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74162A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74162A1
WO2019074162A1 PCT/KR2017/015403 KR2017015403W WO2019074162A1 WO 2019074162 A1 WO2019074162 A1 WO 2019074162A1 KR 2017015403 W KR2017015403 W KR 2017015403W WO 2019074162 A1 WO2019074162 A1 WO 201907416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pollen
wick
flowerpo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54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문옥
Original Assignee
배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옥 filed Critical 배문옥
Publication of WO201907416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7416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4Flower tables; Stands or hangers, e.g. baskets, for flow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 support,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t support capable of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o a pot at the time of surface irrigation, and capable of not only surface irrigation but also bottom irrigation.
  • pollen is used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It is used to support the plant inside a flowerpot with a predetermined size of holes for drainage and air circula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to supply water and nutrients Fill and configure.
  • plants such as plants and plants are planted in a po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m by putting pots on the pots.
  • there is a green tea but when the surface of the pot is dry, it supplies enough water when the soil is dr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t support.
  • a conventional general pollen pedestal 10 includes a pollen receiving plate 11, a water receiving tube 12, and a water receiving tube receiving plate 13.
  • a pollen receiving plate 11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flowerpot 10,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water outlet 11a, but the water receiving tube 12 is disposed under the flowerpot receiving plate 11 It is difficult to confirm how much water the person is drinking, and the water depending on the flowerpot often flows over the water receiving tray 12. Accordingly, it is inconvenient to treat the water in the water receiving container 12 separately and wipe out the water flowing down to the floor.
  • a bottom watering system is imported and circulated, a water tank for supplying and storing water separately must be provided, which causes a problem of occupying a lot of space, and has a problem that the bottom watering system is formed only in the bottom watering system.
  • the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pollen pedestal capable of visually confirm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hole of a pollen during surface irrigation and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o the polle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 pollen pedestal includes a bottom part; A rim portion formed on a top surface edg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flowerpot supporting par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to receive pollen and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bottom part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with the rim part.
  • the bottom surface portion, the rim portion, and the pot support portion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height of the rim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t support.
  • the pot support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and each of the support parts may b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one end is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soil of the flowerpot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of the flowerpot to supply water inside the water storage space to the soil of the flowerpot by the capillary phenomenon.
  • a core tube having an annular cross section to surround the cor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the wick can be produced using cotton yarn or synthetic fiber yarn.
  • the core tube includes a top end with a sharp tip and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top end.
  • the body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odies, and each body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which one end is connected .
  • a wheel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wheel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wheel mounting portion.
  • a ball caster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and a ball caster mounted on the ball caster mounting portion.
  • it may further include a soil removal preventing plat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pray hole of the flowerpo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wick tube penetrates.
  • the pollen pedestal provides a pollen pedestal capable of visually checking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pollen during the surface irrigation and supplying a proper amount of water to the pollen.
  • a pot support is provided that can be used for surface irrigation as well as bottom irrigation.
  • a pot support capable of performing bottom irrigation us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at the time of surface irrigation is provided.
  • the pollen supporting unit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upporting par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rea of the water storage space becomes larger, and a larger amount of water can be stored.
  •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can be supplied into the flowerpot through the capillary phenomenon by the wick and the wick tube.
  • water can be supplied evenly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wick tub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ot suppor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use state diagram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ck and a wick tube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ck and a wick tube of a p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of a flowerp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water stored in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unit ", " unit of means ", " part of item ", " absence of member ", and the like denote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stitution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t means.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use state view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the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len pedestal 1000 can visually confirm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s of the pollen during surface irrigation and can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o the pollen.
  • the bottom part 100, the rim part 200, the pollen supporting part 300, the wheel 400, the wick 500, the wick pipe 600, And a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700 In addition to the surface irrigation, 2 to 5, the bottom part 100, the rim part 200, the pollen supporting part 300, the wheel 400, the wick 500, the wick pipe 600, And a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700.
  •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0 serves as a base of the flowerpot support 1000.
  • the bottom face portion 100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edge portion 20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0 so that a receiving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dge portion 200 and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0.
  • the pollen supporting part 30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art 100.
  • the pollen supporting unit 30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ollen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bottom surface 100 to form a space between the pollen supporting unit 300 and the rim 200. This spacing space becomes a water storage space 310 in which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630 of the flowerpot is stored.
