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252A -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252A
KR20180062252A KR1020160162316A KR20160162316A KR20180062252A KR 20180062252 A KR20180062252 A KR 20180062252A KR 1020160162316 A KR1020160162316 A KR 1020160162316A KR 20160162316 A KR20160162316 A KR 20160162316A KR 20180062252 A KR20180062252 A KR 20180062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supply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1363B1 (ko
Inventor
박슬기
Original Assignee
블룸엔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룸엔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블룸엔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1363B1/ko
Priority to PCT/KR2017/009801 priority patent/WO2018101582A1/ko
Publication of KR20180062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1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1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7Water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은, 내부에 화초가 생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 가운데 적어도 일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 측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다수의 급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급수 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에는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INDOOR ORNAMENTAL FLOWER PLANTING SYSTEM}
본 발명은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화초를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시스템 상부에 물을 부어주고 작동시키면 일정량의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공기 순환을 통해 화초의 광합성을 돕고, 조명장치를 통해 화초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스트레스와 삭막한 도시 생활에서 위안을 얻고자 동식물을 기른다. 동물에 비해 식물을 키우는 노력과 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지만 식물이 잘 자라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관리하기는 쉽지 않다. 실내에서 식물을 키울 때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는 전통적 방법으로, 식물에 적절히 물을 주고 햇빛을 쬐어주어야 하며 통풍을 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부자재 사용 후 보관이 번거로우며 분갈이 시 지저분한 단점이 있다.
또 하나는 보조제품(ex. 실내수경재배기, 스마트 화분 등)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각종 부품과 부자재를 사용해야 하고 작동이나 조작 방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공장 설비와 같이 투박한 외관을 가지며 식물을 키우는 사람의 취향을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이나 부담스러운 조명 색상을 가지고 있다. 즉, 전통적 방법 또는 보조제품을 사용하는 방법은 식물을 키우는 데 있어서 어렵고, 불편하고 투박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동이 쉽고 편리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화초를 키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시스템 상부에 물을 부어주고 작동시키면 일정량의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며, 이와 동시에 공기 순환을 통해 화초의 광합성을 돕고, 조명장치를 통해 화초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은, 내부에 화초가 생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 가운데 적어도 일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다수의 급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급수 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에는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다수의 급수 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흐르는 물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터치형 전원 버튼과 엘이디 인디케이터(LED Indicator)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LED) 조명부;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화초의 광합성을 유도하는 송풍부; 및 상기 터치형 전원 버튼의 온/오프 구동을 위한 회로가 탑재되는 전원 피씨비(PC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상기 커버부로 급수 시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넘침 방지부는 적어도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넘침 방지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공급 플레이트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출입하는 공기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부로 급수 시 물이 상기 LED 조명부 및 상기 송풍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출입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홀이 다수 형성되는 송풍 플레이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 상단에는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가 형성되는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면이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부를 통해 급수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유입시키는 물탱크 급수홀이 다수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부 물탱크와 하부 물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켜서 상기 압축토양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초과된 물은 상기 상부 물탱크에서 상기 하부 물탱크로 흘러 내려가고, 상기 워터펌프는 주기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상부 물탱크로 물을 퍼올려 상기 상부 물탱크 내부의 수위를 기 설정된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상기 하부 물탱크 내부의 물의 양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내려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엘이디 인디케이터에 불이 들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일 측에는, 상기 물탱크 내부에 물이 꽉 찼을 때 남는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은, 화초가 생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 측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다수의 급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급수 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로 급수 시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를 통해 급수된 물이 유입되며, 화초가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물을 흡수하도록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넘침 방지부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커버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급수 홀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외주면 가운데 적어도 일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는,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LED) 조명부;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화초의 광합성을 유도하는 송풍부; 및 상기 터치형 전원 버튼의 온/오프 구동을 위한 회로가 탑재되는 전원 피씨비(PCB);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넘침 방지부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엘이디 조명부, 상기 송풍부 및 상기 전원 피씨비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탱크 상단에는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가 형성되는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탱크에 물을 채우고 씨앗과 압축토양을 넣은 후 엘이디 조명을 켜주는 간편한 동작 만으로 화초를 재배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를 통하여 물을 부어주는 한번의 동작으로 급수가 가능하고, 엘이디 조명의 수동 또는 자동 온/오프 제어를 통해 화초 생장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순환을 위한 송풍부가 구비되어, 바람이 화초에 불어, 화초의 활발한 광합성 작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상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내부를 절개하여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엘이디(LED) 조명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물탱크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물탱크 내부를 절개하여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을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측면", "예시"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 'exclusive or' 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 를 의미한다. 즉,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x가 a 또는 b를 이용한다' 라는 표현은 포함적인 자연 순열들(natural inclusive permutations)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a" 또는 "an")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또는 단수 형태에 관한 것이라고 문맥으로부터 명확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상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내부를 절개하여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엘이디(LED) 조명부를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은 본체부(10)와, 커버부(20)와, 넘침 방지부(30)와, 물탱크(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화초(P) 생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유리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 내부에는 화초(P)가 생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창은 화초(P)를 보호하고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창은 화초(P)를 보호하면서 후술될 엘이디 조명부(220)와 송풍부(230) 및 전원 피씨비(240)를 포함하는 부분을 지지하는 기둥 역할을 할 수 있다.
