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760A -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760A
KR20220116760A KR1020210020008A KR20210020008A KR20220116760A KR 20220116760 A KR20220116760 A KR 20220116760A KR 1020210020008 A KR1020210020008 A KR 1020210020008A KR 20210020008 A KR20210020008 A KR 20210020008A KR 20220116760 A KR20220116760 A KR 2022011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flowerpot
information
plants
ardu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찬
김민기
유찬혁
장세빈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6760A/ko
Publication of KR2022011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7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8Mechanical apparatus for circul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ket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최적의 환경 조건에서 재배할 수 있도록 온도, 습도, 토양습도, 광량에 대한 최적조건의 재배 환경 정보를 식물들의 종류별로 입력한 아두이노를 사용자 단말기와 연계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두이노에 입력된 정보는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스마트 화분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전원이 단전된 후 새로이 인가되더라도 사전에 입력된 식물들의 재배 환경 정보에 의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 습도, 토양습도, 광량에 대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그리고 화분의 토양 내에서 증발하는 수분이 가습기의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화분 자체의 led 조명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비가 오는 날은 화분 케이스 내에 시각적으로 비가 내리는 상태가 실감나도록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날씨가 맑은 날은 led 조명을 밝게 표현하여 잇테리어의 감각이 돋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ITerior smart potted plant and pot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식물이 최적의 환경 조건에서 재배될 수 있도록 온도, 습도, 토양습도 및 광량 등의 최적 데이터 정보를 입력한 아두이노를 화분의 하부 몸체에 내장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날씨 상태에 따라 화분 자체의 led 조명 효과를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종래의 인테리어용 화분은 실내를 아름답게 장식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화분으로 주로 다양한 색상으로 채색한 컬러 화분이나, 또는 외면에 다양한 문양을 새기거나 또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화분들이 시중에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으며 특허도 출원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알려진 식물뿌리 관찰용 투명 인테리어 화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서, 화분의 가운데만 잘라낸 단면모습으로 앞 뒷면의 벽면이 투명한 소재를 사용한 화분으로 식물 뿌리의 성장하는 모습을 언제든지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뿌리 관찰용 투명 인테리어 화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에 알려진 다단분리형 인테리어 화분 겸 가습기는 다단분리형 인테리어 화분 겸 가습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서, 물을 저장하는 수조부(10)와 물을 분무하는 분무 발생부(20)와 토양수납부(30)와 인큐베이터부(40) 및 상기 수조부(10), 토양수납부(30) 및 인큐베이터부(40)의 각각 외주면을 상하로 서로 연결하는 체결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실내에 설치할 때 실내장식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화분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에 알려진 바와 같은 종래의 화분들은 장식적인 면에서 단조로운 인테리어의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식물들을 최적의 조건에 재배하기에는 부적합한 화분들이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테리어용 화분들과는 달리 최적의 조건으로 손쉽게 식물을 재배함과 아울러 화분의 투명 케이스에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화분 자체의 조명효과를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 잇테리어(ITerior) 스마트 화분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4613호(2012.08.27. 공개) 식물뿌리 관찰용 투명 인테리어 화분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27773호(2008.05.07. 공고) 다단분리형 인테리어 화분 겸 가습기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발명으로, 아두이노에 입력된 정보는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스마트 화분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전원이 단전된 후 새로이 인가되더라도 사전에 입력된 식물들의 재배 환경 정보에 의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 습도, 토양습도, 광량에 대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분의 토양 내에서 증발하는 수분이 가습기의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화분 자체의 led 조명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비가 오는 날은 화분 케이스 내에 시각적으로 비가 내리는 상태가 실감나도록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날씨가 맑은 날은 led 조명을 밝게 표현하여 잇테리어의 감각이 돋보이도록 한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환형 구조의 돌기(111)와 외벽(112) 사이에 수조(W)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11)의 내부공간에 아두이노(500)와 워터펌프(114)가 장착되는 하부 몸체(110); 상기 하부 몸체의 돌기(111)의 단면과 대응되게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돌기(121)가 상기 하부 몸체의 돌기(111)에 형성된 단턱(115)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의 내부 케이스(120); 상기 하부 몸체의 외벽(112)의 단면과 대응되게 하부 면이 상기 외벽(112)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단턱(116)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의 외부 케이스(130); 상부에 환형 구조의 가림 벽(141)이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 내에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이 배치되고, 적절한 위치에 팬(144)과 온습도센서(145), 조도센서(146) 및 복수 개의 led(147)가 장착된 상부 몸체(140); 및, 공기 또는 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통기공(151)이 중앙부에 형성된 덮개(150);를 포함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을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아두이노에 의해 식물의 최적 환경에서의 