  • the pollen support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 the pollen supporting unit 300 may be formed 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ollen, and pollen may be placed on the pollen supporting unit 300 to support the pollen, and the pollen supporting unit 300 need not necessarily be provided in a single configuration.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constitute the pollen supporting part 300 and support pollen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the respective support parts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pacing space between the respective support parts also becomes the water storage space 310, thereby allowing a greater amount of water to be stored.
  • the water storage space 310 between the pollen supporting unit 300 and the rim 200 can be confirmed by human ey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how much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0,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from overflowing outside the flowerpot support 1000.
  • the height of the rim portion 200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pot support portion 300. Since the space excluding the pot supporting unit 300 is formed as the water storage space 310 among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between the rim 200 and the bottom surface 100, the higher the height of the rim 200, can do. However, it is not desirable to make the height of the rim portion 200 very high since it is easy for a person to confirm how much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0. In this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rim portion 200, But it may be de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ollen or other requirements.
  • the shape of the bottom part 100 and the pollen supporting part 300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a circle or a rectangle (see FIG. 6).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wheel mounting portion 320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00 to have an upwardly recessed shape.
  • the wheels 4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wheel mounting portion 320.
  • the wheel 400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wheel mount 320 by moving it.
  • the wheel mounting portion 320 is not necessarily recess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ortion 100.
  • a plurality of wheel mounting portions 320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pots in a stable manner even if they protrude from the bottom portion 100.
  • a ball caster mounting portion 320 ' may be formed as a modified example of the wheel mounting portion 320 and may be easily moved through the ball caster 400'.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ck and a wick tube of a p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ck and a wick tube of a p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wick 500 and the wick pipe 600 are configured to enable bottom water irrigation using the capillary phenomenon from the water storage space 310 of the pot support 1000.
  • the wick 500 can be made by weaving synthetic fiber yarns or cotton with good water absorbency.
  • One end of the wick 500 is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0 to easily absorb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0 and the other end is disposed in the soil of the flowerpot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of the flowerpot.
  • the core tube 600 is provid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core 50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wick 60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wick 500 so that the wick 500 can easily absorb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0 and can be easily supplied into the pot .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310 is absorbed by the wick 500 and is supplied to the soil as it moves along the wick 500 by capillary action.
  • the wick 600 may include a top portion 610 and a body portion 620 and the body portion 6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dies.
  • the end of the upper part 610 is sharp and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oil through the drainage hole of the flowerpot.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63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620 so that water which is moved to the earth along the wick 500 by the capillary phenomeno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630, .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of a flowerpot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700 is placed on a drainage hole of the flowerpot so that the water supplied into the flowerpot is drained through the drainage hole and the soil in the flowerpot is not discharged.
  • the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700 is formed in a mesh shape, but in this embodiment, a through hole 710 through which the wick tube 600 passes is form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ck 600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wick 600 so that the wick 600 can not be forced through the through hole 710.
  • a plurality of holes having a diameter of about 2 to 5 mm are formed in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710 so that the water that is excessively supplied at the time of surface watering can be drained out of the flowerpot.
  •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removing water stored in a pollen pedes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il release prevention plate 700 is placed on the drainage hole.
  • a plurality of drain holes through which the plurality of wicks 500 can penetrate are formed so that the bottom pot irrigation can be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wick 500.
  • the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700 is not installed on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pollen, but the soil removal prevention plate 700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bout 6 to 10 mm from the lowermost ground surface, When the water flowing into the soil inside the soil is excessive, the water is released through the hole of the soil removal preventing plate 700.
  • the water to be drained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water does not overflow, so that a separate water storage tube is not required.
  • a pot support for both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is not requir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pedestal field of various p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 받침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화분이 안착되며, 상기 저면부 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서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화분에 물을 충분히 공급하여도 배수되는 물이 저수 공간에 저장되어 물이 흘러넘치지 않아 별도의 물받이통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저수 공간에 저장된 물을 통해 저면관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표면관수와 저면관수 모두 가능한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관수시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으며,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 실내에서 화초나 관엽식물 등을 화분에 심어 키울 때에는 필히 화분 받침대 위에 화분을 거치하여 키우게 된다. 식물의 종류에 따라 미차가 있지만 표면관수시 화분의 흙이 말랐을 때 충분한 물을 공급한다.
