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792B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792B1
KR102039792B1 KR1020170133589A KR20170133589A KR102039792B1 KR 102039792 B1 KR102039792 B1 KR 102039792B1 KR 1020170133589 A KR1020170133589 A KR 1020170133589A KR 20170133589 A KR20170133589 A KR 20170133589A KR 102039792 B1 KR102039792 B1 KR 102039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ick
water
bottom portion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851A (ko
Inventor
배문옥
Original Assignee
배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옥 filed Critical 배문옥
Priority to KR102017013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792B1/ko
Priority to PCT/KR2017/015403 priority patent/WO2019074162A1/ko
Priority to CN201820315256.5U priority patent/CN208640227U/zh
Publication of KR20190041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Abstract

화분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화분이 안착되며, 상기 저면부 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서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분에 물을 충분히 공급하여도 배수되는 물이 저수 공간에 저장되어 물이 흘러넘치지 않아 별도의 물받이통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저수 공간에 저장된 물을 통해 저면관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표면관수와 저면관수 모두 가능한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FLOWER-POT SAUCER}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관수시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으며,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 실내에서 화초나 관엽식물 등을 화분에 심어 키울 때에는 필히 화분 받침대 위에 화분을 거치하여 키우게 된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차가 있지만 표면관수시 화분의 흙이 말랐을 때 충분한 물을 공급한다.
도 1은 종래의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 받침대(10)는 화분 받침판(11)과, 물받이통(12) 및 물받이통 받침판(13)을 포함한다. 종래의 화분 받침대(10)의 경우 화분에 물을 흠뻑 주게 되면 배수구(11a)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물받이통(12)으로 흘러 들어가지만, 물받이통(12)은 화분 받침판(11) 밑에 배치하며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사람이 물이 얼마나 차는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화분에 준 물이 물받이통(12)을 넘쳐 흐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에 따라, 물받이통(12)에 고인 물을 따로 처리하고 바닥에 흘러내린 물을 닦아 내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편, 저면관수 시스템이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별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기 위한 물통을 구비하여야 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저면관수만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7376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896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1656호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표면관수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를 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화분이 안착되며, 상기 저면부 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서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면부와,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화분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화분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지지부는, 복수 개의 지지 파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 파트는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는 상기 저수 공간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화분의 흙 내에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수 공간 내부의 물을 화분의 흙으로 공급하는 심지; 및 단면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심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심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는 면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관은, 끝이 뾰족한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 개의 몸체로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몸체는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는 바퀴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부 하면에는 볼캐스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캐스터 장착부에 장착되는 볼캐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분의 배수공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심지관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흙 빠짐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표면관수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또한,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된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를 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저면관수에 이용함으로써, 표면관수시 저장된 물을 버릴 필요가 없으며, 실내에서의 자연 가습기능을 갖는다.
또한, 화분 지지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 파트로 구성됨으로써, 저수공간의 면적이 보다 커져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심지와 심지관에 의해 모세관 현상을 통해 저수 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화분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심지관의 배출공을 통해 화분 내에 물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흙 빠짐 방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 저장된 물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0)는, 표면관수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으며,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저면부(100)와, 테두리부(200)와, 화분 지지부(300)와, 바퀴(400)와, 심지(500)와, 심지관(600) 및 흙 빠짐 방지판(700)을 포함한다.
저면부(100)는 화분 받침대(1000)의 베이스가 되는 구성이다. 저면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면부(1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테두리부(200)가 형성됨으로써 테두리부(200)와 저면부(100) 간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저면부(100)의 상면에는 화분 지지부(300)가 형성된다. 화분 지지부(300)는 상면에 안착된 화분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저면부(100) 보다 작게 마련되어 테두리부(200)와의 사이에서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이 이격공간이 화분의 배출공(630)을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 공간(310)이 된다.
