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337B1 - 공기 청정 분수 화분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분수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9337B1 KR101429337B1 KR1020120029238A KR20120029238A KR101429337B1 KR 101429337 B1 KR101429337 B1 KR 101429337B1 KR 1020120029238 A KR1020120029238 A KR 1020120029238A KR 20120029238 A KR20120029238 A KR 20120029238A KR 101429337 B1 KR101429337 B1 KR 1014293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tank
- water storage
- plates
- delete dele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다단으로 쌓여있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화분용기;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물펌프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최상부의 플레이트에 공급하는 제1튜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자연 증발시켜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청정 분수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에 저장된물을 순환시켜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 식물을 식재하거나 소형 화분을 위치시켜 공기정화 및 심미감을 줄 수 있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한 장소에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가습기를 많이 사용한다. 즉, 가습기의 목적은 실내의 공기를 적당한 습도(60% 정도)로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로 인해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실내에 적당한 증기요소가 없고 온도가 높아지면 건조해지기 쉽다. 이런 때 가습기로 공기 속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전기에 의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하여 실내에 뿜어지게 하는 것이 가습기의 원리이다.
또한, 보통의 기계적 가습기는 물을 저장하는 밀폐형 저수조, 저수조의 물을 분무장치로 이송하는 급수 장치 및 물을 수증기 또는 안개 형태로 분무하는 분무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인 기존의 가습기는 상기 장치들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기 장치로 열을 발생 시키므로 밀폐형 저수조내의 수온의 증가로 세균번식 환경이 유도되고 분무 장치와 송풍장치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아 가습기의 청소에 매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습기를 사용함으로 세균으로 인한 질병을 얻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매일 가습기의 분무 장치 및 송풍장치를 일광 소독하여 사용하여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다양한 가습기가 개발되었지만 여전히 세균에 대한 문제점은 남아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자연 증발시켜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하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하거나 식물이 식재된 소형 화분을 장착시킴으로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 가습 및 공기 정화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동시에 줄 수 있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다단으로 쌓여있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화분용기;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물펌프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최상부의 플레이트에 공급하는 제1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물펌프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화분용기에 공급하는 제2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저수조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바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저수조의 내측면에서 상기 저수조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배수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걸림턱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턱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걸림턱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조의 내측면에서 상기 저수조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의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의 수평 면적 보다 큰 수평면적을 가지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저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양이 관측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상기 화분용기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용기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은, 중심부에 상기 제1튜브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낙하하는 물이 부딪히는 장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측면으로 인출되는 서랍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서랍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 내부에는 상기 저수조의 공간을 분할하도록 수직 방향의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수조 외측에는 상기 저수조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보조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자연 증발시켜 공기 중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을 식재하거나 식물이 식재된 소형 화분을 장착시킴으로 공기 정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연 가습 및 공기 정화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동시에 줄 수 있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도에 구비된 서랍이 열려있는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7은 저수조의 수평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수평 절단면을 따른 절단면이 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저수조의 수직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저수조의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도에 구비된 서랍이 열려있는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수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
도 7은 저수조의 수평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수평 절단면을 따른 절단면이 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저수조의 수직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저수조의 수직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도에 구비된 서랍이 열려있는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튜브의 설치 방법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은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10), 저수조(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15), 몸체부(15)의 상부에 다단으로 쌓여있는 복수의 플레이트(20), 복수의 플레이트(20) 상부에 위치하는 화분용기(25) 및 몸체부(15)와 복수의 플레이트(20)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고,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을 물펌프로부터 공급받아 복수의 플레이트(20) 중 최상부의 플레이트에 공급하는 제1튜브(30)를 포함한다. 물펌프(32)는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제1튜브(30)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펌프(32)에 의해 공급된 물은 제1튜브(30)를 타고 복수의 플레이트(20)의 최상단부까지 공급된다.
저수조(10)의 형상은 원통형, 정육면체형, 직육면체형, 다각기둥형, 항아리 형상 등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물이라면 그 형상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저수조(10)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 그 종류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저수조(10)은 내측은 수용된 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수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저수조(10) 외면은 심미감을 살리기 위해 소정의 문양이 새겨져 있을 수 있다.