도 1은 종래의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화분 받침대(10)는 화분 받침판(11)과, 물받이통(12) 및 물받이통 받침판(13)을 포함한다. 종래의 화분 받침대(10)의 경우 화분에 물을 흠뻑 주게 되면 배수구(11a)를 통하여 배출된 물은 물받이통(12)으로 흘러 들어가지만, 물받이통(12)은 화분 받침판(11) 밑에 배치하며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사람이 물이 얼마나 차는지 확인하기 어려우며, 화분에 준 물이 물받이통(12)을 넘쳐 흐르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에 따라, 물받이통(12)에 고인 물을 따로 처리하고 바닥에 흘러내린 물을 닦아 내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한편, 저면관수 시스템이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별도로 물을 공급 및 저장하기 위한 물통을 구비하여야 하여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저면관수만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표면관수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를 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화분이 안착되며, 상기 저면부 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서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지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면부와,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화분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화분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 지지부는, 복수 개의 지지 파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 파트는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단부는 상기 저수 공간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화분의 흙 내에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수 공간 내부의 물을 화분의 흙으로 공급하는 심지; 및 단면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심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심지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는 면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관은, 끝이 뾰족한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 개의 몸체로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몸체는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는 바퀴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면부 하면에는 볼캐스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캐스터 장착부에 장착되는 볼캐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분의 배수공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심지관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흙 빠짐 방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표면관수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또한,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화분 받침대를 제공된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를 할 수 있는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저면관수에 이용함으로써, 표면관수시 저장된 물을 버릴 필요가 없으며, 실내에서의 자연 가습기능을 갖는다.
또한, 화분 지지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지지 파트로 구성됨으로써, 저수공간의 면적이 보다 커져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심지와 심지관에 의해 모세관 현상을 통해 저수 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화분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심지관의 배출공을 통해 화분 내에 물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변형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흙 빠짐 방지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 저장된 물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1000)는, 표면관수시 화분의 배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적정량의 물을 화분에 공급할 수 있으며, 표면관수 뿐만 아니라 저면관수도 가능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저면부(100)와, 테두리부(200)와, 화분 지지부(300)와, 바퀴(400)와, 심지(500)와, 심지관(600) 및 흙 빠짐 방지판(700)을 포함한다.
저면부(100)는 화분 받침대(1000)의 베이스가 되는 구성이다. 저면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면부(10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테두리부(200)가 형성됨으로써 테두리부(200)와 저면부(100) 간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저면부(100)의 상면에는 화분 지지부(300)가 형성된다. 화분 지지부(300)는 상면에 안착된 화분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저면부(100) 보다 작게 마련되어 테두리부(200)와의 사이에서 이격공간을 형성한다. 이 이격공간이 화분의 배출공(630)을 통해 배출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 공간(310)이 된다.
화분 지지부(300)는 복수 개의 지지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화분 지지부(300)는 화분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면을 형성하여 위에 화분이 놓여져 화분을 지지하면 되며, 반드시 단일의 구성으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지지 파트가 화분 지지부(300)를 구성하며 상면에 안착된 화분을 지지한다. 이때, 각각의 지지 파트는 서로 이격 배치된다. 각각의 지지 파트 사이의 이격공간 또한, 저수 공간(310)이 되며, 이로 인해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장할 수 있다.
화분 지지부(300)에 화분이 안착되는 경우에도 사람의 육안으로 화분 지지부(300)와 테두리부(200) 사이의 저수 공간(310)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화분에 표면관수로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경우에도 저수 공간(310)에 물이 어느 정도 찼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어 화분 받침대(1000) 외부로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200)의 높이는 화분 지지부(300)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200)와 저면부(100) 간에 형성된 수용공간 중 화분 지지부(300)를 제외한 공간이 저수 공간(310)이 되므로, 테두리부(200)의 높이가 높을수록 보다 많은 양의 물을 저수할 수 있다. 그러나, 저수 공간(310)에 물이 어느 정도 찼는지를 사람이 쉽게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테두리부(200)의 높이를 아주 높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본 실시예에서 테두리부(200)의 높이는 화분 지지대의 높이보다 10~20mm 정도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화분의 크기 또는 기타 다른 요건에 의하여 달리 설계할 수 있다.
