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42951A1 -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 Google Patents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42951A1
WO2019142951A1 PCT/KR2018/000772 KR2018000772W WO2019142951A1 WO 2019142951 A1 WO2019142951 A1 WO 2019142951A1 KR 2018000772 W KR2018000772 W KR 2018000772W WO 2019142951 A1 WO2019142951 A1 WO 201914295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rrigation
water
built
flowerpot
p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7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문옥
Original Assignee
배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옥 filed Critical 배문옥
Priority to PCT/KR2018/0007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42951A1/ko
Publication of WO201914295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4295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built-in pots, and more particularly, to irrigation pots capable of embedding pots without plant intrusion and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with built-in pots.
  • pollen is used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 to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It is used to support the plant inside a flowerpot with a predetermined size of holes for drainage and air circulation on the bottom surface, and to supply water and nutrients Fill and configure.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rge flower pot in which a built flower pot is housed.
  • plants are planted in large pots to naturally create the atmosphere of the interior.
  • plants planted in plastic pots grown in flower farms It is a common practice to plant the plant-grown plastic pots on a farm in pottery-type pots instead of planting them with pottery pots and to make them look luxurious only from the outside.
  • the method of putting the plastic flowerpot in the flowerpot of the flowerpot without making any special treatmen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labor cost for the flowerpot can be reduced and the plantpolymer can be easily replaced, If you see about 1 ⁇ 3 plastic pots put inside, you will feel the roughness. You can not use surface irrigation for pots, but surface irrigation has the problem described above.
  • the pollen of the inner p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is intended to provide pots capable of embedding pots without planting, and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in built-in pots.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in built-in pots for allowing water stored through surface irrigation to be subjected to bottom irrigation using capillary phenomen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the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s are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built-in irrigation pots, comprising: a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A water receiving part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storing water; A base plat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reservoir and having a drain hole and the built flower pot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nd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in the reservoi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disposed in the internal flowerpot through the drain hole and moves the water of the bottom portion to the internal flowerpot through a capillary phenomenon.
  • the wick part is dispos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at one end and is disposed in the soil of the built flower pot through the water discharge hole so as to supply water inside the water storage space to the soil of the flowerpot by capillary phenomenon.
  • a core tube having an annular cross section to surround the core and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 the wick can be produced using cotton yarn or synthetic fiber yarn.
  • the core tube includes a top end with a sharp tip and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top end.
  • the body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odies, and each body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which one end is connected .
  •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mount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and the mounting portion of the base is protruded outward so that the rim is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late is seated on the rim.
  • a convex or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and a concave or convex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im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 a support rod for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 the main body may be formed with a water supply port formed above the support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 a vent hole may be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 a wheel mounting portion on which a wheel is mounted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built-in pot may include at least one through-hol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thereof and disposed above the through-hole, wherein the soil-removal preventing plate has a top surface of about 20 g / m 2 to about 100 g /
  • the nonwoven fabric may be adhered, and may be disposed 6 to 10 mm above the lower surface.
  •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pots capable of embedding pots without plant intrusion and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in built-in pots.
  • the main body includes a lower main body and an upper main body detachable from the lower main body, and the inner main pot can be easily placed on the lower main body, and the inner main pot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by the upper main body.
  • cover plate of the upper body forms an inclination of 5 to 10 degrees downward, so that the built-in pots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 bottom watering can be performed by us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during the surface watering.
  •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can be supplied into the flowerpot through the capillary phenomenon by the wick and the wick tube.
  • water can be supplied evenly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wick tube.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arge flower pot in which a built flower pot is housed.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llen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water and bottom irrigation water irrigation wa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a pollen capable of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flower pot capable of a surface watering number and a bottom watering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flower pot capable of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xample of a main body of a flowerpot capable of a surface watering number and a bottom watering number of the potted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a main body of a flower po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a flowerpot and a bed of a flower po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ck and a wick tube of a flowerpo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ck pot and a wick tube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capable of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and 14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main body of a flower po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a flower pot capable of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preferred built flower pots to be applied to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unit ", " unit of means ", " part of item ", " absence of member ", and the like denote a unit of a comprehensive constitution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it means.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having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water nu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pot having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owerpot according to AA ', in which the number of surface irrigation water and bottom irrigation water number of a built-in flower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vailable.
