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5464A - 미니화분 - Google Patents

미니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5464A
KR20130025464A KR1020110088760A KR20110088760A KR20130025464A KR 20130025464 A KR20130025464 A KR 20130025464A KR 1020110088760 A KR1020110088760 A KR 1020110088760A KR 20110088760 A KR20110088760 A KR 20110088760A KR 20130025464 A KR20130025464 A KR 20130025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sb port
led
plants
min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음현진
조진표
김혁진
김내현
Original Assignee
음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음현진 filed Critical 음현진
Priority to KR1020110088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25464A/ko
Publication of KR2013002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4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미니화분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는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는 USB커넥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될 수 있도록 제1 USB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제1 USB포트와 대응되는 제2 USB 포트가 구성되며, 상측에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빛을 발광할 수 있는 LED가 포함되어 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 식생을 위한 토양이 수납되는 토양 수납부가 구성되어 있고, 하측면에는 배수홀이 구성된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제1 하우징 상측에 결합하며 양 측면으로 개방부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어,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대역의 빛을 발광하는 LED를 통해 채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에서도 식물의 식생을 활성화할 수 있고,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을 USB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내에서 가정집이나 실내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전원공급수단과 연결하는 제1 USB포트를 삽입 및 돌출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수단을 형성하고, 반대편에는 제1 USB포트와 대응하는 제2 USB포트를 형성하여 다수의 미니화분을 연결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관상용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 상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디에 결합하는 케이스 양 측면에 개방부를 형성해 식물의 원활한 식생을 도모할 수 있는 미니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니화분{Mini flowerpot}
본 발명은 실내에서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미니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대역의 빛을 발광하는 LED를 통해 채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에서도 식물의 식생을 활성화할 수 있고,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을 USB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내에서 가정집이나 실내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에 전원공급수단과 연결하는 제1 USB포트를 삽입 및 돌출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수단을 형성하고, 반대편에는 제1 USB포트와 대응하는 제2 USB포트를 형성하여 다수의 미니화분을 연결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관상용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 상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디에 결합하는 케이스 양 측면에 개방부를 형성해 식물의 원활한 식생을 도모할 수 있는 미니화분에 관한 것이다.
관상용 식물을 기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화단을 꾸밀 수 있는 토지가 필요하나, 근래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공 주택이나 다세대 주택이 증가하면서 화단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을 가진 가구는 점점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게다가 쾌적한 생활공간을 위해 설치하는 공기청정기는 관리를 소홀히 하면 오히려 아토피와 같은 피부질환을 유발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기계장치 대신에 식물이 심어져 있는 화분을 비치하게 되면 습도가 조절되고 산소가 발생되어 자연 친화적인 공기 청정기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하며, 가정 내에 아이들이 있을 경우에는 각종 식물을 가꾸면서 생장 과정을 관찰할 수 있고 정서 함양에도 좋기 때문에 신축 아파트의 경우에는 베란다를 이용하여 개별화단을 꾸미거나, 아파트 내부 공용장소에 화단을 만들기도 한다.
각종 식물을 가꾸기 위한 화단의 경우, 실외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내 분위기와는 거의 관계가 없는 바, 화단이 있는 경우에도 실내 분위기를 바꿔주기 위해 화분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화초 등의 식물을 키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장소의 제약 없이 식물이 자라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공간의 제약도 크게 받지 않는 관상용 화분이 이용되기도 하였으나, 식물의 줄기 또는 잎이 생활공간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일상생활 중에 사람에 의해 식물의 줄기 또는 잎이 상하거나, 선인장류의 식물의 경우 아이들이 다칠 수 있는 위험도 있으며, 실내 인테리어를 위하여 실내에 화분을 이용하여 화단을 꾸미게 되면 전력 소모가 많은 할로겐램프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조명장치를 해야 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 1에서와 같이 실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 미니화분(출원번호 : 20-2009-0005442)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미니화분(200)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용기(11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용기(110)에는 내부에 다육식물(140-1) 및 어린 관엽식물(140-2)로 이루어진 소형 식물(140)이 수납된 다수의 상부용기(12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용기(110)에는 물보관병(130)도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내에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관상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니화분(200)은 상부용기(120)를 다수 형성할 경우에는 이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용기(110)의 크기를 다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용기(120)에 수납되어 식생하는 식물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식물이 훼손될 우려가 있었으며, 선인장과 같이 가시가 있는 식물의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채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집안이나 사무실 등에 비치할 경우 식물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여 관상용으로서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니화분은 일측으로는 전원공급수단과 연결되는 USB커넥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수단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될 수 있도록 제1 USB포트가 구성되고, 상기 제1 USB포트와 대응되는 제2 USB 포트가 구성되며, 상측에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빛을 발광할 수 있는 LED가 포함되어 있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 식생을 위한 토양이 수납되는 토양 수납부가 구성되어 있고, 하측면에는 배수홀이 구성된 제2 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제1 하우징 상측에 결합하며 양 측면으로 개방부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니화분의 바디에 형성된 제1 하우징의 외측에는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스위치와 음악의 재생/멈춤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와 LED의 깜빡임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로 