화분 지지부(300)는 복수 개의 지지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분 지지부(300)는 화분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면을 형성하여 위에 화분이 놓여져 화분을 지지하면 되며, 반드시 단일의 구성으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지지 파트가 화분 지지부(300)를 구성하며 상면에 안착된 화분을 지지한다. 이때, 각각의 지지 파트는 서로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의 이격공간 또한, 저수 공간(310)이 되며, 이로 인해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화분 지지부(300)에 화분이 안착되는 경우에도 사람의 육안으로 화분 지지부(300)와 테두리부(200) 사이의 저수 공간(310)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분에 표면관수로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경우에도 저수 공간(310)에 물이 어느 정도 찼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어 화분 받침대(1000) 외부로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200)의 높이는 화분 지지부(300)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200)와 저면부(100) 간에 형성된 수용공간 중 화분 지지부(300)를 제외한 공간이 저수 공간(310)이 되므로, 테두리부(200)의 높이가 높을수록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수할 수 있다. 그러나, 저수 공간(310)에 물이 어느 정도 찼는지를 사람이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테두리부(200)의 높이를 아주 높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본 실시예에서 테두리부(200)의 높이는 화분 지지대의 높이보다 10~20mm 정도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화분의 크기 또는 기타 다른 요건에 의하여 달리 설계할 수 있다.
저면부(100)와 화분 지지부(30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외에도 달리 마련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저면부(10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 바퀴 장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바퀴 장착부(320)에는 바퀴(4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화분의 크기가 크고 무거운 경우에는 화분 받침대(1000)와 함께 화분을 옮기는 것이 어려우나, 바퀴 장착부(320)에 바퀴(400)를 장착시켜 쉽게 옮길 수 있다. 또한, 바퀴(400)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저면부(100)의 하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바퀴 장착부(320)는 반드시 저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저면부(100)로 돌출되어도 바퀴 장착부(32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안정적으로 화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바퀴 장착부(320)의 변형예로서 볼캐스터 장착부(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볼캐스터(400`)를 통해 쉽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심지(500)와 심지관(600)은 화분 받침대(1000)의 저수 공간(310)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심지(500)는 물의 흡수성이 좋은 면 또는 합성섬유 원사를 엮어서 제조될 수 있다. 심지(500)의 일단부는 저수 공간(310)의 물을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저수 공간(310)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화분의 흙 내에 배치된다. 심지관(600)은 단면이 환형인 형상으로 마련되어 심지(500)를 감싼다. 이때, 심지관(600)의 길이는 심지(50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심지(500)가 저수 공간(310) 내의 물을 쉽게 흡수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화분 내로 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저수 공간(310) 내의 물은 심지(500)에 흡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500)를 따라 이동하면서 흙에 공급된다.
심지관(600)은 상단부(610)와 몸체부(6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620)는 복수 개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610)의 끝은 뾰족하게 마련되어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흙 내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62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630)이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500)를 따라 흙으로 이동되는 물이 배출공(630)을 통해 배출되어 흙의 여러 곳에 물이 공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흙 빠짐 방지판의 사시도이다.
흙 빠짐 방지판(700)은 화분의 배수공 위에 놓여져 화분 내로 공급된 물은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되 화분 내의 흙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흙 빠짐 방지판(700)은 메쉬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중앙부에 심지관(600)이 관통되는 관통공(710)이 형성된다. 이때, 심지관(600)이 억지끼움되어 관통공(710)을 통해 흙이 배출되지 않도록 심지관(60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공(710)의 주변에 직경 2~5mm 정도의 구멍이 여러 개 형성되어 표면관수 시에 과다 공급된 물이 화분 밖으로 배수될 수 있는 배수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 저장된 물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화분은 크기에 따라 하부면에 2~8개 정도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 위에 흙 빠짐 방지판(700)이 놓여진다. 즉, 화분은 심지(500)를 통해 저면관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심지(500)가 각각 관통될 수 있는 배수공이 여러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흙 빠짐 방지판(700)이 화분의 최하단 바탕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최하단 바탕면에서 6~10㎜정도 높은 부위에 흙 빠짐 방지판(700)이 설치되게 하여, 표면관수 시 화분 안의 토양 속으로 흘러 들어간 물이 과다할 경우 흙 빠짐 방지판(700)의 구멍을 통하여 화분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되지만, 화분의 최하단 바탕면에서 흙 빠짐 방지판(700)까지의 높이 6~10㎜ 부위에는 어느 정도의 물이 토양과 함께 저수되며, 그렇게 저수된 물은 삼투압현상으로 서서히 화분 내의 뿌리로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배수공이 화분 저면에 한 개 형성된 종래의 화분은 저면관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표면관수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표면관수시 넘쳐 흘러 저수 공간(310)에 저장된 물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손쉽게 제거하여 다른 화분에 표면관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에 물을 충분히 공급하여도 배수되는 물이 저수 공간에 저장되어 물이 흘러넘치지 않아 별도의 물받이통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저수 공간에 저장된 물을 통해 저면관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표면관수와 저면관수 모두 가능한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 화분 받침대 100 : 저면부
200 : 테두리부 300 : 화분 지지부
400 : 바퀴 500 : 심지
600 : 심지관 700 : 흙 빠짐 방지판