  • the pollen (1000) capable of the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tegrating pollen without planting, 2 to 4,
  • the body 100 includes a main body 100, a wheel 200, a bottom portion 300, a foot plate 400, and a wing portion 500.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flower pot capable of a surface watering number and a bottom watering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lower main body 110 and an upper main body 120.
  • the low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main body 120 are configured as poles of a pot 1000 capable of the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internal po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main body 120 are not necessar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main body 120 are separately provided and coupled.
  • the lower main body 1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otion 300 and the receiving plate 400 are mounted and a part of the potted potted plant 10 is accommodated.
  • An upper edge 111 of the lower main body 110 protrudes outward and a lower edge 123 of the upper main body 120 is seated on the upper edge 111 of the lower main body 110.
  • a mounting portion 112 protruding inward is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lower main body 110.
  • the mounting portion 112 is a region where the rim of the receiving portion 300 is seat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a water supply port 113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lower main body 110.
  • the water supply port 113 is formed above the support plate 400.
  • the water supply port 113 allows the water to be directly supplied to the storage unit 300 through the drain hole 420 of the support plate 400.
  •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surface water supply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unit 300 but is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ort 113 when only the bottom water is desired without the surface water supply, 400,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00.
  • the number of the water supply ports 113 is not limited, two to four water supply ports 113 are 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in body 100 in this embodiment.
  • a vent hole 11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main body 110.
  • the air vent 11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main body 110 to allow air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2 to 4 air vent holes 114 are form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in body 100.
  • the upper main body 120 easily seats the built flower pot 10 on the receiving plate 400 and makes the built flower pot 10 hard to be visually confirmed from the outside.
  • the upper body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upper body 121 and a second upper body 122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bottom surface 123 of the upper body 120 protrudes outward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111 of the lower body 110.
  • the inner pot 10 can be easily put on the inner pot 10 by attaching the inner pot 10 to the bottom plate 400 and then joining the first upper body 121 and the second upper body 122 to each other, can do.
  • the first upper body 121 and the second upper body 122 are not limited in the manner in which the first upper body 121 and the second upper body 122 are coupled to each other. However,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20 can also be direct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bolts, nuts, or screws (see FIG. 5).
  • a cover plate 12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 the covering plate 124 is a structure for enhancing the appearance of the built-in pots 10, which are placed inside, so that they can not be easily seen from outside by the naked eye.
  • the covering plate 124 extends in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ody 120 so that the inclined plate 10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body 120 so that the inner pot 10 can not be seen from the outside.
  • a luxurious interior flowerpot by the covering plate 124 it can exhibit excellent interior effect in a building interior such as an office, a hotel, a hospital, and a large exhibition hall.
  •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flowerpot capable of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water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number
  •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surface of a main body of a flower pot capable of a surface watering number and a bottom watering number of the potted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wheel mount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wheel 200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the wheel mounting portion 115.
  • the wheel mounting portion 115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110. If the size of the pot is large and heavy, it is difficult to move the pot, but the wheel 200 can be mounted on the wheel mounting part 115 so that the inner pot 10 can be easily moved even if the pot 10 is placed in the pot. Further, even when the wheel 200 is not mounted, the wheel mounting portion 115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serves as a floor support and can be stably placed on the ground.
  • a screw groove 115 '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second wheel 200 'may be coupled to the screw groove 115'.
  • FIG. 9 is a view showing the bottom of a flowerpot and a bed of a flower po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ottom plate 300 is configured to store a part of the water supplied during the surface irrigation and to store the water so that the bottom irrigation can be performed.
  • the bottom plate 400 closes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300, 10 are seated.
  • the bottom part 310 of the bottom part 110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bottom part 110 and is disposed inside the bottom part 110 while the top part 310 of the top part 310 extends outward, 112).
  • a convex portion 311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310 and a concave portion 410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31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400, (400) is coupled by inserting the convex portion (311) into the concave portion (410).
  • a concave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310, and a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late 400.
  • a plurality of drain holes 420 are formed in the support plate 400.
  • the drain hole 420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ter moves.
  • the drain hole 420 has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nd includes a first drain hole 421 through which the wick 500 passes and a second drain hole 422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 a support rod 32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servoir 300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400 more stably and even when the built flower pot 10 is heavy, the support plate 400 is bent or broken downward Can be prevented.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ck and a wick tube of a flower pot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rface irrigation water and a bottom irrigation water And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ick tube.