구성된 스위칭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미니화분의 바디의 제1 하우징에 형성된 제2 USB포트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대역의 빛을 발광하는 LED를 통해 채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내에서도 식물의 식생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LED에 전원을 공급하는 수단을 USB를 이용하여 전원공급수단에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내에서 가정집이나 실내에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에 전원공급수단과 연결하는 제1 USB포트를 삽입 및 돌출시킬 수 있도록 슬라이딩 수단을 형성하고, 반대편에는 제1 USB포트와 대응하는 제2 USB포트를 형성하여 다수의 미니화분을 연결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관상용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 상품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바디에 결합하는 케이스 양 측면에 개방부를 형성해 식물의 원활한 식생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미니화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화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화분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니화분을 다수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하우징(10, 20)으로 이루어진 바디(30)가 구성되어 있다.
우선, 제1 하우징(10)은 외측으로 슬라이딩 수단(11)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되는 제1 USB포트(12)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USB포트(12)는 외부에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컴퓨터나 전원 콘센트와 같은 전원공급수단(P)에 결합할 수 있는 통상의 USB커넥터(C)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11)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하우징(10)에는 슬라이딩 홈(11b)을 형성하고, 제1 USB포트(12)에는 슬라이딩 바(11a)를 형성하여 제1 USB포트(12)를 삽입 및 돌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좋다.
또한, 제2 USB포트(13)는 상기 제1 USB포트(12)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2 USB포트(12, 13)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암, 수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하우징(10)의 상측에는 다수의 LED(1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LED(14)는 제1, 2 USB포트(12, 13)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LED(14)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식물의 광합성 작용이 활성화될 수 있는 대역의 빛을 발산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LED(14)는 모듈화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겠지만, 바람직하게는 LED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의 외측에는 스위칭부(1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부(15)는 LED(14)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제1 스위치(15a)와 멜로디를 재생/멈춤할 수 있는 제2 스위치(15b)와 LED(14)에서 발광되는 불빛이 일정한 패턴으로 깜빡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3 스위치(15c)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하우징(20)은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측면에 탈착식 또는 고정식으로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20)은 내측에 식생에 유용한 토양을 수납할 수 있는 토양 수납부(21)가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면에는 다수의 홀로 이루어진 배수홀(22)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40)는 상기 바디(30)의 제1 하우징(10)의 상측에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 하우징(20) 내측의 토양 수납부(21)에 배치된 토양의 식물이 원활히 식생할 수 있도록 양 측면에 개방부(41)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40)는 식생하는 식물을 관상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상기 바디(30) 및 케이스(40)는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미니화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니화분(100)은 일반가정이나 사무실의 일반 콘센트 또는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통상의 커넥터(C)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채광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식물의 식생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미니화분(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디(30)의 제1 하우징(10)에 형성된 LED(14)가 식물에 광합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약 400 ~ 700nm 범위의 파장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채광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식물의 식생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케이스(40)의 양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41)는 내측에 식생된 식물이 산소를 배출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바디(30)에 형성된 제1 하우징(10)의 제1 USB포트(12)는 슬라이딩 수단(11)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가정의 콘센트나 사무실 등의 컴퓨터와 같은 통상의 전원공급수단(P)에 USB 커넥터(C)를 통해 연결할 경우, 제1 USB포트(12)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미니화분(100)을 형성할 경우에는 제1 USB 포트(12)를 슬라이딩 수단(11)을 이용하여 돌출시킨 후 전원공급수단(P)에 연결되어 있는 미니화분(100)의 제2 USB포트(13)와 접지시켜 전원공급 및 다수의 미니화분(10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상용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를 한층 더 화려하게 꾸밀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30)에 형성된 제2 하우징(20)의 하측면에 다수의 홀로 구성된 배수홀(22)을 통해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작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이 물이 배수홀(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에 바디(30)의 하부에 별도의 물 받침대(도면에 미도시)를 형성해 배수홀(22)로 배출되는 물이 바닥면에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디(3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하우징(10)의 외측에는 스위칭부(1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위칭부(15)는 사용자가 LED(14)에서 발광되는 빛을 on/off시키거나, 멜로디를 재생하거나, 또는 LED(14)를 주기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여 실내 인테리어 효과를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미니화분(100)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에, 각각의 미니화분(100)에 형성된 LED(14)의 깜빡거림 및 멜로디를 일정한 패턴에 의해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다수로 연결되어 있는 미니화분(100) 중 제1 USB포트(12)를 통해 전원공급수단(P)과 연결된 어느 하나의 미니화분(100)의 스위칭부(15)를 조작하였을 때에, 특정 화분은 LED(14)가 깜빡거리고 어느 화분은 멜로디만 나오게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제1, 2 USB포트(12, 13)에 별도의 신호선(도면에 미도시)을 더 추가하고, 상기와 같은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는 회로기판(도면에 미도시)을 더 추가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미니화분(100)의 일측에 SD카드를 꽂을 수 있는 슬롯(도면에 미도시) 및 USB포트를 확장시킬 수 있는 USB허브(도면에 미도시)를 더 추가하여 허브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P : 전원공급수단 C : USB 커넥터
10 : 제1 하우징
11 : 슬라이딩 수단 11a : 슬라이딩 바 11b : 슬라이딩 홈
12 : 제1 USB포트 13 : 제2 USB포트 14 : LED 15 ; 스위칭부
20 : 제2 하우징
21 : 토양 수납부 22 : 배수홀
30 : 바디
40 : 케이스
41 : 개방부
100 : 미니화분

