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418A -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418A
KR20200006418A KR1020180080140A KR20180080140A KR20200006418A KR 20200006418 A KR20200006418 A KR 20200006418A KR 1020180080140 A KR1020180080140 A KR 1020180080140A KR 20180080140 A KR20180080140 A KR 20180080140A KR 20200006418 A KR20200006418 A KR 20200006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tower
air cleaning
wat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414B1 (ko
Inventor
안상희
안현욱
Original Assignee
안상희
안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희, 안현욱 filed Critical 안상희
Priority to KR102018008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24F2003/1617
    • F24F2003/165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100)는 함체로서의 수탱크프레임부(10)와,이 수탱크프레임부(10)의 상방으로 직립하는 다단의 수류타워(50)를 가지고,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는 수탱크(11)를 격리된 벽체(11')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중간격벽(11")을 이용하여 수탱크부(20)와 펌프구동부(30)로서 구획하여, 상기 수탱크부(20)에는 담수가 채워져 펌프구동부(30)의 순환펌프(40)로부터 연장된 관체의 순환파이프(41)가 유체연결되며,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의 수탱크부(11)에 유체연결되는 수류타워(50)는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이고,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직경(D) 보다 축소된 제1탱크타워(51)의 직경(d)의 단차는 다수의 방산공(59')이 천공된 단차디스크(59)가 폐색하고, 상기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의 연통된 중앙부에는 수급송관체(55)가 하방의 상기 수탱크(11)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1탱크타워(51)를 거쳐서 상기 제1탱크타워(51)까지 연장하여 그 단부측까지 연장개방되며, 상기 수급송관체(55)의 하방 단부에는 상기 펌프구동부(30)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순환펌프(40)의 순환파이프(41)가 연결되어 상기 수탱크부(11)의 물을 상기 제1탱크타워(51)까지 공급하며, 상기 제1탱크타워(51)와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급송관체(55)에 끼워지는 다수의 수류공(56',57')이 균일하게 천공된 수류분할디스크(56,57)가 링형상의 디스크로서 끼워진다.

Description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AIR PURIFIER USING CIRCULATION OF WATER}
본 발명은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친화적이고 다양한 작용효과를 수행하며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공기청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특히, 근래 미세먼지나, 다양한 화학물질 및 유해물질에 노출되는 경향이 증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미세먼지, 화학물질, 유해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다양한 방식과 종류의 공기청정기 등이 개발되어 있고 이러한 공기청정기는 대부분 필터를 채용하여 순환하는 공기를 통과시켜 필터링시키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또 다른 방식으로서는 회전하는 다수의 원판과 수통을 구비하여 수통의 물과 원판과의 회전에 의하여 증발하는 방식의 것도 존재하고 있다. 또는 일부 가정이나 사무소에서는 건강에 유익한 피톤치트 등을 발산하는 편백나무나 관엽식물 등을 배양하여 환경을 개선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반의 종래의 방식의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의 효과는 가질 수 있을 지 몰라도 미세먼지를 제거할 정도의 성능의 것은 그 자체가 대단히 고가의 것이고 또한 주기적인 고가의 필터의 교체를 요구하며 공기중 불순물의 제거라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그 외에 별도로 얻게 되는 효과는 없다.
식물의 배양에 의한 방식 역시 주기적으로 식물에 물을 주어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미세먼지 등의 유해물질의 제거는 어렵고 식물의 특성상, 그 관리가 극히 힘들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선출원으로서 한국 특허공보 제10-1334246호,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20-0323652호, 한국 특허공보 제10-1429337호 등에 분수를 구비하는 공기청정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실질적인 효율이 낮으며 공기청정을 위한 단일의 목적성 만을 가지는 한계가 있다.
(문헌 1) 한국 특허공보 제10-1334246호 (문헌 2)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20-0323652호 (문헌 3) 한국 특허공보 제10-1429337호
없슴.