재배와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led 조명을 표현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100); 스마트 화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아두이노에 식물의 재배정보 및 led 조명 정보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100)과 다이렉트 통신의 수행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200); 기상 정보가 입력된 DB(300a)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을 통해 기상 정보를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에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300); 및 상기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100)과 사용자 단말기(200) 및 기상청 서버(300)와의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400);을 포함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을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을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두이노(500)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최적의 환경 조건에서 재배되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최적 조건의 식물 재배 환경 정보를 식물들의 종류별로 입력되고, 상기에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재배할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단전이 되더라도 아두이노(500)의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20)는 하부에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충진되고, 상기 토양 내부에 토양습도센서(161) 및 가습기(162)가 매립되며, 상기 수조(W)는 내부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환형 구조로서, 상기 물은 워터펌프(114)에 의해 제1 이송관(117a)을 거쳐 상부 몸체(140)에 구비된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에 형성된 분사공(148)을 통해 내부 케이스(120)와 외부 케이스(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분사되거나, 또는 상기 물은 워터펌프(114)에 의해 제2 이송관(117b)을 거쳐 상부로 이송되어 내부 케이스(120) 내부의 토양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40) 내에 장착된 복수 개의 led(147)는 사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외부의 날씨에 따라 특정된 조명 색상으로 다양하게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은 아두이노에 입력된 정보는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스마트 화분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전원이 단전된 후 새로이 인가되더라도 사전에 입력된 식물들의 재배 환경 정보에 의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 습도, 토양습도, 광량에 대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분의 토양 내에서 증발하는 수분이 가습기의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화분 자체의 led 조명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비가 오는 날은 화분 케이스 내에 시각적으로 비가 내리는 상태가 실감나도록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날씨가 맑은 날은 led 조명을 밝게 표현하여 잇테리어의 감각이 돋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인테리어용 화분을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의 하부 몸체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의 상부 몸체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에 적용하는 아두이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을 운용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을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한 상태를 찍은 사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을 운용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발췌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의 하부 몸체의 평면과 상부 몸체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이 분리된 상태와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이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은 인테리어용 스마트 화분에 IT 기술을 접목한 화분으로 잇테리어((ITerior) 스마트 화분이라 명명하며, 상기 잇테리어((ITerior) 스마트 화분(100)(이하, '스마트 화분'이라 한다.)은 하부 몸체(110), 내부 케이스(120), 외부 케이스(130), 상부 몸체(140) 및 덮개(150)를 포함한다.
하부 몸체(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환형 구조의 돌기(111)와 외벽(112) 사이에 수조(W)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11)의 내부공간에 아두이노(500)와 워터펌프(114)가 장착된다.
수조(W)에는 외벽(112)에 형성된 물 주입구(119)를 통해 주입된 물에 의해 적정량의 높이로 채워질 수 있도록 한다.
아두이노(500)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최적의 환경 조건에서 재배되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최적 조건의 식물 재배 환경 정보를 식물들의 종류별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재배할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단전이 되더라도 아두이노(500)의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어진다.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구동은 도 13(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마다 날씨를 설정해야 하며 따라서 스마트 화분을 배치하고자 하는 지역의 위치에 적합한 xml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시 군 구 동의 정보를 입력 후 아두이노(500)에 전송한다.
또한,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화분(100)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을 선정한 다음 선정된 식물에 적합한 온도, 습도, 조명, 흙 상태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기(200)인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습득하고, 이 습득된 정보를 아두이노로 전송한다. 이때 아두이노에 입력된 정보는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스마트 화분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전원이 단전된 후 새로이 인가되더라도 사전에 입력된 식물들의 재배 환경 정보에 의해 스마트 화분(100)의 식물 재배 환경이 조성되어진다.
또한, 도 1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화분(100)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환경 조건 및 날씨에 따라 led 조명의 색상 및 깜박거림 동작 등을 설정하여 스마트 화분에 다양하세 표현함으로써, 잇테리어의 감각이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두이노(5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인테페이스부(510), 저장부(520), 제어부(530) 및 화분 환경조절부(540)를 포함한다.
