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643Y1 - 자동 급수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급수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643Y1
KR200228643Y1 KR2019990002713U KR19990002713U KR200228643Y1 KR 200228643 Y1 KR200228643 Y1 KR 200228643Y1 KR 2019990002713 U KR2019990002713 U KR 2019990002713U KR 19990002713 U KR19990002713 U KR 19990002713U KR 200228643 Y1 KR200228643 Y1 KR 200228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ucket
pot
soil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7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309U (ko
Inventor
김석규
Original Assignee
김석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규 filed Critical 김석규
Priority to KR20199900027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64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3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3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643Y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고안 비가 많이 와서 화분에 물이 넘칠 정도가 되어도 쉽게 배수가 되어 화분에 있는 흙에는 적당한 물기만 있게 하고, 한번 물을 물통에 채운 후에는 심지를 통하여 적당한 습기만 화분 흙에 스며들도록 하여 항상 화초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부가 열려 있는 물통을 내부에 설치한 받침대(14)와, 하부에 큰 배수구가 형성되고 받침대와 하부 주변부가 서로 결합되는 화분(10)과, 두개 이상의 심지공이 형성되고 화분의 배수구에서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는 필터(12)와, 제1단부가 받침대의 물통 저면에 위치하고, 제2단부는 필터의 심지공을 통과하여 화분(10)내의 흙 속에 파묻히는 두 개 이상의 심지를 포함한다.
받침대의 물통 상부에는 급수 파이프가 설치되고, 물통의 상부에는 잉여수를 방출하기 위한 구멍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더욱 편리한 화분이 된다.

Description

자동 급수 화분{A Vase for automatic water supply}
본 고안은 자동적으로 수분이 식물이 심겨진 흙으로 스며들도록 고안한 자동급수화분에 관한 것이다.
도로변의 화분이나 공공 장소의 화분은 물을 자주 주기 위하여 많은 인력이 소요되므로 물을 한번 주면 오랫동안 다시 물을 주지 아니하여도 화초에 수분을 공급하는, 즉 자동적으로 급수가 되도록 하는 화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요구에 충족하기 위한 아이디어가 실용신안공보 제95-5876호에 공개된 것이 있다.
여기에 공개된 아이디어는 본체의 주벽내부에 상하로 주입구와 배수밸브가 형성된 수실을 형성하여, 흡수면체가 끼워지는 바닥의 저면에는 오버플로공이 형성된 급수실을 설치하되 급수조절기에 의해 수실의 물이 일정높이로 공급되게 하고, 본체에서 착탈되는 화분판에는 직포와 철망이 깔려 있는 바닥에 흡수면체의 삽지공을 형성한 것이었다. 그리고 본체의 일측에는 재떨이 및 쓰레기 수납함을 설치한 것이었다.
이러한 공지된 아이디어는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비가 와서 화분판에 물이 고이면 흡수면체를 통하여 물이 빠저 나가지 못하고 오래도록 고여 있게 되어 화초가 죽게 되고, 또한 수실의 수위 조절을 위하여 수위 조절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고 수실과 급수실을 별도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복잡한 구조가 가져야 할 효과가 거의 없는 즉 화초가 죽어버리는 문제점이 많이 있었기 때문에 실용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공지 아이디어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실용화할 수 있는 자동급수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비가 많이 와서 화분에 물이 넘칠 정도가 되어도 쉽게 배수가 되어 화분에 있는 흙에는 적당한 물기만 있게 하고, 한번 물을 물통에 채운 후에는 심지를 통하여 적당한 습기만 화분 흙에 스며들도록 하여 항상 화초에 적당한 수분을 공급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 급수 화분은, 상부가 열려 있는 물통을 내부에 설치한 받침대(14)와, 하부에 큰 배수구가 형성되고 받침대와 하부 주변부가 서로 결합되는 화분(10)과, 두개 이상의 심지공이 형성되고 화분의 배수구에서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는 필터(12)와, 제1단부가 받침대의 물통 저면에 위치하고, 제2단부는 필터의 심지공을 통과하여 화분(10)내의 흙 속에 파묻히는 두 개 이상의 심지를 포함한다.
받침대의 물통 상부에는 급수 파이프가 설치되고, 물통의 상부에는 잉여수를 방출하기 위한 구멍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더욱 편리한 화분이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반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화분 받침대와 화분으로 이루어진다.
받침대(14) 내부에는 화분(10)에 습기를 공급하여 주기 위한 물통(15)이 설치된다. 이 물통은 상부가 열려 있다. 즉 뚜껑이 없다.
화분(10)에는 하부가 뚫려 있어서 하나의 큰 배수구가 되고, 화분의 측면 주변 하부(18)는 받침대의 상부와 서로 일치되어 결합되도록 요철면이 형성되어 이가 서로 맞도록 되어 있다.
화분 내에는 두개 이상의 심지공이 형성되고, 화분의 배수구를 막아서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막는 필터(12)가 설치된다. 이 필터는 화분의 흙은 막아주고 화분에 있는 잉여의 물은 배수구로 흘러 나가게 한다. 이 필터는 흙을 받쳐줄 정도의 강도를 가진 것이고, 망사나 부직포 직물 등을 지지체와 결합시켜 제작하면 된다.
물통(15)의 물(19)과 화분(10)내의 흙(11)을 연결하여 물통의 물이 흙으로 스며들도록 하는 심지(13)가 설치된다. 이 심지는 부직포 직물 또는 섬유사, 스펀지, 등 물이 스며드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하여 만들 수가 있다. 이 심지의 제1단부는 물통(15) 저면에 위치하고, 제2단부는 필터(12)의 심지공을 통과하여 화분(10)내의 흙(11) 속에 파묻힐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받침대의 물통 상부에는 급수 파이프(17)가 설치되어서 외부에서 한번에 많은 물을 물통에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고, 물통의 상부에는 잉여수를 방출하기 위한 배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도2는 필터를 뒤집어서 화분의 흙을 많이 담을 수 있도록 한 구성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나머지는 도1과 같다.
이렇게 구성된 자동 급수 화분은 물통에 한번 물을 공급하여 놓으면 거의 1개월 정도는 화분에 물을 다시 주지 아니하여도 화분의 흙에 수분이 마르지 아니하며 또 비가 자주 오는 기후에서는 빗물만으로도 자동 급수가 되어 물통의 물이 마르지 아니한다. 또 장마철처럼 비가 너무 많이 오는 경우에는 화분에 고이는 물이 필터를 통과하여 물통으로 내려오므로 화초의 뿌리가 수분에 과다하게 잠기는 일이 없으며 비록 물통으로 많은 양의 물이 흘러 내려와도 배수수로 넘쳐서 모두 방출되므로 화초에는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화분을 도로변에 설치하면 물을 주는 인력을 크게 줄일 수 있고 화초의 수명도 길게 하여 매우 유익하다.