  • the wick part 500 is configured to enable bottom water irrigation using the capillary phenomenon from the reservoir part 300.
  • the wick 510 can be made by weaving synthetic fiber yarns or cotton with good water absorbency.
  • One end of the wick 510 is disposed in the reservoir 300 to easily absorb the water of the reservoir 3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uilt flower pot 10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421 of the support plate 400.
  • the wick tube 520 is provided in a ring-shaped cross-section to wrap the wick 5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wick tube 52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wick 510, so that the wick 510 can easily absorb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300 and can easily supply the water into the pot. Water in the reservoir 300 is absorbed by the wick 510 and is supplied to the soil as it moves along the wick 510 by capillary action.
  • the wick tube 520 may include a top portion 521 and a body portion 522, and the body portion 5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dies.
  • the end of the upper part 521 is sharpened and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soil of the internal flower pot 10 through the first drain hole 421.
  •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53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22 so that water which is moved upward along the wick 510 due to the capillary phenomenon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530, .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ower pot capable of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water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3 and 14 are views showing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BB 'of a pollen capable of a surface irrigation number and a bottom irrigation number of a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len (2000) capable of the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mbedding pollen without planting, and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with built-in irrigation pollen 12 to 15,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joining method of the upper body and the joining method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different. Repeated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omitted.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lower main body 110 and an upper main body 120.
  • the low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main body 120 are configured as poles of a pot 1000 capable of the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internal po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main body 120 are not necessar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wer main body 110 and the upper main body 120 are separately provided and coupled.
  • the upper body 120 will be described first so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joining method, and it can be faithfully explained.
  • the upper main body 120 easily seats the built flower pot 10 on the receiving plate 400 and makes the built flower pot 10 difficult to visually recognize from the outside.
  • the upper body 120 is provided with a first upper body 121 'and a second upper body 122'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manner of coupling the first upper body 121 and the second upper body 122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upper body 121 'and the second upper body 122' .
  • locking member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fastened / separated through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refer to FIG. 15).
  • the lower main body 1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potion 300 and the receiving plate 400 are mounted and a part of the potted potted plant 10 is accommodated.
  • An engaging member 111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main body 110.
  • the latching member 111 '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body 120.
  • the rotation of the upper body 120 determines whether the upper body 120 and the engagement member 111 are inserted or not so that the lower body 110 and the upper body 1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 Figs. 16 and 17 are diagrams showing preferred built flower pots to be applied to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the built-in po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ternal flowerpot 10 may be a flowerpot used for cultivation of plants or plants in flower farms. Depending on the flowerpot size, about 4 to 12 through holes 20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werpot 10 , And the soil release prevention plate (30) is placed on the through hole (20).
  • the circular dirt release preventing plate 30 is provided with a wick tube inlet 31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3 having a diameter of about 2 to 5 mm are formed around the wick tube inlet 31, And has a drainage function in which excessively supplied water can be drained out of the pots.
  • the dirt release preventing plate 30 is formed by adhering a nonwoven fabric of about 20 g / m 2 to 100 g / m 2 on the top surface of the soil release preventing plate 30 in order to prevent the fine dust of the built flower pot 10 from escaping through the drainage hole .
  • the soil removal preventing plate 30 is not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uilt flower pot 10, but the soil removal preventing plate 30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bout 6 to 10 mm from the lower surface,
  • the soil removal preventing plate 30 is installed at a height of about 6 to 10 mm from the lower surface,
  • pots can be embedded without the planting of plants, and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can be provided in built-in pot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ots capable of surface irrigation and bottom irrigation of built-in pots.

Abstract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은,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으로서, 중공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 상면에 놓여지며,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내장화분이 놓여지는 받침판; 및 일단부는 상기 저수통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화분에 배치되며,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저수부의 물을 상기 내장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본 발명은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의 재배 및 쾌적한 환경조성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배수 및 공기순환을 위해 소정 크기의 통공을 형성한 화분 내부로 식물을 지탱함과 동시에 물과 양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토양을 채워 구성한다.
