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600U -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 Google Patents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600U
KR20130004600U KR2020120000452U KR20120000452U KR20130004600U KR 20130004600 U KR20130004600 U KR 20130004600U KR 2020120000452 U KR2020120000452 U KR 2020120000452U KR 20120000452 U KR20120000452 U KR 20120000452U KR 20130004600 U KR20130004600 U KR 201300046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ank
base member
hose
plant
f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0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숙
Original Assignee
조경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숙 filed Critical 조경숙
Priority to KR2020120000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4600U/ko
Publication of KR201300046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6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에 관한 것으로, 어항의 상측에 각종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한 화분을 고정 설치한 후 어항 내부의 물을 화분 측으로 순환시킴에 따라 화분의 물 공급 및 어항의 산소 공급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은,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수조로서, 그 내부에서 각종 어류가 사육되는 어항과; 상기 어항의 바닥면에 안착 설치되는 중량물로서, 내부에 일정 공간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그 몸체에는 다수 개의 관통홀이 천공된 베이스부재와; 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그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서 각종 식물이 재배되며, 그 하면에는 다수 개의 배수홀이 천공된 화분과; 그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내부 및 화분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포스트 내부에 설치되는 호스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공간부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호스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어항 내부의 물을 상기 호스를 매개로 화분 측으로 연속 공급하는 수중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FISH BASIN WITH FLOWERPOT}
본 고안은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항의 상측에 각종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한 화분을 일체로 결합시킨 후 어항 내부의 물을 화분 측으로 순환시켜 식물 재배 및 어항의 산소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그 내부에서 각종 어류를 사육하면서, 그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종 공공장소나 가정 등의 실내에 구비되어 관상용으로 활용된다.
이때, 상기 어항에는 해당 어류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모터를 포함하는 산소공급수단을 어항 내부에 별도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실내에는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실내 공기정화 및 음이온 발생 등을 비롯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재배되는 화분이 구비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어항 및 화분이 각각 별도로 구비됨에 따라, 많은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어항 및 화분을 각각 별도로 관리해야만 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되었다.
즉, 상기 어항에는 산소공급을 위해 별도의 산소공급수단을 반드시 설치해야만 하며, 또한 상기 화분에는 식물의 생장을 위해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해야만 하므로, 그 관리작업이 매우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 본 고안은 어항의 상측에 각종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한 화분을 고정 설치한 후 어항 내부의 물을 화분 측으로 순환시킴에 따라 화분의 물 공급 및 어항의 산소 공급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물 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은,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수조로서, 그 내부에서 각종 어류가 사육되는 어항과; 상기 어항의 바닥면에 안착 설치되는 중량물로서, 내부에 일정 공간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그 몸체에는 다수 개의 관통홀이 천공된 베이스부재와; 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그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서 각종 식물이 재배되며, 그 하면에는 다수 개의 배수홀이 천공된 화분과; 그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내부 및 화분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포스트 내부에 설치되는 호스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공간부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호스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어항 내부의 물을 상기 호스를 매개로 화분 측으로 연속 공급하는 