커버부(20)는 본체부(10)의 상 측에 구비되며, 본체부(10) 내부의 화초(P)로 물을 공급하도록 다수의 급수 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커버부(20)로 공급되는 물은 다수의 급수 홀(202) 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 될 수 있다.
커버부(20)는 적어도 일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21)와, 다수의 급수 홀(202)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가이드 플레이트(21)로부터 흐르는 물을 본체부(10)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 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에는 터치형 전원 버튼(210)이 구비될 수 있고, 가이드 플레이트(21)의 하부에는 엘이디(LED) 조명부(220)와, 송풍부(230) 및 전원 피씨비(PCB)(240)가 구비될 수 있다.
엘이디 조명부(220)는 화초(P)의 생장을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엘이디 조명부(220)는 다수의 엘이디 칩(222)으로 엘이디 피씨비(221)를 구성한 형태로서, 이 때 다수의 엘이디 칩(222)은 화초(P)의 생장에 필요한 660nm, 450nm 파장대를 강화하기 위하여 웜 화이트 칩(222a)과 쿨 화이트 칩(221b)를 섞어서 배치할 수 있다(도 4 참조).
또한, 엘이디 피씨비(221)는 FR-4(에폭시 레진이 함침된 유리 섬유가 여러 겹으로 쌓여있는 것으로서 치수 변화나 흡수성이 적고, 주파수 특성 및 열과 강도 가 타 재질에 비해 우수함. 또한,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재질임)에 동박을 두껍게 입혀 별도로 고가의 메탈 피씨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방열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엘이디 조명부(220)는 수동 제어 또는 후술될 스마트폰 앱(A)을 통해 자동으로 온/오프(ON/OFF) 제어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는 사용자가 물을 직접 붓는 곳임과 동시에, 시스템 작동을 위한 터치형 전원 버튼(210)이 구비될 수 있고, 시스템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엘이디 인디케이터(201)가 구비될 수 있다.
엘이디 인디케이터(201)는 후술될 물탱크(40)의 수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아질 경우 불이 켜지는 부분과, 엘이디 조명부(220)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불이 켜지거나 꺼지는 부분과, 후술될 스마트폰 앱(A)과의 블루투스 연결 상태에 따라 불이 켜지거나 꺼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230)는 본체부(1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화초(P)의 광합성을 유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송풍부(230)는 소형 팬(FAN) 장치가 내장되어 본체부(10) 내ㅇ외부 공기 순환과 화초(P)의 광합성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21)와 공급 플레이트(22)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출입하는 공기 출입홀(203)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송풍부(230) 하부에는 공기 출입홀(203)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본체부(10)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홀(232)이 다수 형성되는 송풍 플레이트(231)가 구비될 수 있다.
송풍부(230)가 작동되면, 커버부(20) 외부 공기를 본체부(10) 내부로 유입 시키기 위한 공기 출입홀(203)과 공급 플레이트(22)에 형성되는 급수 홀(202)이 분리되도록 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동안, 커버부(20)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엘이디 조명부(220) 및 송풍부(23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공급 플레이트(22)에는 커버부(20)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엘이디 조명부(220) 및 송풍부(23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204)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 피씨비(240)는 터치형 전원 버튼(210)의 온/오프 구동을 위한 회로가 탑재될 수 있다.
이 때, 전원 피씨비(240)는 터치형 전원 버튼(210)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전원 피씨비(2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211)이 연결될 수 있다. 케이블(211)은 일 측이 전원 피씨비(240)와 연결되고, 타 측이 후술될 물탱크(40)의 일 측에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때, 물탱크(40)와 케이블(211)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실링(2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공급 플레이트(22)의 외측에는 커버부(20)로 급수 시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공급 플레이트(22)로부터 넘침 방지부(30)까지의 높이가 공급 플레이트(22)로부터 가이드 플레이트(21)까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급수 시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넘침 방지부(30)는 일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한손으로 잡기 용이한 기능적인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물탱크 부분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물탱크 내부를 절개하여 바라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은 본체부(10)의 하부에 물탱크(40)가 구비될 수 있다.
