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289B1 -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 Google Patents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289B1
KR100591289B1 KR1020040035661A KR20040035661A KR100591289B1 KR 100591289 B1 KR100591289 B1 KR 100591289B1 KR 1020040035661 A KR1020040035661 A KR 1020040035661A KR 20040035661 A KR20040035661 A KR 20040035661A KR 100591289 B1 KR100591289 B1 KR 10059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space
water supply
water storage
w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828A (ko
Inventor
강희광
Original Assignee
강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희광 filed Critical 강희광
Priority to KR102004003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28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02Screen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08Die stamping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판 내부 중앙에 마련한 급수공간부와 흙이 채워지는 화분 내부를 흡착심지 및 급수심지로 연결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는 그 제작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외부에서 화분받침대의 물 저장공간에 물을 채워 넣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등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하단에 받침다리(11)가 마련되고 바깥쪽 둘레에 수직벽(12)이 마련되는 받침판(13)의 내부 중앙에 물 저장공간(14)을 요입 형성하고, 받침판(13)의 상단에 물 저장공간(14)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물 유도홈(13a)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직벽(12) 내부 일측에 물 주입홈(12a)을 요입 형성하며, 물 저장공간(14)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다수의 절결부(15a)를 갖는 환형 지지편(15)을 형성하고,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수공(16a)이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 원통형 흡착심지(17)가 설치되는 보호커버(16)를 환형 지지편(15)에 삽입 설치하며, 상부가 화분(20) 하단의 통수공(21)을 통해 화분(20) 내부로 투입되는 급수심지(18)의 하단을 흡착심지(17)의 상단에 접촉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일부 조립부품을 제외한 전체를 사출 성형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사용과정에서 수직벽(12)에 마련된 물 주입홈(12a)과 받침판(13)에 마련된 물 유도홈(13a)을 통해 물 저장공간(14)으로 물을 보다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 a flower pot support }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화분받침대 11 : 받침다리
12 : 수직벽 12a : 물 주입홈
13 : 받침판 13a : 물 유도홈
14 : 물 저장공간 15 : 환형 지지편
15a : 절결부 16 : 보호커버
16a : 통수공 17 : 흡착심지
18 : 급수심지 19 : 명찰판
20 : 화분 21 : 통수공
본 발명은 흙이 없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화분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받침판 내부 중앙에 마련한 급수공간부와 흙이 채워지는 화분 내부를 흡착심지 및 급수심지로 연결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이 없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기를 때에는 내부에 흙을 담을 수 있도록 상단부가 개구되고 하단 중앙에 통수공이 형성되는 통형 화분을 사용하는 예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 화분의 하단을 받쳐줌으로써 외관미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화분 하단 중앙의 통수공을 통해 흙이나 물이 외부로 배출되어 바닥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분받침대에 관계하는 것으로, 종래에 있어서 이 화분받침대는 받침판의 바깥쪽 둘레에 수직벽이 마련된 형태를 갖는 단순한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화분받침대는 화분받침기능, 외관미개선기능 등 그 본연의 기능을 무리 없이 수행할 수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그 밖의 다른 기능이 없어서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내부에 물 저장공간이 마련하고, 하부가 물 저장공간에 충전된 물에 침수된 급수심지의 상단부를 화분의 내부 하단에 설치한 흡수포에 접촉시킴으로써 화분에 심어진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흡수포를 이용 물을 공급하는 화분받침대'(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12927호) 등 급수기능을 추가한 화분받침대가 제 안되었던 바, 이들 급수기능을 갖는 종래의 화분받침대는 전술한 단순 기능의 것에 비해 기능성이 좋기는 하지만 그 제작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외부에서 화분받침대의 물 저장공간에 물을 채워 넣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등 그 사용이 불편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이 물 저장공간과 급수심지를 구비하여 급수기능을 갖도록 하되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판에 마련되는 물 저장공간에 급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받침판의 내부 중앙에 요입 형성한 물 저장공간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다수의 절결부를 갖는 환형 지지편을 형성하여 보호커버로 둘러쌓인 흡착심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받침판의 상단에 물 저장공간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물 유도홈을 마련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10)는 하단에 받침다리(11)가 마련되고 바깥쪽 둘레에 수직벽(12)이 마련되는 받침판(13)의 내부 중앙에 물 저장공간(14)을 요입 형성하고, 받침판(13)의 상단에 물 저장공간(14)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물 유도홈(13a)을 형성하는 동시에 수직벽(12) 내부 일측에 물 주입홈(12a)을 요입 형성하며, 물 저장공간(14)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다수의 절결부(15a)를 갖는 환형 지지편(15)을 