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7753B1 - 자동수분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수분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753B1
KR101687753B1 KR1020140056555A KR20140056555A KR101687753B1 KR 101687753 B1 KR101687753 B1 KR 101687753B1 KR 1020140056555 A KR1020140056555 A KR 1020140056555A KR 20140056555 A KR20140056555 A KR 20140056555A KR 101687753 B1 KR101687753 B1 KR 10168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soil
state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9497A (ko
Inventor
임미섭
송재선
Original Assignee
임미섭
(주)금풍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미섭, (주)금풍아트 filed Critical 임미섭
Priority to KR1020140056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75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작물이나 화초 또는 꽃 등을 재배하는 화분 등에 넣어져 있는 흙의 수분 상태를 검출하고, 수분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심어진 흙의 수분상태를 검출하는 수분 검출부와, 상기 수분 검출부가 검출한 흙의 수분상태를 수신하고 수신한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흙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포함하는 자동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수분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WATER AUTOMATICALLY}
본 발명은 소정의 작물이나 화초 또는 꽃 등을 재배하는 화분 등에 넣어져 있는 흙의 수분 상태를 검출하고, 수분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자동수분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기본적으로 화초나 작물 또는 꽃 등을 수용하고, 토양과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알맞게 성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물용 재배용기이다. 화분에서 식물을 잘 성장시키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화분의 식물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사용자는 화분에 심겨진 식물의 수분 요구량에 따라 알맞은 수분을 공급해야한다.
그러나 필요 시간에 수분을 공급하지 않으면 재배하는 식물이 고사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적절한 시간에 화분의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작업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번거로운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급수공간이 마련된 화분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화분의 최하단부에 돌 또는 스티로폼, 기타 부재를 충입하여 그 상단에 토양을 충진하고 식물을 심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으며, 이를 개량한 관련된 기술이 상당수 개시되어 있다.
또한, 기본적으로 화분이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수분을 이용하여 장식적인 미감을 제공하면서 실내 가습효과까지 누리게 하는 기술 역시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503호에서는 기본적으로 수분이 저장된 급수통이 화분의 하부에 자리하여 식물의 뿌리 부분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부구를 확인하며 급수량을 조절할 수 있기는 하나, 일일이 눈금을 보며 급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사용자가 실수로 수위표시부의 한계선인 급수량을 넘어 과잉공급을 하였을 경우에는 뿌리에 수분이 과잉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4233호에서는 화분몸체에 수분을 공급하는 주입구와 수분이 저장되는 저수실이 화분의 내부에 형성되어 외형상은 장식적인 효과를 가지는 소정의 모양으로 형성하되 표면에는 이끼, 풍란, 석란 등과 같이 뿌리가 벽면에 붙어 서식하는 화초를 부착할 수 있는 식재부를 1개소 또는 다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식물의 뿌리가 벽면에 붙어 서식되는 특정 화초만을 화분에 수용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화분의 몸체에 저장된 물이 실내에서 서서히 누출되기는 하나 필요 이상의 장시간동안 몸체 내에 고여 있는 수분이 썩어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57503호(2001. 12. 03 등록) 특허문헌 2 :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4233호(2001. 08. 14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분에 저장된 흙의 수분을 검출하고, 수분이 부족할 경우에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자동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분에 저장된 흙의 수분을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화분의 수분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자동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분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화분에 저장된 흙의 수분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분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최적의 상태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는 자동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분의 수분을 검출하는 수분 검출부와 화분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분리하여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수분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 따르면,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심어진 흙의 수분상태를 검출하는 수분 검출부와, 상기 수분 검출부가 검출한 흙의 수분상태를 수신하고 수신한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흙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검출부는, 상기 흙에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흙의 수분상태에 따른 전류가 흐르는 2개의 수분 검출봉과, 상기 2개의 수분 검출봉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전류에 따른 전압강하가 발생되는 수분 검출용 저항과, 상기 흙의 수분상태를 상기 수분 공급부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의 양단 전압으로 상기 흙의 수분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수분상태를 상기 송신부가 상기 수분 공급부로 전송하게 제어하는 수분측정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는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가 판단한 흙의 수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는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가 흙의 수분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압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는 외부의 광이 입사됨에 따라 전력을 발생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가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수분 검출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수분 검출부가 검출한 흙의 수분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와, 상기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관수장치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관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흙의 수분상태가 매우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 따르면,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른 전압 값을 미리 설정하여 두고, 설정한 전압 값에 따라 관수장치를 동작시켜 수분을 공급하므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의 상태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며, 일부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서 수분 검출부의 외관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서 수분 검출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서 수분 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서 수분 검출부의 외관 구성을 예로 들어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분 검출부의 본체이다. 