물탱크(40)는 상부 물탱크(42)와 하부 물탱크(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부 물탱크(42)의 상단에는 화초(P)의 씨앗(S)이 심어지는 압축토양(J, Jiffy Pellet)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410)가 형성되는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41)가 결합될 수 있다.
종래 인공토양은 우레탄 스펀지를 사용하여 환경 오염의 우려가 있거나, 전용 소모품을 사용해야 하므로 가격이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소모품이나 부자재를 보관할 때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압축토양(J)은 토양의 삽입, 제거, 교체가 매우 편리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자연 분해되는 소재로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41)는 적어도 일 면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고, 커버부(20)를 통해 급수된 물을 물탱크(40) 내부로 유입시키는 물탱크 급수홀(411)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종래에는 물탱크(40)에 별도의 뚜껑이 있거나, 별도의 기구부를 설치한 형태로서 뚜껑 또는 기구부를 들어내고 급수를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물탱크(40)는 커버부(20)로 급수 시 물이 내부로 바로 저장되는 간편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물탱크(40)에는 저장된 물을 순환시켜서 압축토양(J)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펌프(430)와,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4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물탱크(42)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초과된 물은 상부 물탱크(42)에서 하부 물탱크(43)로 흘러 내려가고, 워터펌프(430)는 주기적으로 구동되어 상부 물탱크(42)로 물을 퍼올려 상부 물탱크(42) 내부의 수위를 기 설정된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다.
워터펌프(430)에 의해 하부 물탱크(43)에서 상부 물탱크로 물을 간헐적으로 계속 퍼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은 1시간에 1회, 1회당 1분의 시간 동안 퍼올려 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부 물탱크(43)의 수위가 5mm 이상 차오르면 상기 물은 하부 물탱크(43)로 떨어질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부 물탱크(43)에 수위센서(431)가 도시되었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부 물탱크(42)에도 별도의 수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위센서(431)에 의해 상부 물탱크(42)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레벨(ex. 상부 물탱크(42) 바닥으로부터 대략 5mm 높이)을 초과한 것으로 감지되면, 초과된 물은 상부 물탱크(42)에서 하부 물탱크(43) 측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제어될 수 있다.
반대로, 수위센서(431)에 의해 상부 물탱크(42)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감지되면, 워터펌프(430)가 구동되어 상부 물탱크(42)로 물을 퍼올려 상부 물탱크(42) 내부의 수위를 기 설정된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수위센서(431)에 의해 하부 물탱크(43) 내부의 물의 양이 기 설정된 레벨(ex. 대략 10% 미만) 이하로 내려간 것이 감지되면, 상술한 엘이디 인디케이터(201)에 불이 들어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워터펌프(430)는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간헐적으로 작동되어 상부 물탱크(42) 내부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41)에 형성되는 압축토양 수용부(410) 내부로 일정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압축토양 수용부(410)에는 다수의 압축토양 수용홀(412)이 형성되어 압축토양(J)이 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부 물탱크(42) 내부의 수위가 대략 5mm로 유지되는 동안, 압축토양(J)의 대략 4mm 정도가 물에 잠겨 물을 흡수할 수 있고, 물을 흡수한 압축토양(J)은 팽창되어 압축토양 수용부(410) 공간의 약 95%를 채울 수 있다.
따라서, 화초(P)가 생장하게 되면 뿌리가 압축토양(J)을 뚫고 나와 상부 물탱크(40) 내부로 뻗어 나올 수 있다.
