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359Y1 - 화분( 花盆) - Google Patents

화분( 花盆)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359Y1
KR970002359Y1 KR2019940017564U KR19940017564U KR970002359Y1 KR 970002359 Y1 KR970002359 Y1 KR 970002359Y1 KR 2019940017564 U KR2019940017564 U KR 2019940017564U KR 19940017564 U KR19940017564 U KR 19940017564U KR 970002359 Y1 KR970002359 Y1 KR 970002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holes
flow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5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585U (ko
Inventor
박태환
Original Assignee
박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환 filed Critical 박태환
Priority to KR20199400175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359Y1/ko
Publication of KR960003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화분(花盆)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화분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화분 2 : 받이구
3 : 통과공 5 : 와이어
6 : 공기구멍 8 : 받침구
9 : 수납부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분에 받침구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와이어를 설치하며, 하부에는 공기구멍을 형성시켜 장기적으로 물공급을 할 수 있게 하고, 외관이 미려한 화분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화초 등의 식물을 화분의 수용부에 흙이나 그밖의 흙을 대용으로 하는 재료를 담은후 화초 등의 식물에 필요한 량의 물을 공급시켜 관상용 및 재배용으로 이용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화초가 심어진 화분에 장기적으로 물을 공급시킬 수 있는 화분이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종래의 제3도 도면에서와 같이 내부에 수용부(24)를 가진 화분(21)의 하단에 물통과공(22)과 하부주연부에 다수개의 공기구멍(23)을 형성하여된 화분(21)의 수용부(24)에 심어진 화초 및 식물에 물을 공급시킬 때 상부에서 필요한 량을 임의로 공급시키거나 장기외출시는 별도의 받침용기(25)에 물을 채운후 이에 화분(21)에 안치시킨후 공기구멍(23)의 에어통과로 인하여 하단의 물통과공(22)을 통해 물공급을 시키도록 하였으나 받침용기(25)에 수용된 물이 공기구멍(23)을 막아 물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였고 물통과공(22)으로 공급되는 물이 순간적으로 화분(21)내로 공급되어 화초의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며 별도의 받침용기(25)를 사용함에 따라 취급이 불편하고 외관상의 미적감각을 저해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화분 하단에 수납부를 가진 받침구를 착탈식으로 구비하고, 내부하측에는 다수개의 통과공이 형성된 받이구를 구비하여, 상측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를 설치하여 받이구의 통과공으로 통과시켜 받침구의 수납부에 수용시키며, 화분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공기구멍을 형성시켜 외출시 수납부에 수용된 물이 와이어를 타고 화분의 내부로 공급시킴에 따라 장기적인 물공급이 가능하고, 받침구를 착탈식으로 구비하여 취급 및 미적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분(1)의 하단에 물을 수납하는 수납부(9)를 가진 받침구(8)를 착탈식으로 구비하고, 내부 하측에는 다수개의 통과공(3)이 형성된 받이구(2)를 구비하며, 상측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5)를 설치하여 와이어(5) 하부를 받이구(2)의 통과공(3)으로 통과시켜 받침구(8)의 수납부(9)에 수용시키며, 받침구(8)와 근접된 화분(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공기구멍(6)을 주연부를 따라 형성하여 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 7은 화분(1)의 내부에 구비되는 수용부이고, 4는 와이어(6)를 고정시키는 고정구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물이 수용된 수납부(9)를 가진 받침구(8)의 상부에 화분(1)을 안치시키면 화분(1)내부의 수용부(7) 상부에 다수개의 고정구(4)로 설치된 각각의 와이어(5) 하부는 받이구(2)의 통과공(3)에 통과된 상태에서 수납부(9)에 수용되어 물에 침투된다.
물에 침투된 와이어(5)는 물을 흡수하는 실이나 모직으로 되어있어 하부에서부터 물을 흡수하여 상부측의 수용부(7)에 심어진 화초의 흙에 물을 서서히 공급시키게 되고 화분(1)의 하부 주연부를 따라 형성된 공기구멍(6)에 의하여 물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화분(1)은 불가피하게 화초에 물공급을 하지 못하는 경우(장기 출타중이거나 바쁜 생활에서 물공급을 하지 못하였을 때) 받침구(8)의 수납부(9)에 물을 채워 화초에 물을 안정적으로 장기간에 공급함에 따라 화초 가꾸기를 편리하게 하여 일상생활에서 화초와의 접근을 최대화할 수 있어 환경미화를 보다 더 좋게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화분(1)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구멍(6)은 와이어(5)로 공급되는 물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수납부(9) 내부와 외부의 공기 통로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구멍(6)의 형상이 화분(1)의 외적 미관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고, 화분(1)을 받침구(8)에 안치시킴에 따라 화분(1)의 고급화 및 적치상태 환경의 개선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화분에 비하여 물공급을 장기적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고, 외관의 미적감각을 높여 한층더 환경미화를 최대화하며, 화초와 더불어 일상생활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화분(1)의 하단에 물을 수납하는 수납부(9)를 가진 받침구(8)를 착탈식으로 구비하고, 내부하측에는 다수개의 통과공(3)이 형성된 받이구(2)를 구비하며, 상측 내부에는 다수개의 와이어(5)를 설치하여 와이어(5) 하부를 받이구(2)의 통과공(3)으로 통과시켜 받침구(8)의 수납부(9)에 수용시키며, 받침구(8)와 근접된 화분(1)의 하부에는 다수개의 공기구멍(6)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2019940017564U 1994-07-15 1994-07-15 화분( 花盆) KR9700023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564U KR970002359Y1 (ko) 1994-07-15 1994-07-15 화분( 花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564U KR970002359Y1 (ko) 1994-07-15 1994-07-15 화분( 花盆)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85U KR960003585U (ko) 1996-02-14
KR970002359Y1 true KR970002359Y1 (ko) 1997-03-21

Family

ID=1938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564U KR970002359Y1 (ko) 1994-07-15 1994-07-15 화분( 花盆)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3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585U (ko)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9967A (en) Flower pot watering apparatus
US6516563B1 (en) Plant container
US4788792A (en) Container apparatus
US6038814A (en) Potted plant container provided with means for the self-regulated administration of liquid
KR970002359Y1 (ko) 화분( 花盆)
KR200469973Y1 (ko) 이중 화분
KR20070119940A (ko) 화분 받침대
JP3857540B2 (ja) 垂直に配置可能な植栽装置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402372Y1 (ko) 캔 화분
KR100591289B1 (ko) 급수기능을 갖는 화분받침대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820001522Y1 (ko) 수경식(水耕式)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CN211152892U (zh) 一种新型拼接花盆
KR200389810Y1 (ko) 반원통형 투명 화분
JP3076746U (ja) 園芸用トレー
US4583322A (en) Ornamental container and display assembly for a seedling plant
KR200187755Y1 (ko) 개폐식 화분커버
JP2004305691A (ja) 多様性器体
JPH0965766A (ja) W 鉢
KR960001057Y1 (ko) 관상용 화분
KR970004631Y1 (ko) 난재배용 벽걸이 화분
KR200192094Y1 (ko) 씨앗과 배양토를 일체로 상품화하기 위한 화분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