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699B1 -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 Google Patents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699B1
KR101227699B1 KR1020120143903A KR20120143903A KR101227699B1 KR 101227699 B1 KR101227699 B1 KR 101227699B1 KR 1020120143903 A KR1020120143903 A KR 1020120143903A KR 20120143903 A KR20120143903 A KR 20120143903A KR 101227699 B1 KR101227699 B1 KR 101227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umidifier
water
electric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준
이상경
Original Assignee
금호의료기주식회사
이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의료기주식회사, 이종준 filed Critical 금호의료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0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lighting fix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취침시 주로 사용하는 스탠드와 가습을 위해 사용하는 자연가습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조명과 가습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아울러 실내 장식품으로의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측에 포개지는 수조와, 수조의 중앙에 세워지는 지지관과, 받침대에 내장되어 수조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 펌프와 연결되며 지지관의 내측에 배관된 공급관과, 지지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공급관이 연결되는 용수분배기와, 용수분배기에 상단이 고정된 증발포와, 상기 증발포의 하단에 결합되는 웨이트와, 용수분배기에 하단이 지지되도록 씌워지는 상하부가 개방된 테이퍼형의 전등갓과, 전등갓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용수분배기 위로 설치한 지지대에 지지되도록 한 전구 및 공기순환팬으로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를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A desk lamp with nature humidifier for lighting}
본 발명은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취침시 주로 사용하는 스탠드와 가습을 위해 사용하는 자연가습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조명과 가습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아울러 실내 장식품으로의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 가정, 병원, 사무실 등에서는 실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가습기는 전기를 이용한 강제식 가습기들이다.
전기를 이용한 강제식 가습기는 대부분 초음파를 이용하여 증기를 생성하고 이를 팬으로 강제 통풍시켜 가습되도록 한 것으로, 팬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강제 가습에 따른 과도한 습기로 인해 곰팡이 및 유해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강제식 가습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자연 증발식 구성의 가습기가 제공되고 있다.
자연 증발식 가습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 제1994-13102호(1994.06.22.)의 쟁반을 이용한 가습장치가 있으며, 이의 구성은 수반에 한 쌍의 거치대를 설치하고, 이 거치대에 수반에 담긴 물에 하단이 잠기도록 여러 장의 한지를 병렬로 고정한 구성으로 수반에 담긴 물이 한지에 흡습 증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U) 1996-18294호(1996.6.19.)의 가습기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물통 상측으로 수건을 걸 수 있는 걸이대를 세우고, 걸이대에는 물통에 하단이 잠기도록 수건을 걸어 물이 수건에 흡수 증발되도록 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0483968호(2005.04.19.)의 자연증발 가습기가 있으며, 이의 구성은 물을 저장하는 수반과, 상기 수반에 연통하여 배열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도관과, 상기 수반 및 상기 도관의 일정 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와, 상기 도관에 대응하여 삽입되는 돌출부가 하단에 형성된 직립하는 증발판 다수개를 등간격으로 배열 결합하여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를 상기 도관에 삽입 설치하는 증발판 카트리지 및, 상기 수반 및 상기 도관이 지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지지하되 적어도 상기 증발판 카트리지의 하면 일부분이 지면과 개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가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자연 증발식 가습기의 일반적인 기술들은 모세관 원리에 의해 하측 물통(수반)에서 물을 흡수하여 증발시키도록 구성되게 한 것으로, 가습 효율성의 개선에 한계가 있었던 바, 본 발명자는 자연증발식 가습기를 특허출원하여 등록(10-1172249(2012.08.07.)한 바 있다.
상기한 선등록 발명은 상부의 수조에서 증발포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하고, 증발포에서 자연 증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구성의 경우 전기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 효과가 있으나, 미관이 조악(粗惡)하고 부피가 크며, 설치가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고, 또 증발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KR 19940013102 U 1994.06.22. KR 19960018294 U 1996.6.19. KR 100483968 B1 2005.04.19 KR 101172249 B1 2012.08.07.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취침시 주로 사용하는 스탠드와 가습을 위해 사용하는 자연가습기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조명과 가습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아울러 실내 장식품으로의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측에 포개지는 수조와, 수조의 중앙에 세워지는 지지관과, 받침대에 내장되어 수조의 물을 펌핑하여 상부로 공급하는 급수 펌프와 연결되며 지지관의 내측에 배관된 공급관과, 지지관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공급관이 연결되는 용수분배기와, 용수분배기에 상단이 고정된 증발포와, 상기 증발포의 하단에 결합되는 웨이트와, 용수분배기에 하단이 지지되도록 씌워지는 상하부가 개방된 테이퍼형의 전등갓과, 전등갓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용수분배기 위로 설치한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한 전구 및 공기순환팬으로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를 구성하였다.
