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448B1 - 확장형 가든 시스템 - Google Patents

확장형 가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448B1
KR102081448B1 KR1020190047766A KR20190047766A KR102081448B1 KR 102081448 B1 KR102081448 B1 KR 102081448B1 KR 1020190047766 A KR1020190047766 A KR 1020190047766A KR 20190047766 A KR20190047766 A KR 20190047766A KR 102081448 B1 KR102081448 B1 KR 102081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box
build
bas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흥
김용태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거광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거광산업 filed Critical 합자회사 거광산업
Priority to KR102019004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형 가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베이스 박스(10); 상기 베이스 박스(10)에 결합되며 포트 행거부(32)가 구비된 포트 박스(30); 상기 포트 박스(30)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는 빌드업 커버(40);를 포함하며, 상기 빌드업 커버(40) 위에는 위층의 포트 박스(30)가 적층되어, 상기 포트 박스(30)가 다층으로 빌드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확장형 가든 시스템{Expension type garden system}
본 발명은 화분의 설치가 손쉬우면서도 화분의 거치시 안정성이 높으며, 흙을 담지 않아도 화분의 식물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새로운 구성의 확장형 가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물이 식재된 화분은 실내외의 바닥 또는 장식장 등에 올려놓고 내부에 흙을 채워 식물을 식재하여 키우며 감상하는 것이다. 이때, 협소한 장소에는 화분을 두는 것이 어려움이 있어서, 벽에 걸어놓을 수 있는 벽걸이형 화분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일례로 벽걸이형 화분은 선반이 형성된 틀을 벽면에 설치하고, 선반 위에 화분을 올려놓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의 벽걸이형 화분은 단지 벽면에 화분을 올려놓는 것으로 벽걸이형 프레임을 별도로 벽체 등에 지지되도록 설치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벽걸이형 프레임에 화분을 거치할 경우 안정적이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기존에는 흙을 담아서 화분을 거치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서 흙을 취급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03740호(2014년05월28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345891호(2013년12월20일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활용이 효율적이고, 자연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식물을 가꾸거나 키울 수 있는 화분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으며, 화분의 설치가 손쉬우면서도 화분의 거치시 안정성이 높으며, 흙을 담지 않아도 화분의 식물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확장형 가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박스; 상기 베이스 박스에 결합되며 포트 행거부가 구비된 포트 박스; 상기 포트 박스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는 빌드업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빌드업 커버 위에는 위층의 포트 박스가 적층되어, 상기 포트 박스가 다층으로 빌드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행거부는 상기 포트 박스의 프론트 벽부에서 앞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행거부는 단면 곡면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포트 행거부의 둘레부가 상기 포트 박스의 프론트 벽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행거부는 상기 포트 박스의 좌우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박스는 바닥부에 프론트 벽부와 좌우 사이드 벽부와 리어 벽부가 연결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에는 레벨 블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벨 블록의 상부 블록판에는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벨 블록은 상부 블록판의 둘레부에 블록 둘레벽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상부 블록판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상부 블록판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빌드업 커버에는 상기 포트 박스의 리어 벽부 쪽으로 오목한 포트 지지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지지홈은 원주형 홈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지지홈은 상기 포트 박스에 구비된 포트 행거부와 전후 방향으로 만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트 박스의 사이드 벽부에는 커넥터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포트 박스가 옆으로 배치될 때에 이웃한 포트 박스의 커넥터 결합홈들에 커넥터에 구비된 커넥션홈을 끼워서 복수개의 포트 박스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박스; 상기 베이스 박스에 결합되며 포트 행거부가 구비된 포트 박스; 상기 포트 박스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는 빌드업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 박스에는 프론트 벽부에서 리어 벽부 쪽으로 경사진 포트 받침부가 구비되어, 상기 포트 행거부와 상기 포트 받침부에 의해 화분을 경사지게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 박스; 상기 베이스 박스에 결합되며 포트 행거부가 구비된 포트 박스; 상기 포트 박스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는 빌드업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포트 박스에는 상부로 개방된 포지셔닝홀이 구비되고, 상기 빌드업 커버에는 하부로 연장된 포지셔닝 돌편이 구비되어, 상기 빌드업 커버가 상기 포트 박스의 상단 개방부를 덮어줄 때에 상기 포지셔닝 돌편이 상기 포지셔닝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포지셔닝홀은 포트 박스의 좌우 사이드벽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포지셔닝 돌편은 상기 빌드업 커버의 좌우 측벽부를 따라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개의 포지셔닝홀에 상기 복수개의 포지셔닝 돌편이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가든 시스템은 포트 박스를 덮어주는 빌드업 커버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포트 박스를 적층(빌드업)하여서 복수개의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화분을 이용하여 가든(정원)식으로 실내 공간을 꾸미고자 할 때에 원하는 수량만큼 화분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빌드업 