저면부(100)와 화분 지지부(30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외에도 달리 마련될 수 있다.(도 6 참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저면부(10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함몰 형성된 바퀴 장착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바퀴 장착부(320)에는 바퀴(4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화분의 크기가 크고 무거운 경우에는 화분 받침대(1000)와 함께 화분을 옮기는 것이 어려우나, 바퀴 장착부(320)에 바퀴(400)를 장착시켜 쉽게 옮길 수 있다. 또한, 바퀴(400)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에도 저면부(100)의 하면에 돌출된 부분이 없으므로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바퀴 장착부(320)는 반드시 저면부(100)의 하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저면부(100)로 돌출되어도 바퀴 장착부(320)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안정적으로 화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바퀴 장착부(320)의 변형예로서 볼캐스터 장착부(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볼캐스터(400`)를 통해 쉽게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심지와 심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심지(500)와 심지관(600)은 화분 받침대(1000)의 저수 공간(310)으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심지(500)는 물의 흡수성이 좋은 면 또는 합성섬유 원사를 엮어서 제조될 수 있다. 심지(500)의 일단부는 저수 공간(310)의 물을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저수 공간(310)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화분의 흙 내에 배치된다. 심지관(600)은 단면이 환형인 형상으로 마련되어 심지(500)를 감싼다. 이때, 심지관(600)의 길이는 심지(50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심지(500)가 저수 공간(310) 내의 물을 쉽게 흡수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화분 내로 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저수 공간(310) 내의 물은 심지(500)에 흡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500)를 따라 이동하면서 흙에 공급된다.
심지관(600)은 상단부(610)와 몸체부(6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620)는 복수 개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610)의 끝은 뾰족하게 마련되어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흙 내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62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630)이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500)를 따라 흙으로 이동되는 물이 배출공(630)을 통해 배출되어 흙의 여러 곳에 물이 공급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흙 빠짐 방지판의 사시도이다.
흙 빠짐 방지판(700)은 화분의 배수공 위에 놓여져 화분 내로 공급된 물은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도록 하되 화분 내의 흙은 배출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흙 빠짐 방지판(700)은 메쉬형상으로 마련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중앙부에 심지관(600)이 관통되는 관통공(710)이 형성된다. 이때, 심지관(600)이 억지끼움되어 관통공(710)을 통해 흙이 배출되지 않도록 심지관(600)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공(710)의 주변에 직경 2~5mm 정도의 구멍이 여러 개 형성되어 표면관수 시에 과다 공급된 물이 화분 밖으로 배수될 수 있는 배수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에 저장된 물을 제거하는 방법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화분은 크기에 따라 하부면에 2~8개 정도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 위에 흙 빠짐 방지판(700)이 놓여진다. 즉, 화분은 심지(500)를 통해 저면관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심지(500)가 각각 관통될 수 있는 배수공이 여러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흙 빠짐 방지판(700)이 화분의 최하단 바탕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최하단 바탕면에서 6~10㎜정도 높은 부위에 흙 빠짐 방지판(700)이 설치되게 하여, 표면관수 시 화분 안의 토양 속으로 흘러 들어간 물이 과다할 경우 흙 빠짐 방지판(700)의 구멍을 통하여 화분 밖으로 빠져 나가게 되지만, 화분의 최하단 바탕면에서 흙 빠짐 방지판(700)까지의 높이 6~10㎜ 부위에는 어느 정도의 물이 토양과 함께 저수되며, 그렇게 저수된 물은 삼투압현상으로 서서히 화분 내의 뿌리로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배수공이 화분 저면에 한 개 형성된 종래의 화분은 저면관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표면관수만 적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표면관수시 넘쳐 흘러 저수 공간(310)에 저장된 물을 주사기를 사용하여 손쉽게 제거하여 다른 화분에 표면관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에 물을 충분히 공급하여도 배수되는 물이 저수 공간에 저장되어 물이 흘러넘치지 않아 별도의 물받이통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저수 공간에 저장된 물을 통해 저면관수가 되도록 함으로써 표면관수와 저면관수 모두 가능한 화분 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0 : 화분 받침대
100 : 저면부
200 : 테두리부
300 : 화분 지지부
400 : 바퀴
500 : 심지
600 : 심지관
700 : 흙 빠짐 방지판
본 발명은 다양한 화분의 받침대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저면부;
    상기 저면부의 상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테두리부; 및
    상기 저면부의 상면에 형성되어 화분이 안착되며, 상기 저면부 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테두리부와의 사이에서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화분 지지부;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와,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화분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높이는 상기 화분 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마련되는 화분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지지부는,
    복수 개의 지지 파트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지지 파트는 서로 이격배치되는 화분 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저수 공간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화분의 배수공을 통과하여 화분의 흙 내에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수 공간 내부의 물을 화분의 흙으로 공급하는 심지; 및