또한, 물탱크(40)의 일 측에는 물탱크(40) 내부로 유입된 물이 꽉 찼을 때 남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홀(43)이 구비될 수 있다. 배출홀(43)은 평상시에는 송풍부(23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배출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하부 물탱크(40) 내부의 물이 꽉 찼을 때에는 배출홀(43)을 통해 남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을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은 스마트폰 앱(A)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A)을 통해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전체 온/오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A)을 이용하여 본체부(10) 내부 공간의 온도를 상시 체크하여 화초(P)가 생장하기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켜줄 수 있고, 엘이디 조명부(20)의 온/오프 제어를 통해 화초(P)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례로, 스마트폰 앱(A)을 통해 지정된 시간에 엘이디 조명부(20)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A)을 이용하여 물탱크(40)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431)에 의해 물의 수위를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고, 만약 물탱크(40) 내부 수위가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이를 모니터링하여 커버부(20)를 통해 물을 공급해 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 앱(A)은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셋톱 터미널(STTs, set-top terminals), 셋톱 박스(STBs, set-top boxes), 통신 터미널(communication terminal), PC, 이동통신단말기, 스마트폰, 노트패드, PDA, 태블릿 PC 와 같이 유무선 통신 모듈이 탑재된 전자 장치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과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은 종래 시스템 대비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우선, 사용자는 본체부(10) 하단에 구비된 물탱크(40)에 물을 채우고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41)를 덮고,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41)가 덮어진 상태에서 압축토양 수용부(410)로 압축토양(J)과 화초(P)의 씨앗(S)을 삽입하여 화초(P) 재배 준비를 간단히 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워터펌프(430)가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압축토양(J)으로 일정량의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커버부(20)의 가이드 플레이트(21)에 구비되는 엘이디 조명부(220) 작동 버튼을 터치하여 수동으로 온/오프 구동을 제어할 수 있고, 스마트폰 앱(A)을 이용하여 엘이디 조명부(220)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버부(20)를 통해 화초(P)에 간편하게 물을 급수할 수 있다. 급수되는 물은 공급 플레이트(22)에 형성되는 다수의 급수 홀(202)을 통해 본체부(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물은 본체부(10) 하단의 물탱크(40)로 바로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압축토양(J)과 화초(P)의 씨앗(S)만으로 간단히 재배가 가능하고, 압축토양(J)의 삽입,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 앱(A)을 통해 물탱크(40) 내부에 구비된 수위센서(431)가 물 부족을 감지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만약 물 부족을 감지하면 커버부(20)를 통해 물을 공급해줄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화초(P)의 생장 높이와 크기에 따라 본체부(10)를 형성하는 상기 유리창을 다양한 높이로 교체하여 줄 수 있어 화초(P) 생장에 필요한 공간 효율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10: 본체부
20: 커버부
21: 가이드 플레이트
22: 공급 플레이트
30: 넘침 방지부
40: 물탱크
41: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
201: 엘이디 인디케이터(LED Indicator)
210: 터치형 전원 버튼
220: 엘이디 조명부
230: 송풍부
240: 전원 피씨비(PCB)
410: 압축토양 수용부
411: 물탱크 급수홀
430: 워터펌프
431: 수위센서
432: 배출홀

Claims (17)

  1. 내부에 화초가 생장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외주면 가운데 적어도 일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다수의 급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급수 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를 포함하며,
    상기 물탱크에는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적어도 일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다수의 급수 홀이 형성되고, 적어도 일 면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로부터 흐르는 물을 상기 본체부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터치형 전원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LED) 조명부;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화초의 광합성을 유도하는 송풍부; 및
    상기 터치형 전원 버튼의 온/오프 구동을 위한 회로가 탑재되는 전원 피씨비(PCB);
    를 구비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플레이트의 외측에는, 상기 커버부로 급수 시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넘침 방지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넘침 방지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공급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공급 플레이트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출입하는 공기 출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부로 급수 시 물이 상기 엘이디 조명부 및 상기 송풍부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는 상기 공기 출입홀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공기 유입홀이 다수 형성되는 송풍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는 물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물탱크 상단에는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가 형성되는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 면이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에는 상기 커버부를 통해 급수된 물을 상기 물탱크로 유입시키는 물탱크 급수홀이 다수 형성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부 물탱크와 하부 물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는,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을 순환시켜서 상기 압축토양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는 워터펌프와,
    상기 물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구비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물탱크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레벨을 초과하면 초과된 물은 상기 상부 물탱크에서 상기 하부 물탱크로 흘러 내려가고,