저수조(10) 상부에는 몸체부(15)가 위치한다. 몸체부(15)는 복수의 플레이트(20)를 저수조(10)로부터 이격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몸체부(15)는 저수조(10)와 마찬가지로 심미감을 살리기 위해 몸체부(15) 외면에 소정의 문양이 새겨져 있을 수 있다. 몸체부(15)의 형상은 원통형, 정육면체형, 직육면체형, 다각기둥형 등 그 제한이 없다. 또한, 몸체부(15)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 그 종류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몸체부(15)의 상부에는 복수의 플레이트(20)가 위치한다. 복수의 플레이트(20)는 탑 형상으로 쌓여 있을 수 있다. 즉, 복수의 플레이트(20) 각각은 하부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수평 면적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플레이트(20)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 그 종류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복수의 플레이트(20) 각각은 상부가 개방된 오목한 형상(예를 들어, 접시, 컵, 밥 그릇 모양 등)을 가지고 있어서 그 내부에 소정의 자연 친화 재료(예를 들어, 숯, 옥돌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20)의 테두리 형상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그 모양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복수의 플레이트(20) 상부에는 화분용기(25)가 위치한다. 화분용기(25)에는 꽃 등의 식물이 직접 심어질 수도 있고, 소형 화분이 수용될 수도 있다. 화분용기(25)의 모양은 상부가 개방되어 소정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형상(예를 들어, 컵 모양 등)이라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화분용기(25)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 그 종류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몸체부(15)와 복수의 플레이트(20)의 중심부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관통홀에는 제1튜브(30)가 끼워진다. 제1튜브(30)의 일단은 물펌프(32)와 연결되고, 제1튜브(30)의 타단은 복수의 플레이트(20) 중 최상부의 플레이트까지 연결된다. 제1튜브(30)의 일단을 통해 유입된 물은 제1튜브(30)의 타단으로 유출되고, 유출된 물은 복수의 플레이트(20) 중 최상부의 플레이트에 연속적으로 저장되게 된다. 제1튜브(3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등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제1튜브(30)는 유연성을 가질 수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은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을 화분용기(25)에 공급하는 제2튜브(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튜브(35)의 일단은 물펌프(37)와 연결되고, 제2튜브(35)의 타단은 화분용기(25)까지 연장된다. 물펌프(37)는 저수조(10)의 물을 흡수하여 제2튜브(35)에 공급하고, 공급된 물은 제2튜브(35)를 타고 화분용기(25)에 공급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튜브(35)의 일단은 저수조(10)의 측면을 관통하여 저수조(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튜브(25)는 저수조(10)의 상부를 통해 저수조(10)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제2튜브(25)가 저수조(10)에 삽입되는 방향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다. 또한, 제2튜브(35)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의 외부를 통해 화분용기(2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튜브(35)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등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제2튜브(35)는 유연성을 가질 수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튜브(35)는 몸체부(15)와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관통하여 저수조(10)로부터 화분용기(25)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튜브(35)는 화분용기(25) 하부에 마련된 관통홀에 삽입되어 화분용기(25)까지 연장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부(15)와 복수의 플레이트(20)를 관통한 제2튜브는 화분용기(25)를 우회하여 화분용기(25)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10)의 저면에는 이동바퀴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바퀴부(25)는 바퀴프레임과 바퀴를 포함한다. 이동 바퀴부(25)는 복수일 수 있다. 이동 바퀴부(25)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수조(10)는 상단이 개방되어 있고,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은 저수조(10)의 내측면에서 저수조(10)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40) 및 몸체부(15)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배수홈(47)을 가지고 있으며 걸림턱(40)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부재(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10)의 상단은 개방되어 있다. 이때, 걸림턱(40)은 저수조(10) 내측면 중 상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걸림턱(40)은 저수조(10)의 내측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미도시). 또한, 걸림턱(40)은 저수조(10)의 내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도 1 내지 3 참조). 걸림턱(40)은 몸체부(15)의 저면에 부착된 받침부재(45)의 테두리 쪽은 걸림턱(40)에 걸쳐지게 된다. 즉, 걸림턱(40)은 받침부재(45)의 하부에서 받침부재(45)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받침부재(45)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수홈(47)을 포함한다. 몸체부(15) 상부에서 낙하하는 물은 배수홈(47)을 통해 저수조(10)에 유입된다. 배수홈(47)은 받침부재(45)의 테두리 쪽에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는, 배수홈(47)은 받침부재(45)의 내측 소정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미도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45)는 저수조(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45)의 모양은 저수조(10)의 모양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45)는 낙하한 물이 배수홈(47)에 쉽게 유입되도록 배수홈(47) 방향으로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45)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등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턱(40) 상단부에는 이격부재(50)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격부재(50)는 받침부재(45)가 걸림턱(4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격부재(50)가 직접 받침부재(45)를 지지하게 된다. 이격부재(50)는 걸림턱(40) 상단부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미도시). 