종래에는 화분 위에서 화분 내의 토양으로 직접 물을 주는 표면관수 방법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표면관수 방법은 화분의 크기와 식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량의 물 공급이 어려워 물을 너무 많이 주거나 혹은 너무 주지 않아서 과습이나 건조의 피해로 식물을 고사(枯死)시키는 사례가 자주 발생된다.
이와 같이 표면관수 방법으로의 급수 시에는 화분의 크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급수 관리의 어려움이 많으며, 화분 아래에 필히 화분 받침대를 두어서 과다 공급되어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내는 물받이통이 부착된 화분 받침대가 필요하다.
도 1은 내장화분이 수용된 종래의 대형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호텔, 종합병원, 대형 오피스빌딩, 전시장과 같은 건물들의 로비(Lobby) 주변에는 대형화분에 관엽식물들을 식재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자연스럽게 조성하는데, 이런 경우 화훼농장에서 재배한 플라스틱 화분에 식재된 식물을 도자기류 화분으로 분갈이하여 식재하지 않고 도자기류 화분 안에 농장에서 식물 재배한 플라스틱 화분을 그대로 넣어서, 겉으로 보이는 화분의 외관만 고급스럽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별도의 분갈이를 하지 않고 플라스틱 화분을 도자기류 화분 안에 넣어두는 방식은 분갈이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절감과, 식재된 플라스틱 화분의 손쉬운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식재식물의 교체가 간편한 장점은 있지만, 도자기류 화분 안에 넣어진 1~3개 정도의 플라스틱 화분을 보게 되면 조잡함을 느끼게 되며, 화분에 관수는 표면관수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표면관수는 상술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대형 화분 내에 분갈이를 통해 식물을 직접 식재하지 않고 화분을 내장시키는 경우에도 표면관수 외에 저면관수도 가능하며 외관이 우수한 화분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은,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장된 화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관수를 통해 저장된 물을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저면관수 하도록 하는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은,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으로서, 중공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 상면에 놓여지며,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내장화분이 놓여지는 받침판; 및 일단부는 상기 저수통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화분에 배치되며,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저수부의 물을 상기 내장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심지부는, 일단부는 상기 저수 공간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화분의 흙 내에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수 공간 내부의 물을 화분의 흙으로 공급하는 심지; 및 단면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심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심지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는 면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지관은, 끝이 뾰족한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 개의 몸체로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몸체는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부는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두리가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테두리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의 상면에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는 상기 테두리에 대응되는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부에는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판 보다 상방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급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외벽에는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바퀴가 장착되는 바퀴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장화분은, 저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방에 배치되는 흙 빠짐 방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흙 빠짐 방지판은, 상면에 20g/㎡~100g/㎡ 정도의 부직포가 부착될 수 있으며, 하부면으로부터 6~10mm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은,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이 제공된다.
또한, 본체는 하부본체와, 하부본체로부터 분리가능한 상부본체를 포함하여, 하부본체에 용이하게 내장화분을 놓을 수 있으며, 상부본체에 의해 내장화분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외관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본체의 가림판은 하방으로 5~10°의 경사를 형성하여 내장화분이 외부에서 더욱더 보이지 않는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를 할 수 있다.
또한, 표면관수시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저면관수에 이용함으로써, 표면관수시 저장된 물을 버릴 필요가 없다.
또한, 심지와 심지관에 의해 모세관 현상을 통해 저수 공간 내에 저장된 물을 화분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심지관의 배출공을 통해 화분 내에 물을 골고루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내장화분이 수용된 종래의 대형 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변형예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 저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저수부 및 받침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심지와 심지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심지와 심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내장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1000)은,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것으로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와, 바퀴(200)와, 저수부(300)와, 받침판(400)와, 및 심지부(50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화분(10)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1000)의 틀이 되는 구성으로서,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를 포함한다.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는 반드시 분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가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하부 본체(110)는 저수부(300)와 받침판(400)이 장착되며 내장화분(10)의 일부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하부 본체(110)의 상면 테두리(111)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면 테두리(111)에 상부 본체(120)의 하면 테두리(123)가 안착되어 결합된다. 또한, 하부 본체(110)의 내벽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거치부(112)가 형성된다. 거치부(112)는 저수부(300)의 테두리가 안착되는 영역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하부 본체(110)의 소정 지점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급수구(113)가 형성된다. 급수구(113)는 받침판(400) 보다 상방에 형성된다. 급수구(113)는 받침판(400)의 배수공(420)을 통과하여 저수부(300)에 직접적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표면관수를 통해 공급된 물이 저수부(300)에 저장되나 표면관수 없이 저면관수만 하고자 하는 경우 급수구(113)를 통해 물을 공급하며, 급수구(113)를 통해 공급된 물은 받침판(400)을 통과하여 저수부(300)에 저장된다. 급수구(113)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2~4개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본체(110)의 소정 지점에는 통기공(114)이 형성된다. 통기공(114)은 본체(100) 내외부 간에 서로 공기가 통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부 본체(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며,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2~4개가 형성된다.