통신 인테페이스부(510)는 스마트 화분(100) 내에서 식물 재배의 최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온습도 및 조도의 조절을 수행하기 위하여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이나 광역대 통신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 상에는 스마트 화분(100) 내의 온습도 및 조도 환경 정보를 입력하고, 환경 조건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이 표시된다.
저장부(520)는 제어부(53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 화분(100)이 배치되는 소재지의 위치 정보와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의 최적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온습도, 토양습도, 광량에 대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상기 저장부(520)에 입력된 각종 정보를 제어하고, 화분 환경조절부(540)를 통해 스마트 화분(100) 내에서 식물이 최적의 조건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온습도, 토양습도에 대한 환경이 제어되고,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광량이 제어에 의해 led 조명효과를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530)는 도 10의 스마트 화분(100)의 아두이노(50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10), 저장부(520) 및 화분 환경처리부(540) 등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10)는 스마트 화분(100)의 온습도 및 조도의 환경 상태를 감지하고 아래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감지 결과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분 환경조절부(540)는 온습도센서(145), 조도센서(146) 및 토양습도센서(161) 등을 통해 스마트 화분(100) 내의 온습도, 조도 등의 환경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마트 화분(100)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기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100)에서 온습도 조절은 온습도센서(145)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팬(144)과 led(147) 및 가습기(162)을 이용하여 화분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제어한다.
내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몸체의 돌기(111)의 단면과 대응되게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돌기(121)가 상기 하부 몸체의 돌기(111)에 형성된 단턱(115)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이다.
그리고 내부 케이스(120) 내부에는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충진되며, 토양 내에 매립된 토양습도센서(161)와 토양 내에 습기를 방출하는 면이 드러나도록 일부만 매립된 가습기(162)가 구비되어진다.
토양습도 제어는 토양 내에 매립된 토양습도센서(161)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워터펌프(114)를 제어하며, 토양습도센서(161)와 가습기(162)는 방수를 위해 별도의 아두이노(도면에는 미도시)를 사용하였다. 무선충전기로 전원을 공급이 가능하며 무선(블루투스)으로 데이터 수신 후 제어하였다.
외부 케이스(130)는 상기 하부 몸체의 외벽(112)의 단면과 대응되게 하부 면이 상기 외벽(112)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단턱(116)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이다.
상기 내부 케이스(120)와 외부 케이스(130)는 하부 몸체(110)에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 장착되며, 빈 공간(S)이 형성되고, 상부 몸체(140)에 구비된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으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상기 공간(S) 사이로 흘러내리면서 비가 오는 것느낌을 시각적으로 실감할 수 있게 한다.
상부 몸체(140)는 상부에 환형 구조의 가림 벽(141)이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 내에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이 배치되고, 적절한 위치에 팬(144)과 온습도센서(145) 및 복수 개의 led(147)가 장착되고, 상기 가림 벽(141)의 외부에 조도센서(146)가 장착된다.
온습도센서(145)는 스마트 화분(100) 내부의 온습도를 감지한 정보를 아두이노(500)로 전송하여 온습도를 제어하고, 조도센서(146)에 의해 스마트 화분(10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led(147) 조명에 의해 스마트 화분(100) 내부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몸체의 가림 벽(141)은 상부 면의 일측에 수동기능부여 버튼(149)인 수분 공급 버튼(149a) 및 날씨 알림 버튼(149b)이 구비된다.
상기 수동기능부여 버튼(149)은 평상시에는 스위치 오프 동작이 유지되는 상태로 수동 조작이 되지 아니하므로 스마트 화분(100)는 내부 환경이 자동적으로 제어되며, 수동기능부여 버튼(149)을 스위치 온 동작으로 켜면 스마트 화분(100)는 내부 환경이 수동적으로 작동되어 수분 공급 및 날씨 알림 동작이 수동으로 구현하게 된다.
수분 공급 버튼(149a)은 자동으로 수분을 공급하면 사용자가 실물에 대한 관심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화분에 물을 줄 수 있도록 상부 몸체(140)의 가림 벽(141) 상단에 버튼을 배치하였다.
날씨 알림 버튼(149b)은 사용자 단말기(200)인 스마트폰을 통해 날씨의 시각화 제어를 실행할 수 있지만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식물에 관심을 높일 수 있도록 날씨 알림 버튼을 상부 몸체의 가림 벽(141) 상단에 배치하였다.