    상기 워터펌프는 주기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상부 물탱크로 물을 퍼올려 상기 상부 물탱크 내부의 수위를 기 설정된 레벨로 유지시키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상기 하부 물탱크 내부의 물의 양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내려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엘이디 조명부에 불이 들어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일 측에는, 상기 물탱크 내부에 물이 꽉 찼을 때 남는 물을 배출하는 배출홀이 구비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4. 화초가 생장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구비되고, 물이 공급되는 다수의 급수 홀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급수 홀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가이드 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로 급수 시 물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넘침 방지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를 통해 급수된 물이 유입되며,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물을 흡수하도록 공급하는 물탱크;
    를 포함하고,
    상기 넘침 방지부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물이 공급되더라도 상기 커버부를 통해 상기 다수의 급수 홀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주면 가운데 적어도 일 부분이 투명하게 형성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는,
    화초의 생장을 촉진하는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엘이디(LED) 조명부;
    상기 본체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화초의 광합성을 유도하는 송풍부; 및
    상기 터치형 전원 버튼의 온/오프 구동을 위한 회로가 탑재되는 전원 피씨비(PCB);
    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넘침 방지부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물이 공급될 때 상기 엘이디 조명부, 상기 송풍부 및 상기 전원 피씨비 방향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 상단에는 화초의 씨앗이 심어지는 압축토양이 수용되는 압축토양 수용부가 형성되는 물탱크 커버 플레이트가 결합되는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KR1020160162316A 2016-11-30 2016-11-30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KR101911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316A KR101911363B1 (ko) 2016-11-30 2016-11-30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PCT/KR2017/009801 WO2018101582A1 (ko) 2016-11-30 2017-09-07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316A KR101911363B1 (ko) 2016-11-30 2016-11-30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252A true KR20180062252A (ko) 2018-06-08
KR101911363B1 KR101911363B1 (ko) 2018-12-28

Family

ID=6224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316A KR101911363B1 (ko) 2016-11-30 2016-11-30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1363B1 (ko)
WO (1) WO20181015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49A (ko) * 2019-03-07 2020-09-16 조병길 공기정화식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5415A (zh) * 2018-07-10 2018-09-28 何宜 一种自动花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03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멀티 수경 재배 장치
KR20140018572A (ko) * 2012-08-02 2014-02-13 김영삼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1419366B1 (ko) * 2013-03-18 2014-07-23 알팜주식회사 식물수경재배기
KR101522138B1 (ko) * 2014-02-12 2015-05-20 이주홍 전자식 식물재배기
KR20150066735A (ko) * 2013-12-09 2015-06-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3777A (ja) * 1996-05-31 1997-12-16 Pentel Kk 容器内に配置した観賞植物の搬送方法及びテラリウム
KR101327518B1 (ko) * 2011-04-19 2013-11-08 김주화 가정용 상황버섯 공중재배 포트
KR101372185B1 (ko) * 2012-03-30 2014-03-07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수경 재배 장치
KR101464507B1 (ko) * 2013-05-16 2014-11-24 주식회사 베델바이오테크 수분 공급재가 구비된 식물 재배 장치
CN105165449A (zh) * 2015-09-16 2015-12-23 浙江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智能花盆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3903A (ko) * 2011-06-01 2012-12-11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멀티 수경 재배 장치
KR20140018572A (ko) * 2012-08-02 2014-02-13 김영삼 실내용 수경재배장치
KR101419366B1 (ko) * 2013-03-18 2014-07-23 알팜주식회사 식물수경재배기
KR20150066735A (ko) * 2013-12-09 2015-06-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 장치
KR101522138B1 (ko) * 2014-02-12 2015-05-20 이주홍 전자식 식물재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249A (ko) * 2019-03-07 2020-09-16 조병길 공기정화식물을 이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82A1 (ko) 2018-06-07
KR101911363B1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98747B (zh) 微型智能温室
JP2002218846A (ja) 水槽式植木鉢の水位制御装置
KR20120000837A (ko) 화분의 수분 조절장치
KR101911363B1 (ko) 실내 관상용 화초 재배 시스템
CN106134966A (zh) 生态种植箱
KR200469809Y1 (ko) 원예 재배기
CN202759869U (zh) 智能花盆
CN114206100A (zh) 带有垂直分布的光源的植物围栏
CN105191690A (zh) 一种基于单片机控制的智能桌面盆栽器
KR101868743B1 (ko) 식생정보를 이용한 식물 재배 장치
CN113243290A (zh) 多功能植物灯花盆
CN204598903U (zh) 生态种植箱
CN212279276U (zh) 多功能植物灯花盆
CN205623464U (zh) 一种智能花盆
KR20190000852U (ko) 수경어항화분
KR102436131B1 (ko) 스마트 화분
CN205511365U (zh) 一种桌摆补光种植盒
CN208016425U (zh) 一种太阳能供电的智能花盆
KR102393809B1 (ko) 응축수 모듈용 히트 싱크 및 이를 이용한 자급관수 화분
JP6067393B2 (ja) 植物育成容器
CN106134967B (zh) 打氧模块及具有该打氧模块的生态种植箱
CN218337304U (zh) 一种循环换气的植物种植瓶
KR102492635B1 (ko) 수경식물용 재배함
KR101687753B1 (ko) 자동수분공급장치
CN207885271U (zh) 具有定位功能的植物生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