    단면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심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심지관;을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면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화분 받침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관은,
    끝이 뾰족한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 개의 몸체로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몸체는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화분 받침대.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의 하면에는 바퀴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 장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바퀴를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부 하면에는 볼캐스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볼캐스터 장착부에 장착되는 볼캐스터를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10. 제5항에 있어서,
    화분의 배수공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심지관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흙 빠짐 방지판을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PCT/KR2017/015403 2017-10-13 2017-12-22 화분 받침대 WO201907416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89 2017-10-13
KR1020170133589A KR102039792B1 (ko) 2017-10-13 2017-10-13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162A1 true WO2019074162A1 (ko) 2019-04-18

Family

ID=6577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5403 WO2019074162A1 (ko) 2017-10-13 2017-12-22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39792B1 (ko)
CN (1) CN208640227U (ko)
WO (1) WO20190741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268B2 (en) * 2018-07-27 2022-02-15 Michael L. Spencer Potted plant tr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235B1 (ko) * 2019-09-27 2020-09-07 배문옥 화분유닛
KR102272974B1 (ko) * 2019-11-18 2021-07-05 이석안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651A (ja) * 1993-02-01 1994-08-16 Isao Shirohata 栽培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給水用インサート具
JPH07147851A (ja) * 1993-11-30 1995-06-13 Kajima Corp 鉢植え植物への給水装置
KR200217108Y1 (ko) * 2000-10-16 2001-03-15 성태수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KR200461692Y1 (ko) * 2010-10-22 2012-07-30 강상구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160074150A (ko) * 2014-12-18 2016-06-28 조영운 다용도 화분받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962Y1 (ko) 2005-06-15 2005-10-18 최정주 저면관수를 이용한 화분받침대
KR200461656Y1 (ko) 2011-07-26 2012-07-30 심지수 다단 화분 받침대
KR200477376Y1 (ko) 2013-07-08 2015-07-08 한국도시농업 주식회사 무동력 자동 관수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5651A (ja) * 1993-02-01 1994-08-16 Isao Shirohata 栽培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給水用インサート具
JPH07147851A (ja) * 1993-11-30 1995-06-13 Kajima Corp 鉢植え植物への給水装置
KR200217108Y1 (ko) * 2000-10-16 2001-03-15 성태수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KR200461692Y1 (ko) * 2010-10-22 2012-07-30 강상구 가습기능이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160074150A (ko) * 2014-12-18 2016-06-28 조영운 다용도 화분받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6268B2 (en) * 2018-07-27 2022-02-15 Michael L. Spencer Potted plant tr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792B1 (ko) 2019-11-01
CN208640227U (zh) 2019-03-26
KR20190041851A (ko)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50935B (zh) 栽培装置、多层立体栽培系统及植物工厂种植系统
WO2019074162A1 (ko) 화분 받침대
RU2745566C1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стойк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WO2015174773A1 (ko)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WO2015119391A1 (ko) 가구 매립형 식물 재배장치
US7506473B2 (en) Irrigation device
CN205454913U (zh) 一种玛咖育苗盘
WO2021060793A1 (ko) 화분유닛
WO2016003051A1 (ko)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
JP2017006114A (ja) 水耕栽培装置
TWM606075U (zh) 盆栽植物栽培端盤底部灌溉系統
WO2019142951A1 (ko)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WO2016027972A1 (ko) 자연광 및 인공광을 이용하는 다층 식물재배 시스템
KR20110005923U (ko) 재배판을 포함하는 수경 재배 장치
WO2020071579A1 (ko) 수경 재배 용기
WO2015137538A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WO2019203439A1 (ko)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US11197436B2 (en) Internal wicking collection reservoir for plant containers
CN105875250A (zh) 花盆组件
CN220630239U (zh) 一种树木幼苗培育装置
CN211432031U (zh) 一种花卉种植盆用放置架
CN220250501U (zh) 一种氧气湿化瓶沥水装置
CN218649411U (zh) 一种有机蔬菜种植箱
CN215822123U (zh) 一种吸痰管连接管专用收纳的吸盘式收纳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28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28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7.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281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