방식으로 화분을 상하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규모로 화분을 설치하여 실내형 가든을 꾸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화분을 거치하여 지지하는 포트 박스를 커넥터를 이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어주는 식으로 확장을 할 수가 있어서, 실내 가든의 규모를 원하는 만큼 늘려주기 위한 확장성에 있어서 더욱 좋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가든 시스템의 구성인 베이스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베이스 박스에 결합되는 베이스 빌드업 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포트 박스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포트 박스에 결합되는 빌드업 커버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가든 시스템의 주요부인 베이스 박스와 베이스 빌드업 커버와 포트 박스 및 빌드업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베이스 박스와 베이스 빌드업 커버와 포트 박스 및 빌드업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측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포트 박스를 다층으로 적층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측단면도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주요부인 포트 박스를 수평으로 확장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가든 시스템은 베이스 박스(10)와, 상기 베이스 박스(10)에 결합되며 포트 행거부(32)가 구비된 포트 박스(30)와, 상기 포트 박스(30)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는 빌드업 커버(40)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박스(10)는 베이스 바닥부에 좌우 베이스 사이드벽과 베이스 프론트벽과 베이스 리어벽을 구비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박스(10)의 상단부에는 개방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개방부를 베이스 상부 개방부라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박스(10)는 물을 받아놓을 수 있는 저수조이다. 상기 베이스 바닥부에는 위로 올라온 캐스터 수용부가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 수용부는 베이스 바닥부의 전후 좌우 네 군데에 구비된다. 또한, 캐스터 수용부의 상면에는 캐스터축 결합보스가 구비된다. 상기 캐스터 수용부에 캐스터가 수용되고, 캐스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캐스터축은 상기 캐스터축 결합보스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박스(10)를 캐스터에 의해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개방부의 일부는 베이스 커버(14)에 의해 덮어준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커버(14)는 투시 가능한 판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커버(14)가 투명판으로 구성되어 베이스 박스(10)의 내부를 베이스 커버(14)를 통해서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개방부 중에서 상기 베이스 커버(14)가 덮지 않은 개방부는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라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박스(10)에는 안쪽으로 돌출된 셋팅 돌기(16)가 구비된다. 셋팅 돌기(16)는 베이스 박스(10)에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박스(10)의 좌우 베이스 사이드벽에 각각 하나씩 두 개의 셋팅 돌기(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박스(10)에는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지지단턱이 구비된다.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리어벽의 안쪽면과 좌우 베이스 사이드벽의 일부 안쪽면에 지지단턱이 구비된다. 상기 셋팅 돌기(16)는 지지단턱의 위쪽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는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 의해 덮어준다.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베이스 빌드업 커버(20)가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를 덮어준 상태에서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단턱 위에 얹혀진다.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둘레부에는 상향 연장된 베이스 빌드업 테두리부(22)가 구비된다. 베이스 빌드업 테두리부(22)에 의해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상부에 후술할 포트 박스(30)가 안착될 수 있는 박스 안착홈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는 셋팅홈(26)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가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를 덮어준 상태에서 상기 셋팅홈(26)에 베이스 박스(10)에 구비된 셋팅 돌기(16)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좌우 측벽부에 셋팅 돌기(16)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박스(10)의 좌우 베이스 사이드벽에 구비된 셋팅 돌기(16)가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좌우 측벽부에 구비된 셋팅홈(26)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는 워터 플로우홀(WFH)이 구비된다.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워터 플로우홀(WFH)이 연통된다. 워터 플로우홀(WFH)은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상면에는 다른 부분보다 아래로 더 깊이 들어간 가이드 오목홈(GDG)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오목홈(GDG) 영역에 워터 플로우홀(WFH)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박스(10) 위에 포트 박스(30)가 배치된다. 포트 박스(30)가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에 얹혀져서 배치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에 베이스 빌드업 커버(20)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 포트 박스(30)가 얹혀짐으로써, 상기 베이스 박스(10) 위체 포트 박스(30)가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포트 박스(30)의 하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면적이 더 작은 하향 삽입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향 삽입 연장부의 상단부에 안치 지지턱이 구비되며, 상기 포트 박스(30)의 하향 삽입 연장부가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상부로 연장된 베이스 빌드업 테두리부(22)의 안쪽에 삽입되고, 상기 안치 지지턱은 베이스 빌드업 테두리부(22)의 상단부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포트 박스(30)의 하향 삽입 연장부는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박스 안착홈에 삽입된다.