Claims (1)

  1. 화분에 습기를 공급하여 주기 위한 급수통을 가지고 있는 자동 급수 화분에 있어서,
    상부가 열려 있는 물통을 내부에 설치한 받침대(14)와,
    상기 받침대(14)의 물통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통에 물을 급수하는 파이프(17)와,
    상기 받침대(14)의 물통 상부에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물통에 저수되고 남은 잉여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6)와,
    하부에 큰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와 하부 주변부가 서로 결합되는 화분(10)과,
    두개 이상의 심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의 배수구에서 흙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흙은 막고 물은 통과시키는 필터(12)와,
    제1단부가 상기 받침대의 물통 저면에 위치하고, 제2단부는 상기 필터의 심지공을 통과하여 상기 화분(10)내의 흙 속에 파묻히는 두 개 이상의 심지를 가진 자동 급수 화분.
KR2019990002713U 1999-02-23 1999-02-23 자동 급수 화분 KR200228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713U KR200228643Y1 (ko) 1999-02-23 1999-02-23 자동 급수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713U KR200228643Y1 (ko) 1999-02-23 1999-02-23 자동 급수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09U KR20000017309U (ko) 2000-09-25
KR200228643Y1 true KR200228643Y1 (ko) 2001-06-15

Family

ID=5475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713U KR200228643Y1 (ko) 1999-02-23 1999-02-23 자동 급수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6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05B1 (ko) 2006-03-27 2007-08-22 신현성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KR20190097592A (ko) 2018-02-12 2019-08-21 오지원 자동 수분 공급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542A (ko) * 2001-04-14 2001-07-25 백정광 축산폐수 등의 수분 탈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05B1 (ko) 2006-03-27 2007-08-22 신현성 자체 급수가 가능한 조립식 화단
KR20190097592A (ko) 2018-02-12 2019-08-21 오지원 자동 수분 공급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309U (ko) 2000-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6444B2 (ja) 植物の栽培状態を改善するための成形体
US3879889A (en) Planter
US4885869A (en) Automatic water-supplying flowerpot utilizing the capillary action and its water-supplying control method
JP4303504B2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US5426889A (en) Automatic watering device for cultivation in pots or the like
KR200228643Y1 (ko) 자동 급수 화분
KR200207920Y1 (ko) 통기 유지기능을 갖는 하부 급수식 화분
JPH04135426A (ja) 栽培鉢に対するかん水を行うためのプランター
JP2006296230A (ja) 壁面緑化システム
KR200220766Y1 (ko) 자동급수화분
CN207252303U (zh) 一种可折叠蓄水花槽
JP4003103B2 (ja) 自動灌水植物栽培容器
KR102281032B1 (ko) 무심지형의 물 저장고를 형성하는 플랜터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JPH0523065A (ja) 無灌水式プランター
JP3096586U (ja) 自動給水連結植木鉢
KR950005876Y1 (ko) 가로용 자동 급수화분대
KR200496880Y1 (ko)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JP3027161U (ja) 植木鉢
JP3029521U (ja) 植栽容器
JPS6337799Y2 (ko)
CN2311932Y (zh) 润灌种植容器
CN1031921A (zh) 一年浇一次水的花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9100001429;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11

Effective date: 20090709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611

Effective date: 2009070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