상기 지지관의 중간에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램프고정구를 더 설치하여 증발포 및 증발되는 수분을 살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램프고정구의 아래쪽에 웨이트고정구를 더 설치하여 물 공급 시 증발포를 상부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전등갓의 상부에 활성탄필터를 설치하여 송풍되는 가습에서 유해가스 및 냄새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전등갓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구를 원적외선 전구로 선택하여 조명과 아울러 열을 발생시켜 가습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증발포의 하부에 다수의 공기공급공을 관통 형성하여 외부 공기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용수분배기는 지지관의 상단에 결합되는 분배구에 방사상으로 분배관을 배관하고, 분배구를 중심으로 해서 동심으로 배열되도록 분배관에 배관되며 아래쪽으로 수개의 노즐이 형성된 분사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웨이트는 지지관에 끼워지는 승강링에 방사상으로 지지대를 고정하고, 승강링을 중심으로 해서 동심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링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각 분사관과 고정링에 증발포의 상단과 하단을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증발포는 상부와 하부에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고정용 밴드부를 형성하여 용수분배기의 분사관과 웨이트의 고정링을 감싼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를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스탠드와 가습기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다.
-웨이트를 램프고정구에 고정할 수 있어 수조의 청소가 용이하다.
-증발포에서 증발되는 수분이 자외선램프에 의한 살균과 활성탄필터의 정화 능력에 의해 신선한 가습이 가능하다.
-적외선 전구에서 발생하는 열원으로 증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증발포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세탁 등을 통해서 청결성을 상시 유지할 수 있다.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증발포를 분리하여 전기스탠드로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용수분배기 및 웨이트에 증발포를 결합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증발포의 예로서 수평상으로 주름이 형성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증발포의 예로서 수직상으로 주름이 형성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이 풍속증가에 따른 증발률 증가 실험결과 그래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용수분배기 및 웨이트에 증발포를 결합하는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1)는 종래 스탠드와 가습기를 따로 사용하고 있는 것을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장식성 부여와 가습 효율성 향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 개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받침대(2) 상측으로 상향 개구된 수조(3)를 설치하며, 상기 받침대(2)의 내부에는 수조(3)의 바닥과 관체로 연결되는 급수펌프(4)를 내장 설치한다.
상기 수조(3)의 중앙에는 지주관(5)을 세우며, 지주관(5)의 내측으로는 급수펌프(4)와 연결되어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관(6)을 설치한다.
상기 지주관(5)의 상측으로는 중앙 하측으로 결합공(7a-1)이 형성된 용수분배기(7)를 설치하고, 급수펌프(4)와 연결되어 있는 용수공급관(6)을 연결하여 급수펌프(4)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분배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용수분배기(7)는 지주관(5)의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공(7a-1)이 형성된 분배구(7a)에 방사상으로 분배관(7b)을 배관하고, 분배구(7a)를 중심으로 해서 동심으로 배열되도록 분배관(7b)에 배관되며 아래쪽으로 수개의 노즐(7c-1)이 형성된 분사관(7c)으로 구성한다.
상기 수개의 노즐(7c-1)이 형성된 분사관(7c)의 내부에는 스펀지 구성의 흡수포(7c-2)를 내장 설치한다. 흡수포(7c-2)를 분사관(7c)에 내장할 경우 분사관(7c)로 공급되는 물이 용수분배기(7)의 기울기 등에 관계없이 각 노즐(7c-1)로 원활하게 공급하는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용수분배기(7)에는 증발포(8)의 상단을 고정하며, 증발포(8)의 하단은 수조(3)의 내부에 위치하는 웨이트(9)를 고정한다.
