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678B1 -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678B1
KR101429678B1 KR1020120117440A KR20120117440A KR101429678B1 KR 101429678 B1 KR101429678 B1 KR 101429678B1 KR 1020120117440 A KR1020120117440 A KR 1020120117440A KR 20120117440 A KR20120117440 A KR 20120117440A KR 101429678 B1 KR101429678 B1 KR 101429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ll plate
air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0963A (ko
Inventor
이태석
Original Assignee
(주)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텍 filed Critical (주)새텍
Priority to KR1020120117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678B1/ko
Publication of KR2014005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편리하게 식물과 물고기를 기를 수 있으며 실내 공기 청정 기능과 시각적 효과를 높인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물을 유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구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배출구의 물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벽판이 구성되고 상기 벽판에는 화분이 장착된 거치대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다수개의 걸림 홈이 형성된 식물재배부와, 상기 식물재배부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벽판의 물이 하부로 흘러 내부에 공급되며 일 측에 배수구가 구성된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수조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구성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장치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상부패널로 공급하는 수중펌프가 구성된 관수부로 구성된 환경개선장치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하여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더불어 수조에 관상어와 같은 물고기를 키울 수 있도록 하여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사람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스트레스 해소를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내 먼지제거 및 습도 조절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향이 발산되는 식물을 이용하면 방향의 효과도 줄 수 있으며, 자동화를 통한 손쉬운 식물 재배 및 관상어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라 하겠다.

Description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All-in-one in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 devices }
본 발명은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편리하게 식물과 물고기를 기를 수 있으며 실내 공기 청정 기능과 시각적 효과를 높인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대기 오염은 날로 심화되고 있는 실정에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가전제품 및 가구나 건물 등에서조차 유해 분진 내지는 유해가스가 발생되고 있기 때문에 실내 공기 오염도는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따라서 높은 공기오염으로 인해 실내 생활을 주로 하고 있는 도시인의 경우 잦은 호흡기 질환이나 알레르기성 질환 등에 시달리며 심한 경우에는 산소 결핍증 내지는 만성피로증후군과 같은 현대병으로까지 초래되는 원인이 되어 가고 있다.
즉, 사람은 맑고 깨끗한 공기로 호흡하며 살아야 건강을 유지하게 되는 반면에 오염공기를 마시게 되면 각종 호흡기 질환과 산소결핍증에 따른 혈전 산소용존도가 낮아지므로 피로감이 빨리 오고 각종 성인병이 초래케 하는 원인이 될 뿐 아니라 만성피로 증후군으로까지 야기되므로 특히 도시인의 경우 적절한 습도를 가진 정화된 공기가 공급되는 쾌적한 실내 환경에서의 생활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실내의 환경을 보다 쾌적하고 유용하게 꾸미기 위하여 관상어 등을 기르는 수족관이나 화초 등을 심어 가꾸는 화분이 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수족관이나 화분은 실내의 분위기를 개선하는 조경요소로 매우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단순히 조경 뿐만 아니라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음이온 발생과 실내 습도조절 및 실내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등 매우 유용한 것이다.
실내에서 공기 정화식물 등을 키우게 되면 공기 속에 있는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알코올, 아세톤, 벤젠 등의 유해가스를 정화할 수 있고, 습도 조절, 전자파차단, 실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등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한다.
또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승되면 호흡이 증가하고 졸음을 유발하며 특히 환기가 되지 않아 정상 수치 이상이 되면 혈압 및 맥박이 상승하고 두통 권태를 느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수경재배라 함은 물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을 통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경재배는 연작장해 방지가 가능하며 동일한 장소에서 년중 재배가 가능하고 자동화된 시설에서 재배가 가능하므로 풍/흉의 차이가 없이 재배가 가능하고 작물이 필요한 양수분을 인위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므로 재배식물의 생장속도를 조절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그로 인해 수경재배는 채소에 시행되어 채소의 대량생산에 주력하였다.