상기 포트 박스(30)는 바닥부에 프론트 벽부와 좌우 사이드 벽부와 리어 벽부가 연결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포트 박스(30)가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는 하향 연장 삽입부에 연결된 구조이다. 포트 박스(30)의 내부 포트 공간부는 상단부로 개방되어 있다. 포트 박스(30)는 내부의 포트 공간부가 상단부로 개방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트 박스(30)에는 포트 행거부(32)가 구비된다. 포트 행거부(32)는 포트 박스(30)의 프론트 벽부에서 앞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포트 행거부(32)는 단면 곡면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포트 행거부(32)의 둘레부가 포트 박스(30)의 프론트 벽부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포트 행거부(32)가 포트 박스(30)의 앞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이때, 상기 포트 행거부(32)는 포트 박스(30)의 좌우측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3개의 포트 행거부(32)가 포트 박스(30)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포트 박스(30)를 구성하는 바닥부에는 레벨 블록(34)이 구비된다. 상기 레벨 블록(34)에는 관통홀(34H)이 구비된다. 상기 레벨 블록(34)은 포트 박스(30)의 바닥부에서 위로 돌출된 폐루프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관통홀(34H)은 레벨 블록(34)의 상단부에서 포트 박스(30)의 바닥부 아래까지 연통된다. 즉, 포트 박스(30)의 바닥부에 레벨 블록(34)에 의해서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관통홀(34H)이 구비된 구조를 취한다.
또한, 상기 포트 박스(30)의 내부에는 지지 보강블록부(36)가 구비된다. 지지 보강블록부(36)는 포트 박스(30)의 리어 벽부의 안쪽면에 구비된다. 지지 보강블록부(36)는 포트 박스(3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지지 보강블록부(36)는 포트 박스(30)의 위에서 볼 때에 단면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지지 보강블록부(36)는 포트 박스(30)의 좌우 사이드 벽부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 보강블록부(36)에 의해 포트 박스(30)의 강도가 보강되어 포트 박스(30)가 뒤틀림 등에 의한 변형에 강한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보강블록부(36)의 내부에는 상단부로 연통된 포지셔닝홀(36H)이 구비된다. 상기 포지셔닝홀(36H)은 포트 박스(30)의 상단부로 연통된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포트 박스(30)에는 프론트 벽부에서 리어 벽부 쪽으로 경사진 포트 받침부(38)가 구비되어, 상기 포트 행거부(32)와 포트 받침부(38)에 의해 화분을 경사지게 받쳐주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트 박스(30)의 측단면도로 볼 때에 포트 받침부(38)는 프론트 벽부에서 리어 벽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포트 행거부(32)는 프론트 벽부에서 앞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포트 행거부(32)에 의해 포트(화분)의 위쪽 바깥면을 받쳐주고 포트 받침부(38)에 의해서는 포트의 아래쪽 바깥면을 받쳐주어서, 포트가 포트 행거부(32)와 포트 받침부(38)에 의해 포트 박스(30)의 프론트 벽부에서 리어 벽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진 상태로 포트 박스(30)에 거치될 수 있게 된다. 포트 박스(30)의 옆에서 볼 때에는 포트 박스(30)의 앞쪽으로 포트가 경사지게 받쳐진 상태로 된다. 또한, 포트 박스(30)의 내부에는 포트 서포트 블록(130)이 구비된다. 포트 서포트 블록(130)은 볼트 등의 체결구나 브라켓과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포트 박스(30)의 내부 공간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포트 서포트 블록(130)의 전후방 사이의 폭이 포트 박스(30)의 프론트 벽부와 리어 벽부 사이의 거리와 동일 유사하게 구성하여, 상기 포트 서포트 블록(130)이 포트 박스(30)의 프론트 벽부와 리어 벽부 사이에 끼워넣는 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포트 서포트 블록(130)의 전면은 포트 박스(30)의 프론트 벽부에서 리어 벽부 쪽으로 상향 경사진 서포트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면에는 부직포와 같은 흡수성 부재(50)가 결합되고, 상기 흡수성 부재(50)는 포트의 바닥부에 접촉되며, 상기 흡수성 부재(50)는 포트 박스(3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진 물에 접촉되어, 흡수성 부재(50)가 물을 흡수하여 포트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포트 내부의 흙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저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포트 서포트 블록(130)에는 전후방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포트 서포트 블록(130)의 복수개의 구멍을 통하여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포트(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산소를 보다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동시에 상기 포트 서포트 블록(130)의 구멍들을 통하여 포트 박스(30) 내부 공간부에 채워진 물이 상기 흡수성 부재(50)에 보다 원활하게 흡수되도록 한다.
