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03439A1 -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03439A1
WO2019203439A1 PCT/KR2019/002542 KR2019002542W WO2019203439A1 WO 2019203439 A1 WO2019203439 A1 WO 2019203439A1 KR 2019002542 W KR2019002542 W KR 2019002542W WO 2019203439 A1 WO2019203439 A1 WO 20192034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t
water
wall
water bottl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54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서연
Original Assignee
김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서연 filed Critical 김서연
Publication of WO20192034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034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 pot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wer pot assembly capable of carrying out water supply or the like even during long absence due to travel.
  • Korean Utility Model Model No. 20-0248015 discloses an "automatic watering pot".
  • the automatic watering pot is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f the wall of the flower pot to form an auxiliary water bottle therein, by using a wick formed in the lower center, it can supply moisture to the soil of the flower pot from the auxiliary water bottle.
  • the wick is located inside the soil of the pot, it is difficult to replace the wick, and if the wick is contaminated, the soil's contaminants are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water bottle, which prevents irreversible contamination and diffusion.
  • Korean Patent No. 10-1774647 (registered on August 29, 2017) discloses a "pot for watering pot", the pot for watering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ot can automatically supply water, The water storage pedestal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lanter supplies wat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level.
  • the pot for the pot is also different from the purpose of automatic water supply, but the water tank should be located only in the pot, and limited to only one water supply is limited.
  • Japanese Utility Model Utility Model No. 3186783 discloses a "flower pot for water", which is provided next to a specific flower pot, and can realize automatic water supply to the flower pot.
  • the irrigation system is a method of providing water to the soil surface of the pot, it is not easy to transfer water to the end of the root, it may hinder the growth of water to the root as a whole.
  • Korean Patent No. 10-1720853 (registered on March 22, 2017) discloses "water storage and humidification type pots", the pots provide a double wall structure, the inner wall to form micropores, Forming an absorbing member between the soil to block the excessive flow of water, and forms a slit for fixing the absorbing member.
  • the water bottle in the pot is inseparably fixed and can supply water to the absorbing member only through predetermined micropores.
  • the absorbing member when the absorbing member is formed to the outside, it includes the content of supplying water to the absorbing member located on the outer wall through the micropores for external humidifi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t assembly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that can be provid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pot, and can be variously used as an interior ele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len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to move moisture from the water bottle to the soil of the pot using a wick, and to horizontally move the moisture using the wick.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that is easy to replace the wick and easy to replace the wick and contamin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that can further adjust the amount of movement and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moisture according to the required environment by adding an additional branch to the wick.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auxiliary canisters,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canisters in series to provide a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ing function that can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suppl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to support photosynthesis by adding a lamp and to create an artificial environment through a timer connection.
  •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is provided in one piec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potted plant, the wall of the potted plant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potted plant.
  • a first vertical pipe which is provided in a shape and inserted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bottle, in the flowerpot or other water bottle,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soil surface of the flower pot or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other water bottle.
  • An induction pipe including a connecting pipe to connect, and a centrifugal paper inserted into the induction pipe to transfer the water in the water bottle to the pot or other water bottle.
  • the centrifugal paper is positioned inside the induction pipe to suppress evaporation of water from the centrifugal paper, and the water bottle has a wal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flower pot, and can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r the inner wall of the flower pot.
  • Pots and cans are horizontally installed for easy expansion, and cans can be placed inside or outside the pots, and centrifugal paper connecting the cans and pots is inserted into the inverted U-shaped induction pipe to replace the wick. Not only is it easy, but it is also infinitely expandable.
  • the induction pipe may be formed of synthetic resin or metal of elastic material, and may function as a clip for close contact between the walls of the pot or the water bottle.
  • the connecting pipe connecting both vertical pipes in the guide pipe may be provided in a round shape.
  • At least one open hol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vertical pipe partially exposing the centrifugal paper.
  • the second vertical pipe When the second vertical pipe is located in the soil of the flower pot, the second vertical pipe may be added to the centrifugal paper by adding a side wick to the centrifugal paper through the open hole. Water can be suppli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 the water bottle has a wall shape corresponding to the wall of the pot, and may be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r the inner wall of the pot.