이때 웨이트(9)는 상기 용수분배기(7)와 같이 지주관(5)에 끼워지는 승강링(9a)에 방사상으로 지지대(9b)를 고정하고, 승강링(9a)을 중심으로 해서 동심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대(9b)에 고정되는 고정링(9c)으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포(8)는 고정은 용수분배기(7)의 분사관(7c)과 웨이트(9)의 고정링(9c)에 각각 상단과 하단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증발포(8)의 고정은 상부와 하부에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고정용 밴드부(8a)를 형성하여 용수분배기(7)의 분사관(7c)과 웨이트(9)의 고정링(9c)을 감싼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증발포(8)를 이들에서 쉽게 탈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증발포(8)의 하부에는 다수의 공기공급공(8b)을 관통 형성하여 외부 공기 유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증발포(8)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증발면적을 높일 목적으로 도 5와 같이 수평상으로 주름을 형성하거나, 도 6과 같이 수직상으로 주름을 형성한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주관(5)의 중간에는 자외선램프(10)가 장착된 램프고정구(11)를 더 설치한다. 자외선램프(10)의 경우 증발포(8) 및 증발되는 수분을 살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램프고정구(11)의 아래쪽으로는 웨이트(9)의 지지대(9b)와 대응하도록 웨이트고정구(11a)를 더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웨이트(9)를 들어 올려 고정할 수 있어 수조(3) 청소에 매우 유용하다.
한편 상기 용수분배기(7)의 상측으로는 전등갓(12)이 씌워진다.
전등갓(12)은 불빛이 투과되는 다양한 재질(종이 또는 플라스틱)로 구성한다. 그리고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하고 용수분배기(7)에 내부 하단이 지지되게 한다.
상기 용수분배기(7)의 상측으로는 지지부(15)가 설치되며, 지지부(15)는 전구(13) 및 공기순환팬(14)이 설치되는 지지부(15)에서 방사상으로 수개의 지지봉(15a)을 결합하되, 지지봉(15a)의 끝단을 하향 절곡하야 전등갓(12)의 내면과 접하는 갓지지부(15b)가 형성되게 한 상태에서 용수분배기(7)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갓지지부(15b)의 구성은 전등갓(12)을 흔들림 없이 안전성 있게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5)에 설치되는 전구(13)는 원적외선 전구를 선택 사용하여 조명과 아울러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습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기순환팬(14)은 속도 조절이 가능한 것을 사용토록 한다. 풍속이 느리면 증발량이 줄며, 반대로 풍속이 빨라지면 공기 유입량이 증가되므로 자연적 증발량이 증가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증발포 부분의 풍속이 0.3m/s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용량으로 사용토록 하다.
그리고 상기 전등갓(12)의 상부에는 활성탄필터(16)를 설치하여 송풍되는 가습에서 유해가스 및 냄새제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10) 및 전구(13)와 공기순환팬(14)에는 전원이 제공되며, 이들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지주관(5)을 따라 배선된 전기선(17)이 연결된 전원제어기(18)를 함께 제공하며, 전기선(17)의 선단에는 플러그(19)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제어기(18)에는 가습기스위치(18a)와, 살균스위치(18b)와, 조명스위치(18c)를 각각 구비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1)는 주로 실내에서 취침 조명용 및 가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1)를 사용코자 할 시에는 먼저 수조(3)에 일정량의 용수를 채운 상태에서 전원제어기(18)의 가습기스위치(18a)를 켜면 급수펌프(4)의 구동과 아울러 공기순환팬(14)이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급수펌프(4)에 의해 수조(3)의 용수는 펌핑되어 상부의 용수분배기(7)에 공급된 상태에서 노즐(7c-1)을 통해 증발포(8)에 공급되어 증발포(8)를 적시게 되고, 공기순환팬(14)에 의해 증발포(8) 및 증발포(8)의 하부 공기공급공(8b)으로 공기가 유입된 후 전등갓(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활성탄필터(16)를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필요시 살균스위치(18b)를 켜면 증발포(8) 내에 위치하는 자외선램프(10)에 의해 유해 세균의 살균 작용이 이루어지며, 활성탄필터(16)를 통과하면서 송풍되는 가습에서 유해가스 및 냄새제거가 상당량 제거되어 신선한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조명스위치(18c)를 함께 켜면 공기순환팬(14)의 아래쪽으로 (원적외선) 내장 설치된 전구(13)가 점등되므로, 일반적인 전기스탠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전구(13)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증발포(8) 내부의 온도 상승을 유도하게 되며, 그로 인해 가습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 중 수조(3)의 청소, 증발포(8)의 청소 등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수조(3) 청소의 경우 수조(3) 내부에 위치하는 웨이트(9)를 들어 올려 자외선램프(10)가 장착되어 있는 램프고정구(11)의 아래쪽에 형성된 웨이트고정구(11a)에 웨이트(9)의 지지대(9b)를 끼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수조(3)를 청소하면 된다.
