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433Y1 - 화분케이스 - Google Patents

화분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433Y1
KR200253433Y1 KR2020010020814U KR20010020814U KR200253433Y1 KR 200253433 Y1 KR200253433 Y1 KR 200253433Y1 KR 2020010020814 U KR2020010020814 U KR 2020010020814U KR 20010020814 U KR20010020814 U KR 20010020814U KR 200253433 Y1 KR200253433 Y1 KR 200253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t
present
plants
p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소
Original Assignee
(주)솔스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솔스티스 filed Critical (주)솔스티스
Priority to KR2020010020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433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거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판상 목재를 적층하여 구성한 벽체를 다수의 고정구로 연결하여 다각형상의 케이스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저면에 보강재가 설치된 바닥판을 설치하고, 상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거치대와 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구를 설치하여 화분삽입용 삽입공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상단에 넘침방지턱을 설치하여 구성하므로서,
화분에 의한 장식효과를 상승시킴은 물론, 화분의 파손을 방지하고,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 케이스{Flowerpof case}
본 고안은 화분거치용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화분을 거치시켜화분과 초화류를 함께 식재할 수 있고, 화분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분의 이동과 보관을 용이하게 한 화분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꽃이나 나무, 난초 등을 식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분은 대부분 합성수지재나 자기재로 구성되어 있어 그 내부에 흙을 넣고 이에 식재하고자 하는 초화류를 심어 실내나 실외에 전시하므로서 장식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취미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나 자기재로 된 화분에 화초류를 식재하여 실외에 전시시 부주의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크며, 특히 나무를 심을 시에는 일정한 크기이상의 나무를 설치시 화분이 나무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여 넘어지거나, 화분내의 흙이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손으로 파지하기가 곤란하여 운반에 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목재로 기존의 화분을 내입할 수 있는 케이스를 별도로 구성하되, 다른 종류의 화초류를 동시에 식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화분에 의한 장식효과를 상승시킴은 물론, 화분의 파손을 방지하고,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한 화분 케이스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체 2 : 고정구
3 : 지지구 4 : 거치대
5 : 삽입공 6 : 바닥판
7 : 보강재 8 : 부직포
9 : 화분 10 : 넘침방지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다수의 판상 목재를 적층하여 구성한 벽체(1)를 다수의 고정구(2)로 연결하여 다각형상의 케이스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저면에 보강재(7)가 설치된 바닥판(6)을 설치하고, 상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거치대(4)와 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구(3)를 설치하여 화분삽입용 삽입공(5)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상단에 넘침방지턱(10)을 설치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 화분 케이스를 사용하여 화초류를 식재할 시에는 우선, 도 3의 도시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어지고 있거나 사용하기 전의 화분(9)을 케이스의 삽입공(5)에 삽입하여 거치시킨 후, 케이스의 거치대(4) 상부로 돌출된 화분(9)의 외주면과 케이스의 내주면에 부직포(8)를 부착 설치하는 것이다.
부직포(8)의 설치가 끝나면 화분(9)과 부직포(8)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흙을 충전시키고, 이에 초화류를 심게 되는 것이다.
이때, 거치내(4)는 저면에 설치된 지지구(3)에 의해 지지되어 상부 흙과 식물의 무게를 견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초화류가 심어져 있는 화분(9)의 설치시에는 부직포(8)로 형성된 공간에만 흙을 충전시켜 이에 화분(9)에 기설치된 화초류와 다른 종류의 화초류를 식재하므로서 화분에 의한 장식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케이스는 그 재질이 목재로 구성되어 있어 식재하는 식물과 친화 진화적인 작용을 하여 식물의 성장에 이로운 작용을 할 수 있으며, 벽체(1)와 바닥면에는 일전한 간격(벽체의 경우 약 3mm)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환기 및 배수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
또한, 바닥판(6)의 저면에는 별도의 보강재(7)를 설치하여 케이스내부에 비교적 무거운 화분과 식물이 내입되더라도 바닥판(6)이 무게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케이스 상단에 설치된 넘침방지턱(10)은 케이스의 운반이나 보관 및 화초류의 관리시 케이스 내부의 흙이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어 주변을 더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화분을 내장할 수 있는 케이스를 별도로 구성하고 화분내의 화초류와 다른 종류의 화초류를 동시에 식재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장식효과를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화분의 파손을 방지하며,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목재로 기존의 화분을 내입할 수 있는 케이스를 별도로 구성하되, 다른 종류의 화초류를 동시에 식재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화분에 의한 장식효과를 상승시킴은 물론, 화분의 파손을 방지하고, 운반과 보관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판상 목재를 적층하여 구성한 벽체(1)를 다수의 고정구(2)로 연결하여 다각형상의 케이스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저면에 보강재(7)가 설치된 바닥판(6)을 설치하고, 상부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거치대(4)와 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지지구(3)를 설치하여 화분삽입용 삽입공(5)을 형성하고, 케이스의 상단에 넘침방지턱(10)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케이스.
KR2020010020814U 2001-07-10 2001-07-10 화분케이스 KR200253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14U KR200253433Y1 (ko) 2001-07-10 2001-07-10 화분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814U KR200253433Y1 (ko) 2001-07-10 2001-07-10 화분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433Y1 true KR200253433Y1 (ko) 2001-11-17

Family

ID=73104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814U KR200253433Y1 (ko) 2001-07-10 2001-07-10 화분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4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6547Y1 (ko) 다기능 화분장치
KR200253433Y1 (ko) 화분케이스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EP0126574A1 (en) Plant waterer
WO2006077669A1 (ja) 植木鉢
KR101884366B1 (ko) 화분
KR200432517Y1 (ko) 화분 포장 구조
KR20100000769A (ko) 투명 화분
KR20190000852U (ko) 수경어항화분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JP3238511U (ja) 竹製植木鉢
KR200174616Y1 (ko) 화분
JPS62275620A (ja) 育苗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30046794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466075Y1 (ko) 심지 부착형 화분
CN211152895U (zh) 一种自动浇水花盆
KR101194869B1 (ko) 자동 수분공급기능을 갖는 화분
JP3076746U (ja) 園芸用トレー
CN202005168U (zh) 一种多功能花盆
JP2557844Y2 (ja) 水耕栽培プランター
KR20100047709A (ko) 화분
KR200487841Y1 (ko) 생육이 조절되는 세덤류용 걸이형 화분
GB2196521A (en) Plant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