수중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수중모터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화분에는 다수 개의 황토볼이 수납되어, 이를 매개로 해당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생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각종 어류를 사육하는 어항의 상측에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한 화분을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어항 내부의 물을 수중모터를 매개로 화분 측으로 순환시켜 화분의 물 공급 및 어항의 산소 공급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은 한 개의 몸체를 통해 어류의 사육 및 식물의 재배가 모두 이루어짐에 따라, 협소한 공간에서도 간편하게 설치하여 우수한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가 있으며, 부수적으로 공기정화작용 및 가습작용 등의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은, 각종 어류를 사육하는 어항(10)의 상측에 각종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한 화분(60)을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어항(10) 내부의 물을 화분(60) 측으로 순환시킴에 따라 화분의 물 공급 및 어항의 산소 공급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은, 소정 형상 및 크기를 갖는 어항(10)의 상측에 포스트(30)를 매개로 용기형태의 화분(60)이 고정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포스트(30) 내부에는 호스(50)가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호스(50)의 하단에는 어항(10) 내부의 물을 화분(6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중모터(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어항(10)은 그 상면이 개방된 수조로서, 직육면체 형상이나 원통형상을 비롯하여 신미감을 갖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며, 그 내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의 유리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항(10)의 바닥면에는 상기 포스트(30) 상단에 고정된 화분(6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20)가 안착 설치되는데, 상기 베이스부재(20)는 화분(6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부식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의 중량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어항의 바닥면에 안착 설치된 상태에서 내부에 일정 공간부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며, 그 몸체에는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홀(22)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재(20)에는 그 내부에 설치되는 수중모터(40) 측에 임의적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과수단(24)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관통홀(22) 측에 필터역할을 하는 미세한 망을 설치하거나, 그 내부에 여과를 위한 직물이나 솜 등과 같은 여과포를 내장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 이외에, 상기 베이스부재(20) 주위에 자갈(26) 등을 다량 적재하여, 상기 관통홀(22) 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20) 및 화분(60) 상호간을 연통된 상태로 연결하는 포스트(30)는 대략 관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물의 공급을 위한 호스(50)가 내장되어 구성되며, 상기 호스(50)의 하단이 위치되는 상기 베이스부재(20) 내부에는 수중모터(40)가 설치되어, 상기 어항(10) 내부의 물을 상기 호스(50)를 매개로 화분(60) 측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포스트(30)의 상단부 측에 고정 설치되는 화분(60)은 상부가 개방된 다양한 용기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져, 그 하면에는 상기 호스(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다시 어항(10)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다수 개의 배수홀(62)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서 각종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화분(60) 내부에 다수 개의 황토볼(70)을 수납한 후, 상기 황토볼(70)을 매개로 해당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생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상기 황토볼(70)은 점질이 그대로 살아 있어 점도가 높은 오염되지 않은 황토를 자연 건조 후 분쇄시키거나 또는 자연 상태의 분말을 채취하여 대략 325[매쉬] 전.후 크기의 분말을 얻음과 아울러, 상기 황토 분말에 옥이나 숯, 또는 그 이외의 각종 한방 생약재를 동일한 크기로 분쇄시켜 혼합한 후 물과 혼합하여 대략 지름이 5 밀리미터[mm] 내지 10 밀리미터[mm] 크기의 볼 형태로 고온에서 구워 제조한 것이다.
상기 황토볼(70)은 원적외선 물질을 방사시켜 향균 및 탈취 기능을 갖으며, 이를 통해 해당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수질 정화 및 주변 공기 정화 작용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의 작용에 대하여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라, 각종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한 화분(60)을 어항(10)의 상측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호스(50) 및 수중모터(40)를 매개로 어항(10) 내부의 물이 연속적으로 상기 화분(60) 측으로 공급된 후 배출되도록 함에 따라, 한 개의 몸체를 통해 소정 어류의 사육 및 식물 재배를 동시에 행하면서 실내에 인테리어 효과도 부여할 수가 있게 된다.