덮개(150)는 공기 또는 습기의 유통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통기공(151)이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151)은 스마트 화분(100) 내부의 온습도를 조절시 내부의 공기나 또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내부 케이스(120)는 하부에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충진되고, 상기 토양 내부에 토양습도센서(161) 및 가습기(162)가 매립되며, 상기 수조(W)는 내부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환형 구조로서, 상기 물은 워터펌프(114)에 의해 제1 이송관(117a)을 거쳐 상부 몸체(140)에 구비된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에 형성된 분사공(148)을 통해 내부 케이스(120)와 외부 케이스(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분사되거나, 또는 상기 물은 워터펌프(114)에 의해 제2 이송관(117b)을 거쳐 상부로 이송되어 내부 케이스(120) 내부의 토양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이송관(117a) 및 제2 이송관(117b)은 하부 몸체(110)의 일측에 수직으로 결합된 중공 구조의 이송관 보호부재(118)의 내부를 통해 상부 몸체(140) 방향으로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140) 내에 장착된 복수 개의 led(147)는 사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외부의 날씨에 따라 특정된 조명 색상으로 다양하게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100)의 조도센서(146)를 활용한 스마트 led 조명 조절에 대하여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인 도 12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을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한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도 12의 (a)는 날씨가 맑은 날에 스마트 led 조명을 켜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스마트 화분이다. 일반적으로 취침 전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모든 불을 소등하며, 이때 도 12의 (b), (c)에서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스마트 화분의 led 등이 켜질 수 있는 기능을 조도센서(146)와 led(147)를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조도센서(146)와 연동하여 하루 일조량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도 12의 (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led 조명을 켜서 식물에 적합한 일조량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마트 화분(100)은 인터넷 환경과 연동하여 기상청에서 기상 정보를 받아오고 해당 정보를 사용자가 원할 때 스마트폰 디스플레이가 아닌 화분 자체의 조명효과 등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스마트 화분(100) 내의 토양의 습도 조절은 토양습도센서(161의) 데이터를 일정 시간에 1 번씩 획득하여 토양이 건조한 경우에는 도 1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140)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에 장착된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물을 화분 내에 분사하여 토양의 습도를 높이는 작용을 한다. 이때 미리 입력된 조명 정보에 의해 청색의 led 조명이 깜박이면서 커지는 동작이 반복된다. 상기 조명의 색상 선택 및 깜박거림 정도는 제조자의 필요나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 질 수 있다.
스마트 화분(100) 내의 온습도 조절은 온도가 설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led를 최대 밝기로 동작하여 열을 발생시켜 내부 온도를 올려서 설정 값으로 유지시키고, 온도가 설정 값 이상일 경우 냉각 팬을 작동시켜 화분 안을 온도를 떨어트려 내부 온도를 유지시킨다. 도 12(e)에 도시된 사진은 스마트 화분(100) 내의 온도가 낮을 시 led 조명을 켜서 스마트 화분(100) 내의 온도를 높이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스마트 화분(100) 내에서 습도가 설정 값 이하로 떨어지면 상부 면이 토양의 면에 돌출되게 매립된 가습기(162)가 작동하여 습도를 올려주며, 습도가 설정 값 이상일 경우 팬(144)이 작동하여 습기를 덮개(15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기공(151)을 통해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스마트 화분 내의 습도를 내려주게 된다.
날씨를 시각화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는 와이파이 정보 받기에 의해 기상청 날씨 정보를 획득하여 아두이노(500)에 저장한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날씨 정보를 led(147), 워터펌프(114)를 이용해 스마트 화분(100)을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날씨 정보의 시각화에 대한 예를 들면 아래 [표 1]에 기재된 내용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날씨 정보의 시각화는 아래 [표 1]에 열거된 내용에만 반드시 한정되지 아니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비오는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물의 정체에 의한 수질오염을 에방할 수 있고, 네오픽셀 led 색상을 제조자의 필요나 또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임의로 설정하여 실내 분위기 변화가 가능하다.