또한, 여러 가지의 공기정화기가 제공되고 있으나 주종을 이루는 것은 고압전류를 이용하여 공기를 이온화시켜 부유물질을 집진시키는 공기정화기와, 공기흡입날개의 전방에 필터를 2중으로 설치하여 먼지를 제거시키는 공기정화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정화기는 건식 공기정화방식으로서 집진 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먼지를 통과한 공기로 호흡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고압전류를 이용한 공기정화기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와 카본의 생성과 오존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필터 채용방식 공기정화기의 경우는 정기적인 필터 소재 및 교환을 해야 하는 번잡한 문제점이 따를 뿐만 아니라 필터 소재 및 교환이 정기적으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세균에 오염된 필터를 통과한 더욱 나쁜 공기를 마시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리고 실내의 적절한 습도 유지용으로는 초음파 가습기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가습기의 물을 수시로 갈아주지 않게 되면 자연발생 되는 여러 종류의 세균이 가습기의 물이 비산 분무 작동 시 공기 중의 부유 물질(먼지)과 결합하여 호흡기에 들어가게 됨으로서 호흡기질환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알려지게 됨에 따라 사용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대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0250160호는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걸름구와 수중펌프 및 급수관을 상호 연결시켜 물이 위쪽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수조와 식물 식재용 포트가 설치되는 수로홈부에 상기 급수관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순환되어 여과재 및 다수의 필터편을 가진 필터를 통해 다시 수조 내로 환수되도록 하는 한편 공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팬결합부에 설치되는 팬에 의해 물이 흘러내리는 필터편 사이를 통과하여 배기구로 배기되도록 구성한 재배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 및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등록특허 10-1026265호는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중펌프와 기포발생기가 설치되며, 일측부에는 내부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밸브가 설치된 수조와, 불투명한 재질로 상기 수조의 상측부에 안착되도록 하단부에 안착단턱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 바닥부에는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내부의 물이 적정수위를 유지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저면 일측부에는 하측의 수조에 양액 및 먹이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통하는 투입공간부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 바닥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슬라이드관형상의 파이프형 수위조절관을 구비한 식물재배조와, 상기 식물재배조의 상측부에 설치되며, 식물을 지지하며 수분을 공급하도록 흡수성을 갖는 재질의 파종부재가 삽입되는 파종튜브가 끼워져 고정설치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다수개의 튜브설치공을 형성하고 있는 정식판과, 상기 식물재배조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에는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적색과 청색의 LED가 조합된 발광체가 점등되는 조명수단을 지지하는 조명등프레임을 포함하는 가정용 수족관 겸용 수경재배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기술들은 수조의 상측에 식물재배부를 올려놓은 구조로서, 식물재배에 관한 면적이 적으며, 수조의 상측에 식물재배부가 구성되는 구조로서 물과 공기가 닿는 부분이 거의 없어 자연적인 가습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식물재배부가 수조의 상측에 구성됨으로 인해 수조에 산소를 발생시킬 수 없는 구조로서 산소발생기의 장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수조는 오염수(질소 화합물)로 인해 수조의 물을 수시로 갈아줘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실내에서 벽천분수를 통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벽천분수로 구성된 식물재배부를 구성하고, 상기 식물재배부를 거쳐 하부로 흐르는 물이 상기 식물재배부의 하부에 구성된 수조로 인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조에서 물고기가 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식물재배부에서 수조로 물이 떨어지면서 산소를 발생하여 산소발생기가 필요하지 않고, 상기 수조에서 오염된 오염수를 상기 수조의 하부에 구성된 여과장치로 깨끗해진 물을 수중펌프를 사용하여 상기 식물재배부로 순환되도록 하여 실내에서도 식물재배와 물고기를 함께 키울 수 있는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유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구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배출구의 물이 하부로 흐를 수 있도록 벽판이 구성되고, 상기 벽판에는 화분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다수개의 걸림 홈이 형성된 식물재배부와, 상기 식물재배부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벽판의 물이 하부로 흘러 내부에 공급되며 일 측에 배수구가 구성된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수조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가 구성되고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와 상기 여과장치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상부패널로 공급하는 수중펌프가 구성된 관수부로 구성된 환경개선장치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에 의하면,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더불어 수조에 관상어와 같은 물고기를 키울 수 있도록 하여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사람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스트레스 해소를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내 먼지제거 및 습도 조절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향이 발산되는 식물을 이용하면 방향의 효과도 줄 수 있으며, 자동화를 통한 손쉬운 식물 재배 및 관상어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상부패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중 벽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수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물의 순환을 나타내는 정면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한 물의 순환을 나타내는 측면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 1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인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10)에 대한 구성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물을 유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구(110)가 구성된 상부패널(100)과, 상기 상부패널(10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배출구(110)의 물이 하부로 흐를 수 있도록 벽판(210)이 구성되고, 상기 벽판(210)에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걸림 홈(230)이 형성된 식물재배부(200)와, 상기 식물재배부(20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벽판(210)의 물이 하부로 흘러 내부에 공급되며 일 측에 배수구(310)가 구성된 수조(300) 및 상기 수조(300)의 하부에 구성되되 상기 수조(300)의 배수구(310)를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410)가 구성되고 상기 저장탱크(410)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420)와 상기 여과장치(420)에서 여과된 물을 이송관(500)을 통해 상기 상부패널(100)로 공급하는 수중펌프(430)가 구성된 관수부(400)로 구성된 환경개선장치(10)가 일체로 구성되어 물이 순환되도록 하였다.
