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6794A -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6794A
KR20130046794A KR1020110111379A KR20110111379A KR20130046794A KR 20130046794 A KR20130046794 A KR 20130046794A KR 1020110111379 A KR1020110111379 A KR 1020110111379A KR 20110111379 A KR20110111379 A KR 20110111379A KR 20130046794 A KR20130046794 A KR 20130046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container
water storage
wic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태
Original Assignee
최원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태 filed Critical 최원태
Priority to KR102011011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6794A/ko
Publication of KR2013004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 자동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세관 현상을 적용하여 화분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통체형의 수저장용기와; 수저장용기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투입공와; 투입공에 설치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캡과; 투입공에 삽입되면서 밀폐캡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표시하는 수위확인수단과; 수저장용기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배양토에 일정 깊이 삽입되며 내부에 심지삽입공이 형성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와 연통된 중공형의 삽입대와; 심지삽입공에 삽입되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수저장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수심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화분용 자동급수장치{Automatic Water Supply Apparatus For Potted Plant}
본 발명은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 자동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국내공개특허, 출원번호 1019990022964, 출원일자 1999년06월18일
[문헌 2] 국내등록특허, 제10-1037162호, 2011년05월19일
[문헌 3]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51469호, 2001년10월09일
[문헌 4] 국내공개특허, 출원번호 1020090060354, 출원일자 2009년07월02일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어 가꾸는 그릇을 일컫는 것으로서 실내공간에서 공기청정효과와 인테리어효과를 높일 수 있고, 거주자에게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주기 때문에 아파트 같은 공동주택이나 학교 등의 공공시설이나 일반 건물의 사무공간에는 관상용으로 꽃이나 작은 크기의 관목류를 키우는 화분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분은 재배하고자 하는 화초나 나무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공되는데, 주로 윗부분의 개구된 형태가 원형이나 사각형인 화분이 널리 공급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통상적인 화분은 내부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분 내부에는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양토가 채워지도록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통상적인 화분에 식물을 심어 키우는 경우 배양토에 함유된 수분이 지속적으로 증발되기 때문에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하여야 하는 등 그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휴가 또는 장기간 외출 등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하여 화분에 물을 제때 공급하지 못하는 경우 화분에 식재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거나 생육상태가 불량해지고, 최악의 경우 식물이 고사(枯死)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문헌 1 내지 문헌 4의 화분이 고안된 바 있다.
여기서 문헌 1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자동급수장치가 화분의 외측에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문헌 2와 문헌 3은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자동급수장치가 화분에 일체로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문헌 4는 다수 개의 통수공이 형성된 다공판을 통해, 화분을 배양토가 채워진 상부와 물이 저장되는 하부로 구획하여 일반적인 방법(화분을 채운 배양토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배양토의 상면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을 말함)으로 물을 공급하고, 물의 일부가 통수공을 통해 화분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저장되어 모세관 현상을 통해 저장된 물을 추가로 공급하는 구조를 가진 자동급수장치가 화분에 설치된다.
