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766Y1 - 자동급수화분 - Google Patents

자동급수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766Y1
KR200220766Y1 KR2020000032878U KR20000032878U KR200220766Y1 KR 200220766 Y1 KR200220766 Y1 KR 200220766Y1 KR 2020000032878 U KR2020000032878 U KR 2020000032878U KR 20000032878 U KR20000032878 U KR 20000032878U KR 200220766 Y1 KR200220766 Y1 KR 2002207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automatic watering
mesh panel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28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렬
Original Assignee
신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렬 filed Critical 신중렬
Priority to KR20200000328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7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7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766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이 심겨져 있는 화분에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저장부의 물 저장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자동급수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자동급수화분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수의 장홈을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체적인 부품 수를 줄여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급수화분{A FLOWERPOT CAPABLE OF AN AUTOMATIC WATER SUPPLY}
본 고안은 자동급수화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이 심겨져 있는 화분에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저장부의 물의 양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 자동급수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 또는 공공 장소의 화분은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물을 한 번 공급하면 장시간동안 다시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자동급수화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아이디어가 실용신안공보 제 95-5876에 개시되어 있다. 공보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급수화분은 본체의 주벽내부에 상하로 주입구와 배수밸브가 형성된 수실을 형성하여, 흡수면체가 끼워지는 바닥의 저면에는 오버플로공이 형성된 급수실을 설치하되 급수조절기에 의해 수실의 물이 일정높이로 공급되게 하고, 본체에서 착탈되는 화분판에는 직포와 철망이 깔려 있는 바닥에 흡수면체의 삽지공을 형성한 것이었다. 그리고 본체의 일측에는 재떨이 및 쓰레기 수납함을 설치한 것이었다.
이러한 공지된 기술은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비가 와서 화분판에 물이 고이면 흡수면체를 통하여 물이 빠져 나가지 못하고 오래도록 고여 있게 되어 화초가 죽게 되고, 또한 수실의 수위 조절을 위하여 수위 조절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고 수실과 급수실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복잡한 구조가 가져야할 효과가 거의 없는, 즉 화초가 죽어버리는 문제점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급수화분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9-271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급수화분은 상부가 열려 있는 물통(115)을 내부에 설치한 받침대(114)와, 하부에 큰 배수구가 형성되고 받침대와 하부 주변부가 서로 결합되는 화분(110)과, 두 개 이상의 심지공이 형성되고 화분의 배수구에서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는 필터(112)와 제 1단부가 받침대(114)의 물통(115) 저면에 위치하고, 제 2단부는 필터의 심지공을 통과하여 화분내의 흙 속에 파묻히는 두 개 이상의 심지(1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급수화분은 물통에 한 번 물을 공급하여 놓으면 약 1개월 정도는 화분에 물을 다시 주지 아니하여도 화분의 흙에 수분이 마르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급수화분은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사용되는 부품 수도 많아 제작 비용도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미 설치된 것을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에도 심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고 운반자에게 물이나 이물질이 묻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물통에 물이 얼마나 채워져 있는지를 육안으로 볼 수 가 없기 때문에, 물통에 물이 있는 지 없는지를 알 수 없고, 급수시에 사용자가 물을 넘치게 충전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육안으로 급수통의 물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자동급수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급수화분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 : 저장부
13 : 심지 15 : 장홈
17 : 망사패널 18 : 심지공
19 : 필터 21 : 특수용토
23 : 비료 27 : 지지대
30 : 급수량계 50 : 받침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은 다수의 심지공이 형성된 망사패널, 상기 심지공에 삽입되는 다수의 심지, 및 상기 망사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자동급수화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망사패널의 하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망사패널로부터 상기 저장부의 하부면까지 연장된 다수의 지지대,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와 상기 망사패널 사이의 본체부 외주면에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수의 장홈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심지들은 상기 심지공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의 하부까지 연장되고, 다수의 지지대가 상기 망사패널로부터 상기 저장부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주부에는 상기 망사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의 물 저장량을 확인하기 위한 급수량계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급수화분은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축구공을 절반으로 절단한 형태의 반구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에는 다수의 심지공(18)이 형성된 원형의 망사패널(17)이 장착되고, 상기 망사패널(17)에는 식물 및 화분 용토 등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지지대(27)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지지대(27)의 길이는 상기 원형의 망사패널(17)이 상기 반구형 본체부(10)의 내면과 내접하여 더 이상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을 때, 상기 망사패널(17)과 본체부(10)의 하부면 사이의 길이와 같다. 또한, 상기 망사패널(17)을 지지하기 위한 돌기(16)가 상기 본체부(1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망사패널(17)의 상부에는 부직포나 특수천 등의 재질로 형성된 필터(19)가 장착되는데, 상기 필터(19)는 물과 같은 액체는 쉽게 통과시키면서 흙이나 돌 등은 통과시키지 않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필터(19) 상부에는 식물을 심기 위한 흙(21) 이나 비료(23) 등을 일정량만큼 공급하여, 그 위에 식물들을 심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0)의 하부면에는 저장부(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장부(11)의 상부와 상기 망사패널(17) 사이의 본체부 외주면에는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수의 장홈(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홈(15)은 물의 공급 및 배수 뿐만이 아니라 상기 본체부(10)를 운반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다수의 심지(13)들이 상기 다수의 심지공(18)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11)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어서, 상기 심지(13)의 삼투압 작용에 의해 상기 저장부(11)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19)까지 이송하여 식물에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본체부(10)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부(11)의 물의 저장량이 얼마인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급수량계(3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량계(30)를 통해서 저장부에 물을 공급해야할 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받침대(50)는 상기 반구형 본체부(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꽃이나 나무와 같은 식물을 심은 상기 반구형 본체부(10)를 상기 받침대(5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장홈(15)을 통해 상기 저장부(15)에 물을 채워 넣는다. 그 후, 상기 다수의 심지(13)가 삼투압 작용을 통해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19)까지 이송시킨다. 이렇게 이송된 물은 특수용토(21)에 심어져 있는 식물의 뿌리를 통해 식물에 공급된다.
또한, 물의 공급은 비를 통해서 자연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급수량계(30)를 통해 저장부(15)의 물 저장량을 확인하여 저장량이 적으면, 상기 장홈(15)을 통해 인위적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0) 내의 물이 적정 수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장홈(15)을 통해 자연적으로 배출되게 되어 별도의 작업 없이도 자동으로 저장부(10) 내의 물의 저장량이 조절되게 된다. 상기 급수량계(30)의 작동을 보면, 저장부(10) 내에 물이 많이 채워져 있으면, 그 상부위치까지 물이 채워질 것이고, 저장부(10) 내에 물이 없으면, 그 하부위치에 물이 위치하거나 급수량계(30) 자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자동급수화분은 필요에 따라서 다른 장소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이때 작업자가 상기 본체부(10)의 장홈(15)을 손잡이로 이용하여 운반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은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망사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 및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수의 장홈을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전체적인 부품 수를 줄여서 제작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저장부의 물 저장량을 확인하기 위한 급수량계를 상기 본체부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저장부내의 물의 저장량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자동급수화분은 이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6)