상기 포트 박스(30)의 상단 개방부는 빌드업 커버(40)로 막아준다. 상기 빌드업 커버(40)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빌드업 커버(40)가 포트 박스(30)의 상단 개방부를 덮어준 상태에서 빌드업 커버(40)의 하단부가 포트 박스(30)의 안쪽으로 돌출된 받침턱에 얹혀진다. 상기 빌드업 커버(40)의 둘레부에는 상향 연장된 빌드업 테두리부(42)가 구비된다. 빌드업 테두리부(42)에 의해 빌드업 커버(40)의 상부에 상기 포트 박스(30)가 안착될 수 있는 박스 안착홈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빌드업 커버(40)의 좌우 측단부의 하부에는 보조 셋팅돌편(44)이 더 구비되어, 상기 빌드업 커버(40)가 포트 박스(30)의 상단 개방부를 덮어준 상태에서 상기 포트 박스(30)의 좌우 사이드 벽부의 상단부로 개방된 보조 셋팅홈(26)에 베이스 박스(10)에 구비된 보조 셋팅돌편(44)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빌드업 커버(40)의 좌우 측벽부의 하단부에 보조 셋팅돌편(44)이 구비되어, 상기 포트 박스(30)의 좌우 사이드벽에 구비된 보조 셋팅홈(26)에 빌드업 커버(40)의 좌우 측벽부에 구비된 보조 셋팅돌편(44)이 끼워져서 결합된다. 상기 빌드업 커버(40)에는 워터 플로우홀(WFH)이 구비된다. 빌드업 커버(40)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워터 플로우홀(WFH)이 연통된다. 워터 플로우홀(WFH)은 빌드업 커버(40)에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빌드업 커버(40)의 상면에는 다른 부분보다 아래로 더 깊이 들어간 가이드 오목홈(GDG)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오목홈(GDG) 영역에 워터 플로우홀(WFH)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빌드업 커버(40)에는 포트 지지홈(46)이 구비된다. 상기 포트 지지홈(46)은 포트 박스(30)의 리어 벽부 쪽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포트 지지홈(46)은 원주형 홈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포트 지지홈(46)은 포트 박스(30)에 구비된 포트 행거부(32)와 전후 방향으로 만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포트 지지홈(46)이 빌드업 커버(40)에 구비된 구조가 된다. 빌드업 커버(40)의 포트 지지홈(46)은 포트 박스(30)의 포트 행거부(32)의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 빌드업 커버(40)의 포트 지지홈(46)과 포트 박스(30)의 포트 행거부(32) 사이로 포트가 들어와서 포트 박스(30)의 포트 받침부(38)가 포트를 아래에서 받쳐준다.