즉, 어항(10) 내부에 물을 채우고 소정 어류를 넣음과 아울러, 상기 화분(60)에는 소정 식물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어항(10)을 실내 일정 위치에 안착시킨 후 상기 수중모터(40) 측에 전원부(42)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소정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수중모터(40)가 동작되면서 상기 어항(10) 내부의 물은 상기 베이스부재(20)에 구비된 소정 여과수단(22)에 의해 여과된 상태로 호스(50)를 통해 상기 화분(60) 측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화분(60)에 구비된 해당 식물의 수경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분(60)에 황토볼(70) 등을 채워 넣게 되면, 식물의 뿌리내림 및 생장에 도움을 줄 수가 있음과 아울러,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각종 유익한 효과도 얻을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화분(60) 측으로 공급된 물은 화분(60) 하면에 구비된 다수 개의 배수홀(62)을 통해 자유낙하 되면서 다시 어항(10) 측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배수홀(62)을 통해 낙하되는 물방울들은 공기와 접촉되면서 그 표면에 산소가 흡착된 상태로 상기 어항(10) 측으로 유입되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어항(10)에는 별도의 산소공급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연적으로 산소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을 통해서는 수중모터(40) 및 호스(50)를 매개로 한 물의 연속적인 순환 작용을 통해 화분(60)의 물 공급 및 어항(10)의 산소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각종 식물의 수경 재배 및 어류의 사육을 동시에 달성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 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어항, 20: 베이스부재,
22: 관통홀, 24: 여과수단,
26: 자갈, 30: 포스트,
40: 수중모터, 42: 전원부,
50: 호스, 60: 화분,
62: 배수홀, 70: 황토볼.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수조로서, 그 내부에서 각종 어류가 사육되는 어항과;
    상기 어항의 바닥면에 안착 설치되는 중량물로서, 내부에 일정 공간부가 구비됨과 아울러 그 몸체에는 다수 개의 관통홀이 천공된 베이스부재와;
    관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부재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그 상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되, 상부가 개방된 용기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서 각종 식물이 재배되며, 그 하면에는 다수 개의 배수홀이 천공된 화분과;
    그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재 내부 및 화분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포스트 내부에 설치되는 호스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공간부 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호스 하단과 연결되어, 상기 어항 내부의 물을 상기 호스를 매개로 화분 측으로 연속 공급하는 수중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수중모터 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에는 다수 개의 황토볼이 수납되어, 이를 매개로 해당 식물이 뿌리를 내리고 생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KR2020120000452U 2012-01-18 2012-01-18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KR201300046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52U KR20130004600U (ko) 2012-01-18 2012-01-18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0452U KR20130004600U (ko) 2012-01-18 2012-01-18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600U true KR20130004600U (ko) 2013-07-26

Family

ID=5135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0452U KR20130004600U (ko) 2012-01-18 2012-01-18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460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87Y1 (ko) * 2013-10-18 2014-06-12 윤병섭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다용도 화분 조립체
KR101682618B1 (ko) * 2015-09-03 2016-12-06 (주)록키 오아시스형 반수경 어항화분
KR200485623Y1 (ko) * 2017-07-06 2018-02-01 김지훈 어항 겸용 수경재배장치
WO2019221378A1 (ko) * 2018-05-17 2019-11-21 Kim Seung Hwan 화분 일체형 수족관
KR20200006418A (ko) * 2018-07-10 2020-01-20 안상희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887Y1 (ko) * 2013-10-18 2014-06-12 윤병섭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다용도 화분 조립체
KR101682618B1 (ko) * 2015-09-03 2016-12-06 (주)록키 오아시스형 반수경 어항화분
KR200485623Y1 (ko) * 2017-07-06 2018-02-01 김지훈 어항 겸용 수경재배장치
WO2019221378A1 (ko) * 2018-05-17 2019-11-21 Kim Seung Hwan 화분 일체형 수족관
KR20200006418A (ko) * 2018-07-10 2020-01-20 안상희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977B1 (ko)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KR20130004600U (ko)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JP2006271355A (ja) 観賞魚水槽を有する観葉植物の水耕栽培
KR100943824B1 (ko) 다목적 화분
KR200472887Y1 (ko)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다용도 화분 조립체
KR20140019983A (ko) 수직형 녹화구조물
KR200462881Y1 (ko) 수족관이 결합된 수경재배 정원
JP3212659U (ja) 動植物共生観賞容器
CN207460918U (zh) 一种可变容的花卉种植装置
CN107302884A (zh) 一种组合式禽鱼菜共生系统
KR101646638B1 (ko) 아쿠아포닉스 화분
CN204518615U (zh) 透气蓄水吊盆
KR101592088B1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JP2020191821A (ja) 動植物共生観賞用鉢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CN104145871B (zh) 一种种养一体化生态鱼缸
JP2018102171A (ja) 蚊媒介及び緑膿菌感染症の予防対策が出来る底面給水方式の植木鉢エコ自動給水器
KR100825823B1 (ko) 가습기 기능이 구비된 철망화분
CN209882822U (zh) 一种毛细自灌溉生态鱼缸花盆
KR20100047790A (ko) 실내용자연생태시스템
TWM615486U (zh) 植栽裝置
CN107344757A (zh) 垂直污水净化与植物栽培系统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CN102100158A (zh) 长期不浇水组合式观赏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