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7592A - 자동 수분 공급 화분 - Google Patents

자동 수분 공급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7592A
KR20190097592A KR1020180017197A KR20180017197A KR20190097592A KR 20190097592 A KR20190097592 A KR 20190097592A KR 1020180017197 A KR1020180017197 A KR 1020180017197A KR 20180017197 A KR20180017197 A KR 20180017197A KR 20190097592 A KR20190097592 A KR 20190097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oisture
supply
plants
humid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원
Original Assignee
오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원 filed Critical 오지원
Priority to KR1020180017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97592A/ko
Publication of KR20190097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01N33/246Earth materials for water cont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수분 공급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습도센서에 의하여 부족한 물을 화분에 자동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물을 언제 줘야 하는지 식물마다 상이한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화분에 있어서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흙과 식물로 구성한 화분,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습도센서에 의하여 부족한 물을 화분에 자동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물을 언제 줘야 하는지 식물마다 상이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수분 공급 화분{Automatic water supply plant}
본 발명은 자동 수분 공급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에 있어서,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흙과 식물로 구성한 화분,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 하여서,
습도센서에 의하여 부족한 물을 화분에 자동공급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사용자가 기르길 원하는 식물을 화분에서 재배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분은 화분 몸체, 흙, 식물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화분은 화분 몸체에 흙과 식물을 넣고 재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화분은 물을 언제 줘야 하는지 식물마다 상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2002286430000 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화분이 물을 언제 줘야 하는지 식물마다 상이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흙과 식물로 구성한 화분,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흙과 식물로 구성한 화분,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 함으로써, 습도센서에 의하여 부족한 물을 화분에 자동공급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사시도
즉, 본 발명은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흙과 식물로 구성한 (10)화분,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20)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20)수분 공급 장치는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에 있어서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흙과 식물로 구성한 (10)화분,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20)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물을 언제 줘야 하는지 식물마다 상이한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20)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0: 화분, 20: 수분 공급 장치

Claims (2)

  1. 화분에 있어서,
    식물을 기를 수 있게 흙과 식물로 구성한 (10)화분,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20)수분 공급 장치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20)수분 공급 장치를 통하여 수분이 부족할 때 물을 공급할 수 있게 습도 센서를 통하여 수분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의 습도 감지시 수분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수분 공급 화분.
KR1020180017197A 2018-02-12 2018-02-12 자동 수분 공급 화분 KR20190097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97A KR20190097592A (ko) 2018-02-12 2018-02-12 자동 수분 공급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197A KR20190097592A (ko) 2018-02-12 2018-02-12 자동 수분 공급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592A true KR20190097592A (ko) 2019-08-21

Family

ID=6780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197A KR20190097592A (ko) 2018-02-12 2018-02-12 자동 수분 공급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975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502A (ko) 2020-10-21 2022-04-28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소형 화분 자동 급수 시스템
KR20230010310A (ko) 2021-07-12 2023-01-19 방해윤 흙 상태 확인 화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643Y1 (ko) 1999-02-23 2001-06-15 김석규 자동 급수 화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643Y1 (ko) 1999-02-23 2001-06-15 김석규 자동 급수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2502A (ko) 2020-10-21 2022-04-28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소형 화분 자동 급수 시스템
KR20230010310A (ko) 2021-07-12 2023-01-19 방해윤 흙 상태 확인 화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50778U (zh) 一种多模式自动浇花装置
ATE474452T1 (de) Bewässerungssystem zur bewässerung von pflanzen
MX2018010042A (es) Recipiente hidroponico flexible.
KR20190026070A (ko) 자동화된 화분 식물용 물공급 장치
MX2016003872A (es) Metodo y aparato para ajustar el entorno de crecimiento de plantas.
KR20190097592A (ko) 자동 수분 공급 화분
KR20190026073A (ko) 화분 식물에 사용되는 자동 물공급 장치
KR20170002193U (ko) 수종별 식생주기별 조정이 가능한 관수시기 표시장치가 장착된 화분
US20170027118A1 (en) Avocado Seed Planter
KR20150092826A (ko) 관수시기 표시장치
CN204191244U (zh) 一种花盆
CN204157359U (zh) 一种苗木培养装置
KR20230168556A (ko) 온도, 습도 측정 가능한 스마트 화분
CN204392944U (zh) 一种自动浇水花盆
KR20220090909A (ko) 수분 감지센서를 이용한 화분 관리
KR20210036450A (ko) 토양수분감지 물자동공급장치
KR20230010310A (ko) 흙 상태 확인 화분
KR20220022067A (ko) 식물의 생장 정도 측정과 수분 공급이 가능한 투명 화분
JP2014039522A (ja) 差し込み式植木鉢給水具
Zografou et al. Estimation of water needs of young and aged rose plants with the use of two simplified transpiration models
KR20170088718A (ko)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CN106818269A (zh) 花盆
KR20170138116A (ko) 자동 물 공급 화분
KR20220152362A (ko) 키패드가 달린 화분
TWM512891U (zh) 盆栽結構改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