도 1 내지 3 및 도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패널(100)에는 상기 관수부(400)의 수중펌프(430)로 인해 물을 이송관(500)으로 이송되어 상기 식물재배부(200)로 유출하는 배출구(110)가 구성된다.
상기 배출구(110)는 상기 식물재배부(200)에 구성된 벽판(210)의 상측에 구성되며, 하나 이상 다수개의 물이 배출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3 및 도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패널(10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순환팬(120)이 구성된다.
상기 공기순환팬(120)은 상부패널(100)의 전면부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순환팬(120)은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 시 일정 각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공기순환팬(12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기 중에 있는 공기는 육안으로는 확인이 되지 않지만 미세먼지와 오염된 공기가 함께 있으며, 이러한 외부 공기를 공기순환팬(120)으로 흡입하여 벽판(210)의 배면으로 유입시킨 후 상기 벽판(210)에 형성된 걸림 홈(230)을 관통되어 상기 벽판(210)의 전면으로 배출하도록 함에 있어 상기 공기가 벽판(210)의 걸림 홈(230)을 관통하여 벽판(210)의 전면으로 배출 시 상기 공기가 벽판(210)을 타고 하부로 흐르는 물에 의해 자연 정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대기 중의 공기에 있는 미세먼지와 오염가스는 벽판(210)을 타고 흐르는 물과 걸림 홈(230)에 생성되는 수막을 관통하여 자연 정화되며, 수막을 관통한 실내 공기는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인해 식물의 기공으로 흡수되어 다시 한 번 정화 효과를 한다.
도 1 내지 3 및 도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상부패널(100)에는 상기 식물재배부(200)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130)가 구성된다.
상기 조명장치(130)는 상부패널(100)에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되되 상기 공기순환팬(120)과 같이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조명장치(130)는 하부에 구성되는 식물재배부(200)로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서 이로 인해 화분에 재배되는 식물이 빛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공기순환팬(120)과 조명장치(130)는 상부패널(100)에 구성되되 상기 상부패널(100)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팬(120)과 조명장치(130)는 본 발명을 전체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환경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여 시간, 온도, 습도, co2 양에 따라 자동 제어되며 작동되고, 상기 공기순환팬(120)의 속도, 조명장치(130)의 조명밝기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사용에 따라 그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벽판(210)은 상기 상부패널(100)의 배출구(110)로 배출되는 물이 벽판을 타며 하부로 흐르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때 상기 물은 벽판(210)에 형성된 걸림 홈(230)에 거치면서 상기 걸림 홈(230)에 수막을 형성하여 공기 정화작용도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걸림 홈(230)은 사용에 따라 상기 벽판(210)에서 전면 또는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 2, 4,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벽판(21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되어 다수개가 결합된 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벽판(210)의 일체형, 결합형은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10)의 구성, 크기 및 사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 2, 4,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식물재배부(200)의 벽판(210)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홈(230)과 걸림 홈(230) 사이에는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물길부재(240)가 구성된다.