그리고 문헌 4는 저장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문헌 1은 자동급수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화분의 외측에 설치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화분의 형태가 미려하지 못해 인테리어 효과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헌 2와 문헌 3은 자동급수장치가 화분과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기존 사용되는 화분에 적용할 수 없으므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문헌 2와 문헌 3은 자동급수장치에 저장된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없어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문헌 4는 수위확인을 위한 수단은 구비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방법으로 화분에 물을 공급하여 화분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물을 저장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화분을 채우는 배양토가 물에 의해 저장공간으로 흘러들면서 통수공을 막아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배양토가 채워진 화분의 상부에 물이 고이게 됨으로써 식물의 뿌리를 썩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문헌 1과 문헌 3이 적용되는 화분에는 배수공이 없어, 화분에 채워진 배양토에 직접 물을 주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물을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무엇보다 상기 문헌 1 내지 문헌 4는 화분에서 간편하게 제거하거나, 설치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며, 일반적인 방법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물을 배양토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화분이 가진 형태를 변경시키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화분과 분리 구성하며,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와 더불어 저장되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모세관 현상을 적용하여 화분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통체형의 수저장용기와; 수저장용기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투입공와; 투입공에 설치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캡과; 투입공에 삽입되면서 밀폐캡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표시하는 수위확인수단과; 수저장용기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배양토에 일정 깊이 삽입되며 내부에 심지삽입공이 형성되어 수저장용기의 내부와 연통된 중공형의 삽입대와; 심지삽입공에 삽입되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수저장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수심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화분에 적용가능함에 따라 호환성이 뛰어나고, 화분의 내부에 설치되어 최소한으로 노출됨에 따라 화분의 장식성을 용이하게 유지하며, 수저장용기를 채운 물의 높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증대되고, 배양토에 물을 공급할 시, 일반적인 방법과 자동급수장치를 사용한 방법 모두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가 화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를 도시한 상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화분용 자동급수장치(100)는 내부가 빈 통체형의 수저장용기(1)와; 수저장용기(1)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투입공(2)와; 투입공(2)에 설치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캡(3)과; 투입공(2)에 삽입되면서 밀폐캡(3)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표시하는 수위확인수단과; 수저장용기(1)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배양토(S)에 일정 깊이 삽입되며 내부에 심지삽입공(4)이 형성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와 연통된 중공형의 삽입대(5)와; 심지삽입공(4)에 삽입되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수심지(6)로 구성된다.
상기 수저장용기(1)는 내측면의 중앙이 일정 깊이 요입된 반원 형상으로 내측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1b)과 결합돌기(1a)를 통해 결합하여 원형이 되면서 중앙에 식물(P)이 삽입될 수 있는 식물삽입공(1c)을 형성하는 내부가 빈 한 쌍의 반원통체(1d)로 분할 구성된다.
상기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심지삽입공(4)으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형의 지지대(7)가 심지삽입공(4)과 연통되면서 흡수심지(6)를 내입한 상태로 일정 높이 돌설되며, 상기 수저장용기(1)의 상면에 심지삽입공(4)과 대응되는 위치에 흡수심지(6)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유지보수공(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지보수공(8)은 밀폐캡(3`)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구된다.
상기 수위확인수단은 투입공(2)에 수직으로 삽입되며, 하단에 부구(9)가 설치되어 수저장용기(1)를 채운 물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승강막대(10)와; 투입공(2)에 승강막대(10)가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밀폐캡(3)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막대(10)의 수직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1)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저장용기(1)에 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화분을 채운 배양토(S)에 식재된 식물(P)에게 일정 기간 동안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H는 화분의 저면에 관통 형성된 배수공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분(F)과 분할 구성되고, 화분(F)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가진 화분(F)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닌 특징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장용기(1)의 삽입대(5)를 화분(F)의 배양토(S)에 삽입시켜 물을 공급하는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즉, 문헌 1 내지 문헌 4와 같이 자동급수장치가 화분에 일체로 구성된 구조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토(S)의 상면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배양토(S)에 여유 면적만 있다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 화분(F)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수저장용기(1)가 한 쌍의 반원통체(1d)로 구성됨으로써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대칭되게 구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화분(F)의 배양토(S) 상면에 한 쌍의 반원통체(1d)를 설치하게 되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두 개의 흡수심지(6)를 통해서 배양토(S)에 수분을 균등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P)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반원통체(1d)를 결합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삽입공(1c)에 식물(P)이 삽입된 상태에서 반원통체(1d)가 배양토(S)의 상면에 설치됨에 따라 식물(P)이 재식되지 않은 배양토(S)의 상면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화분(F)에 자동급수장치(100)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반원통체(1d)는 결합홈(1b)과 결합돌기(1a)에 의해 결합되며,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식물삽입공(1c)에 삽입된 식물(P)을 통해 지지되어 그 설치 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에 따라 화분(F)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100)는 배양토(S)의 상면을 일정 깊이 판 상태에서 설치 가능함에 따라 화분(F)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최소가 됨으로써 화분(F)의 장식성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저장용기(1)에 설치되는 흡수심지(6)의 타측이 수저장용기(1)의 저면에 접한 구조뿐만 아니라 도 5와 같이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대(7)를 통해 흡수심지(6)의 타측을 수저장용기(1)의 내저면에 바로 접하지 않도록 한 구조도 가능하다.