또한, 상기 포트 박스(30)의 내부에는 흡수성 부재(50)가 내장된다. 흡수성 부재(50)는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흡수성 부재(50)는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 박스(30)의 내부에 브라켓이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에 의해 흡수성 부재(50)가 지지되어 상기 포트의 바닥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트(4)의 바닥부에는 복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서, 상기 흡수성 부재(50)가 포트 박스(3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흡수하여 상기 포트(4)의 바닥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포트(4) 내부의 흙으로 물을 급수한다. 상기 흡수성 부재(50)가 포트(4)의 바닥부에 닿은 상태에서 흡수한 물을 포트(4) 바닥부의 구멍을 통해서 급수하는 저면 급수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빌드업 커버(40)의 포트 지지홈(46)과 포트 박스(30)의 포트 행거부(32) 사이에 확보된 포트 삽입홀을 통하여 포트(4)를 포트 박스(30)의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포트(4)가 포트 박스(30)와 빌드업 커버(40)에 의해 지지되어 포트 박스(30)의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포트 박스(30)의 옆에서 볼 때에 포트(4)가 포트 박스(30)의 프론트벽에서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포트 박스(30)와 빌드업 커버(40)에는 복수개의 포트 행거부(32)와 포트 지지홈(46)이 구비되어, 복수개의 포트(4)가 포트 박스(30)에 수용되어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포트 박스(30)를 상하 방향으로 빌드업(적층)할 수 있다. 아래층의 포트 박스(30) 상단부에 빌드업 커버(40)를 덮어주고, 위층의 포트 박스(30)를 아래층 포트 박스(30)의 상단부에 얹혀진 빌드업 커버(40) 위에 올려놓으면 복수개의 포트 박스(30)를 상하 방향으로 빌드업할 수 있다. 복수개의 포트 박스(30)와 복수개의 빌드업 커버(40)를 1층, 2층, 3층과 같은 방식으로 빌드업할 수 있다. 이때, 최상층의 포트 박스(30)의 상단부를 빌드업 커버(40)로 덮어주면 된다.
상기 최상층의 포트 박스(30)를 덮어준 최상층의 빌드업 커버(40)와 중간층의 빌드업 커버(40) 및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는 워터 플로우홀(WFH)이 구비되어 있어서, 최상층의 빌드업 커버(40)에 구비된 워터 플로우홀(WFH)을 통해서 물을 급수하면, 최상층의 포트 박스(30) 내부 공간부에 물이 채워지는데, 각 층의 포트 박스(30)에는 레벨 블록(34)이 구비되고, 레벨 블록(34)의 상부 블록판에는 관통홀(34H)이 구비되어 있어서, 각 층의 포트 박스(30)에 레벨 블록(34)의 높이만큼 물이 채워지고 레벨 블록(34)의 높이를 넘어선 물은 아래층의 빌드업 커버(40)에 형성된 워터 플로우홀(WFH)을 통해서 아래층의 포트 박스(30)에 각 레벨 블록(34)의 높이만큼의 물이 채워지며, 최하층의 포트 박스(30)에 구비된 레벨 블록(34)의 높이를 넘어선 양의 물은 최하층의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 형성된 워터 플로우홀(WFH)을 통해서 아래쪽의 베이스 박스(10) 내부로 투입되어 베이스 박스(10) 내부에 물이 채워진다. 이때, 상기 최상층의 빌드업 커버(40)의 워터 플로우홀(WFH)을 통해서 도시되지 않은 물공급장치에 의해 물을 공급하거나 사람이 수동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포트 박스(30)에 포트(4)가 수용되어 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포트(4)의 바닥이 포트 박스(30) 내부의 공간부에서 포트 박스(30)의 리어 벽부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들려 있는 한편, 상기 흡수성 부재(50)가 포트의 바닥에 닿아 있으므로, 상기 흡수성 부재(50)가 포트 박스(30) 내부의 물을 흡수하여 포트의 바닥 구멍을 통해 물을 포트 내부로 공급하는 저면 급수가 이루어지므로, 포트 내부의 흙에 식재된 식물이 원활하게 자랄 수 있게 된다. 물이 필요한 식물이 저면 급수에 의해 원활하게 식물에 급수되므로, 포트(4) 내부의 흙에 심어진 식물이 잘 자라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확장형 가든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포트 박스(30)를 상하 방향으로 빌드업할 수 있어서, 화분 설치 장소에서 원하는 층만큼 손쉽게 포트(4)(화분)들을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환경에 맞게 복수층으로 화분을 설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자연적인 환경 조성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포트 박스(30)를 옆쪽으로도 이어서 설치할 수 있어서 벽에서 남는 공간과 같이 유휴 공간이 있으면 더욱 많은 화분을 설치할 수 있다. 포트 박스(30)를 옆으로도 이어서 설치할 수 있어서 확장성 측면에서 더욱 좋다. 포트 박스(30)를 위아래 방향뿐만 아니라 옆으로도 이어서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설치 공간의 여유가 있으면 화분의 갯수를 원하는 양만큼 늘려줄 수 있으므로, 확장성 측면에서 더욱 좋아지는 것이다.