상부 본체(120)는 내장화분(10)을 용이하게 받침판(400)에 안착시키며 내장화분(10)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되기 어렵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본체(120)는 서로 분리되는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로 마련된다. 상부 본체(120)의 하면 테두리(123)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부 본체(110)의 테두리(111) 상면에 안착된다. 내장화분(10)을 받침판(400)에 안착한 후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를 서로 결합한 뒤 이를 하부 본체(110)에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내장화분(10)을 안착할 수 있다.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의 결합방식은 제한되지 않지만, 제1실시예에서는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를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도 서로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를 통해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상부 본체(120) 상면에는 가림판(124)이 형성된다. 가림판(124)은 내부에 안치된 내장화분(10)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없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가림판(124)은 상부 본체(120)의 상면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이때,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5~10°의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내장화분(10)이 외부에서 더욱더 보이지 않도록 한다. 가림판(124)에 의해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화분으로서, 사무실이나 호텔·병원·대형전시장과 같은 건물 실내에서 훌륭한 인테리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변형예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 저면의 분해사시도이다.
본체(100)의 하면에는 바퀴 장착부(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퀴 장착부(115)에는 바퀴(2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바퀴 장착부(115)는 하부 본체(1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화분의 크기가 크고 무거운 경우에는 화분을 옮기는 것이 어려우나, 바퀴 장착부(115)에 바퀴(200)를 장착함으로써 내장화분(10)을 화분 내에 안치시켰을 경우에도 쉽게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바퀴(200)를 장착하지 않는 경우에도 본체(100)의 하면에 돌출된 바퀴 장착부(115)가 바닥지지대 역할을 하여 지면 상에 안정적으로 놓여질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하면에는 나사홈(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나사홈(115`)에 제2바퀴(200`)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저수부 및 받침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저수부(300)는 표면관수시 공급된 물의 일부가 저장되며 또한, 저면관수가 가능하도록 물이 저장되는 구성이며, 받침판(400)은 저수부(300)의 상면을 마감함과 동시에 내장화분(10)이 안착되는 구성이다. 저수부(300)는 하부 본체(110)보다 작게 마련되어 하부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되 상면 테두리(310)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테두리(310)의 하면이 하부 본체(110) 내부의 거치부(112)의 상면에 안착된다. 또한, 테두리(3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철부(311)가 형성되고, 받침판(400)의 하면에는 철부(311)에 대응되는 요부(410)가 형성되어, 저수부(300)와 받침판(400)은 철부(311)가 요부(410)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된다. 철부와 요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테두리(310)의 상면에 요부가 형성되고, 받침판(400)의 하면에 철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판(400)에는 복수 개의 배수공(420)이 형성된다. 배수공(420)은 물이 이동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배수공(420)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며 심지부(500)가 통과하는 제1배수공(421)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제2배수공(42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내장화분(10)에 표면관수를 통해 급수를 하는 경우, 충분한 양의 물이 급수되면 일부의 물은 배수공(420)을 통해 저수부(300)로 이동된다. 또한, 심지부(500)는 제1배수공(421)을 통해 내장화분(10) 내에 투입되는데, 저수부(300) 내의 물은 심지부(500)를 통해 내장화분(10) 내부의 토양으로 공급된다.
또한, 저수부(300)의 중앙부에는 지지봉(320)이 형성되어 받침판(4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내장화분(10)이 무거운 경우에도 받침판(400)이 하방으로 휘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심지와 심지관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심지와 심지관의 분해사시도이다.
