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108Y1 -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108Y1
KR200217108Y1 KR2020000028791U KR20000028791U KR200217108Y1 KR 200217108 Y1 KR200217108 Y1 KR 200217108Y1 KR 2020000028791 U KR2020000028791 U KR 2020000028791U KR 20000028791 U KR20000028791 U KR 20000028791U KR 200217108 Y1 KR200217108 Y1 KR 2002171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flowerpot
prop
supply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8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태수
Original Assignee
성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태수 filed Critical 성태수
Priority to KR2020000028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1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1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108Y1/ko

Links

Abstract

본고안은 화분 받침대에 항상 물이 고여 있도록한 뒤 화분의 통기구에서부터 내려온 심지를 물속에 닿게 하여 심지에 의해 화분안의 흙에 물을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이다.

Description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A flowerpot prop supplying water automatic.}
화분은 실내에 두는 것이 대부분으로 급수때 흘러내리는 물을 받아내기 위해 화분받침대를 둔다.
종래의 받침대 경우는 도 1과 같이 만들어 물을 받는 서랍을 두고 있다.
화분의 관리는 바삐 생활하다 보면 급수를 잊게되고 모처럼 급수시는 급수량을 예측하지 못해 흠뻑 주다보면 물받이 서랍을 넘기기가 일쑤이며 또 종래의 경우는 급수후 물이 빠지기를 기다렸다가 물받이 서랍의 물을 다시 비워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고안은 이를 해소하기 위한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분받침대 사시도
도 2는 본고안의 화분받침대 사시도
도 3은 삽입봉 사시도
도 4는 삽입봉에 넣는 심지 사시도
도 5는 삽입봉을 넣는 예시도
도 6은 본고안인 화분대에 화분을 올려놓은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화분받침대
2. 종래의 화분받침대의 물받이 서랍통
3. 본고안 화분받침대
4. 화분 浮上판
5. 삽입봉의 급수구멍
6. 삽입봉
7. 심지
본고안은 화분의 밑바닥에 있는 통기구에 물심지가 밖힌 삽입봉(6)을 삽입한뒤 심지의 끝을 화분받침대에 고여있는 물속에 잠수시켜 화분의 물이 마르는 상태에 따라 물이 심지를 통해 공급된다는 것이 요지이다.
종래의 화분받침대(이하 받침대라함)는 밑에 작은 물받이 통을 두고 있었으나 그 통이 작고 또 한편 화분에 가려서 급수량을 짐작하지 못해 물이 바닥에 흐르는 경우가 허다했다.
그러나 본고안은 우선 받침대 전체를 물통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저수량이 많고 급수시 화분의 통기구를 통해 물이 받침대에 고이는 상태를 볼수가 있어 급수량의 조절을 할 수가 있다.
구성은 삽입봉(6)에 다수의 구멍을 낸 뒤 이 삽입봉에 맞는 스펀지 또는 섬유심지를 밖는다. 그후 이것을 화분밑의 통기구를 통해 밀어 넣는다. 분갈이를 하거나 화초를 처음 심을 때는 삽입봉을 먼저 끼운상태에서 화초를 심으면 되고, 이미 식수된 화분의 경우에도 통기구에 삽입봉을 맞춘 뒤 화분의 흙에 손을 얹고서 약간의 힘을 가하면 삽입봉이 삽입될수 있도록 끝을 뾰족하게 제작한다.
삽입봉의 급수구멍은 화초의 종류에 따라서 구멍의 크기 및 구멍의 수를 조절하면 화초의 성질에 따른 급수량을 맞출수 있을 것이다.
또 급수구멍은 급수봉의 끝으로 갈수록 크게하고 숫자도 늘리는 방식으로 한다.
왜냐하면 화분의 밑바닥에서 물이 모두 흡수되는것보다 상부쪽으로 올라가면서 고루 흡수되는 것이 바람직 하기 때문이다.
또 급수봉의 모양은 화분의 안쪽에서 끼울수 있게 제작할수도 있으며 화분의 모양에 따라 급수봉의 길이를 다양하게 제작한다.
본고안에 따르면 받침대의 저수량이 많고 받침대의 물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육안으로 볼수있기 때문에 급수시기를 알수가 있어서 좋다.
종래의 화분받침대의 경우는 밑으로 빠진물을 다시버려야하는 불편함 뿐만아니라 화분의 토양을 통해 흘러내린 물을 버리면 토양이 척박해질수가 있다.
본고안의 경우는 흘러내린 물이 재흡수될수있어 토양의 성분이 유지될 수 있고 특히 영양제등을 줄 경우는 더욱 필요성이 높다.
또 필요에 따라서는 받침대없이 삽입봉만 끼워놓아도 화분의 통기성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어서 좋을 것이다.
화분자체를 자동급수를 위하여 이중으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쓸데없이 분의 크기를 크게 만들고 제작비용이 과다한 흠이 있다.
그러나 본고안의 경우는 프라스틱등의 재질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고 이미 식수된 화분에도 간단히 장착할 수 있으며 받침대에 고여있는 물이 건조한 실내의 가습역할을 하는 면도 있을수 있어 유용할것이다.

Claims (1)

  1. 분의 통기구에 삽입할구 있는 삽입봉(6)에 많은 구멍을 낸 뒤 삽입봉 안에 심지(7)를 밖아 화분받침대(3)에 고여있는 물을 심지가 흡수하여 흙에 물을 급수할수 있도록한 화분 받침대
KR2020000028791U 2000-10-16 2000-10-16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KR2002171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91U KR200217108Y1 (ko) 2000-10-16 2000-10-16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8791U KR200217108Y1 (ko) 2000-10-16 2000-10-16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108Y1 true KR200217108Y1 (ko) 2001-03-15

Family

ID=7309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791U KR200217108Y1 (ko) 2000-10-16 2000-10-16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1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448B1 (ko) * 2012-05-02 2014-02-12 조계성 다용도 화분받침
WO2019074162A1 (ko) * 2017-10-13 2019-04-18 배문옥 화분 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448B1 (ko) * 2012-05-02 2014-02-12 조계성 다용도 화분받침
WO2019074162A1 (ko) * 2017-10-13 2019-04-18 배문옥 화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06150A (ko) 난초용 화분
KR200217108Y1 (ko) 물을 자동공급해주는 화분받침대
KR101669621B1 (ko) 화분용 급수장치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910010016B1 (ko) 자동급수 조절식 화분
CN2234692Y (zh) 自动吸水式植物栽培盆
CN205727280U (zh) 芽苗菜培育装置
KR101851158B1 (ko) 급수 기능을 갖는 난초 재배용 화분
CN209234402U (zh) 自动吸水花盆
KR100788273B1 (ko) 자동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는 육묘 재배장치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0179704Y1 (ko)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JPH1156136A (ja) ペットボトル等を活用した植木鉢等への給水装置
KR200329599Y1 (ko) 점적관수 화분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KR200269409Y1 (ko) 양액재배화분기
CN204540120U (zh) 一种袋育苗苗床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0238318Y1 (ko) 물과공기 공급 기능을 갖는 요철형 화분받침
KR20040095527A (ko) 난초 화분용 받침대
CN220235508U (zh) 盆栽容器、盆栽支架及盆栽组件
CN212911017U (zh) 一种柑橘育苗用具有高度调节结构的种植架
KR102645809B1 (ko) 식물과 식재 환경에 연동된 흡수부재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