이러한 종래 구성의 공기청정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고 공기중 미세먼지, 유해화학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면서 음이온의 발산과 식물성 피톤치트의 발산이 가능하고 시각적으로 뛰어나 장식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의 신규한 공기청정기 내지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이에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에서는,
순환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함체로서 그 중앙부의 원형, 사각형, 다각형상에서 선택되는 형상의 수탱크프레임부(10)와,이 수탱크프레임부(10)의 상방으로 직립하는 다단의 수류타워(50)를 가지고,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는 수탱크(11)를 격리된 벽체(11')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중간격벽(11")을 이용하여 수탱크부(20)와 펌프구동부(30)로서 구획하여,
상기 수탱크부(20)에는 담수가 채워져 펌프구동부(30)의 순환펌프(40)로부터 연장된 관체의 순환파이프(41)가 유체연결되며,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의 좌우측 또는 전후방측으로 상기 격벽(11')에 의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획된 1개 이상의 식물식재부(45,45')가 함체로서 더 구성되며,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의 수탱크부(11)에 유체연결되는 수류타워(50)는 2단 이상의 투명 또는 투명착색된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이고,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직경(D) 보다 축소된 제1탱크타워(51)의 직경(d)의 단차는 다수의 방산공(59')이 천공된 단차디스크(59)가 폐색하고,
상기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의 연통된 중앙부에는 수급송관체(55)가 하방의 상기 수탱크(11)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1탱크타워(51)를 거쳐서 상기 제1탱크타워(51)까지 연장하여 그 단부측까지 연장개방되며,
상기 수급송관체(55)의 하방 단부에는 상기 펌프구동부(30)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순환펌프(40)의 순환파이프(41)가 연결되어 상기 수탱크부(11)의 물을 상기 제1탱크타워(51)까지 공급하며,
상기 제1탱크타워(51)와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급송관체(55)에 끼워지는 다수의 수류공(56',57')이 균일하게 천공된 수류분할디스크(56,57)가 링형상의 디스크로서 끼워져 순환하는 물의 세류를 형성하는 것을 구성적인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상방단부에는 장식디스크(60)가 탑재고정되고, 상기 장식디스크(60)는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단부를 폐색하면서 그 내방에 PCB기판(61)이 내장되고 하방외연부를 따라서 LED어레이(62)및 스피커(63)가 배설되어, 상기 PCB기판(61)의 회로에 내장설정된 음향이나 발광을 하방 구성부재에 투영할 수 있게 한 것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에 함체 형상의 어항부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는 저렴하게 구성하여 널리 보급할 수 있으며, 순환하는 수류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을 공기중 확산시켜 적용환경을 쾌적하게 하여 줄 뿐만아니라, 공기중 부유하는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미세먼지의 유해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장치와 함께 식물을 식재하거나 관상어를 양어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식물 및 어항부로부터의 유익한 피톤치트 및 산소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식물을 식재하여 공기청정장치를 구성함으로서 실내에서의 화분과 같이 친환경, 친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시각적으로 극히 미려한 심미성을 제공한다. 그에 부가하여 장식성의 광원과 새소리 등의 음원을 가짐으로서 심리적으로 안정된 실내환경을 제공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수류타워부를 도시하는 상방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사진,
도 4 는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실제 제작된 일 실시예의 사시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또 다른 제2의 실시예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또 다른 제3의 실시예의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또 다른 제3의 실시예의 사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수류타워부를 도시하는 상방 사시도,도 3 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사진,도 4 는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실제 제작된 일 실시예의 사시사진,도 6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또 다른 제3의 실시예의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의 또 다른 제3의 실시예의 사진이다.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100)는 도 4 내지 5도의 사진으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투명하거나 착색된 아크릴가공 또는 유리판재로 된 함체(박스체)로 가공하거나,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나 전체 크기가 상당하므로 제조비용적인 측면에서 보아 아크릴 가공체 또는 유리판재가공체가 바람직하다.
도 1이하에서와 같이, 공기청정장치(100)는 하방의 수탱크를 가지는 사각형 또는 원형체(도면과 사진에서는 사각형상의 함체를 도시하나 원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의 박스체 또는 함체로서 그 중앙부의 수탱크프레임부(10)와,이 수탱크프레임부(10)의 상방으로 직립하는 다단의 수류타워(50)로서 조립구성된다.