상기 본체(100)에는 상면에는 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발생하는 태양전지(110)와, 화분의 수분 상태를 표시하는 복수 개의 수분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수분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120)는 예를 들면, 수분이 양호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녹색 발광 다이오드(121), 수분이 부족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황색 발광 다이오드(123) 및 수분이 매우 부족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분이 매우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 사용자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하여 수분이 매우 부족한 상태임을 표시하기 위한 적색 발광 다이오드(125)를 점멸 표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3개의 발광 다이오드(121, 123, 125)를 사용하여 수분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색상의 변경이 가능한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표시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화분의 수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수분 검출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0)의 저면에는 화분의 수분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2개의 수분 검출봉(130; 131, 133)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수분 검출부를 사용할 경우에 소정의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 등에 충진되어 있는 흙에, 본체(100)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태양전지(110)는 외부의 광이 입사될 경우에 동작전력을 발생하여 수분 검출부가 정상으로 동작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검출회로는 상기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의 사이로 흐르는 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흙의 수분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수분 상태에 따라 3개의 발광 다이오드(121, 123, 125)를 선택적으로 점등시켜 상기 흙의 수분상태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검출한 수분 상태가 매우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 상기 수분 검출회로는 수분이 매우 부족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125)를 점멸시켜 표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서 본체(10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수분 검출회로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태양전지(110)와,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과, 배터리(140)와, 수분 검출용 저항(150), 표시부(160)와, 송신부(170)와, 수분측정 제어부(180)와, 입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설치되고, 외부의 광이 입사됨에 따라 동작전력을 발생한다.
상기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은, 화분에 수용된 흙에 삽입되고 플러스 전압(+) 및 마이너스 전압(-)이 각기 인가되어 흙의 수분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배터리(140)는 상기 태양전지(110)가 발생하는 동작전력을 충전하고 충전한 동작전력을 수분 검출회로의 각 부위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140)는 충전전력을 상기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과, 상기 표시부(160)와, 상기 송신부(170)와,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와, 상기 입력부(190)들 각각에 동작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150)은 상기 수분 검출봉(133)와 상기 마이너스 전압(-)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흙의 수분 상태에 따라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150)이 상기 마이너스 전압(-)과 상기 수분 검출봉(133)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플러스 전압(+)과 상기 수분 검출봉(131)의 사이에 구비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상기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121, 123, 125)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수분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송신부(170)는 검출한 수분상태를 외부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170)는 수분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분상태를 무선으로 전송할 경우에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적용되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서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통신 및 ZigBee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는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150)의 양단 전압으로 수분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수분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송신부(170)를 제어하여 수분상태를 외부로 전송한다.
상기 입력부(190)는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가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150)의 양단 전압으로 판단하기 위한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의 값을 설정한다. 즉, 선인장이나, 야채 및 화초 등의 식물에 따라 필요로 하는 수분은 서로 상이한 것으로서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150)의 양단 전압에 따른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값을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90)를 통해 설정하여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분 검출회로는 태양전지(110)가 외부의 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발생하고, 발생한 전력은 배터리(140)에 충전된 후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 표시부(160), 송신부(170), 수분측정 제어부(180) 및 입력부(190)들 각각에 동작전력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입력부(190)를 조작하여 수분측정 제어부(180)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값을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른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값을 직접 입력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수분측정 제어부(18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에, 각종 식물에 따른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값을 미리 룩업 테이블로 저장하여 둔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부(190)를 조작하여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를 입력하고,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부(190)로부터 입력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른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값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사용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을 해당 식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화분의 흙에 삽입한다.
