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380Y1 - 식물식재장치 - Google Patents

식물식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380Y1
KR200481380Y1 KR2020160002304U KR20160002304U KR200481380Y1 KR 200481380 Y1 KR200481380 Y1 KR 200481380Y1 KR 2020160002304 U KR2020160002304 U KR 2020160002304U KR 20160002304 U KR20160002304 U KR 20160002304U KR 200481380 Y1 KR200481380 Y1 KR 200481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sect
low
mosquitoes
ins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하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인하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하, 김동욱 filed Critical 김인하
Priority to KR2020160002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개구부를 구비한 저수용기부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비닐하우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되도록 하는 식물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1)는, 급수개구부(3)를 구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수용기부(5)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급수개구부(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이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모기 등의 벌레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부재(7)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상면 및 방충부재(7)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홈(9)을 구비하여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식재용기부(11)와; 상기 식재용기부(11)의 체결홈(9)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면 및 측면에 비닐이 설치되도록 하여 겨울에 식물이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물식재장치{A pot plant planting device}
본 고안은 식물식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개구부를 구비한 저수용기부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비닐하우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되도록 하는 식물식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옥상 등과 같은 야외 공간에서 화초, 채소 등의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 야외용 식물재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용기부(130)와, 식재용기부(130)의 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저수용기부(120)를 갖고 있다.
식재용기부(130)는 식재용기바닥면부(131)와, 식재용기바닥면부(131)와 협조하여 요형(凹形)을 이루도록 식재용기바닥면부(131)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식재용기측면부(132)와, 식재용기바닥면부(131)에 설치된 흡수부재(134b)를 갖고 있다.
식재용기바닥면부(131)에는 흡수부재통과공(131a)이 형성되어 있다.
흡수부재(134b)는 흡수부재통과공(131a)을 통과하여 저수용기부(120)의 내부에 도달하도록 식재용기바닥면부(131)에 설치된다.
저수용기부(120)에는 [0008] 배수공(12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를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재용기부(130)에 흙을 채우면서 식물을 심는다.
다음에 비가 오면 빗물은 흡수부재통과공(131a)을 통해 각 저수용기부(120)에 집수된다.
저수용기부(120)에 집수된 빗물의 양이 많아지면 배수공(122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저수용기부(120)의 물이 줄어들면 수돗물 등을 저수용기부(120)에 보충한다.
저수용기부(120)에 저장된 물은 흡수부재(134b)와 흙을 통해 식물에 제공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는 2000년 특허출원 제65070호(고안의 명칭 : 야외용 화분)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에 따르면, 건물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건물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흡수부재(134b)가 식재용기바닥면부(13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저수용기부(120)로부터 식물에 전달되는 물의 양이 적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한 경우 배수공(122a)을 통해 저수용기부(120)에 물을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3년 05월 08일자 출원번호 제20-2013-0003583호(고안의 명칭 : 야외용 식물재배장치)로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식재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식재용기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식재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식재용기측면부를 구비한 식재용기부를 갖는 야외용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식재용기바닥면부에는 심지공과 통수공이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고; 바닥받침틀부와 상기 바닥받침틀부로부터 절곡 형성되고 급수안내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둘레받침틀부와 상기 둘레받침틀부에 결합된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바닥받침틀부와 상기 둘레받침틀부가 건물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건물구조물에 설치되는 받침틀과, 심지축과 상기 심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심지축에 결합된 흡수성 재질의 흡수부재를 가지고 상기 흡수부재가 상기 심지공을 통과하도록 상기 식재용기부에 설치되는 심지와, 저수용기바닥면부와 상기 저수용기바닥면부와 협조하여 요형을 이루도록 상기 저수용기바닥면부의 둘레연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저수용기측면부와 상기 저수용기측면부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상기 저수용기측면부에 형성된 급수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급수개구부가 상기 급수안내개구를 통해 노출되고 상기 저수용기측면부의 상단에 상기 식재용기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받침틀에 설치되는 저수용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용 식물재배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는 급수개구부를 구비한 저수용기부를 포함하고 있는바,
급수개구부를 통해 저수용기부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저수용기부의 내부에서 서식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급수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종래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는 비닐하우스를 설치할 수 없어 겨울에 식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급수개구부를 구비한 저수용기부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고 저수용기부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함과 아울러 비닐하우스를 용이하게 설치하여 겨울에 식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식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는,
급수개구부(3)를 구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수용기부(5)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급수개구부(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이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모기 등의 벌레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부재(7)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상면 및 방충부재(7)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홈(9)을 구비하여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식재용기부(11)와;