즉, 흡수심지(6)의 타측이 수저장용기(1)의 저면에 접하는 구조는 자동급수장치(100)의 구조가 단순하게 됨으로써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수저장용기(1)의 물이 흡수심지(6)가 삽입된 심지삽입공(4)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통해 수저장용기(1)에 물을 공급해야하는 시기를 늦추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심지삽입공(4)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수저장용기(1)의 상면에는 밀폐캡(3`)에 의해 개구되거나 밀폐되는 유지보수공(8)이 형성되며, 상기 유지보수공(8)을 통해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위치한 흡수심지(6)의 타측이 저장된 물을 흡수하고 있는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공(2)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문헌 4와 달리 수저장용기(1)에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화분(F)에 형성된 배수공(H)을 통해 식물(P)에 흡수되지 못한 여분의 물이 배출됨으로써 물의 고임에 의한 문제가 해소된다. 즉, 문헌 4와 같이 통수공이 막혀 물이 고일 염려가 없다.
이뿐만 아니라 투입공(2)에 수위확인수단을 일체로 구성한 구조를 통해 문헌 1 내지 문헌 3과 달리 수저장용기(1)에 저장된 물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밀폐캡(3)을 투입공(2)에서 제거한 후,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면, 승강막대(10)의 하단에 설치된 부구(9)가 물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승함으로써 채워지는 물의 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승강막대(10)의 상단이 밀폐캡(3)을 관통한 상태로 밀폐캡(3)으로 투입공(2)을 밀폐한 후, 일정 기간이 흐르면 소모되는 물의 양만큼 승강막대(10)가 하강하여 수저장용기(1)에 채워진 물의 잔여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물의 공급 시기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물의 잔여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헌 1 내지 문헌 3 보다 식물(P)의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승강막대(10)는 밀폐캡(3)의 하면에 형성된 지지부재(11)에 의해 수직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수저장용기(1)에 채워진 물의 잔여량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100)는 화분(F)에 형성된 배수공(H)을 막지 않음에 따라, 식물(P)이 식재된 배양토(S)의 노출부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도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밀폐캡(3)(3`)은 수저장용기(1)를 채우는 물의 증발을 최소한으로 막아 수저장용기(1)에 물을 공급해야하는 시기를 늦추는 작용을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자동급수장치(100)를 통해 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저장용기(1)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삽입대(5)를 배양토(S)에 삽입하면, 동시에 삽입대(5)의 심지삽입공(4)에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내입된 흡수심지(6)가 배양토(S)와 접한 상태로 삽입된다.