그러면, 2개의 수분 검출봉(131, 133)의 사이에는 흙의 수분 상태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되고, 흐르는 전류의 세기에 따라 수분 검출용 저항(150)에서 전압강하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는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150)의 양단 전압을 입력하고, 입력한 전압을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및 수분 매우 부족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전압 값과 비교하여 흙의 수분상태를 판단한다.
상기 흙의 수분상태가 판단되면,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는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흙의 수분상태를 표시한다. 즉,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는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수분 양호 상태일 경우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121)를 점등시키고, 수분이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 황색 발광 다이오드(123)를 점등시키며, 수분이 매우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 적색 발광 다이오드(125)를 점등시킨다.
이 때, 수분이 매우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경각심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160)가 상기 적색 발광 다이오드(125)를 점멸시키는 것을 반복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180)는 상기 판단한 흙의 수분상태가 수분 양호 상태, 수분 부족 상태 또는 수분 매우 부족 상태임을 송신부(17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수분공급장치에서 수분 공급부의 구성을 보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수분 공급부는 수신부(200)와, 관수장치(210)와, 수분공급 제어부(220)와, 경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00)는 상기 송신부(170)가 송신하는 흙의 수분상태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200)는 상기 송신부(170)와 마찬가지로 흙의 수분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분상태를 무선으로 수신할 경우에 근거리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모듈에 적용되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서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통신 및 지그비(ZigBee) 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관수장치(210)는 소정의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 등으로 물을 공급한다.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220)는 상기 수신부(200)가 수신하는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관수장치(210)를 제어하여 소정의 식물을 재배하는 화분 등으로 물을 공급하게 한다.
상기 경보부(230)는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경보부(230)는 경보음 또는 경보램프 등을 동작시켜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분 공급부는 송신부(170)가 송신하는 흙의 수분상태를 수신부(200)가 수신하여 수분공급 제어부(220)에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220)는 흙의 수분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관수장치(210)를 제어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로 수분을 공급한다.
즉, 수신부(200)가 수신하는 흙의 수분상태가 수분 양호 상태일 경우에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220)는 상기 관수장치(210)를 정지시켜 수분이 공급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수신부(200)가 수신하는 흙의 수분상태가 수분 부족 상태일 경우에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220)는 상기 관수장치(210)를 동작시켜 수분이 공급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부(200)가 수신하는 흙의 수분상태가 매우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관수장치(210)에 이상이 발생하여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로서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220)는 경보부(230)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발생한 경보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본체 110 : 태양전지
120 : 수분 표시용 발광 다이오드 130 : 수분 검출봉
140 : 배터리 150 : 수분 검출용 저항
150 : 배터리 160 : 표시부
170 : 송신부 180 : 수분측정 제어부
190 : 입력부 200 : 수신부
210 : 관수장치 220 : 수분공급 제어부
230 : 경보부

Claims (7)

  1. 화분에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심어진 흙의 수분상태를 검출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수분 검출부; 및
    상기 수분 검출부가 검출한 흙의 수분상태를 무선으로 수신하고 수신한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흙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 검출부는,
    상기 흙에 삽입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흙의 수분상태에 따른 전류가 흐르는 2개의 수분 검출봉;
    상기 2개의 수분 검출봉 중 하나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전류에 따른 전압강하가 발생되는 수분 검출용 저항;
    상기 흙의 수분상태를 상기 수분 공급부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부;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의 양단 전압으로 상기 흙의 수분상태를 판단하고 판단한 수분상태를 상기 송신부가 상기 수분 공급부로 전송하게 제어하는 수분측정 제어부;