상기한 물길부재(240)는 벽판(210)에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홈(230)과 걸림 홈(230) 사이에 ‘Λ’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한 걸림 홈(230)과 물길부재(240)는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물길부재240)는 상기 걸림 홈(230)에서 맺혀진 물이 하측에 구성된 물길부재(240)를 타며 양측으로 흐르도록 구성되어 다시금 하측에 구성된 걸림 홈(230)으로 물이 흐르도록 하였다. 이로 인해 물은 걸림 홈(230)과 물길부재(240)를 지그재그로 흐르면서 수조(300)가 구성된 하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물길부재(240)는 사용에 따라 상기 벽판(210)에서 전면 또는 배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 2, 5,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식물재배부(200)와 수조(300) 사이에는 물을 받침 할 수 있는 소반(320)이 구성된다.
상기 소반(320)은 수조(300)의 상측에 수조(3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소반(320)은 상측에 구성된 식물재배부(200)의 벽판(210)을 타고 흐르는 물을 받침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소반(320)은 상기 식물재배부(200)의 벽판(210)과 상기 수조(300)의 사이에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또는 상기 수조(300)의 상측부에 수조(300)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소반(320)에는 상기 수조(300)로 물이 유출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2,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관수부(400)에는 여과장치(420)를 통해 여과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UV램프(440)가 구성된다.
상기 UV램프(44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살균장치로서 관수부(400)에 구성된 여과장치(420)를 통해 여과된 물에 대해 UV 살균하는 것이다. 또한, 이는 물에 대해 여과와 살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관수부(400)의 일 측에는 외부에서 급수할 수 있도록 외부급수부(450)가 구성된다.
상기 외부급수부(450)는 관수부(400)의 일 측에 구성되어 외부에서 급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급수부(450)는 저장탱크(410)와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410)로 물이 바로 급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급수는 통상적으로 증발하게 되는 물에 대해 급수하는 것이며, 상기 외부급수부(450)의 작동은 순차적으로 작동하거나 저장탱크(410)의 물 수위에 따라 작동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의 작동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관수부(400)에 구성된 저장탱크(410)의 물이 수중펌프(430)로 인해 이송관(500)을 타고 상측에 구성된 상부패널(100)로 상승하게 되고 물은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된 배출구(110)를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식물재배부(200)의 벽판(210)을 타고 하측으로 흐르며 물은 상기 벽판(210)에 형성된 걸림 홈(230)과 물길부재(240)를 거쳐 하부로 흐르게 된다.
이때 물은 걸림 홈(230)에 도달 시 우선적으로 맺힘 되고, 맺혀진 물이 일정량 이상이 넘게 되면, 하부로 흐르게 되며, 하부로 흐르는 물은 상기 걸림 홈(230)과 걸림 홈(230)의 하측 사이에 구성된 물길부재(240)를 거친 후 상기 물길부재(240)와 물길부재(240)의 하측 사이에 구성된 걸림 홈(230)에 물이 맺히는데, 상기 벽판(210)은 걸림 홈(230)과 물길부재(240)가 지그재그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다수개가 구성되어 있어야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걸림 홈(230)과 물길부재(240)를 흐르는 물은 벽판(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흐르게 되며, 상기와 같이 흐르는 방식을 통상적으로 벽천분수라 한다.
상기 식물재배부(200)에서 벽판(210)을 타고 흐른 물은 하측에 구성된 수조(300)로 유입되는데, 이때 수조(300)의 상부에 소반(320)이 구성되어 상기 벽판(210)에서 수조(300)로 바로 인입될 수도 있지만, 소반(320)을 거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수조(300)로 일정량의 물이 유입되면 상기 수조(300)와 하측의 관수부(400)에 구성된 저장탱크(410)를 연결하고 있는 배수구(310)로 인해 상기 수조(300)의 물이 저장탱크(410)로 유입된다. 이는 상기 배수구(310)와 수조(300) 하측의 저장탱크(410)의 수압차로 인해 수조(300) 내부에 있는 먼지, 유기물 등 오염물질을 배수구(31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저장탱크(410)로 유입되는 물은 사이펀효과를 적용한 것으로서, 상기 사이펀효과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양동이에 물을 넣고 호스의 한쪽을 넣습니다. 그런 다음 반대쪽에서 물을 입으로 빨아서 나오게 하면 그 다음 부터는 계속 나옵니다. 양동이 안에서는 공기가 대기압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한번 물이 나오기 시작하면 다른 물이 뒤따라 나오지 않을 수 없습니다. 호스 안에서 앞의 물이 나가는 데 뒤의 물이 따라가지 않으면 내부는 진공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양동이에서 누르는 대기압과 호스 안의 진공의 기압차로 인해 물은 계속해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수조(300)와 저장탱크(410)로 연결되는 배수구(310)는 사이펀효과를 적용하여 물을 저장탱크(410)로 유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조(300)에서 저장탱크(410)로 인입되는 배수구(310)의 끝단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기압 발생장치가 장착되어 초기 상태일 때 수조(300)에서 저장탱크(410)로 물이 유도되고, 그 후로는 물이 계속 유출되는 것으로서, 이는 통상적인 대기압 발생장치와 그에 따른 기압차로 인해 물이 계속 이동한다.