수탱크프레임부(10)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략 박스형상을 구성하는 사각함체, 원주상 함체, 그 밖의 다양한 평면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외벽체(1)로서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중앙부에 수탱크(11)를 격리된 벽체(11')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중간격벽(11")을 이용하여 수탱크(11)는 물이 수용되는 수탱크부(20)와 펌프구동부(30)로서 구획되어 있다.
수탱크부(20)에는 담수가 채워지고 이 수탱크부(20)에는 펌프구동부(30)의 순환펌프(40)로부터 연장된 관체의 순환파이프(41)가 유체연결되어 있다. 또한, 수탱크부(20)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수배출파이프가 외방과 연결되어 물을 교체할 ?에 사용하게 한다.
수탱크프레임부(10)의 좌우측 또는 전후방측으로는 상기 격벽(11')에 의하여 구획된 1개 이상의 식물식재부(45,45')가 역시 박스체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도 3의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식물식재부(45,45')는 생략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하는 수탱크프레임부(10)는 외벽체(1)로 구성된 개략 박스형상체의 중앙부측에 수탱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수탱크부(11)의 상면판(12)은 개폐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이 상면판(12)의 중앙부의 연통공(12')에는 다단(도면에서는 2단)의 원형관체 또는 사각관체의 수류타워(50)가 유체연결되면서 고정된다.
수류타워(50)는 도 1 내지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2단 이상의 타워체로서 구성되며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로서 각각 투명하거나 착색된 아크릴재, 유리재등으로써 구성되어 타워형상을 구성한다.
제1탱크타워(51)의 직경(D) 보다 축소된 제2탱크타워(52)의 직경(d)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타워형상체가 된다. 이 직경차를 단차디스크(59)가 수용하여 폐색하게 되면서 2개의 타워는 결합된다. 단차디스크(59)에는 내방에서 형성된 음이온등을 외부환경으로 방산시키기 위한 다수의 방산공(59')이 천공되어 있다.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의 연통된 중앙부에는 수급송관체(55)가 하방의 수탱크(11)로부터 연장하여 제1탱크타워(51)를 거쳐서 제1탱크타워(51)까지 연장하여 제1탱크타워(51)의 단부측까지 연장개방되어 있다.
수급송관체(55)의 하방단부에는 상기하는 펌프구동부(30)로부터 연장하여 순환펌프(40)의 순환파이프(41)가 연결되어 수탱크부(11)의 물을 제1탱크타워(51)까지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의 중앙부에는 상기하는 수급송관체(55)에 끼워지는 수류분할디스크(56,57)가 링형상의 디스크로서 끼워지고 이 수류분할디스크(56,57)에는 다수의 수류공(56',57')이 균일하게 천공되어 있다.
제1탱크타워(51)의 상방단부에는 장식디스크(60)가 탑재고정되나 이 장식디스크(60)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장식디스크(60)는 제1탱크타워(51)의 단부를 폐색하여 줄 뿐만 아니라 그 내방에 PCB기판(61)이 내장되고 하방외연부를 따라서 LED어레이(62)가 원주형상으로 배설되고 적의의 위치에는 스피커(63)가 내장된다.
PCB기판(61)에는 LED어레이(62)의 발광과 스피커(63)로의 음악등의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종래로부터의 음원 및 점등회로가 내설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다양한 음악, 새소리, 빗소리 등을 발성케 하면서 LED어레이(62)는 다양한 방식의 점등을 수행하여 하방의 각부재와 물에 반사됨으로서 장식성과 심리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부가하여 수탱크프레임부(10)의 좌우측 또는 전후방측의 격벽(11')에 의하여 구획된 1개 이상의 식물식재부(45,45')에는 배양토(E)가 담겨져 있고 이 배양토(E)에는 피톤치트 등을 발산하는 편백나무등과 같은 식물이나 관엽식물(도4,5)이 식재된다.