    상기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와 각종 식물에 따라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별 전압 값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가 판단한 흙의 수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측정 제어부는 내장된 메모리에 각종 식물에 따라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별 전압 값을 미리 룩업 테이블로 저장하고, 상기 수분 검출용 저항의 양단 전압이 검출될 때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식물의 종류에 따라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상기 흙의 수분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수분상태를 상기 수분 공급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점등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색을 다르게 표시하는 자동수분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검출부는
    외부의 광이 입사됨에 따라 전력을 발생하는 태양전지; 및
    상기 태양전지가 발생하는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수분 검출부에 동작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분 검출부는 내부에 상기 배터리와 수분 검출회로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태양전지와 복수 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되며, 하부면에 수분 검출봉이 돌출되는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자동수분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공급부는;
    상기 수분 검출부가 검출한 흙의 수분상태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
    상기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관수장치; 및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흙의 수분상태에 따라 상기 관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흙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수분공급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흙의 수분상태가 부족한 상태일 경우에 상기 수분공급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20140056555A 2014-05-12 2014-05-12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168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55A KR101687753B1 (ko) 2014-05-12 2014-05-12 자동수분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55A KR101687753B1 (ko) 2014-05-12 2014-05-12 자동수분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497A KR20150129497A (ko) 2015-11-20
KR101687753B1 true KR101687753B1 (ko) 2016-12-19

Family

ID=5484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555A KR101687753B1 (ko) 2014-05-12 2014-05-12 자동수분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92812B (zh) * 2017-06-15 2019-09-13 南京肯铎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判定旱作作物缺水状态的方法及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94Y1 (ko) * 2000-04-12 2000-09-01 오새룬터 무인 수분 감지 자동 급수기
JP2002253067A (ja) * 2001-03-01 2002-09-10 Mitsuharu Komada 環境対応給水器
JP2004180654A (ja) 2002-11-30 2004-07-02 Fujikawa Koei:Kk 植木鉢自動給水器
JP2013102712A (ja) * 2011-11-11 2013-05-30 Masaru Suzuki 潅水自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233Y1 (ko) 1999-02-22 2001-09-13 이상배 가습을 겸한 급수화분
KR200257503Y1 (ko) 2001-09-21 2001-12-29 이수건 자연 급수식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294Y1 (ko) * 2000-04-12 2000-09-01 오새룬터 무인 수분 감지 자동 급수기
JP2002253067A (ja) * 2001-03-01 2002-09-10 Mitsuharu Komada 環境対応給水器
JP2004180654A (ja) 2002-11-30 2004-07-02 Fujikawa Koei:Kk 植木鉢自動給水器
JP2013102712A (ja) * 2011-11-11 2013-05-30 Masaru Suzuki 潅水自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497A (ko) 201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350778U (zh) 一种多模式自动浇花装置
US20150305259A1 (en) Device for domestic hydroponic cultivation
KR101582389B1 (ko) 무선 제어 가능한 식물 재배 시스템
KR102033649B1 (ko)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CN104488586A (zh) 无人自控浇水花盆
CN102835273B (zh) 智能型土培植物生长栽培装置
KR101426036B1 (ko) 가정용 스마트 식물 재배장치
KR101752542B1 (ko) 스마트폰 기반 화분관리시스템
CN202759869U (zh) 智能花盆
CN109526459A (zh) 一种智能养护花盆及植物养护方法
KR101687753B1 (ko) 자동수분공급장치
KR101868743B1 (ko) 식생정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KR101335205B1 (ko) 무인 식물관리장치
KR20220116760A (ko)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CN204305693U (zh) 一种新型花盆
KR20100073700A (ko) 식물의 생장 환경 감지 및 감성 인터페이스가 내장된 애완 화분 장치
WO2019171144A1 (en) Smart portable pot system to maintain houseplants
KR102510320B1 (ko)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소형 화분 자동 급수 시스템
KR200490202Y1 (ko) 스마트 화분
KR20180062252A (ko)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KR20170088718A (ko) 화분용 물주기 알림장치
KR20080074826A (ko) 주, 야간별 화분용 토양수분측정장치
KR20180062845A (ko) 스마트 화분
CN104381038A (zh) 一种新型自动浇水花盆
CN213463056U (zh) 一种植物生长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