이용한 농업용 하우스의 난방시스템
KR20160018966A (ko) 자동 수분 공급 화분
CN104652531A (zh) 一种基于珀尔帖效应的沙漠取水灌溉系统
JP5598814B2 (ja) 植物工場照明装置
KR100990245B1 (ko) 식물 생육 구조체
KR20170025051A (ko) 화분 자동 급수 장치
KR20160009297A (ko) 수분 공급 장치
CN204756748U (zh) 一种多功能太阳能led路灯
KR20180086862A (ko) 식물 관리장치
CN104509426A (zh) 一种太阳能洒水管路自动控制开关
KR101309246B1 (ko) 이동이 가능한 화단
CN204328698U (zh) 一种防高温烈爆的景观灯结构生长灯
KR20200028923A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스템
CN204551594U (zh) 基于珀尔帖效应的沙漠取水灌溉系统
CN215112394U (zh) 集成一体的太阳能led灯
KR20190083954A (ko) 천장에 설치되는 역전형 식물재배 시스템
RU117589U1 (ru) Круговая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солнечн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KR20160039799A (ko) 야외 조명등 안전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