심지부(500)는 저수부(300)로부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저면관수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심지(510)는 물의 흡수성이 좋은 면 또는 합성섬유 원사를 엮어서 제조될 수 있다. 심지(510)의 일단부는 저수부(300)의 물을 쉽게 흡수할 수 있도록 저수부(300)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받침판(400)의 제1배수공(421)을 통해 내장화분(10)의 흙 내에 배치된다. 심지관(520)은 단면이 환형인 형상으로 마련되어 심지(510)를 감싼다. 이때, 심지관(520)의 길이는 심지(51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심지(510)가 저수부(300) 내의 물을 쉽게 흡수 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화분 내로 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저수부(300) 내의 물은 심지(510)에 흡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510)를 따라 이동하면서 흙에 공급된다.
심지관(520)은 상단부(521)와 몸체부(5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몸체부(522)는 복수 개의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단부(521)의 끝은 뾰족하게 마련되어 제1배수공(421)을 통과하여 내장화분(10)의 흙 내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522)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530)이 형성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510)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는 물이 배출공(530)을 통해 배출되어 흙의 여러 곳에 물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사시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2000)은,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것으로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본체의 결합방법과, 상부본체와 하부본체의 결합방법이 다른 점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화분(10)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1000)의 틀이 되는 구성으로서,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를 포함한다.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는 반드시 분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가 별도로 마련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결합방법에 차이가 있는 바, 이에 대한 충실한 설명이 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120) 먼저 설명한다.
상부 본체(120)는 내장화분(10)을 용이하게 받침판(400)에 안착시키며 내장화분(10)이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도록 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본체(120)는 서로 분리되는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로 마련된다.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의 결합방식은 제한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를 걸림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한다. 제1상부 본체(121`)와 제2상부 본체(122`)의 상단 양 단부에는 내측에 걸림부재가 형성되며, 상·하 이동을 통해 체결/분리된다.(도 15 참조)
하부 본체(110)는 저수부(300)와 받침판(400)이 장착되며 내장화분(10)의 일부가 수용되는 구성이다. 하부 본체(110)의 상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재(111`)가 형성된다. 이 걸림부재(111`)는 상부 본체(120)의 하단부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상부 본체(120)의 회전에 따라 상부 본체(120)와 걸림부재(111`)의 삽입여부가 결정되며, 이에 따라 하부 본체(110)와 상부 본체(120)가 서로 체결/분리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내장화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적용되는 바람직한 내장화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내장화분(10)은 대부분 화훼농장에서 화초나 관엽식물 재배 시에 사용되는 화분일 수 있으며, 화분의 크기에 따라 내장화분(10) 하부면에 4~12개 정도의 관통공(20)이 형성되고, 관통공(20) 위에 흙 빠짐 방지판(30)이 놓여진다. 원형의 흙 빠짐 방지판(30)은 중앙부에 심지관 투입구(31)가 형성되며, 심지관 투입구(31) 주변에 직경 2~5mm 정도의 배출공(33)이 여러 개 형성되어 표면관수 시에 과다 공급된 물이 화분 밖으로 배수될 수 있는 배수기능을 가진다.
흙 빠짐 방지판(30)은 내장화분(10)의 미세한 흙까지 배수구를 통하여 화분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기 위하여 20g/㎡~100g/㎡ 정도의 부직포를 흙 빠짐 방지판(30) 상면에 접착시켜 제조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흙 빠짐 방지판(30)은 내장화분(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하부면에서 6~10㎜정도 높은 부위에 흙 빠짐 방지판(30)이 설치되게 하여, 화훼농장에서 화분의 상부 토양으로 표면관수 시 화분 안의 토양 속으로 흘러들어간 물이 과다할 경우 흙 빠짐 방지판(30)의 배수구를 통하여 화분 밖으로 빠져나가게 되지만, 내장화분(10)의 최하단 바탕면에서 흙 빠짐 방지판(30)까지의 높이 6~10㎜ 부위에는 어느 정도의 물이 토양과 함께 저수되게 함으로서, 그렇게 저수된 물은 삼투압현상으로 서서히 화분 내의 뿌리로 스며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식물의 분갈이 없이 화분을 내장할 수 있으며, 내장된 화분에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0, 2000 :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100 : 본체
200 : 바퀴
300 : 저수부
400 : 받침판
500 : 심지부
본 발명은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1)

  1.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으로서,
    중공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상기 저수부 상면에 놓여지며,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내장화분이 놓여지는 받침판; 및
    일단부는 상기 저수통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화분에 배치되며, 모세관 현상을 통해 상기 저수부의 물을 상기 내장화분으로 이동시키는 심지부;를 포함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일단부는 상기 저수 공간 내에 배치되며, 타단부는 상기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내장화분의 흙 내에 배치되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저수 공간 내부의 물을 화분의 흙으로 공급하는 심지; 및 단면이 환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심지를 감싸며,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심지관;을 포함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는 면사 또는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관은,