  • the water supply and the wall of the pot can be formed in the air supply groove vertically formed in the same size, the wat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outer wall or the inner wall of the water bottle when the air supply grooves are arranged to match each other up and down the air supply hole It can be formed, and through the air supply hole to allow the outside air to be delivered to the bottom of the pot.
  • an air moving groov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groove formed on the side wall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bottle.
  • the air supply groove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and the wall of the flower pot, and the first vertical pipe and the second vertical pipe of the induction pipe partially overlap the air supply groove while the water bott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r the inner wall of the flower pot. It can function as a clip that closes the walls of pots or water bottles while being accommodated.
  • the ligh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device detachable to a pot or a water bottle, and the lighting device may include a timer to assist photosynthesis and create an artificial environment through a timer connection.
  • Potted 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to the interior or exterior of the water bottle, can be used in a variety of combinations, such as using only one or a plurality of cans can be used as interior elements.
  • the potted 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water from the water bottle to the soil of the pot using the wick, it is possible to move the water horizontally using the wick, easy replacement of the wick, the wick is directly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oil The area to be small can be prevented from easily contaminating the wick.
  • the wick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easily evaporated.
  • the potted 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n open hole in the induction pipe that can partially expose the centrifugal paper, and further branching the centrifugal paper through the open hole to variously adjust the amount of movement and the moving position according to the required environment. have.
  • the potted 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water bottle in series to increase the water supply, to add photos, such as photosynthesis, and to create an artificial environment through the timer connection.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anisters of the flower pot assembly of FIG.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s and water bottles of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guide tube and the centrifugal paper of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anisters of the potted plant assembly of FIG.
  • the flower pot assembly 100 having the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includes four water bottles 120 and 120 provided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of the flower pot 110 and the flower pot 110. -1 to 3), including a centrifugal paper 140 inserted into the induction pipe 130 and the induction pipe 130 which is provided in an inverted U shape as a whole to transfer water between the water bottle 120 and the flower pot 110. do.
  • Induction pipe 130 may connect the pot 110 and the canister 120 or connect the canisters 120, when the induction pipe 130 to connect the pot 110 and the canister 120 when the reference ,
  • the first vertical pipe 132 located in the water bottle 120, the second vertical pipe 134 located in the flower pot 110 and the connection connecting the top of the first vertical pipe 132 and the second vertical pipe 134 It may include a tube 136.
  • the canisters 120 are located inside the pot 110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That is, at least one of the water bottle 120 is connected through the soil of the flower pot 110 and the induction pipe 130 and the centrifugal paper 140, the other cans 120-1, 120 around the water bottle 120 -2, 120-3 are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guide tubes 130-1, 130-2, 130-3.
  • the centrifugal paper 140 may be used to transfer water from the water bottle 120 to another flower pot 110 or water bottle 120. Since the centrifugal paper 140 is inserted into the induction pipe 130, the moisture of the centrifugal paper 140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evaporated to the outside, and most of the centrifugal paper 140 is induced by the induction pipe 130. Because it is protected, the water in the water bottle 120 can be adjusted to be supplied at a desired position within the pot 110.
  • the induction pipe 13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but may be formed using a synthetic resin or a metal of an elastic material.
  • water is supplied only by the centrifugal paper 140 exposed at the end of the induction pipe 13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exposed length of the centrifugal paper 140 so that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s adjusted.
  • centrifugal paper 140 when all of the centrifugal paper 140 is exposed without the induction pipe 130, water may be supplied by the centrifugal paper 140 in all areas in contact with the soil, and when the pot is deep, water is exhausted from the actual soil surface. It may not be delivered to the deep part of the root.
  • the water supply can be made only at the end of the centrifugal paper 140 by the induction pipe 130, and water can be smoothly delivered to the deep part of the potted plant 110 having roots.
  • only one canister 120 supplies water to the soil of the pot 110, but in some cases can be supplied to the potted plant 110 from two or more canisters (120, 120-2) In this case, the second vertical pipe of the induction pipe (130, 130-2) may be located in the flower pot (110).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tted plant assembly with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ot 110, four water bottles (120, 120-1 to 3), inverted U-shaped induction pipe 130 and induction pipe 130 includes a centrifugal paper 140 is inserted into.