Claims (10)

  1.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부;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화분이 안착되며, 상기 저면부 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서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지지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일단부는 상기 저수 공간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화분의 흙 내에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수 공간 내부의 물을 화분의 흙으로 공급하는 심지; 및
    복수 개로 마련되어 상기 각각의 심지를 감싸며, 단면이 환형으로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심지관;을 포함하며,
    상기 화분 지지부는, 각각 상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지지 파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 파트는 서로 이격 배치되되 상기 테두리부와 이격되며,
    상기 심지관은, 끝이 뾰족한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 개의 몸체로 연결되되, 각각의 몸체는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화분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화분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는 화분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면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분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는 바퀴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 하면에는 볼캐스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캐스터 장착부에 장착되는 볼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화분의 배수공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심지관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흙 빠짐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33589A 2017-10-13 2017-10-13 화분 받침대 KR102039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89A KR102039792B1 (ko) 2017-10-13 2017-10-13 화분 받침대
PCT/KR2017/015403 WO2019074162A1 (ko) 2017-10-13 2017-12-22 화분 받침대
CN201820315256.5U CN208640227U (zh) 2017-10-13 2018-03-07 花盆支撑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89A KR102039792B1 (ko) 2017-10-13 2017-10-13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851A KR20190041851A (ko) 2019-04-23
KR102039792B1 true KR102039792B1 (ko) 2019-11-01

Family

ID=6577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589A KR102039792B1 (ko) 2017-10-13 2017-10-13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39792B1 (ko)
CN (1) CN208640227U (ko)
WO (1) WO20190741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20A (ko) * 2019-11-18 2021-05-26 이석안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268B2 (en) * 2018-07-27 2022-02-15 Michael L. Spencer Potted plant tray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651A (ja) * 1993-02-01 1994-08-16 Isao Shirohata 栽培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給水用インサート具
JPH07147851A (ja) * 1993-11-30 1995-06-13 Kajima Corp 鉢植え植物への給水装置
KR200217108Y1 (ko) * 2000-10-16 2001-03-15 성태수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KR200398962Y1 (ko) 2005-06-15 2005-10-18 최정주 저면관수를 이용한 화분받침대
KR200461692Y1 (ko) * 2010-10-22 2012-07-30 강상구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0461656Y1 (ko) 2011-07-26 2012-07-30 심지수 다단 화분 받침대
KR200477376Y1 (ko)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KR20160074150A (ko) * 2014-12-18 2016-06-28 조영운 다용도 화분받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020A (ko) * 2019-11-18 2021-05-26 이석안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KR102272974B1 (ko) * 2019-11-18 2021-07-05 이석안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162A1 (ko) 2019-04-18
CN208640227U (zh) 2019-03-26
KR20190041851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392B2 (en) Self-watering system for a potted plant
KR102039792B1 (ko) 화분 받침대
US20110232183A1 (en) Water supply and wetness adjustment flowerpot assembly
KR20130106913A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1248076B1 (ko)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KR101103585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20190087242A (ko)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US20130067811A1 (en) Plant container system and method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1851158B1 (ko) 급수 기능을 갖는 난초 재배용 화분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200461692Y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KR200457473Y1 (ko) 화분
KR101914112B1 (ko) 화분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0420128Y1 (ko) 화분의 수분 공급장치
KR20120002458A (ko) 조립식 화분
KR200457475Y1 (ko) 화분용 수분 저장 및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분
US20080236039A1 (en)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JP3167907U (ja) 植木鉢および栽培セット
KR101120752B1 (ko) 화분 물통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KR200220766Y1 (ko) 자동급수화분
KR200411877Y1 (ko) 다목적 분리식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