  1. 다수의 심지공이 형성된 망사패널, 상기 심지공에 삽입되는 다수의 심지, 및 상기 망사패널 상부에 설치되는 필터를 구비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받침대로 구성되는 자동급수화분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망사패널의 하부에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상부와 상기 망사패널 사이의 본체부 외주면에 물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다수의 장홈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심지들이 상기 심지공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저장부의 하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화분.
  3. 제 2항에 있어서, 다수의 지지대가 상기 망사패널로부터 상기 저장부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화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내주부에는 상기 망사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화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반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화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의 물 저장량을 확인하기 위한 급수량계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급수화분.
KR2020000032878U 2000-11-23 2000-11-23 자동급수화분 KR2002207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78U KR200220766Y1 (ko) 2000-11-23 2000-11-23 자동급수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2878U KR200220766Y1 (ko) 2000-11-23 2000-11-23 자동급수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766Y1 true KR200220766Y1 (ko) 2001-04-16

Family

ID=73060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878U KR200220766Y1 (ko) 2000-11-23 2000-11-23 자동급수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7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51B1 (ko) * 2013-07-11 2015-01-14 위선정 화분 물 공급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851B1 (ko) * 2013-07-11 2015-01-14 위선정 화분 물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US8381441B2 (en) Insertable plant watering device and reservoir with inlet pipe
US3879889A (en) Planter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KR20130046793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100792582B1 (ko) 지주체 결합용 자동 물공급 가능한 화분
US20050166455A1 (en) Plant pot
KR200214155Y1 (ko) 화분
KR200207813Y1 (ko) 통기유지 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200220766Y1 (ko) 자동급수화분
KR200207920Y1 (ko)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KR20170112660A (ko) 물받이 일체형 상부 급수식 화분
KR200228643Y1 (ko) 자동 급수 화분
JP2009118770A (ja) マット植物用地盤軽量化部材及び屋上緑化工法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2281032B1 (ko)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KR101152363B1 (ko) 화분 속받침대와 이를 내장한 화분
KR200238318Y1 (ko) 물과공기 공급 기능을 갖는 요철형 화분받침
KR20020025754A (ko) 화분의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2538925B1 (ko) 저면급수 화분
KR200278197Y1 (ko) 식물재배용 화분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