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8718A -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8718A
KR20170088718A KR1020160008979A KR20160008979A KR20170088718A KR 20170088718 A KR20170088718 A KR 20170088718A KR 1020160008979 A KR1020160008979 A KR 1020160008979A KR 20160008979 A KR20160008979 A KR 20160008979A KR 20170088718 A KR20170088718 A KR 20170088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solar cell
soil
sensor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승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0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8718A/ko
Publication of KR2017008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7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13/02Investigating surface tension of liquids

Abstract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분 흙 속에 삽입되며, 내부에 전원부와 피씨비가 형성되고, 외부에 수분값을 알려주는 표시창이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굴신 가능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집광하는 쏠라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수분을 감지하여 피씨비에 송신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화분의 내부 깊이별 수분를 측정할 수 있어 적정 수분 공급이 가능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WATERING REMINDER SYSTEM FOR POTS}
본 발명은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의 내부 깊이별 수분를 측정할 수 있어 적정 수분 공급이 가능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한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처음 화초를 키우려는 사람 및 화초를 재배하다 실패한 사람들은 심리적인 두려움이 형성되어 화초의 재구매 의사가 줄어들기 때문에 관련 산업에 악영향이 있다.
화초재배의 실패의 원인으로 가장 큰 것이 물주기이며 바쁜 현대인의 일상에서 세심한 관심이 필요한 화초의 관리에 새로운 지원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사회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등으로 실내 화초를 재배하는 가정이 차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며, 토양 수분 알림 서비스를 이용하면 실내 화초 재배에 효율성이 극대화 한다는 점을 부각시킨다면 경제적 창출이 기대된다.
최근 인접국가인 중국의 사회적 발전으로 화훼 및 원예분야 산업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에 대해 전 세계의 관련 산업분야는 사업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명과 인테리어를 부합시켜 새로운 시장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화훼 및 원예분야의 관련산업에 부가가치가 향상된다.
반려 동물처럼 반려 식물이 점점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며, 한번 연을 맺은 화초가 빨리 시들어 죽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적절한 관리도구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관리도구가 개발되어 사용된다면 화초의 소비 및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화분은 선물로서의 화초가 빈번히 거래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추가적인 아이템의 발굴을 통해 화초선물과 함께 소비되는 새로운 선물문화를 창출할 수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고 1992-0006895호에는 「화초 재배용 화분 수분계」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화분 내 특정 한 지점만 측정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선인장과 같은 뿌리가 짧은 화초와 난과 같이 뿌리가 긴 화초의 최상의 화초 재배를 위해서는 화분 내 여려 지점에서 습도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나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단순히 화분 내 습도값 혹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어 화분 내 심어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4471호 (2008.10.09.) 등록특허 제10-1243014호 (2013.03.06.)
본 발명은 실내화분 토양수분량을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 수분량이 부족할 경우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식물별 토양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태양광을 활용하여 자가발전을 할 수 있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 흙 속에 삽입되며, 내부에 전원부와 피씨비가 형성되고, 외부에 수분값을 알려주는 표시창이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굴신 가능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집광하는 쏠라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수분을 감지하여 피씨비에 송신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몸통부는 하부는 원뿔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선단부의 단부에 센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원부는 상기 쏠라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통부에는 센서에 연결되어 센싱된 신호를 받아 피씨비에 전송하는 신호수용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몸통부의 외측에는 제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작물별 토양수분범위를 조절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식물 줄기와 유사한 색상이며, 연질의 파이프와, 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심재를 포함하고, 심재는 유연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화분의 토양에 포함된 수분량을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여 수분량이 부족할 경우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식물별 토양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태양광을 활용하여 자가발전을 할 수 있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진기술을 앞세워 팽창하는 중국시장으로의 진출을 기대할 수 있어 큰 경제적 가치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는, 화분(100)의 흙 속에 삽입되며, 내부에 전원부와 피씨비(22)가 형성되고, 외부에 수분값을 알려주는 표시창(24)이 형성된 몸통부(2); 상기 몸통부(2)의 상부에 연결되며 굴신 가능한 지지부(4); 상기 지지부(4)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집광하는 쏠라셀(6); 상기 몸통부(2)의 일단에 형성되어 수분을 감지하여 피씨비(22)에 송신하는 센서(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2)는 원통형상이며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고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몸통부(2)의 하부는 원뿔형상의 선단부(21)가 나사 결합되고, 상부에는 마개(23)가 나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선단부(21) 및 마개(23)는 오링이 개재되어 밀봉 상태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여 수밀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선단부(21)의 단부에 센서(8)가 형성된다. 센서(8)는 흙속에 삽입되어 토양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침과 같은 봉상으로 형성되며 물 성분을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 접촉센서이다.
상기 선단부(21)의 외부에 씌워져 센서(8)를 보호하는 보호캡(85)이 더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전원부는 상기 쏠라셀(6)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26)를 포함한다.
쏠라셀(6)은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는 지지부(4)의 내부에 배선된 전선을 통해 충전지(26)에 공급되어 충전된다.
충전지(26)는 태양광이 약한 흐린날이나 밤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몸통부(2)에는 센서(8)에 연결되어 센싱된 신호를 받아 피씨비(22)에 전송하는 신호수용부(28)가 형성된다.
센서(8)에서 감지된 수분량에 대한 변위량을 피씨비(22)에서 연산하여 표시창(24)을 통해 숫자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2)의 외측에는 제어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작물별 토양수분범위를 조절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제어부는 버튼이며, 버튼을 1회 누를때마다 작물의 종류에 따른 적정 수분 범위가 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나무, 화초 등을 구분하여 대략 5~8가지 정도의 식물, 이는 보편적으로 관상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식물을 선정하여 이름과 적정 수분값을 미리 피씨비의 마이컴에 입력해두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식물군을 찾은 후 수분량을 측정하고, 적정 수분값의 범위 내에 있는지를 판단하여 수분 부족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몸통부(2)의 외측에는 표시등(25)이 형성되고, 표시등(25)은 적정 수분량 보다 부족할 경우 점멸 작동되도록 하여 물 부족 상태를 즉각 알 수 있는 시인성을 갖도록 한 것이다.
표시등(25)은 엘이디(LED)가 적용되며, 단색 또는 다색의 엘이디가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주기를 요청을 표시하는 표시등과 병행 작동되도록 소리가 발생되는 알람이 포함된다.
알람은 몸통부(2)에 부착된 알람센서로 알려줄 수 있다.
상기 지지부(4)는 식물 줄기와 유사한 색상이며, 연질의 파이프와, 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심재를 포함하고, 심재는 유연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지지부(4)의 내부에 전선이 배선되어 쏠라셀(6)과 충전지(26)를 연결하여 도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분(100)의 흙에 몸통부(2)를 꽂되 센서(8)가 흙속에 매립되도록 하여 깊숙히 꽂아 넣는다.
이후 제어부를 조작하여 해당 식물류에 적당한 토양의 수분 범위를 조절한다. 제어부를 조작하여 적정 수분값의 범위를 선택한다(S1).
일정 시간 경과된 후 수분값을 감지한다(S2).
센서(8)의 촉수부를 활용하여 토양의 수분을 측정하고, 토양의 수분은 장력값으로 표시창(24)에 표시한다.
토양수분장력(SMT)과 수압과의 관계는 SMT=수압ㅧ(-1)이다.
토양수분장력은 진공게이지형 텐시오미터(tensiometer) 사용한다. 토양의 수분함량과 토양수분장력과의 관계는 수분함량이 많아질수록 수분장력은 작아지고, 수분함량이 적을수록 수분장력은 커진다.
토양수분장력과 식물생육 관계를 보면 수분장력이 커질수록 식물의 생장속도는 작아진다.
이후 설정된 수분함량 이상인가 판단한다(S3).
적정 수분값의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표시등의 점멸 작동에 의해 물 부족임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물을 보충해준다(S4).
설정한 수분함량 이상이 되면 지속적으로 센서(8)를 감지하고, 이하가 되면 엘이디(LED)와 알람으로 물주기를 표시한다.
이후 센서(8)의 감지 동작이 반복된다(S5).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화분의 흙에 몸통부(2)를 장기간 꽂아두고, 수분값을 상시 체크하게 할 수 있다.
적정 수분값을 벗어나면 표시등의 점멸 작동에 의해 물 부족임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물을 보충해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 : 몸통부 4 : 지지부
6 : 쏠라셀 8 : 센서
21 : 선단부 22 : 피씨비
23 : 마개 24 : 표시창
25 : 표시등 26 : 충전지