상기 식재용기부(11)의 체결홈(9)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면 및 측면에 비닐이 설치되도록 하여 겨울에 식물이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13)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는 급수개구부를 구비한 저수용기부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 있을 뿐만 아니라 저수용기부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를 용이하게 설치함으로써 겨울에 식물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야외용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식물식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식물식재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6은 도 2의 식재용기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2의 저수용기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2의 방충부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식물식재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식물식재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식재용기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2의 저수용기부의 평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방충부재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1)는,
급수개구부(3)를 구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수용기부(5)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급수개구부(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이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모기 등의 벌레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부재(7)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상면 및 방충부재(7)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홈(9)을 구비하여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식재용기부(11)와;
상기 식재용기부(11)의 체결홈(9)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면 및 측면에 비닐(도시는 생략함)이 설치되도록 하여 겨울에 식물이 용이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골조(骨組)(1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식재용기부(11)의 바닥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물구멍(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물구멍(15)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1심지지지관(17)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심지지지관(17)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제2심지지지관(1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심지지지관(17) 및 제2심지지관(19)의 내부에는 식물로 물을 전달해 주는 심지부(21)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골조(13)는,
수평봉(23)과;
상기 수평봉(23)에 결합 됨과 동시에 체결홈(9)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오각형태의 수직부(2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비닐은 투명한 비닐 또는 반투명한 비닐 또는 불투명한 비닐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방충부재(7)는,
급수개구부(3)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턱(27)과;
상기 걸림턱(27)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위치되되, 저수용기부(5)의 내부로 물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저수용기부(5)의 내부로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고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와;
상기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의 저면 일측에 돌출 설치되되,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가 급수개구부(3)에 안착 될 때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를 지지해 주는 지지돌기(3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는 저수용기부(5)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를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급수개구부(3)를 구비한 저수용기부(5)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걸림턱(27)과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와 지지돌기(31)를 포함한 방충부재(7)를 위치시킨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개구부(3)의 일측에 걸림턱(27)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는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돌기(31)는 급수개구부(3)의 상면 일측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31)는 방충부재(7)가 좌우로 흔들리지 못하도록 지지해 준다.
그리고, 물구멍(15)과 제1심지지지관(17)과 제2심지지지관(19) 및 체결홈(9)을 포함한 식재용기부(11)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저수용기부(5)의 상면 및 방충부재(7)의 상면에 식재용기부(11)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식물로 물을 전달해 주는 심지부(21)를 위치시킨 후, 상기 식재용기부(11)의 제1심지지지관(17)과 제2심지지지관(19)에 심지부(21)를 억지 끼움시킨다.
그리고, 상기 식재용기부(11)의 내부에 자갈과 흙을 넣은 후, 상기 흙에 식물을 식재한다.
상기와 같이 식재용기부(11)의 내부에 식물의 식재가 완료되면,
급수개구부(3)에 안착 된 방충부재(7)의 그물망 형태의 소쿠리(29)로 물을 붓는다. 이때, 물은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그물망 형태의 소쿠리(29)는,
물속에 들어있는 이물질 및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저수용기부(5)의 내부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고,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외부로 나오지 못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비닐하우스의 설치를 원할 경우, 수평봉(23)과 오각형태의 수직부(25)를 포함한 골조(骨組)(13)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평봉(23)을 식재용기부(11)의 일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식재용기부(11)의 체결홈(9)에 오각형태의 수직부(25)를 억지 끼움시킴과 동시에 상기 오각형태의 수직부(25)를 수평봉(23)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투명한 비닐(도시는 생략함) 또는 반투명한 비닐(도시는 생략함) 또는 불투명한 비닐(도시는 생략함)을 위치시킨 후, 골조(13)의 상면 및 측면에 사용자가 원하는 비닐을 설치한다.
한편, 식재용기부(11)의 내부에 인삼을 식재하였을 경우, 비닐 대신에 차양막을 위치시킨 후, 골조(13)의 상면 및 측면에 차양막을 설치한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식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저수용기부(5)와 식재용기부(11)를 크게 한 것이고, 도 10은 저수용기부(5)와 식재용기부(11)를 길게 한 것이다.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식물식재장치
3 : 급수개구부
5 : 저수용기부
7 : 방충부재
9 : 체결홈
11 : 식재용기부
13 : 골조(骨組)
15 : 물구멍
17, 19 : 심지지지관
21 : 심지부
23 : 수평봉
25 : 오각형태의 수직부
27 : 걸림턱
29 :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
31 : 지지돌기