날씨 상태 스마트 화분 환경 조성
맑음 맑은 led조명(주황색)
구름 조금 맑은 led조명(주황색) + 가습기에서 습기 발생
구름 많음과 흐림 led조명(보라색) + 가습기에서 습기 발생
흐리고 비옴 노즐을 통한 분사에 의해 비 오는 것을 시각화
도 12(d)에 도시된 사진은 날씨가 비오는 날로서, 사전에 스마트 화분(100)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상부 몸체(140)의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된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에 장착된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내부 케이스(120)와 외부 케이스(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 내에 물을 분사함으로서, 비 오는 것을 시각화함과 동시에 사전에 입력된 정보의 색상에 따라 led 조명이 켜지거나 또는 깜박이는 동작이 반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을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화분(100), 사용자 단말기(200), 기상청 서버(300) 및 통신망(40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통신망(400)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스마트 화분(100)과 사용자 단말기(200)가 다이렉트 통신(예: P2P 통신)을 수행하거나, 스마트 화분(1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40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스마트 화분(100)은 아두이노에 의해 식물의 최적 환경에서의 재배와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led 조명을 표현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 화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아두이노에 식물의 재배정보 및 led 조명 정보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스마트 화분(100)과 다이렉트 통신의 수행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기상청 서버(300)는 기상 정보가 입력된 DB(300a)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망(400)을 통해 기상 정보를 스마트 화분(100)에 제공한다.
통신망(400)은 상기 스마트 화분(100)과 사용자 단말기(200) 및 기상청 서버(300)와의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40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4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향후 구현될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기(200)를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IrDA),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은 아두이노에 입력된 정보는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스마트 화분에서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전원이 단전된 후 새로이 인가되더라도 사전에 입력된 식물들의 재배 환경 정보에 의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 습도, 토양습도, 광량에 대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분의 토양 내에서 증발하는 수분이 가습기의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기상정보와 연계하여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화분 자체의 led 조명 효과를 다양하게 표현하고, 비가 오는 날은 화분 케이스 내에 시각적으로 비가 내리는 상태가 실감나도록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하고, 날씨가 맑은 날은 led 조명을 밝게 표현하여 잇테리어의 감각이 돋보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스마트 화분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기상청 서버 400 : 통신망
500 : 아두이노
110 : 하부 몸체 111 : 돌기
112 : 외벽 114 : 워터펌프
115 : 단턱 116 : 단턱
117a : 제1 이송관 117b : 제2 이송관
118 : 이송관 보호케이스 119 : 물 주입구
120 : 내부 케이스 121 : 돌기
130 : 외부 케이스
140 : 상부 몸체 141 : 가림 벽
142 : 관통공 143 : 물 분사관
144 : 팬 145 : 온습도센서
146 : 조도센서 147 : led
148 : 분사공 149 : 수동기능부여 버튼
149a : 수분 공급 버튼 149b : 날씨 알림 버튼
150 : 덮개 151 : 통기공
161 : 토양습도센서 162 : 가습기.
W : 수조 S : 공간

Claims (6)

  1.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돌출된 환형 구조의 돌기(111)와 외벽(112) 사이에 수조(W)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11)의 내부공간에 아두이노(500)와 워터펌프(114)가 장착되는 하부 몸체(110);
    상기 하부 몸체의 돌기(111)의 단면과 대응되게 바닥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돌출된 돌기(121)가 상기 하부 몸체의 돌기(111)에 형성된 단턱(115)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의 내부 케이스(120);
    상기 하부 몸체의 외벽(112)의 단면과 대응되게 하부 면이 상기 외벽(112)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단턱(116)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원통형 구조의 외부 케이스(130);
    상부에 환형 구조의 가림 벽(141)이 형성되도록 중앙부에 관통공(142)이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 내에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이 배치되고, 적절한 위치에 팬(144)과 온습도센서(145), 조도센서(146) 및 복수 개의 led(147)가 장착된 상부 몸체(140); 및,
    공기 또는 습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통기공(151)이 중앙부에 형성된 덮개(150);
    를 포함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두이노(500)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들을 최적의 환경 조건에서 재배되도록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최적 조건의 식물 재배 환경 정보를 식물들의 종류별로 입력되고,