  • four water bottles (120, 120-1 ⁇ 3) is not located inside the pot 110, but located outside, one of the cans 120 is the soil of the pot 110 and the induction pipe 130 And centrifugal paper 140, and the canisters 120, followed by other canisters 120-1, 120-2, and 120-3 are guide tubes 130-1, 130-2, and 130-3. ) Is connected in series.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is a pot 110, two water bottles 120, 120-1 located in the pot 110, inverted U-shaped induction pipe 130 and the centrifugal paper 140 is inserted into the guide tube 130.
  • the water bottle 120 may be provided in two or singular, and the position thereof may also be variously adjusted.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s and water bottles of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wer pot assembly includes a flower pot 210 and two water bottles 220 positioned inside the flower pot 210.
  • Air supply grooves 224 of the same size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pot 210 and the outer wall 222 of the water bottle 220, the interval of the air supply grooves 224 may be formed in the same.
  • the water supply container 220 is in contact with the flower pot 210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ly supply groove 224 forms an air supply hole 226, the air supply hole 226 is a pollen on the soil surface of the flower pot 210 A passage for supplying air to the bottom of 210 may be provided.
  • an air moving groove 228 connected to the air supply groove 224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bottle 220.
  • the air moving groove 228 may horizontally transfer the air supplied to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210 through the air supply hole 226 vertically formed.
  •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guide tube and the centrifugal paper of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uction pipe 230 may include a round connection pipe 236, and include a centrifugal paper 240 therein.
  • the air supply groove 224 may be formed on both sides including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 bottle and the wall of the pot, and the number of the induction pipe 230 in the state that the water bottl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r the inner wall of the pot. While the straight pipe is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air supply groove 224, it may function as a clip for firmly contacting the walls of the pot or the water bottle.
  • Induction pipe 230 may function as a clip even when the air supply groove 224 is not bound, but as shown, the vertical pipes of the air supply groove 224 and the induction pipe 230 are bound to each other. If so, it can also function to hold pots or water bottles firmly together.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uction pipe 230 includes a connecting pipe of a round shape, the first vertical pipe is located in the water tank 220 and the second vertical pipe is located in the flower pot 210.
  • Opening holes 238 are formed in the upper and middle portions of the second vertical pipe, respectively, and the side wicks 242 may be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centrifugal paper 240 exposed by the opening holes 238, respectively.
  • Decision paper 242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evenly delivering water to the roots planted in the pot (210). Even if there is no side wick 242, if there is an opening hole 238, the transfer of moisture may occur in the portion, but when the side wick 242 is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paper 240, the moisture can be easily delivered to the intended portion have.
  • Side wick 242 may be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paper 240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knots, bonding, the length, thickness, material, etc. of the side wick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it may be separated if necessary.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otted plant assembly having an automatic wate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lower pot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lighting device 250 detachable to the flower pot 110 or the water bottle 120.
  • the lighting device 250 may be used to assist photosynthesis, and the like, and the control body 252 may further include a timer to create an artificial environment by turning on and off the lighting at a predetermined time.