Claims (5)

  1. 급수개구부(3)를 구비하여 물을 저장하는 저수용기부(5)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급수개구부(3)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물이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모기 등의 벌레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함과 아울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충부재(7)와; 상기 저수용기부(5)의 상면 및 방충부재(7)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되, 일정간격을 두고 체결홈(9)을 구비하여 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식재용기부(11)를 포함하되,
    상기 방충부재(7)는,
    상기 급수개구부(3)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는 걸림턱(27)과;
    상기 걸림턱(27)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위치되되, 저수용기부(5)의 내부로 물을 통과시킴과 아울러 저수용기부(5)의 내부로 지카바이러스를 유발하는 모기 등의 벌레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지 못하도록 하고 저수용기부(5)의 내부에 모기 등의 벌레가 서식하더라도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하는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와;
    상기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의 저면 일측에 돌출 설치되되,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가 급수개구부(3)에 안착 될 때 그물망 형태의 방충소쿠리(29)를 지지해 주는 지지돌기(3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식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2304U 2016-04-28 2016-04-28 식물식재장치 KR200481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04U KR200481380Y1 (ko) 2016-04-28 2016-04-28 식물식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04U KR200481380Y1 (ko) 2016-04-28 2016-04-28 식물식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80Y1 true KR200481380Y1 (ko) 2016-09-23

Family

ID=57048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04U KR200481380Y1 (ko) 2016-04-28 2016-04-28 식물식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80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346A (ja) * 2000-07-28 2002-02-05 Chuzaburo Ichiyoshi 防虫網付き植木鉢用受皿
KR20110006324A (ko) * 2009-07-14 2011-01-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20130106913A (ko) * 2012-03-21 2013-10-01 김인하 화분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346A (ja) * 2000-07-28 2002-02-05 Chuzaburo Ichiyoshi 防虫網付き植木鉢用受皿
KR20110006324A (ko) * 2009-07-14 2011-01-20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옥상 텃밭용 작물 재배상자
KR20130106913A (ko) * 2012-03-21 2013-10-01 김인하 화분용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078B2 (en) Animal-incursion-resistant raised bed gardening system
KR200448401Y1 (ko) 저수 및 배수기능이 구비된 화분
KR101508736B1 (ko) 식생고정 프레임과 섬유질토양매트를 이용한 식생판 및 이를 이용한 입체녹화 구조물
JP2008113577A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US20110036005A1 (en) String trellis apparatus
US20160309670A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KR200470506Y1 (ko) 구멍 없는 화분
KR200481380Y1 (ko) 식물식재장치
KR20130052118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130004600U (ko)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KR20130104036A (ko) 식물 재배용기
JP5058214B2 (ja) 屋上緑化装置
KR102038769B1 (ko) 급수화분을 갖는 식물재배화분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JP6296515B2 (ja) 一般家庭向け簡易水耕栽培装置
JP5893867B2 (ja) ビオトープ装置
JP2007306862A (ja) 壁面緑化パネルと、その壁面緑化パネルを用いた壁面の緑化工法
KR101899720B1 (ko) 복사열 차단 이중구조 식물재배화분
KR102077897B1 (ko) 복사열 차단이 가능한 식물재배화분
JP2003038049A (ja) 縦型養液栽培装置
JP3157945U (ja) 緑化パネル
GB2406256A (en) Garden Planter
JP2001061350A (ja) 木を植えるプランター
KR200483156Y1 (ko) 친환경 교육용 원형 상자텃밭
JP2006020542A (ja) 屋上の緑化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