    끝이 뾰족한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에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복수 개의 몸체로 연결되되, 각각의 상기 몸체는 일단부가 연결되는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삽입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거치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수부는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테두리가 상기 거치부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테두리에 안착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의 상면에는 철부 또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판의 하면에는 상기 테두리에 대응되는 요부 또는 철부가 형성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에는 상기 받침판을 지지하는 지지봉이 형성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받침판 보다 상방에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는 급수구가 형성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벽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바퀴가 장착되는 바퀴 장착부가 형성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화분은,
    저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의 상방에 배치되는 흙 빠짐 방지판을 포함하되,
    상기 흙 빠짐 방지판은, 상면에 20g/㎡~100g/㎡ 정도의 부직포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장화분의 하부면으로부터 6~10mm 상방에 배치되는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PCT/KR2018/000772 2018-01-17 2018-01-17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WO2019142951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0772 WO2019142951A1 (ko) 2018-01-17 2018-01-17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0772 WO2019142951A1 (ko) 2018-01-17 2018-01-17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2951A1 true WO2019142951A1 (ko) 2019-07-25

Family

ID=6730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772 WO2019142951A1 (ko) 2018-01-17 2018-01-17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429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7436B2 (en) * 2018-10-10 2021-12-14 Joshua T. Cole Internal wicking collection reservoir for plant container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783A (ko) * 2010-12-01 2012-06-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KR20120122484A (ko) * 2011-04-29 2012-11-07 주식회사 포시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140130090A (ko) * 2014-10-16 2014-11-07 최재주 물흡수용 심지 공법을 이용한 화분
KR20150094277A (ko) * 2014-02-11 2015-08-19 현효섭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20160060965A (ko) * 2014-11-21 2016-05-31 김동욱 화초식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9783A (ko) * 2010-12-01 2012-06-1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KR20120122484A (ko) * 2011-04-29 2012-11-07 주식회사 포시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KR20150094277A (ko) * 2014-02-11 2015-08-19 현효섭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KR20140130090A (ko) * 2014-10-16 2014-11-07 최재주 물흡수용 심지 공법을 이용한 화분
KR20160060965A (ko) * 2014-11-21 2016-05-31 김동욱 화초식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7436B2 (en) * 2018-10-10 2021-12-14 Joshua T. Cole Internal wicking collection reservoir for plant contain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7242A (ko)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WO2015119391A1 (ko) 가구 매립형 식물 재배장치
WO2021201652A1 (ko) 물공급관을 구비한 화분
KR20140002207U (ko) 다단식 회전 화분걸이장치
WO2019142951A1 (ko) 내장화분의 표면관수 및 저면관수가 가능한 화분
WO2010150997A2 (ko) 식물재배가 가능한 다층 구조의 물 저장용 유닛장치
WO2020022763A1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WO2021060793A1 (ko) 화분유닛
WO2019074162A1 (ko) 화분 받침대
EP0466802B1 (en) Plant growing and cultivation table
KR101520460B1 (ko) 지주식 식물재배장치
US6314674B1 (en) Hanging/standing support structure for plants
WO2020071579A1 (ko) 수경 재배 용기
WO2015137538A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WO2021125707A1 (ko) 분리형 화분
WO2020071859A1 (ko)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조립형 타워식 화분 어셈블리
KR20160120123A (ko) 화분용 급수장치
US4143487A (en) Plant growing receptacle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KR102081448B1 (ko) 확장형 가든 시스템
KR200367528Y1 (ko) 급수식 다용도 화분
KR20130113652A (ko) 조립식 식재유니트
KR102513625B1 (ko) 자연 배수식 화분 받침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어셈블리
KR20040045781A (ko) 사계절용 조립식 입체화분
WO2021149852A1 (ko)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012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12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9.01.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012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