또한, 상기 저장탱크(410)는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물의 유출이 차단되는데, 이는 상기 저장탱크(410)에 구성되는 물유출부재(460)로 인해 차단된다.
상기 물유출부재(460)에 대해 설명하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뜨게를 저장탱크(410)에 연결 구성하여 상기 뜨게와 연결되어 있는 물 유출 호스가 꺾임 되어 물의 흐름을 막아 물 유출을 차단한다. 이후 물이 배출되어 뜨게가 내려가면 상기 호스가 펴지면서 물이 유입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호스는 연질인 실리콘 호스 및 라텍스 호스를 사용한다.
상기 물유출부재(460)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저장탱크(410)에 유입되는 물이 일정 이상이 되면, 수위센서가 수위를 파악하여 솔레노이드 벨브를 이용하여 자동 차단한다.
상기 저장탱크(410)로 유입된 물은 여과장치(420)를 통해 여과되고, 여과된 물은 UV램프(440)로 인해 살균시킨 후 다시 수중펌프(430)로 인해 상부패널(100)로 상승된다.
상기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은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할 수 있고, 더불어 수조에 관상어와 같은 물고기를 키울 수 있도록 하여 자연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사람에게 심리적인 안정감과 스트레스 해소를 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내 먼지제거 및 습도 조절을 통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향이 발산되는 식물을 이용하면 방향의 효과도 줄 수 있으며, 자동화를 통한 손쉬운 식물 재배 및 관상어를 사육할 수 있도록 한 친환경적인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10)이다.
10 : 환경개선장치
100 : 상부패널
110 : 배출구 120 : 공기순환팬 130 : 조명장치
200 : 식물재배부
210 : 벽판 230 : 걸림 홈 240 : 물길부재
300 : 수조 310 : 배수구 320 : 소반
400 : 관수부
410 : 저장탱크 420 : 여과장치 430 : 수중펌프
440 : UV램프 450 : 외부급수부 460 : 물유출부재
500 : 이송관

Claims (10)

  1. 물을 유출하는 다수개의 배출구가 구성된 상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하부에 상기 배출구의 물이 하부로 흐를 수 있도록 벽판이 구성된 식물재배부와, 상기 식물재배부의 하부에 상기 벽판의 물이 흘러 공급되며 일 측에 배수구가 구성된 수조 및 상기 수조의 하부에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물을 이송관을 통해 상기 상부패널로 공급하는 수중펌프가 구성되어 있는 관수부로 구성된 환경개선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100)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순환팬(120)과,
    상기 식물재배부(200)로 빛을 발산하는 조명장치(130)와,
    상기 저장탱크의 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420)와,
    상기 벽판에는 다수개의 걸림 홈(230)과,
    상기 각각의 걸림 홈(230) 사이에 물의 흐름을 조절하는 물길부재(240) 및
    상기 관수부(400)에는 여과장치(420)를 통해 여과된 물을 살균할 수 있는 UV램프(440)가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판(210)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되어 다수개가 결합된 결합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17440A 2012-10-22 2012-10-22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101429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40A KR101429678B1 (ko) 2012-10-22 2012-10-22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440A KR101429678B1 (ko) 2012-10-22 2012-10-22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963A KR20140050963A (ko) 2014-04-30
KR101429678B1 true KR101429678B1 (ko) 2014-08-13

Family

ID=5065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440A KR101429678B1 (ko) 2012-10-22 2012-10-22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23154A1 (en) * 2019-04-09 2020-10-15 Moss Mats, LLC Self-contained living moss wall eco-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0629A (zh) * 2017-04-12 2017-06-30 佛山市凯迅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空气净化功能的鱼缸