상기 포트 박스(30)를 수평 방향으로 옆으로 이어서 설치하는 커넥터(60)를 쉽게 포트 박스(30)에 착탈시킬 수 있어서 복수개의 포트 박스(30)를 옆으로 이어서 설치할 경우나 포트 박스(30)들을 분리할 때에도 신속하고 편리하며, 커넥터(60)에 의해 복수개의 포트 박스(30)를 옆으로 연결한 상태에서는 커넥터(60)가 각 포트 박스(30)를 이어서 지지하는 구조가 되므로 포트 박스(30) 사이의 연결 구조에 있어서 안정성이 높다. 커넥터(60)에는 한 쌍의 연결 결합홈(62)이 구비되어, 서로 옆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포트 박스(30) 한쪽 사이드 벽부들에 커넥터(60)의 한 쌍의 연결 결합홈(62)을 끼워주면 커넥터(60)에 의해 복수개의 포트 박스(30)를 옆으로도 이어서 설치할 수 있다.
포트 박스(30)의 내부에 부직포와 같은 흡수성 부재(50)가 구비되어, 포트 박스(30)의 내부에 채워진 물을 흡수성 부재(50)가 흡수하여 상기 포트의 바닥에 있는 구멍을 통해서 포트 내부의 흙으로 물을 급수하므로, 굳이 흙을 만지지 않고도 포트 식물(화분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적당하게 저면 급수할 수 있다. 포트 식물을 키우기 위하여 굳이 흙을 만지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포트 박스(30)의 바닥부에는 레벨 블록(34)이 구비되어, 레벨 블록(34)의 높이만큼 물을 저수하고 있다가 흡수성 부재(50)(부직포 등)에서 물을 빨아들여서 포트에 심어진 식물에 적절한 양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물이 다 소진된 다음에는 레벨 블록(34) 높이만큼의 물을 채워주면 되므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좋은 수질의 물을 항상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레벨 블록(34)의 높이를 넘어서 물을 공급하면 레벨 블록(34)의 상부 레벨 블록(34)판에 형성된 관통홀(34H)을 통해서 자동적으로 아래층의 포트 박스(30)로 빠지고 맨 아래층의 베이스 박스(10)로 남는 물이 수집되므로 식물을 키우기 위해 공급하는 물의 양을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각 층의 포트 박스(30)마다 채워넣는 물의 양 조절이 레벨 블록(34)에 의해 더 쉬워져서 사용사기에 더 편리한 것이다.
각 층의 빌드업 커버(40)에는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더 낮은 가이드 오목홈(GDG)가 있고, 상기 가이드 오목홈(GDG) 영역에 워터 플로우홀(WFH)이 구비되어 있어서, 각 층마다 있는 빌드업 커버(40)의 상면으로 물이 들어올 때에 상기 가이드 오목홈(GDG) 쪽으로 물이 흘러들어와서 워터 플로우홀(WFH)을 통해서 아래의 포트 박스(30)로 빠지므로, 각 층의 빌드업 커버(40)의 상면에 물이 고여서 제대로 아래로 빠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된다.. 상기 베이스 박스(10)에 결합된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도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더 낮은 가이드 오목홈(GDG)가 있고, 상기 가이드 오목홈(GDG) 영역에 워터 플로우홀(WFH)이 구비되어 있어서,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상면으로 물이 들어올 때에 상기 가이드 오목홈(GDG) 쪽으로 물이 흘러들어와서 워터 플로우홀(WFH)을 통해서 아래의 베이스 박스(10)로 빠지므로,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의 상면에 물이 고여서 제대로 아래로 빠지지 못하는 경우도 방지된다.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에는 셋팅홈(26)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박스(10)에는 셋팅 돌기(16)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빌드업 커버(20)가 베이스 박스(10)의 베이스 상부 파트 개방부를 덮어줄 때에 상기 셋팅 돌기(16)를 셋팅홈(26)에 끼워지도록 결합하므로, 베이스 빌드업 커버(20)와 베이스 박스(10)를 결합할 때에 자리를 정확하게 잡을 수 있고, 베이스 빌드업 커버(20)를 베이스 박스(1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베이스 빌드업 커버(20)가 베이스 박스(10)에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베이스 박스(10)의 상부 개방부의 일부를 덮고 있는 베이스 커버(14)는 투시 가능한 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박스(10)에 채워진 물의 양을 상기 베이스 커버(14)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고, 베이스 박스(10)에 채워진 물이 소진된 경우 빌드업된 포트 박스(30) 내부 공간부에 물이 채워져 있는지를 수시로 확인하여 포트(2)의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물의 양을 필요한 시기에 점검할 수 있다.