상기하는 기본적인 구성으로서의 본 발명의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공기청정장치(100)의 수탱크프레임부(10)에 형성된 수탱크(11)의 물은 펌프구동부(30)의 순환펌프(40)에 의하여 순환파이프(41)를 통하여 수급송관체(55)를 통하여 제1타워탱크(51')를 지나 상방의 제1탱크타워(51)까지 물을 끌어올리고,
그 개방단부(55')에서 방출되면 제1탱크타워(51)에 물이 채워지면서 제1탱크타워(51)의 중앙부의 수급송관체(55)에 끼워지는 수류분할디스크(56')의 다수의 수류공(56")으로 물이 가는 수류를 형성하면서 하방으로 흘러 제1탱크타워(51)로 들어간다.
다시 제1타워탱크(51')로 진입하여 축적된 물은 또 다른 수류분할디스크(56")의 다수의 수류공(56")에 의하여 분할 수류를 형성하여 하방으로 흘러 수탱크(11)로 복귀순환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수탱크(11)의 물은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세류(細流)를 형성하여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물속의 음이온과 수분이 방산하기 좋게 되고 이 음이온과 수분은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를 연결하는 단차디스크(59)의 다수의 방산공(59')을 통하여 외부환경으로 방산되게 된다.
동시에 장식디스크(60)의 LED어레이(62)와 스피커(63)로부터 새소리나 음악소리, 빗물소리 등 친환경적인 음향이 발생하면서 광원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과 색상배열로서 발광함으로써 하방으로 투영되어 전체적인 심미성이 극대화되며 이러한 효과는 야간에 더욱 크게 된다.
나아가 식물식재부(45,45')의 배양토(E)에 식재된 다양한 종류의 피톤치트등을 발산하는 식물이나 관엽식물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정화되면서 쾌적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도 1, 2에서는 수탱크프레임부(10)의 좌우측 또는 전후방측의 격벽(11')에 의하여 구획된 1개 이상의 식물식재부(45,45')를 구성한 것을 도시하지만 사진인 도 5와 같이 그 수탱크프레임부(10)의 전면부에 역시 함체 형상의 어항부를 추가적으로 구성하면 관상어를 양어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심미감은 더욱 향상될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도 6의 사진과 같이,. 수류타워부만을 크게 구성한 것, 도 7의 사진에서와 같이 원형상의 수탱크프레임부(10)를 가지는 것 등 다양한 구성과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100; 공기청정장치
10: 수탱크프레임부
20: 수탱크부
30:펌프구획부
40:순환펌프
50: 수류타워

Claims (4)

  1. 순환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공기청정작용을 수행하는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1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함체로서 그 중앙부의 원형, 사각형, 다각형상에서 선택되는 형상의 수탱크프레임부(10)와,이 수탱크프레임부(10)의 상방으로 직립하는 다단의 수류타워(50)를 가지고,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는 수탱크(11)를 격리된 벽체(11')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중간격벽(11")을 이용하여 수탱크부(20)와 펌프구동부(30)로서 구획하여,
    상기 수탱크부(20)에는 담수가 채워져 펌프구동부(30)의 순환펌프(40)로부터 연장된 관체의 순환파이프(41)가 유체연결되며,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의 수탱크부(11)에 유체연결되는 수류타워(50)는 2단 이상의 투명 또는 투명착색된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이고,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직경(D) 보다 축소된 제1탱크타워(51)의 직경(d)의 단차는 다수의 방산공(59')이 천공된 단차디스크(59)가 폐색하고,
    상기 제1탱크타워(51)와 제1탱크타워(51)의 연통된 중앙부에는 수급송관체(55)가 하방의 상기 수탱크(11)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제1탱크타워(51)를 거쳐서 상기 제1탱크타워(51)까지 연장하여 그 단부측까지 연장개방되며,
    상기 수급송관체(55)의 하방 단부에는 상기 펌프구동부(30)로부터 연장하여 상기 순환펌프(40)의 순환파이프(41)가 연결되어 상기 수탱크부(11)의 물을 상기 제1탱크타워(51)까지 공급하며,
    상기 제1탱크타워(51)와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중앙부에는 상기 수급송관체(55)에 끼워지는 다수의 수류공(56',57')이 균일하게 천공된 수류분할디스크(56,57)가 링형상의 디스크로서 끼워져 순환하는 물의 세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의 좌우측 또는 전후방측으로 상기 격벽(11')에 의하여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구획된 1개 이상의 식물식재부(45,45')가 함체로서 더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상방단부에는 장식디스크(60)가 탑재고정되고,