따라서 투입공(2)을 통해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수저장용기(1)에 위치하는 흡수심지(6)의 타측이 모세관 작용에 의해 물을 흡수하여 흡수심지(6)의 일측으로 물을 전달하면서 배양토(S)로 수분을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배양토(S)로 공급된 수분은 식물(P)의 뿌리를 통해 흡수되어 식물(P)의 생장을 돕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화분용 자동급수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화분(F)에 적용가능함에 따라 호환성이 뛰어나고, 화분(F)의 내부에 설치되어 최소한으로 노출됨에 따라 화분(F)의 장식성을 용이하게 유지하며, 수저장용기(1)를 채운 물의 높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이 증대되고, 배양토(S)에 물을 공급할 시, 일반적인 방법과 자동급수장치(100)를 사용한 방법 모두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수저장용기 1a : 결합돌기
1b : 결합홈 1c : 식물삽입공
1d : 반원통체 2 : 투입공
3, 3` : 밀폐캡 4 : 심지삽입공
5 : 삽입대 6 : 흡수심지
7 : 지지대 8 : 유지보수공
9 : 부구 10 : 승강막대
11 : 지지부재 100 : 자동급수장치
F : 화분 H : 배수공
P : 식물 S : 배양토

Claims (4)

  1. 모세관 현상을 적용하여 화분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빈 통체형의 수저장용기(1)와; 수저장용기(1)의 상면에 형성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투입공(2)와; 투입공(2)에 설치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밀폐캡(3)과; 투입공(2)에 삽입되면서 밀폐캡(3)을 관통하며 설치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채워진 물의 높이를 표시하는 수위확인수단과; 수저장용기(1)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배양토(S)에 일정 깊이 삽입되며 내부에 심지삽입공(4)이 형성되어 수저장용기(1)의 내부와 연통된 중공형의 삽입대(5)와; 심지삽입공(4)에 삽입되어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위치하는 흡수심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장용기(1)는 내측면의 중앙이 일정 깊이 요입된 반원 형상으로 내측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1b)과 결합돌기(1a)를 통해 결합하여 원형이 되면서 중앙에 식물(P)이 삽입될 수 있는 식물삽입공(1c)을 형성하는 내부가 빈 한 쌍의 반원통체(1d)로 분할 구성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장용기(1)의 내부에 심지삽입공(4)으로 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공형의 지지대(7)가 심지삽입공(4)과 연통되면서 흡수심지(6)를 내입한 상태로 일정 높이 돌설되며, 상기 수저장용기(1)의 상면에 심지삽입공(4)과 대응되는 위치에 흡수심지(6)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유지보수공(8)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유지보수공(8)은 밀폐캡(3`)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구되는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확인수단은 투입공(2)에 수직으로 삽입되며, 하단에 부구(9)가 설치되어 수저장용기(1)를 채운 물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승강막대(10)와; 투입공(2)에 승강막대(10)가 관통된 상태로 설치되며, 밀폐캡(3)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승강막대(10)의 수직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1)로 구성된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1020110111379A 2011-10-28 2011-10-28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130046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79A KR20130046794A (ko) 2011-10-28 2011-10-28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379A KR20130046794A (ko) 2011-10-28 2011-10-28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794A true KR20130046794A (ko) 2013-05-08

Family

ID=48658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379A KR20130046794A (ko) 2011-10-28 2011-10-28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67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3571A (zh) * 2013-05-13 2013-09-11 俞勤 一种家庭花卉滴灌器
KR101479851B1 (ko) * 2013-07-11 2015-01-14 위선정 화분 물 공급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83571A (zh) * 2013-05-13 2013-09-11 俞勤 一种家庭花卉滴灌器
KR101479851B1 (ko) * 2013-07-11 2015-01-14 위선정 화분 물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6793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120022455A (ko) 수반용 자동수위조절장치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JP4898161B2 (ja) 植木鉢
KR20130052118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CN201042142Y (zh) 可自动浇水的夹层花盆
KR20130046794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JP2010068735A (ja) 自動給水プランター
CN203523410U (zh) 具备自吸水功能的植物种植盆
KR20200090361A (ko) 자가 정화 및 관수기능을 갖는 화분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KR20150094277A (ko) 물공급장치를 구비한 심지관수식 식물재배기
CN201138958Y (zh) 节水免浇花盆
KR102076813B1 (ko) 기능성 화분
CN201667866U (zh) 自动浇水花盆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CN201585307U (zh) 自动给水花盘
KR20170001235U (ko) 공기 통로가 있는 액비 공급용 화분 받침과 이중화분
KR940000476B1 (ko) 급수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급수 화분
KR200363002Y1 (ko) 급수 화분
KR100925207B1 (ko) 저수 기능을 구비한 화분
KR200364349Y1 (ko) 분수형 급수화분
CN216820876U (zh) 可调节花盆浸液高度的蓄水缸和植物种植容器
CN2633013Y (zh) 节水保湿花盆
CN103733901B (zh) 自动排液的空中垂挂栽培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