Abstract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는 화분, 화분의 벽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하여 일체로 제공되며 화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통, 전체적으로 역 U자 형상으로 제공되며 수통에서 수면 아래로 삽입되는 제1 수직관, 화분 또는 다른 수통에서 화분의 흙 표면 아래 또는 다른 수통의 수면 아래로 삽입되는 제2 수직관과 제1, 2 수직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유도관, 및 유도관 내부에 삽입되어 수통의 수분을 화분 또는 다른 수통으로 전달하는 원심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본 발명은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여행 등으로 인해 장시간 부재 중 이어도 급수 등을 수행할 수 있는 화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나 황사 등을 이유로 도심과 인근주택가의 대기 공기의 질은 갈수록 점점 나빠지고 있으며, 사람들은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더 열악한 실내생활을 하게 된다. 또한, 환경적으로도 겨울철에는 대기가 건조하고 실내난방을 하기 때문에 실내습도가 많이 낮아 건조하여 기관지가 약한 아이들과 노인들이 호흡기 질환으로 고통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은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식물을 많이 키우고 싶어하지만, 식물을 관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여행 등으로 자리를 비우는 경우에도, 화분에 물을 주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이에 대한 대책이 완벽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8015호(2001. 9. 12. 등록)에는 "자동급수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자동급수화분은 화분의 벽이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보조 수통을 형성하고, 하부 중심에 형성된 심지를 이용하여, 보조 수통에서 화분의 흙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심지가 화분의 흙 내부에 위치하여 심지를 교체하기가 어려우며, 심지가 오염되면 오히려 흙의 오염물이 보조 수통 내로 유입되어 되돌릴 수 없는 오염 및 확산을 막을 수가 없게 된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774647호(2017. 8. 29. 등록)에는 "화분용 급수통"이 개시되어 있으며, 화분용 급수통은 화분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화분 하부에 위치한 물 저장 받침대를 통해서 일정 수위를 유지하면서 물을 공급하도록 한다. 이 화분용 급수통 역시 자동 급수라는 목적은 상이하지만, 급수통이 화분 내에만 위치해야 하며, 하나로만 한정되어 급수량에 한계가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186783호(2013.10.24. 공고)에는 "화분용 관수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관수기는 특정 화분의 옆에 제공되며, 화분에 자동 급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수기는 화분의 흙 표면에 물을 제공하는 방식으로서 뿌리 끝까지 물 전달이 용이하지 않고, 뿌리에 전체적으로 물 전달이 늦어 생육에 지장을 줄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20853호(2017.03.22. 등록)에는 "물 저장 및 가습형 화분"이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화분은 이중 벽 구조를 제공하며, 내측벽에는 미세공을 형성하고, 미세공과 흙 사이에는 흡수부재를 형성하여 물이 과도하게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수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슬릿을 형성한다. 상기 화분에서 수통은 분리할 수 없이 고정적이며, 정해진 미세공을 통해서만 흡수부재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흡수부재가 외부까지 형성되는 경우에는 외부 가습을 위해서 미세공을 통해 외벽에 위치한 흡수부재로 물을 공급하는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화분에서 물 저장부는 이중 벽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착탈 가능하게 변경되는 것이 불가능하며, 식물의 성장에 따라 물 저장부를 분리하여 공간을 넓게 만들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식물 성장에 따른 '분갈이'는 해당 원예분야에서 아주 중요한 불편함이자 문제점으로서 이를 하나의 화분으로 해결한다는 것은 큰 장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 수통을 화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할 수 있고, 인테리어 요소로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심지를 이용하여 수통으로부터 화분의 흙으로 수분을 이동시키되, 심지를 이용하여 수분을 수평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심지의 교체가 용이하여 심지의 교체 및 오염에 대한 대응이 용이한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심지에 추가 분기를 더 하여 필요환경에 따라 수분의 이동량 및 이동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조 수통을 복수로 제공하고, 수통을 직렬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급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조명등을 부가하여 광합성을 보조하고, 타이머 연결을 통해 인위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는 화분, 화분의 벽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하여 일체로 제공되며 화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통, 전체적으로 역 U자 형상으로 제공되며 수통에서 수면 아래로 삽입되는 제1 수직관, 화분 또는 다른 수통에서 화분의 흙 표면 아래 또는 다른 수통의 수면 아래로 삽입되는 제2 수직관과 제1, 2 수직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유도관, 및 유도관 내부에 삽입되어 수통의 수분을 화분 또는 다른 수통으로 전달하는 원심지를 구비한다.
원심지가 유도관 내부에 위치하여 원심지로부터의 수분 증발이 억제되고, 수통은 화분의 벽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대응하는 벽체 형상을 가지며,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화분과 수통이 수평적으로 설치되어 확장이 용이하며, 수통은 화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수통과 화분을 연결하는 원심지가 역 U자 형상의 유도관 내부에 삽입되어 심지의 교체가 용이한 것은 물론, 무한 확장도 가능하다.