또는 이격부재(50)는 걸림턱(40) 상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도 1 내지 3 참조). 이격부재(50)의 형상(예를 들어, 원형 띠, 사각형 띠, 직육면체나 원판 형의 소형 조각 등) 및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등)은 제한 없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10)의 내측면에는 저수조(10)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55)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55)는 걸림턱(40) 상부에 위치한다. 즉, 고정돌기(55)는 저수조(10)의 저면으로부터 걸림턱(40)까지의 거리 보다 더 먼 거리에 위치한다. 이때, 받침부재(45)의 테두리에는 고정돌기(55)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돌기(55)의 수평 면적 보다 큰 수평면적을 가지는 삽입홈(60)이 형성된다. 고정돌기(55)와 삽입홈(60)은 최종적으로 저수조(10)와 몸체부(15)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수직 방향으로 삽입홈(60)을 통해 고정돌기(55)를 통과 시킨 후, 수직 방향을 축으로 하여 받침부재(45)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 시키면, 걸림턱(40)과 고정돌기(55) 사이에 또는 이격부재(50)와 고정돌기(55) 사이에 받침부재(45)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45)와 결합된 몸체부(15)가 저수조(10)에 고정되게 된다. 고정돌기(55)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은 저수조(10)의 외부에서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의 양이 관측될 수 있도록 저수조(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지부(70)는 저수조(10)의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부(70)는 사용자가 게이지부(70)를 통해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소재로 만들어 진다. 게이지부(70)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은 복수의 플레이트(20) 각각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복수의 플레이트(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6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가 뒤집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지지부재(65) 삼각 다리, 사각다리, 망사형 구조물 등 그 모양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즉, 제1 지지부재(65)는 복수의 플레이트(20) 각각을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발명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65)가 폐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된 제1 튜브(30) 또는 제2 튜브(35)가 통과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측면에 물이 통과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지지부재(65)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등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은 화분용기(25)가 복수의 플레이트(2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화분용기(25)와 복수의 플레이트(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재(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가 뒤집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2 지지부재(70) 삼각 다리, 사각다리, 망사형 구조물 등 그 모양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즉, 제2 지지부재(70)는 복수의 플레이트(20)와 화분용기(25)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시킬 수 있는 형상이라면 본 발명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70)가 폐곡면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된 실시예에 상응하여 제2 튜브(35)가 통과되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측면에 물이 통과되는 배수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지지부재(7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등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 분수 화분(100)은 중심부에 제1튜브(30)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복수의 플레이트(20)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플레이트(20)에서 낙하하는 물이 부딪히는 장식부재(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식부재(75)는 낙하한 물이 흘러 내려갈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장식부재(75) 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등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장식부재(75)의 모양은 사각형, 원형 등 그 모양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장식부재(75) 하부에는 조명기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고, 조명기구의 동작에 따라 심미감이 증대될 수 있다. 이때, 조명기구의 동작을 조절하는 조명회로(미도시)는 저수조의 내부 일측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조명회로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된 별도의 공간에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10)는 저수조(10)의 측면으로 인출되는 서랍(8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저수조(10)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서랍(80)에 저장될 수 있다(도 4 참조). 사용자는 서랍(80)을 당겨서 서랍(80)에 물을 보충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도 3 참조). 결과적으로 서랍(80)에 담긴 물을 보충 또는 교환함으로써 저수조(10)에 담겨있는 물이 보충 또는 교환되는 효과가 있다. 서랍(80)의 모양은 저수조(10)의 모양에 대응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서랍으로서의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면 그 모양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또한, 서랍(80)의 재질은 플라스틱, 금속 등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물펌프(32)가 흡수한 물은 제1 튜브(30)의 일단에 공급되어 제1튜브(30)의 타단으로 유출된다. 제1튜브(30)의 타단으로 유출된 물은 복수의 플레이트(20) 중 최상단의 플레이트에 고이게 된다. 상기한 최상단 플레이트에 물이 차올라서 넘치게 되면, 넘친 물은 최상단의 하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낙하한다. 그 후, 하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 고인 물이 차 올라서 넘치게 되면, 넘친 물은 장식부재(75)로 낙하한다. 장식부재(75)에 낙하한 물은 받침부재(45)에 떨어지게 되고, 받침부재(45)에 떨어진 물은 배수홈(47)을 통해 저수조(10)로 유입된다.