    상기에서 입력된 정보에 의해 재배할 식물의 종류가 바뀌거나 또는 단전이 되더라도 아두이노(500)의 아이프롬(eeprom)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정보에 의해 식물의 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이 제공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120)는 하부에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토양이 충진되고,
    상기 토양 내부에 토양습도센서(161) 및 가습기(162)가 매립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W)는 내부에 적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환형 구조로서,
    상기 물은 워터펌프(114)에 의해 제1 이송관(117a)을 거쳐 상부 몸체(140)에 구비된 환형 구조의 물 분사관(143)에 형성된 분사공(148)을 통해 내부 케이스(120)와 외부 케이스(130)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분사되거나,
    또는 상기 물은 워터펌프(114)에 의해 제2 이송관(117b)을 거쳐 상부로 이송되어 내부 케이스(120) 내부의 토양에 공급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140) 내에 장착된 복수 개의 led(147)는 사전에 사용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의해 외부의 날씨에 따라 특정된 조명 색상으로 다양하게 변화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6. 아두이노에 의해 식물의 최적 환경에서의 재배와 외부의 날씨 상태에 따라 시각적으로 다양한 색상의 led 조명을 표현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100);
    스마트 화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아두이노에 식물의 재배정보 및 led 조명 정보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100)과 다이렉트 통신의 수행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200);
    기상 정보가 입력된 DB(300a)로부터 네트워크에 의한 통신을 통해 기상 정보를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에 제공하는 기상청 서버(300); 및
    상기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100)과 사용자 단말기(200) 및 기상청 서버(300)와의 네트워크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통신망(400);
    을 포함하는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을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KR1020210020008A 2021-02-15 2021-02-15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KR202201167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08A KR20220116760A (ko) 2021-02-15 2021-02-15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08A KR20220116760A (ko) 2021-02-15 2021-02-15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760A true KR20220116760A (ko) 2022-08-23

Family

ID=8309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008A KR20220116760A (ko) 2021-02-15 2021-02-15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67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17B1 (ko) * 2022-09-30 2023-07-05 주식회사 인자락 실내 자연생태 장식장
KR102652801B1 (ko) * 2023-11-23 2024-03-29 (주)라이브스케이프 공간 인테리어용 스마트 실내 정원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73B1 (ko) 2007-10-24 2008-05-07 박성국 다단분리형 인테리어 화분 겸 가습기
KR20120094613A (ko) 2011-02-17 2012-08-27 조재연 식물뿌리 관찰용 투명 인테리어 화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73B1 (ko) 2007-10-24 2008-05-07 박성국 다단분리형 인테리어 화분 겸 가습기
KR20120094613A (ko) 2011-02-17 2012-08-27 조재연 식물뿌리 관찰용 투명 인테리어 화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017B1 (ko) * 2022-09-30 2023-07-05 주식회사 인자락 실내 자연생태 장식장
KR102652801B1 (ko) * 2023-11-23 2024-03-29 (주)라이브스케이프 공간 인테리어용 스마트 실내 정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70907B (zh) 绿色环保有机植物种植装置
JP6509839B2 (ja) 植物の成長を制御する方法
CN205052411U (zh) 一种多功能智能花盆
CN205161283U (zh) 一种智能种植机
KR101516732B1 (ko) 식물공장의 자동화를 위한 맞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104153A (zh) 基于物联网的室内植物智能培育装置和培育方法
KR20220116760A (ko) 잇테리어 스마트 화분 및 이를 이용한 화분 관리 시스템
CN103336517A (zh) 一种智能农业综合管理系统
CN102523991A (zh) 网络化智能植物生长系统
CN105867144A (zh) 家居型植物工厂、远程控制方法、控制器及控制系统
CA3041757A1 (en) Horticultural luminaire, horticultural light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rticultural lighting arrangement
CN105652928A (zh) 基于物联网技术的智能花架系统
CN108196463A (zh) 智能生态种植设备及控制系统
CN104584927A (zh) 家庭中使用的植物种植系统
CN109471473A (zh) 一种温室大棚智能控制系统
EP3918908A1 (en) Device for the cultivation of plants and/or mushrooms
KR101335205B1 (ko) 무인 식물관리장치
CN207908882U (zh) 智能生态种植设备及控制系统
Kumkhet et al. IoT-based Automatic Brightness and Soil Moisture Control System for Gerbera Smart Greenhouse
KR20170062784A (ko) 맞춤형 led 식물 재배장치
KR101735343B1 (ko) 식물재배장치
CN106171661B (zh) 智能小花园种植装置及种植方法
CN104536414A (zh) 一种交互式智能植物与鱼共养装置
KR20170022327A (ko) IoT 기술기반 신품종 동충하초의 다단형 재배장치
CN102550336A (zh) 生物生长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