유도관은 탄성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화분 또는 수통의 벽체를 상호 밀착시키는 클립으로서 기능을 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관에서 양 수직관을 연결하는 연결관은 라운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수직관에는 원심지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수직관이 화분의 흙에 위치하는 경우, 개방홀을 통해 곁심지를 원심지에 부가함으로써 분토 내에서 복수의 위치에서 수분이 공급되도록 할 수가 있다.
수통은 화분의 벽체에 대응하는 벽체 형상을 가지며,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통 및 화분의 벽체에는 동일한 사이즈로 수직하게 형성된 공기 공급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통이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되면서 공기 공급홈이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하로 연결된 공기 공급홀을 형성할 수 있으며, 공기 공급홀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화분의 밑면까지 전달되도록 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해서 수통의 저면에는 측벽에 형성된 공기 공급홈과 이어진 공기 이동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공기 공급홈은 수통 및 화분의 벽체의 내면 및 외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통이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유도관의 제1 수직관 및 제2 수직관이 공기 공급홈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화분 또는 수통의 벽체를 상호 밀착시키는 클립으로서 기능을 할 수가 있다.
화분 또는 수통에 탈착 가능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광합성을 보조하고, 타이머 연결을 통해 인위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는 보조 수통을 화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제공할 수 있고, 수통을 하나만 사용하거나 복수개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조합으로 활용할 수 있어 인테리어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는 심지를 이용하여 수통으로부터 화분의 흙으로 수분을 이동시키되, 심지를 이용하여 물을 수평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심지의 교체가 용이하고, 심지가 흙 내부에 직접 노출되는 영역이 작아 심지가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심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증발될 염려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도관을 이용하여 심지의 증발을 방지하고 심지와 흙이 직접 닿는 면적을 줄여 심지의 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는 원심지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는 개방홀을 유도관에 형성할 수 있으며, 개방홀을 통해 원심지를 추가로 분기하여 필요환경에 따라 수분의 이동량 및 이동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분 조립체는 수통을 직렬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급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조명등을 부가하여 광합성을 보조하고, 타이머 연결을 통해 인위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화분 조립체의 수통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중 화분과 수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중 유도관 및 원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분 조립체의 수통들 간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100)는 화분(110), 화분(110)의 벽체의 내면에 인접하게 제공되는 4개의 수통(120, 120-1~3), 전체적으로 역 U자 형상으로 제공되는 유도관(130) 및 유도관(130) 내부에 삽입되어 수통(120)과 화분(110) 간에 수분을 전달하는 원심지(140)를 포함한다.
유도관(130)은 화분(110)과 수통(120)을 연결하거나 수통들(120)을 연결할 수 있으며, 화분(110)과 수통(120)을 연결하는 유도관(130)을 기준으로 할 때, 수통(120)에 위치한 제1 수직관(132), 화분(110)에 위치한 제2 수직관(134) 및 제1 수직관(132)과 제2 수직관(134)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관(13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통들(120)은 화분(110)의 내부에 위치하여 벽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상호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즉, 수통(120) 중 적어도 하나는 화분(110)의 흙과 유도관(130) 및 원심지(140)를 통해 연결되며, 그 수통(120)을 중심으로 다른 수통들(120-1, 120-2, 120-3)이 유도관들(130-1, 130-2, 130-3)을 매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심지(140)를 이용하여 수통(120)의 물이 다른 화분(110) 또는 수통(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유도관(130) 내부에 원심지(140)가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원심지(140)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유도관(130)에 의해서 원심지(140)의 대부분이 보호되기 때문에 수통(120)의 물이 화분(110) 내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공급되도록 조절할 수가 있다.