Claims (5)

  1. 화분 흙 속에 삽입되며, 내부에 전원부와 피씨비가 형성되고, 외부에 수분값을 알려주는 표시창이 형성된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연결되며 굴신 가능한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어 태양광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집광하는 쏠라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수분을 감지하여 피씨비에 송신하는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하부는 원뿔형상의 선단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마개가 결합되며, 상기 선단부의 단부에 센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쏠라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외측에는 제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작물별 토양수분범위를 조절하거나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식물 줄기와 유사한 색상이며, 연질의 파이프와, 파이프의 내부에 형성된 심재를 포함하고,
    심재는 유연성을 갖는 금속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KR1020160008979A 2016-01-25 2016-01-25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KR201700887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79A KR20170088718A (ko) 2016-01-25 2016-01-25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8979A KR20170088718A (ko) 2016-01-25 2016-01-25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718A true KR20170088718A (ko) 2017-08-02

Family

ID=5965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8979A KR20170088718A (ko) 2016-01-25 2016-01-25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87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71B1 (ko) 2020-08-07 2021-10-06 (주)유비엔 광대역 무선통신과 위치정보를 이용한 심도 조절 토양수분 모니터링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371B1 (ko) 2020-08-07 2021-10-06 (주)유비엔 광대역 무선통신과 위치정보를 이용한 심도 조절 토양수분 모니터링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50778U (zh) 一种多模式自动浇花装置
CN204540075U (zh) 智能育培花盆
CN202759869U (zh) 智能花盆
KR20190026070A (ko) 자동화된 화분 식물용 물공급 장치
KR20180129533A (ko) 내장용 습도센서를 가진 화분
KR20170088718A (ko)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KR101427814B1 (ko) 화분 내의 수분 높이 측정 장치
CN204070014U (zh) 一种新型的小型智能浇灌装置
CN204305693U (zh) 一种新型花盆
KR20050043827A (ko) 화분 자동 물공급 시스템
KR20150075148A (ko) 스마트 화분
CN207201420U (zh) 一种智能洋桔梗种植用花盆
WO2019171144A1 (en) Smart portable pot system to maintain houseplants
KR20150092826A (ko) 관수시기 표시장치
KR20130065530A (ko) 수분감지기능이 있는 화분
CN103461025A (zh) 一种电子花盆
CN207733383U (zh) 虹吸式自动浇水栽培装置
KR20170002193U (ko) 수종별 식생주기별 조정이 가능한 관수시기 표시장치가 장착된 화분
KR101687753B1 (ko) 자동수분공급장치
KR20070088847A (ko) 조명등을 내장한 식물 재배용 화분
CN207869976U (zh) 一种无土栽培箱
CN206481756U (zh) 无土栽培智能培养装置
CN104719020A (zh) 一种花盆
KR200281209Y1 (ko) 화분의 수분량 측정장치
KR200336077Y1 (ko) 화분용 습도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