각 층의 포트 박스(30)에 결합된 레베업 커버에는 하단부로 돌출된 포지셔닝 돌편이 구비되고, 각 층의 포트 박스(30)에는 상단부로 개방된 포지셔닝홀(36H)이 구비되어, 각 층의 포트 박스(30)에 빌드업 커버(40)를 결합할 때에 상기 포지셔닝 돌편을 포지셔닝홀(36H)에 끼워맞추면 포트 박스(30)의 상단 개방부를 빌드업 커버(40)가 막아주게 되므로, 각 층의 포트 박스(30)에 빌드업 커버(40)를 결합할 때에 보다 손쉽고 빠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베이스 박스 14. 베이스 커버
16. 셋팅돌기 20. 베이스 빌드업 커버
22. 베이스 빌드업 테두리부 26. 셋팅홈
30. 포트 박스 32. 포트 행거부
34. 레벨 블록 34H. 관통홀
36. 지지 보강블록부 36H. 포지셔닝홀
38. 포트 받침부 40. 빌드업 커버
42. 빌드업 테두리부 44. 보조 셋팅돌편
46. 포트 지지홈 50. 흡수성 부재
60. 커넥터 62. 연결 결합홈
130. 포트 서포트 블록

Claims (12)

  1. 베이스 박스(10);
    상기 베이스 박스(10)에 결합되며 포트 행거부(32)가 구비된 포트 박스(30);
    상기 포트 박스(30)의 상단 개방부를 막아주는 빌드업 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빌드업 커버(40) 위에는 위층의 포트 박스(30)가 적층되어, 상기 포트 박스(30)가 다층으로 빌드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트 박스(30)는 바닥부에 프론트 벽부와 좌우 사이드 벽부와 리어 벽부가 연결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포트 행거부(32)는 상기 포트 박스(30)의 프론트 벽부에서 앞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빌드업 커버(40)에는 상기 포트 박스(30)의 리어 벽부 쪽으로 오목한 포트 지지홈(46)이 구비되고,
    상기 포트 지지홈(46)은 상기 포트 박스(30)에 구비된 포트 행거부(32)와 전후 방향으로 만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포트 박스(30)에는 상기 프론트 벽부에서 상기 리어 벽부 쪽으로 경사진 포트 받침부(38)가 구비되어, 상기 포트 행거부(32)와 상기 포트 받침부(38)에 의해 포트(2)를 경사지게 받쳐주도록 구성되고,
    상기 포트 박스(30)의 내부 공간부에는 포트 서포트 블록(130)이 구비되고, 상기 포트 서포트 블록(130)의 전면은 상기 포트 박스(30)의 상기 프론트 벽부에서 상기 리어 벽부 쪽으로 상향 경사진 서포트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포트면에는 흡수성 부재(50)가 결합되고, 상기 흡수성 부재(50)는 상기 포트 박스(30)의 내부 공간부에 채워진 물에 접촉되어, 상기 흡수성 부재(50)가 물을 흡수하여 상기 포트(2)의 바닥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포트(2) 내부의 흙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저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박스(30)는 바닥부에 프론트 벽부와 좌우 사이드 벽부와 리어 벽부가 연결된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부에는 레벨 블록(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블록(34)의 상부 블록판에는 관통홀(34H)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블록(34)은 상부 블록판의 둘레부에 블록 둘레벽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홀(34H)은 상기 상부 블록판에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34H)은 상기 상부 블록판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박스(30)의 사이드 벽부에는 커넥터 결합홈이 구비되어, 상기 포트 박스(30)가 옆으로 배치될 때에 이웃한 포트 박스(30)의 커넥터 결합홈들에 커넥터에 구비된 커넥션홈을 끼워서 복수개의 포트 박스(30)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가든 시스템.