그리고 증발포(8)의 청소는 용수분배기(7)의 분사관(7c)과 웨이트(9)의 고정링(9c)에 증발포(8)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고정용 밴드부(8a)를 분리하는 방법으로 탈착할 수 있으므로 오손된 증발포(8)를 분리 후 세탁하여 재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실험례)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1)가 풍속증가에 따른 증발률 증가 실험결과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증발포 면적 1.5 m2, 상대 습도 35 ~ 40%, 온도 섭씨 20도 조건 하에서 실험을 행하였다.
풍속 0 m/s 기준 시간당 300g / 1.5 m2 증발 (2.4 kg / 8 시간) 즉 200 g/m2 증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풍속 0.3 m/s로 증가시킬 경우 자연증발 대비 약2배의 증발률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풍속이 0.3 m/s 강해질수록 증발률이 상승하기는 하나 크게 상승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2:받침대
3:수조 4:급수펌프
5:지주관 6:용수공급관
7:용수분배기 7a:분배구
7a-1:결합공 7b:분배관
7c:분사관 7c-1:노즐
7c-2:흡수포 8:증발포
8a:고정용 밴드부 8b:공기공급공
9:웨이트 9a:승강링
9b:지지대 9c:고정링
10:자외선램프 11:램프고정구
11a:웨이트고정구 12:전등갓
13:전구 14:공기순환팬
15:지지부 15a:지지봉
15b:갓지지부 16:활성탄필터
17:전기선 18:전원제어기
18a:가습기스위치 18b:살균스위치
18c:조명스위치 19:플러그

Claims (10)

  1.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1)에 있어서;
    받침대(2)와;
    받침대(2)의 상측에 포개지는 수조(3)와;
    수조(3)의 중앙에 세워지는 지주관(5)과;
    받침대(2)에 내장되어 수조(3)의 물을 펌핑하는 급수펌프(4)와 연결되며 지주관(5)의 내측에 배관된 용수공급관(6)과;
    지주관(5)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용수공급관(6)이 연결되는 용수분배기(7)와;
    용수분배기(7)에 상단이 고정된 증발포(8)와;
    수조(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증발포(8)의 하단에 결합되는 웨이트(9)와;
    용수분배기(7)에 하단이 지지되도록 씌워지는 상하부가 개방된 테이퍼형의 전등갓(12)과;
    전등갓(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용수분배기(7) 위로 설치한 지지부(15)에 지지되도록 한 전구(13) 및 공기순환팬(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관(5)의 중간에 자외선램프(10)가 장착된 램프고정구(11)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램프고정구(11)의 아래쪽에 웨이트고정구(11a)를 더 형성하여 웨이트(9)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12)의 상부에 활성탄필터(16)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여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등갓(12)의 내부에 위치하는 전구(13)는 원적외선 전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포(8)의 하부에 다수의 공기공급공(8b)을 관통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수분배기(7)는 지주관(5)의 상단에 결합되는 분배구(7a)에 방사상으로 분배관(7b)을 배관하고, 분배구(7a)를 중심으로 해서 동심으로 배열되도록 분배관(7b)에 배관되며 아래쪽으로 수개의 노즐(7c-1)이 형성된 분사관(7c)을 포함하며;
    상기 웨이트(9)는 지주관(5)에 끼워지는 승강링(9a)에 방사상으로 지지대(9b)를 고정하고, 승강링(9a)을 중심으로 해서 동심으로 배열되도록 지지대(9b)에 고정되는 고정링(9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증발포(8)는 상부와 하부에 매직테이프가 부착된 고정용 밴드부(8a)를 형성하여 용수분배기(7)의 분사관(7c)과 웨이트(9)의 고정링(9c)을 감싼 상태로 고정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7c)의 내부에는 스펀지 구성의 흡수포(7c-2)를 내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10. 