CN108293941A (zh) * 2018-04-02 2018-07-20 石闪东 一种移动式智能家居养鱼及培育植物的装置
CN109392502B (zh) * 2018-11-01 2023-09-26 浙江华源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建设用汽车尾气净化花坛
KR102257502B1 (ko) * 2018-11-30 2021-05-31 주식회사 이너그린 공기청정이 가능한 식물재배 시스템
KR102442568B1 (ko) * 2020-01-14 2022-09-14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제거기능이 있는 실내용 스마트팜 시스템
KR102589627B1 (ko) * 2020-07-13 202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물 재배 장치
KR102209896B1 (ko) * 2020-08-05 2021-02-01 (주)도시농부 벽면녹화 공조시스템
KR102198124B1 (ko) * 2020-09-07 2021-01-04 주식회사엠오그린 자동관수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바이오월 장치
KR102620392B1 (ko) * 2020-10-27 2024-01-03 김해연 가정용 아쿠아포닉스 장치
KR102320687B1 (ko) * 2021-02-10 2021-11-02 한양석 식물재배를 이용한 수족관 물 정화시스템을 갖춘 관상용 파티션구조물
KR102603911B1 (ko) * 2022-03-08 2023-11-21 한국그린자원(주) 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93B1 (ko) *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0890477B1 (ko) * 2007-08-10 2009-03-26 송웅호 실내공기 정화용 화분조립체
JP2010088425A (ja) * 2008-09-11 2010-04-22 Japan Greenfarm Co Ltd 植物栽培システムおよび植物栽培プラント
KR20110109006A (ko) * 2010-03-30 2011-10-06 정관선 벽면조경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993B1 (ko) * 2007-04-27 2008-09-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KR100890477B1 (ko) * 2007-08-10 2009-03-26 송웅호 실내공기 정화용 화분조립체
JP2010088425A (ja) * 2008-09-11 2010-04-22 Japan Greenfarm Co Ltd 植物栽培システムおよび植物栽培プラント
KR20110109006A (ko) * 2010-03-30 2011-10-06 정관선 벽면조경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323154A1 (en) * 2019-04-09 2020-10-15 Moss Mats, LLC Self-contained living moss wall eco-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963A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9678B1 (ko) 일체형 실내 환경개선장치
KR100785930B1 (ko) 실내공기 정화를 위한 자동 온실시스템
CN107404854B (zh) 鱼菜共生系统与使用该系统的水产类饲养方法及植物栽培方法
KR101441040B1 (ko) 실내공기정화를 위한 벽면녹화장치
KR100858993B1 (ko) 이끼벽과 실내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용 실내정원 시스템
JP4589773B2 (ja) 立体水耕栽培装置
CN111418385A (zh) 用于植物生长的设备和生长装置
JP2000166388A (ja) 植木スタンド
JP2006262750A5 (ko)
KR100377569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실내정원
KR102029226B1 (ko) 실내용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정수 장치
KR102262219B1 (ko) 실내용 식물 재배장치
KR101460596B1 (ko) 공기정화용 식물포트 및 이를 갖춘 공기정화시스템
CN2644946Y (zh) 一种空气净化器
JP6460912B2 (ja) 船舶内で植物を育成する植物育成装置および植物育成方法
US20210059140A1 (en) Hydroponic grow system
KR20190064175A (ko) 식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816243B1 (ko) 수경재배식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0250160B1 (ko) 관상어수조를 이용한 수경재배 및 정화장치
KR20130019521A (ko)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
KR101658191B1 (ko) 수경 재배기용 가습 청정기
KR102570337B1 (ko) 포그를 이용한 식물재배식 공기정화장치
KR102421134B1 (ko) 어항 겸용 수경재배장치
KR20090087193A (ko) 초음파 관수 새싹재배기
KR102167921B1 (ko) 수직재배식 실내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