형성하고,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수공(16a)이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 원통형 흡착심지(17)가 설치되는 보호커버(16)를 환형 지지편(15)에 삽입 설치하며, 상부가 화분(20) 하단의 통수공(21)을 통해 화분(20) 내부로 투입되는 급수심지(18)의 하단을 흡착심지(17)의 상단에 접촉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는 받침판(13)이 정방형으로 형성되고, 도 3에도시한 실시예는 받침판(13)이 장방형으로 형성되며, 도 4에 도시한 실시예는 받침판(13)이 원형으로 형성된 형태를 갖는 바, 본 발명에 있어서 받침판(13)의 형태는 도시된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들은 수직벽(12)의 외부 일측에 식물명 등을 적은 명찰(30)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명찰판(19)을 마련한 형태를 갖는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은 P는 식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10)는 흡착심지(17)와 그 보호커버(16), 급수심지(18)를 제외한 나머지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통기공(21)을 통해 급수심지(18)를 결합한 화분(20)을 급수심지(18) 하단이 흡착심지(17) 상단에 접촉되도록 받침판(13)에 올려놓은 상태로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분(20)을 올려놓은 상태에서도 수직벽(12) 내부 일측에 형성된 물 주입홈(12a)으로 물을 주입하게 되면 받침판(13)으로 떨어지는 물이 각 물 유도홈(13a)을 통해 물 저장공간(14)으로 유도되므로 물 저장공간(14)에 간편하게 물을 충전할 수 있게 되며, 물 저장공간(14)에 충전된 물은 흡착심지(17) 및 그에 접속된 급수심지(17)를 통해 화분(20) 내부로 공급되어 식물(P)에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직벽(12)의 외부 일측에 마련된 명찰판(19)에 명찰(30)을 설치하여 화분(20)에 심어진 식물(P)의 이름 등을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받침판(13)의 내부 중앙에 요입 형성한 물 저장공간(14)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 흡착심지(17)를 설치하고, 화분(20) 내부로 투입되는 급수심지(18)를 흡착심지(17)에 접속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부 조립부품을 제외한 전체를 사출 성형으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사용과정에서 수직벽(12)에 마련된 물 주입홈(12a)과 받침판(13)에 마련된 물 유도홈(13a)을 통해 물 저장공간(14)으로 물을 보다 간편하게 주입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하면 중앙에 통수공(21)을 갖는 화분(20)을 얹을 수 있도록 하단에 받침다리(11)가 마련되고 바깥쪽 둘레에 수직벽(12)이 마련되는 받침판(13)에 물 저장공간(14)이 마련되고, 상기 수직벽(12)의 일측에는 상기 물 저장공간(14)측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 주입홈(12a)이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14)의 내부 바닥면 중앙에는 다수의 절결부(15a)를 갖는 환형 지지편(15)이 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통수공(16a)이 형성되는 동시에 내부에 원통형의 흡착심지(17)가 설치되는 보호커버(16)가 마련되어 상기 환형 지지편(15)에 삽입 설치된 화분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공간(14)은 상기 받침판(13)의 상단 중앙에 요입 형성하고, 상기 받침판(13)의 상면에는 그 외측 테두리부와 상기 물 저장공간(14)을 연결해주는 다수의 물 유도홈(13a)을 형성하여 상기 물 저장공간(14)측으로 물을 모아줄 수 있게 구성하며;
    하단은 상기 흡착심지(17)의 상단과 접촉되고 상부는 상기 화분(20) 하면 중앙의 통수공(21)을 통해 상기 화분(20) 내부로 투입되는 급수심지(18)를 더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수직벽(12)의 외부 일측에 식물명 등을 적은 명찰(30)을 꽂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명찰판(19)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20040035661A 2004-05-19 2004-05-19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059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61A KR100591289B1 (ko) 2004-05-19 2004-05-19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661A KR100591289B1 (ko) 2004-05-19 2004-05-19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934U Division KR200360370Y1 (ko) 2004-05-19 2004-05-19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828A KR20050110828A (ko) 2005-11-24
KR100591289B1 true KR100591289B1 (ko) 2006-06-21

Family

ID=37286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661A KR100591289B1 (ko) 2004-05-19 2004-05-19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2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585B1 (ko) * 2010-07-08 2012-01-09 김동욱 화분용 급수장치
KR20130106913A (ko) * 2012-03-21 2013-10-01 김인하 화분용 급수장치
KR102246441B1 (ko) * 2020-08-05 2021-04-29 이상규 건축물 장식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828A (ko) 200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664B1 (ko) 수경 재배기
KR200389646Y1 (ko) 수경재배용 화분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KR200360370Y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0997306B1 (ko) 물공급실을 갖는 화분 받침대
KR200424597Y1 (ko) 채소재배를 위한 화분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KR20130113652A (ko) 조립식 식재유니트
KR101012127B1 (ko) 도자기 화분
KR200420667Y1 (ko) 물받이 내장형 화분
KR101914112B1 (ko) 화분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CN211910685U (zh) 一种纸塑花盆
KR200259874Y1 (ko) 장식용 화분
KR200493718Y1 (ko) 식물 재배용 파이프형 화분
CN202145762U (zh) 花瓶
JP3096383U (ja) 植木鉢用給水具および自然給水植木鉢
JP2004305691A (ja) 多様性器体
KR970002359Y1 (ko) 화분( 花盆)
KR200174616Y1 (ko) 화분
KR200253433Y1 (ko) 화분케이스
JP2000262151A (ja) 植木鉢・プランター
JP3091097U (ja) 花 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