Claims (3)

  1. 일측으로는 전원공급수단(P)과 연결되는 USB커넥터(C)와 연결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수단(11)에 의해 삽입 및 돌출될 수 있도록 제1 USB포트(12)가 구성되고, 상기 제1 USB포트(12)와 대응되는 제2 USB포트(13)가 구성되며, 상측에는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빛을 발광할 수 있는 LED(14)가 포함되어 있는 제1 하우징(10)과,
    상기 제1 하우징(10)의 내측에 식생을 위한 토양이 수납되는 토양 수납부(21)가 구성되어 있고, 하측면에는 배수홀(22)이 구성된 제2 하우징(20)으로 이루어진 바디(30);
    상기 바디(30)의 제1 하우징(10) 상측에 결합하며 양 측면으로 개방부(41)를 형성하고 있는 케이스(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미니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에 형성된 제1 하우징(10)의 외측에는 LED(1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스위치(15a)와 음악의 재생/멈춤을 제어하는 제2 스위치(15b)와 LED(14)의 깜빡임을 제어하는 제3 스위치(15c)로 구성된 스위칭부(15)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미니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0)의 제1 하우징(10)에 형성된 제2 USB포트(13)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미니화분.
KR1020110088760A 2011-09-02 2011-09-02 미니화분 KR201300254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60A KR20130025464A (ko) 2011-09-02 2011-09-02 미니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760A KR20130025464A (ko) 2011-09-02 2011-09-02 미니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464A true KR20130025464A (ko) 2013-03-12

Family

ID=4817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760A KR20130025464A (ko) 2011-09-02 2011-09-02 미니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254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4462A (zh) * 2013-08-07 2013-12-18 杨彐飞 一种带播放器的花盆
WO2014168309A1 (ko) * 2013-04-10 2014-10-16 Lee Hyun Jae 식물재배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68309A1 (ko) * 2013-04-10 2014-10-16 Lee Hyun Jae 식물재배세트
CN103444462A (zh) * 2013-08-07 2013-12-18 杨彐飞 一种带播放器的花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860B1 (ko) 수직 다층 식물 재배 장치
JP5769435B2 (ja) 植物栽培装置
KR102033649B1 (ko)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KR20190062083A (ko) 식물 재배 기능을 갖는 휴대용 수족관
KR20130025464A (ko) 미니화분
KR101879927B1 (ko) 다기능 화분
KR101261301B1 (ko) 작물 재배용 장식장
KR20100004465U (ko) 조명이 구비된 조립식 화분
KR101011377B1 (ko) 관상식물용 천정 부착형 지지체
KR101263833B1 (ko) 다용도 수족관
KR20130015090A (ko) 식물재배장치
KR20110023180A (ko) 조립식화분
KR20100129974A (ko) 수경재배용 화분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모듈형 화분
KR20170004396A (ko) 가정용 채소 재배장치
CN201797792U (zh) 生态水族盆栽
KR102474558B1 (ko) 다목적 책상 혹은 테이블
CN201911095U (zh) 植栽花盆
CN216123585U (zh) 可堆叠且大小可调的新型水耕机
CN215898478U (zh) 一种具有水激活电源的花盆
KR200257482Y1 (ko) 다기능 화분
KR20140101618A (ko) 엘이디가 구비된 미니화분
KR101168931B1 (ko) 주방용 광 재배장치
KR20120080456A (ko) 복합 실내정원
KR20180003077A (ko) 기능성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