청구항 1, 청구항 6,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포(8)는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주름을 형성하여 표면적을 넓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KR1020120143903A 2012-12-11 2012-12-11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KR101227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903A KR101227699B1 (ko) 2012-12-11 2012-12-11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3903A KR101227699B1 (ko) 2012-12-11 2012-12-11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699B1 true KR101227699B1 (ko) 2013-01-29

Family

ID=4784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3903A KR101227699B1 (ko) 2012-12-11 2012-12-11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6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44B1 (ko) * 2013-01-25 2014-06-30 양혜은 가습이 가능한 조명 기기
KR102100893B1 (ko) * 2018-11-21 2020-04-14 키위스 주식회사 수분 증발식 가습기
KR20220036195A (ko) * 2020-09-15 2022-03-22 김동진 자연기화식 수건 가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867Y1 (ko) 2000-11-25 2001-05-15 류장욱 가습기 겸용 전기스탠드
KR200407345Y1 (ko) 2005-09-27 2006-01-31 김선의 인테리어조명
KR20060000069U (ko) * 2006-11-07 2006-11-28 박동균 가습기용 스탠드 분수대 구조물
KR200434013Y1 (ko) 2006-09-20 2006-12-14 (주)이연상사 가습기가 부설된 조명용 스탠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867Y1 (ko) 2000-11-25 2001-05-15 류장욱 가습기 겸용 전기스탠드
KR200407345Y1 (ko) 2005-09-27 2006-01-31 김선의 인테리어조명
KR200434013Y1 (ko) 2006-09-20 2006-12-14 (주)이연상사 가습기가 부설된 조명용 스탠드
KR20060000069U (ko) * 2006-11-07 2006-11-28 박동균 가습기용 스탠드 분수대 구조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44B1 (ko) * 2013-01-25 2014-06-30 양혜은 가습이 가능한 조명 기기
KR102100893B1 (ko) * 2018-11-21 2020-04-14 키위스 주식회사 수분 증발식 가습기
KR20220036195A (ko) * 2020-09-15 2022-03-22 김동진 자연기화식 수건 가습기
KR102397947B1 (ko) * 2020-09-15 2022-05-13 김동진 자연기화식 수건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699B1 (ko) 조명용 전기스탠드 겸용 자연가습기
CN102697301B (zh) 多功能智能鞋柜
CN204494660U (zh) 多功能空气净化器
JP2021085656A (ja) 加湿器
KR100990679B1 (ko)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101429337B1 (ko) 공기 청정 분수 화분
GB201206557D0 (en) Vivarium
KR101144909B1 (ko) 가습기의 가습유도장치
CN203771606U (zh) 多功能空气净化器
KR101172249B1 (ko) 자연 증발식 가습기
CN207279832U (zh) 一种办公室用空气净化器
KR100699021B1 (ko) 공기정화기능 및 가습기능이 있는 테이블
KR101251092B1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가지는 조명 기구
KR200452079Y1 (ko) 음이온발생 및 가습기효능을 갖춘 수족관을 구비한 기능성 탁자
KR200434013Y1 (ko) 가습기가 부설된 조명용 스탠드
KR102171946B1 (ko) 이동형 실내 공기정화장치
CN201059848Y (zh) 一种新型的太阳能干燥房
KR20130005612U (ko) 가습기능을 구비한 도자기
CN205592852U (zh) 一种空气净化音乐灯
KR20220033265A (ko) 미세먼지가 저감되는 실외용 사계절 이끼식재 천연공기정화시스템
KR101950878B1 (ko) 탁상용 식물 공기 청정기
CN2620831Y (zh) 空气湿润器
KR100972562B1 (ko) 공기청정기 겸용 가습기
JP2006170573A (ja) 加湿器
CN204006400U (zh) 灯式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