    상기 장식디스크(60)는 상기 제1탱크타워(51)의 단부를 폐색하면서 그 내방에 PCB기판(61)이 내장되고 하방외연부를 따라서 LED어레이(62)및 스피커(63)가 배설되어, 상기 PCB기판(61)의 회로에 내장설정된 음향이나 발광을 하방 구성부재에 투영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장치(100)는 상기 수탱크프레임부(10)에 함체 형상의 어항부(200)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KR1020180080140A 2018-07-10 2018-07-10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KR102144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40A KR102144414B1 (ko) 2018-07-10 2018-07-10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140A KR102144414B1 (ko) 2018-07-10 2018-07-10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418A true KR20200006418A (ko) 2020-01-20
KR102144414B1 KR102144414B1 (ko) 2020-08-12

Family

ID=6936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140A KR102144414B1 (ko) 2018-07-10 2018-07-10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461U (ko) * 1994-10-25 1996-05-17 최진순 장식기능이 개선된 공기정화기
KR200323652Y1 (ko) 2003-05-07 2003-08-19 송승재 참숯 공기청정 분수
KR20130004600U (ko) * 2012-01-18 2013-07-26 조경숙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KR101334246B1 (ko) 2012-03-14 2013-11-27 (주)삼호무역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어항
KR101429337B1 (ko) 2012-03-22 2014-08-11 조영식 공기 청정 분수 화분
KR200479522Y1 (ko) * 2015-06-26 2016-02-05 김희수 어항 겸용 수경 재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461U (ko) * 1994-10-25 1996-05-17 최진순 장식기능이 개선된 공기정화기
KR200323652Y1 (ko) 2003-05-07 2003-08-19 송승재 참숯 공기청정 분수
KR20130004600U (ko) * 2012-01-18 2013-07-26 조경숙 식물재배기가 결합된 어항
KR101334246B1 (ko) 2012-03-14 2013-11-27 (주)삼호무역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어항
KR101429337B1 (ko) 2012-03-22 2014-08-11 조영식 공기 청정 분수 화분
KR200479522Y1 (ko) * 2015-06-26 2016-02-05 김희수 어항 겸용 수경 재배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14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5783A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US11606937B2 (en) Turnkey aquaponics system
KR101488380B1 (ko) 수직 정원 모듈
US4006711A (en) Unitary liner for an aquarium
KR102262219B1 (ko)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KR20200006418A (ko)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JP3184500U (ja) 多段式観賞用水槽
TWM473049U (zh) 直立式魚菜共生裝置
KR101263833B1 (ko) 다용도 수족관
KR101950878B1 (ko) 탁상용 식물 공기 청정기
KR200297407Y1 (ko) 실내공기 정화용 화분
CN103210872A (zh) 一种利于观赏和娱乐的养鱼装置
KR200389947Y1 (ko) 어항이 구비된 실내조경물
WO2016187606A1 (en) A turnkey aquaponics system
KR20120080456A (ko) 복합 실내정원
KR101333833B1 (ko) 수족관을 일체로 구비한 산수 조형 시설물
CN2207951Y (zh) 水晶画
KR20130025464A (ko) 미니화분
KR101078315B1 (ko) 환경친화형 생태 플렌트
KR101345581B1 (ko) 조립모듈을 이용한 녹화시스템
KR20120133302A (ko) 화분의 탑재가 가능한 공기정화기
KR200255198Y1 (ko) 콤팩트한 복합수족관
US20220312703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5122358A1 (ja) 空気清浄等付加機能付き立体額縁
JP3209327U (ja) 多機能枠型壁掛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