KR1020190047766A 2019-04-24 2019-04-24 확장형 가든 시스템 KR102081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66A KR102081448B1 (ko) 2019-04-24 2019-04-24 확장형 가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766A KR102081448B1 (ko) 2019-04-24 2019-04-24 확장형 가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1448B1 true KR102081448B1 (ko) 2020-02-26

Family

ID=69637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766A KR102081448B1 (ko) 2019-04-24 2019-04-24 확장형 가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880A (ko) 2020-10-27 2022-05-04 안혜진 다용도 가드닝 박스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8925A1 (en) * 2010-04-26 2011-10-27 Baker Richard L Vertical planter
KR101345891B1 (ko) 2012-11-22 2013-12-30 손창락 벽걸이 화분프레임
KR101403740B1 (ko) 2013-12-20 2014-06-03 안성준 벽걸이 화분프레임을 이용한 재활용이 가능한 화환
KR20140120424A (ko) * 2013-04-02 2014-10-14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수조 일체형 화분
KR20150087510A (ko) *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KR200479346Y1 (ko) * 2015-08-21 2016-01-18 주식회사 프론티어텍홀딩스 조립식 실내 녹화용 화분구조체
KR20170001487A (ko) * 2015-06-26 2017-01-04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8925A1 (en) * 2010-04-26 2011-10-27 Baker Richard L Vertical planter
KR101345891B1 (ko) 2012-11-22 2013-12-30 손창락 벽걸이 화분프레임
KR20140120424A (ko) * 2013-04-02 2014-10-14 주식회사 한국도시녹화 수조 일체형 화분
KR101403740B1 (ko) 2013-12-20 2014-06-03 안성준 벽걸이 화분프레임을 이용한 재활용이 가능한 화환
KR20150087510A (ko) *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나눔하우징 화분을 경사지게 수용할 수 있는 박스형 화분수용용기 및 이 박스형 화분수용용기가 다수개 모듈방식으로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벽면녹화장치
KR20170001487A (ko) * 2015-06-26 2017-01-04 테라아미주식회사 공기 정화용 식물재배 화분
KR200479346Y1 (ko) * 2015-08-21 2016-01-18 주식회사 프론티어텍홀딩스 조립식 실내 녹화용 화분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880A (ko) 2020-10-27 2022-05-04 안혜진 다용도 가드닝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75154B2 (ja) 育苗装置、育苗装置に用いられる支持装置及びセルプラグ
US20160353674A1 (en)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WO2012148086A2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WO2010083549A1 (en) Post or wall mounted stackable plant pot
AU2010258104A1 (en) Vegetation support system
KR102081448B1 (ko) 확장형 가든 시스템
KR20190137201A (ko) 입형정원 시스템
KR20150103390A (ko) 무동력 관수 화분
JP3203083U (ja) 植木鉢構造
JPH1175562A (ja) 植物栽培装置とその外枠構造
JP3856681B2 (ja) 植栽トレー
EP1613144B1 (en) Partition system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20190137200A (ko) 입형화분 프레임
KR20140040946A (ko) 화분겸용 화분받침대
KR200401655Y1 (ko) 벽걸이 화분세트
KR20090056752A (ko) 안정된 급·배수구조가 마련된 적층식 화분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KR20210001133A (ko) 적층식 화분
KR101099546B1 (ko) 이중 식재 공간을 가진 조경용 화분
KR20140090916A (ko) 멀티 화분 시스템
JP5382586B2 (ja) 多目的植栽基盤
CN213404274U (zh) 拼装式种植箱底座
US20220361417A1 (en) Window planter including slidable compartments
KR20180002505U (ko) 다단 분리 가능한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