또한, 물펌프(37)가 흡수한 물은 제2 튜브(35)의 일단에 공급되어 제2 튜브(35)의 타단으로 유출된다. 제2 튜브(35)의 타단으로 유출된 물은 화분용기(25)에 공급된다.
여기서, 물펌프(32, 37)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동작될 수 있다.
도 7은 저수조의 수평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수평 절단면을 따른 절단면이 표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저수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절차면(77)을 따라 저수조(10)를 절단하여 절단면(77) 상부를 제거하면 도 8에 도시된 사시도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10) 내부에는 저수조(10)의 공간을 분할하도록 수직 방향의 격벽(97)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수조(10)에는 두 종류의 물을 담을 수 있다. 또는 담겨있는 물의 용도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의 물은 제1 튜브(30)에 공급하고 다른 쪽의 물은 제 2튜브(35)에 공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저수조(10)에는 서랍(8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는 서랍(80) 구획된 영역 중 한쪽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실시예에 따라 양쪽 모두에 서랍(80)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수조의 모양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저수조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수조(10) 외측에는 저수조(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보조수납공간(8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보조수납공간(85)은 흙을 채워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관상어를 기르는 어항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수납공간(85)의 측면은 투명한 재질(예를 들어, 투명 아크릴, 유리 등)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수납공간(85)에는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보조수납공간(85)에 수용된 물은 배수홀을 통해 저수조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수납공간(85) 하부에는 물을 수용하는 서랍(8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 격벽(97)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격벽(97)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격벽(97)이 있는 경우 서랍(80)은 격벽(97)으로 분리된 공간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저수조
15 : 몸체부
20 : 복수의 플레이트
25 : 화분용기
30 : 제1 튜브
32, 37: 물펌프
35 : 제2 튜브
40 : 걸림턱
45 : 받침부재
47 : 배수홈
50 : 이격부재
55 : 고정돌기
60: 삽입홈
65 : 제1 지지부재
70 : 제2 지지부재
75 : 장식부재
15 : 몸체부
20 : 복수의 플레이트
25 : 화분용기
30 : 제1 튜브
32, 37: 물펌프
35 : 제2 튜브
40 : 걸림턱
45 : 받침부재
47 : 배수홈
50 : 이격부재
55 : 고정돌기
60: 삽입홈
65 : 제1 지지부재
70 : 제2 지지부재
75 : 장식부재
Claims (13)
- 물을 저장하고 상단이 개방된 저수조;
상기 저수조의 상부에 위치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다단으로 쌓여있는 복수의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화분용기;
상기 몸체부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물펌프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중 최상부의 플레이트에 공급하는 제1튜브;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물펌프로부터 공급받아 상기 화분용기에 공급하는 제2튜브;
상기 저수조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바퀴부;
상기 저수조의 외부에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양이 관측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지부;
중심부에 상기 제1튜브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에서 낙하하는 물이 부딪히는 장식부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각각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화분용기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화분용기와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저수조의 내측면에서 상기 저수조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턱;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배수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걸림턱 상부에 위치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가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걸림턱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이격부재; 및
상기 걸림턱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수조의 내측면에서 상기 저수조의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의 테두리에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돌기의 수평 면적보다 큰 수평 면적을 가지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을 통해 고정돌기를 통과한 받침부재는 수직방향을 축으로 특정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이격부재와 상기 고정돌기 사이에서 고정되고,