유도관(13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탄성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도관(130)의 단부에서 노출되는 원심지(140)에 의해서만 물이 공급되기 때문에, 원심지(140)의 노출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물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유도관(130) 없이 원심지(140)가 모두 노출되면 흙과 접하는 모든 면적에서 원심지(140)에 의한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화분이 깊은 경우 실제 흙 표면에서 물이 소진되어 뿌리가 있는 깊은 부분까지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관(130)에 의해서 원심지(140)의 단부에서만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고, 뿌리가 있는 화분(110)의 깊은 부분까지 물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수통(120)에서만 화분(110)의 흙으로 물을 공급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의 수통(120, 120-2)에서 화분(11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유도관(130, 130-2)의 제2 수직관이 화분(110)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도 화분(110), 4개의 수통(120, 120-1~3), 역 U자 형상의 유도관(130) 및 유도관(130) 내부에 삽입되는 원심지(140)를 포함한다. 다만, 4개의 수통(120, 120-1~3)이 화분(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 위치하며, 수통(120) 중 하나는 화분(110)의 흙과 유도관(130) 및 원심지(140)를 통해 연결되며, 그 수통(120) 다음으로 다른 수통들(120-1, 120-2, 120-3)이 유도관들(130-1, 130-2, 130-3)을 매개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는 화분(110), 화분(110) 내부에 위치하는 2개의 수통(120, 120-1), 역 U자 형상의 유도관(130) 및 유도관(130) 내부에 삽입되는 원심지(1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수통(120)은 2개 또는 단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위치도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중 화분과 수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는 화분(210), 화분(210) 내부에 위치하는 2개의 수통(220)을 포함한다. 화분(210)의 내벽 및 수통(220)의 외벽(222)에는 동일 사이즈의 공기 공급홈(224)이 형성되어 있으며, 공기 공급홈(224)의 간격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수통(220)이 화분(210)이 밀착된 상태에서 맞닿은 공급 공급홈(224)은 하나의 공기 공급홀(226)을 형성하며, 공기 공급홀(226)은 화분(210)의 흙 표면에서 화분(210)의 바닥까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의 (b)를 보면, 수통(220)의 저면에는 공기 공급홈(224)과 연결되는 공기 이동홈(228)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이동홈(228)은 수직으로 형성된 공기 공급홀(226)을 통해 화분(210)의 바닥까지 공급된 공기를 수평하게 이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중 유도관 및 원심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도관(230)은 라운드 형상의 연결관(2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로는 원심지(2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공급홈(224)은 수통 및 화분의 벽체의 내면 및 외면을 포함한 양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수통이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유도관(230)의 수직관이 공기 공급홈(224)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화분 또는 수통의 벽체를 상호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클립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다.
공기 공급홈(224)과 결속되지 않는 경우에도 유도관(230)은 클립과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홈(224)과 유도관(230)의 수직관이 서로 결속되는 경우 화분 또는 수통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분(210)과 수통(220)의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며, 수통(220)이 화분(210)의 외부에 위치한다. 유도관(230)은 라운드 형상의 연결관을 포함하며, 제1 수직관은 수통(220)에 위치하고 제2 수직관은 화분(210)에 위치한다.
제2 수직관에는 상부 및 중부에 각각 개방홀(238)이 형성되며, 개방홀(238)에 의해 노출된 원심지(240)의 중간에 곁심지(24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결심지(242)는 화분(210)에 식재되어 있는 뿌리에 수분을 고르게 전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곁심지(242)가 없더라도 개방홀(238)이 있으면 해당 부분에서 수분의 전달이 일어날 수 있지만, 원심지(240)에 곁심지(242)가 연결되면 수분이 목적된 부분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곁심지(242)는 원심지(240)에 매듭, 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곁심지의 길이, 굵기, 재질 등이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필요 없는 경우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조립체는 화분(110) 또는 수통(120)에 탈착 가능한 조명장치(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장치(250)는 광합성 등을 보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어 몸체(252)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일정 시간에 조명이 켜지고 꺼지도록 하여 인위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있어서,
    화분;
    상기 화분의 벽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밀착하여 일체로 제공되며, 상기 화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통;