상기 저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측면으로 인출되는 서랍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서랍에 저장되고, 상기 저수조 내부에는 상기 저수조의 공간을 분할하도록 수직 방향의 격벽이 구비되며, 상기 저수조 외측에는 상기 저수조의 외측 둘레를 따라 보조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분수 화분.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9238A KR101429337B1 (ko) | 2012-03-22 | 2012-03-22 | 공기 청정 분수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9238A KR101429337B1 (ko) | 2012-03-22 | 2012-03-22 | 공기 청정 분수 화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0200A KR20130130200A (ko) | 2013-12-02 |
KR101429337B1 true KR101429337B1 (ko) | 2014-08-11 |
Family
ID=4997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9238A KR101429337B1 (ko) | 2012-03-22 | 2012-03-22 | 공기 청정 분수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933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9949B1 (ko) | 2014-10-07 | 2016-04-06 | 손동훈 | 습도 조절기 |
KR20200006418A (ko) | 2018-07-10 | 2020-01-20 | 안상희 |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535945B1 (ja) * | 2018-09-10 | 2019-07-03 | サンエービルドシステム株式会社 | 自動潅水式立体的植栽装置 |
CN109197233B (zh) * | 2018-10-20 | 2021-03-26 | 玉环市几偶孵化器有限公司 | 一种可分层进行水培和土培的养植花盆 |
KR102457286B1 (ko) * | 2021-11-17 | 2022-10-20 | 주식회사 애그유니 | 식물과 버섯 겸용 재배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5997U (ko) * | 1994-11-01 | 1996-06-17 | 황재철 | 수경재배용 화분 |
KR200367528Y1 (ko) * | 2004-08-13 | 2004-11-12 | 최흥만 | 급수식 다용도 화분 |
KR101121067B1 (ko) * | 2011-04-04 | 2012-03-16 | 이상우 | 엘이디 조명을 이용한 식물재배기 |
-
2012
- 2012-03-22 KR KR1020120029238A patent/KR1014293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15997U (ko) * | 1994-11-01 | 1996-06-17 | 황재철 | 수경재배용 화분 |
KR200367528Y1 (ko) * | 2004-08-13 | 2004-11-12 | 최흥만 | 급수식 다용도 화분 |
KR101121067B1 (ko) * | 2011-04-04 | 2012-03-16 | 이상우 | 엘이디 조명을 이용한 식물재배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9949B1 (ko) | 2014-10-07 | 2016-04-06 | 손동훈 | 습도 조절기 |
WO2016056797A1 (ko) * | 2014-10-07 | 2016-04-14 | 손동훈 | 습도 조정기 |
KR20200006418A (ko) | 2018-07-10 | 2020-01-20 | 안상희 | 순환수류형 공기청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0200A (ko) | 2013-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5930B1 (ko) |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 |
KR101429337B1 (ko) | 공기 청정 분수 화분 | |
KR101790143B1 (ko) |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 |
JP4262811B2 (ja) | 植木スタンド | |
ES2330674T3 (es) | Maceta para plantas. | |
KR101433598B1 (ko) | 가구 매립형 식물 재배장치 | |
US20150313104A1 (en) | Vertical Planter | |
KR101276699B1 (ko) | 이중 플레이트 구조의 재배 베드가 구비된 식물 재배기 | |
KR101429678B1 (ko) |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 |
KR101485824B1 (ko) | 수직정원 | |
KR20020049839A (ko) |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 |
PL226238B1 (pl) | Sposob i system wertykalnej uprawy roslin w doniczkach, urzadzenie do wertykalnej uprawy roslin w doniczkach oraz specjalna doniczka | |
KR101126188B1 (ko) | 물받침이 없는 화분 | |
KR101510463B1 (ko) | 다층 화분 | |
KR100943824B1 (ko) | 다목적 화분 | |
KR102271415B1 (ko) |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 |
KR102257401B1 (ko) |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의 설치를 위한 화분 걸이구 및 상기 화분 걸이구를 이용한 화분 설치 구조물 | |
KR20100129974A (ko) |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 |
KR101227699B1 (ko) |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 |
KR20120133302A (ko) | 화분의 탑재가 가능한 공기정화기 | |
KR20180003077A (ko) | 기능성 침대 | |
KR20090000927U (ko) | 친환경 식물가습기 | |
KR200424238Y1 (ko) | 실내조경장치 | |
KR20180002505U (ko) |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 |
JP2006170573A (ja) | 加湿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