    전체적으로 역 U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수통에 위치하여 수면 아래로 삽입되는 제1 수직관, 상기 화분 또는 다른 수통에 위치하여 상기 화분의 흙 표면 아래 또는 상기 다른 수통의 수면 아래로 삽입되는 제2 수직관, 및 상기 제1 수직관과 상기 제2 수직관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유도관; 및
    상기 유도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수통의 수분을 상기 화분 또는 다른 수통으로 전달하는 원심지;를 구비하며,
    상기 원심지가 상기 유도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심지로부터의 수분 증발이 억제되고, 상기 수통은 상기 화분의 상기 벽체의 내면 또는 외면에 대응하는 벽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관은 탄성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분 또는 상기 수통의 벽체를 상호 밀착시키는 클립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라운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관에는 상기 원심지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방홀을 통해 곁심지를 상기 원심지에 부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통 및 상기 화분의 벽체에는 동일한 사이즈로 수직하게 형성된 공기 공급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통이 상기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되면서 상기 공기 공급홈이 상하로 연결된 공기 공급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통의 저면에는 상기 공기 공급홈과 이어진 공기 이동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홈은 상기 수통 및 상기 화분의 벽체의 내면 및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수통이 상기 화분의 외벽 또는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유도관의 상기 제1 수직관 및 상기 제2 수직관이 상기 공기 공급홈에 부분적으로 수용되면서 상기 화분 또는 상기 수통의 벽체를 상호 밀착시키는 클립으로서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또는 수통에 탈착 가능한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PCT/KR2019/002542 2018-04-19 2019-03-05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WO20192034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15 2018-04-19
KR1020180045615A KR101951335B1 (ko) 2018-04-19 2018-04-19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03439A1 true WO2019203439A1 (ko) 2019-10-24

Family

ID=6558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542 WO2019203439A1 (ko) 2018-04-19 2019-03-05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1335B1 (ko)
WO (1) WO2019203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335B1 (ko) * 2018-04-19 2019-02-22 김서연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783U (ja) * 2013-08-12 2013-10-24 協信電子有限公司 植木鉢用灌水器及び植木鉢用灌水器のホルダ
KR101502280B1 (ko) * 2014-09-13 2015-03-12 현병찬 자동 급수 제어 기능을 갖춘 화분
KR20160099909A (ko) * 2015-02-13 2016-08-23 함재영 물 저장 및 가습형 화분
KR20160108816A (ko) * 2014-11-05 2016-09-20 윤병섭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101951335B1 (ko) * 2018-04-19 2019-02-22 김서연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6783U (ja) * 2013-08-12 2013-10-24 協信電子有限公司 植木鉢用灌水器及び植木鉢用灌水器のホルダ
KR101502280B1 (ko) * 2014-09-13 2015-03-12 현병찬 자동 급수 제어 기능을 갖춘 화분
KR20160108816A (ko) * 2014-11-05 2016-09-20 윤병섭 조립식 다기능 화분 조립체와 이러한 화분 조립체에 구비되는 받침대 및 화분
KR20160099909A (ko) * 2015-02-13 2016-08-23 함재영 물 저장 및 가습형 화분
KR101951335B1 (ko) * 2018-04-19 2019-02-22 김서연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335B1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74773A1 (ko) 빗물 자동공급 재배장치
US4356665A (en) Self-watering planter
WO2015034231A1 (ko) 토양 함수율 변화에 대응하는 무동력 자동급수장치
US4183175A (en) Self-watering apparatus for growing plants
CN203788814U (zh) 多层隔板式植物培育装置以及植物培育系统
WO2015119391A1 (ko) 가구 매립형 식물 재배장치
WO2017131297A1 (ko) 육묘 트레이
WO2020022763A1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KR900006270B1 (ko) 자동급수 화분의 급수량 조절방법
WO2022265186A1 (ko) 수직듀얼형 모듈식 식물 공장
WO2015174638A1 (ko) 화분의 가습 겸용 자동 급수장치
WO2019203439A1 (ko)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KR101271085B1 (ko) 수분 공급용 화분
WO2021060793A1 (ko) 화분유닛
US7685771B2 (en) Conservation plant pot
WO2020071579A1 (ko) 수경 재배 용기
WO2016003051A1 (ko) 적층식 식물 재배 가습 장치
WO2019074162A1 (ko) 화분 받침대
WO2016027972A1 (ko) 자연광 및 인공광을 이용하는 다층 식물재배 시스템
WO2016117779A1 (ko) 수경재배장치
WO2014123259A1 (ko) 벽면 조경용 플랜터
TW201018390A (en) System for growing plants
WO2014142379A1 (ko) 화분용 급수장치
WO2012138106A2 (ko) 양액 흡수식 전달장치가 구비된 화분장치
KR200179704Y1 (ko) 식물재배기의 자동수분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876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76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9.04.202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76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